KR0167337B1 - 살충조성물 - Google Patents

살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337B1
KR0167337B1 KR1019900003104A KR900003104A KR0167337B1 KR 0167337 B1 KR0167337 B1 KR 0167337B1 KR 1019900003104 A KR1019900003104 A KR 1019900003104A KR 900003104 A KR900003104 A KR 900003104A KR 0167337 B1 KR0167337 B1 KR 016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es
active substance
dimethyl
alkyl group
nitro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850A (ko
Inventor
시니치 쓰보이
이쿠로 혼다
Original Assignee
다테노 고이치
닛뽄바이엘아그로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테노 고이치, 닛뽄바이엘아그로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테노 고이치
Publication of KR90001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살충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공지 니트로 화합물과 공지 살충제와의 살충 상승작용을 갖는 신규한 활성물질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니트로 화합물 및 이의 살충제로서의 용도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참조; 일본국 특허원 제299419/1988호].
하기 화합물이 농업용 살충활성을 갖는 것으로 문헌[참조 :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에 의해 발표된 Pesticidal Manual, 제7판, 1983]에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01
그러나, 상기 언급한 공지된 살충 화합물은 특히, 낮은 적용 농도로 사용할 때 만족할만한 살충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의 살충 조성물들은 수년동안 이를 지속적으로 사용한 결과, 해충이 이들 종류에 대해 후천성 내독성을 가짐으로써 해충을 만족스럽게 구제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이르러,
Figure kpo00002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살충물과의 신규한 활성물질 배합물이 특별히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4알킬 그룹이고,
R2는 -S-R3, 또는
Figure kpo00004
이며(여기서, R3는 C1-4알킬그룹이고, R4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C1-4알킬그룹이다),
Y는 CH 또는 N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활성물질 배합물의 활성은 개별 활성물질의 효과를 합한 것보다 실질적으로 훨씬 크다. 따라서, 새로운 상승효과가 존재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활성물질 배합물은 해로운 곤충들에 대해 일제히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물질 배합물에 사용된 일반식(I)의 니트로 화합물의 예는 하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일반식(I)의 니트로 화합물의 살충활성은 일본국 특허원 제299419/1988호에 기술되어 있다.
하기 물질(2) 내지 (8)의 살충활성은 문헌[참조 :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에 의해 발표된 The Pesticidal Manual, 제7판, 1983]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2) O,S-디메틸 아세틸포스포로아미드 티오에이트[아세페이트(Acephate)],
(3) S,S'-[2-(디메틸아미노)트리메틸렌]비스(티오카바메이트)[카탑(Cartap)],
(4) N, N-디메틸-1,2,3-트리티안-5-일아민[티오사이클람(Thiocyclam)].
(5) 2-이소프로폭시페닐 메틸카바메이트[프로폭서(Propoxur)].
(6) 2-2급-부틸페닐 메틸카바메이트(BPMC).
(7) 0.0-디메틸 0-3,5,6-트리클로로-2-피리딜포스포로티오에이트[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및
(8) 2-(4-에톡시페닐)-2-메틸프로필 3-페녹시벤질 에테르[에토펜프록스(Ethofenprox)].
활성물질 배합물 그룹의 중량비는 비교적 넓은 범위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물질(1) 그룹의 하나의 활성물질 1중량부당 (2), (3), (4), (5), (6), (7) 및 (8)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물질 0.05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부가 사용된다.
활성물질 배합물은 식물에는 허용되고, 온혈동물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독성을 가지며, 절지류 해충, 특히 농업 분야, 임업 분야, 저장물의 보호 및 재료의 보호, 및 위생분야에서 직멸하는 해충을 박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함물은 정상적인 민감종 및 내성종에 대해 이들 발생의 모든 단계 또는 특정 단계에서 활성이 있다. 상기 언급한 해충은 하기를 포함한다;
이소포다(Isopoda)강, 예를 들면, 오아니스커스 아셀러스(Oniscus Asellus), 아마딜리디움 벌가(Armadillidium vulgare) 및 포셀리오 스케이버(Porcellio scaber);
디플로포다(Diplopoda)강, 예를 들면, 블라니울러스 거털라투스(Blaniulus guttulatus);
킬로포다(Chilopoda)강, 예를 들면, 지오필러스 카르포파거스(Gephilus carpophagus) 및 스커티게라(Scutigera)종;
심폴라(Sumphyla)강, 예를 들면, 스커티게렐라 이마큘라타(Scutigerella immaculata);
티사누라(Thysanura)목. 예를 들면, 레피스마 사카리나(Lepisma saccharina);
콜렘볼라(Collembola)목, 예를 들면, 오니키우러스 아마터스(Onychiurus armatus);
오르돕테라(Orthoptra)목, 예를 들면, 블라타 오리엔탈리스(Blattaorientalis), 페리플라네타 아메리카나(Periplaneta americana), 류코페아 마데레(Leucophaea maderae), 블라텔라 게르마티카(Blattela germanica), 아케타 도메스티커스(Achta domesticus), 크릴로탈파(Gryllotalpa)종, 로커스타 미그라토리아 미그라토리오이데스(Locusta migratioria migratorioides), 멜라노플러스 디퍼런티알리스 (Melanoplus differentialis) 및 시스토서카 그레가리아(Schistocerca gregaria);
더맙테라(Dermaptera)목, 예를 들면, 포리피큘라 오리큘라리아(Forficula auricularia);
이솝테라(Isoptera)목, 예를 들면, 레티큘리터메스(Reticulitermes)종;
아노플루라(anoplura)목, 예를 들면, 필록세라 바스타트릭스(Phylloxera vastatrix), 펨피거스(Pemphigus)종, 페디큘러스 휴마너스 코포리스(Pediculus humanus corporis), 헤마토피너스(Haematopinus)종, 및 리노그나터스(Linognathus)종;
말로파가(Mallophaga)목, 예를 들면, 트리코덱테스(Trichodectes)종 및 다말리네아(Damalinea)종;
티사놉테라(Thysanoptera)목, 예를 들면, 허시노트립스 페모랄리스(Hercinothrips femoralis) 및 트립스 타바시(Thrips tabaci);
헤테롭테라(Heteroptera)목, 예를 들면, 유리가스터(Eurygaster)종, 다이스더커스 인터메디어스(Dysdercus intermedius), 피에스마 구아드라타(Piesma guadrata), 시멕스 렉튤라리우스(Cimex lectularius), 로드니우스 프롤릭서스(Rhodnius Prolixus) 및 트리아토마(Triatoma)종;
호몹테라(Homoptera)목, 예를 들면, 알레우로데스 브라시케(Aleurodes brassicae), 베미시아 타바시(Bemisia tabaci), 트리알레우로데스 바포라리오럼(Trialeurodes vaporariorum), 아피스 고시피(Aphis gossypii), 브레비코린 브라시케(Brevicoryne brassicae), 크립토마이저스 리비스(Cryptomyzus ribis), 아피스 파바에(Aphis fabae), 도랄리스 포미(Doralis pomi), 에리오소마 라니게럼(Eriosoma lanigerum), 하이알롭테러스 아런디니스(Hyalopterus arundinis), 매크로시펌 아베네(Macrosiphum avenae), 마이저스(Myzus)종, 포로돈 휴물리(Phorodon humuli), 로팔로시펌 패디(Rhopalosiphum padi), 엠포아스카(Empoasca)종, 유셀리스 빌로바터스(Euscelis bilobatus), 네포테틱스 싱크티셉스(Nephotettix cincticeps), 레카니움 코르니(Lecanium corni), 사이세티아 올레아(Saissetia oleae), 라오델팍스 스트리아텔러스(Laodelphax striatellus), 닐라파바타 루겐스(Nilaparvata lugens), 아오니디엘라 오란티(Aonidiella aurantii), 아스피디오터스 헤테레(Aspidiotus hederae), 슈도코커스(Pseudococcus)종들 및 실라(Psylla)종;
레피돕테라(Lepidoptera)목, 예를 들면, 펙티노포라 고시피엘라(Pectinophora gossypiella), 버팔러스 피니아리우스(Bupalus piniarius). 케이마토비아 브루마타(Cheimatobia brumata), 리토콜레티스 블랑카델라(Lithocolletis blancardella), 하이포노메우타 패델라(Hyponomeuta padella), 플루텔라 마컬리페니스(Plutella maculipennis), 말라코소마 뉴스트리아(Malacosoma neustria), 유프록티스 크리소로에아(Euproctis chtysorrhoea), 라이만트리아(Lymantria)종, 버쿨라트릭스 터버리엘라(Bucculatrix thurberiella), 필록니스티스 시트렐라(Phyllocnistis citrella), 아그로티스(Agrotis)종, 육소아(Euxoa)종, 펠티아(Feltia)종, 이어리아스 인슐라나(Earias insulna), 헬리오티스(Heliothis)종, 스포돕테라 엑시구아(Spodoptera exigua), 마메스트라 브라시케(Mamestra brassicae), 파놀리스 플라메아(Panolis flammea), 프로데니아 리투라(Prodenia litura), 스포돕테라(spodoptera)종, 트리코플러시아 니(Trichoplusia ni), 카포캅사 포모넬라(Carpocapsa pomonella), 피에리스(Pieris)종, 킬로(Chilo)종, 피라우스타 너빌랄리스(Pyrausta nubilalis), 에페스티아 퀘니엘라(Ephestia kuehniella), 갈레리아 멜로넬라(Galleria mellonella), 카코에시아 포다나(Cacoecia podana),카푸아 레티큘라나(Capua reticulana), 코리스토네우라 퍼미페라나(Choristoneura fumiferana), 클리시아 암비구엘라(Clysia ambiguella), 호모나 마그나니마(Homona magnanima) 및 토트릭스 비리다나(Tortrix viridana);
콜레옵테라(Coleoptera)목, 예를 들면, 아노비움 펑타텀(anobium punctatum), 리조퍼타 도미니카(Rhizopertha dominica), 아칸도셀리데스 옵텍터스(Acanthoscelides obtectus), 하일로트루페스 바줄러스(Hylotrupes bajulus), 아겔라스티카 알니(Agelastica alni), 렙티노타사 디셈리니아타(Leptinotarsa decemlineata), 페돈 코클리어리에(Phaedon cochleariae), 디아브로티카(Diabrotica)종, 질리오데스 크로소세팔라(Psylliodes chrysocephala), 에필라크나 바리베스티스(Epilachna varivestis), 아토마리아(Atomaria)종, 오리자에필러스 수리나멘시스(Oryzaephilus surinamesis), 안토노무스(Anthonomus)종, 시토필러스(Sitophilus)종, 오티오린커스 설카터스(Otiorrhychus sulcatus), 코스모폴리테스 소디두스(Cosmopolites sordidus), 세우토린커스 아시밀리스(Ceuthorrhynchus assimilis), 하이페라포스티카(Hyperapostica), 더르메스테스(Dermestes)종, 트로코더마(Trogoderma)종, 안드레너스(Anthrenus)종, 아타게너스(Attagenus)종, 릭터스(Lyctus)종, 멜기게데스 아이네우스(Meligethes aeneus), 티너스(Ptinus)종, 닙터스 홀로레우커스(Niptus hololeucus), 기비움 사일로이데스(Gibbium psylloides), 트리볼리움(Tribolium)종, 테네브리오 몰리토(Tenebrio molitor), 아그리오테스(Agriotes)종, 코노테러스(Conoderus)종, 멜로론타 멜로론타(Melolontha melolontha), 암피말론 솔스티티알리스(Amphimallon solstitialis) 및 코스텔리트라 진란디카(Costelytra zealandica);
하이메놉테라(Hymenoptera)목, 예를 들면, 디프리온(Diprion)종, 호플로캄파(Hoplocampa)종, 라시우스(Lasius)종, 모노모리움 파라오니스(Monomorium pharaonis) 및 베스파(Vespa)종;
디프테리아목(Diptera), 예를 들면, 아이데스(Aedes)종, 아노펠리스(Anopheles)종, 큘렉스(Culex)종,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터(Drosophila melanogaster), 머스카(Musca)종, 파니아(Fannia)종, 칼리포라 에리트로세팔라(Calliphora erythrocephala), 루실리아(Lucilia)종, 크리소미아(Chrysomyia)종, 쿠테레브라(Cuterebra)종, 가스트로필러스(Gastrophilus)종, 하이포보스카(Hyppobosca)종, 스토목시스(Stomoxys)종, 오에스트러스(Oestrus)종, 하이포더마(Hypoderma)종, 타바너스(Tabanus), 오시넬라 프리트(Oscinella frit), 포르비아(Phorbia)종, 페고마이아 히오시아미(Pegomyia hyoscyami), 세라티티스 카피타타(Ceratitis capitata), 다커스 올리에(Dacus oleae) 및 티풀라 팔루도사(tipula paludosa).
활성물질 배합물은 통상의 제제(예: 액제, 유제, 습윤 산제, 현탁제, 산제, 포말제, 페이스트, 입제, 에어로졸, 활성 화합물을 주입시킨 천연 및 합성물질, 중합체 물질내의 미세 캡슐제, 종자용 피복 조성물) 및 연소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제형(예: ULV 냉분무 및 온분무 제형, 및 훈증용 카트리지, 훈증용 캔 및 훈증용 코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들 제제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활성물질을 중량제, 즉 액체 또는 액화 가스 또는 고체 희석제 또는 담체, 임의의 표면 활성제, 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기포 형성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증량제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 용매가 보조 용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액체 용매 의석제 또는 담체로서, 주로 방향족 탄화수소(예: 크실렌, 톨루엔 또는 알킬나프탈렌), 염화 방향족 또는 염화 지방족 탄화수소(예: 클로로벤젠, 클로로에틸렌 또는 클로로메틸렌 클로라이드), 지방족 탄화수소(예: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 예를 들면, 광유 분획), 알콜(예: 부탄올 또는 글리콜) 및 이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산온), 또는 강한 극성 용매(예: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물이 적합하다.
액화 가스 희석제 또는 담체란 정상 온도 및 정상 압력하에서 가스인 액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에어로졸 추진체, 예를 들어, 할로겐화 탄화수소 뿐만 아니라 부탄, 프로판, 질소 및 이산화탄소가 있다.
고체 담체로서는 토양 천연광물(예: 고령토, 점토, 활석, 백악, 석영, 애터펄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 및 토양 합성 광물(예: 고분산 규산, 알루미나 및 규산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입제용 고체 담체로서는 분쇄되고 분별된 천연 암석(예: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및 백운석)과 무기 및 유기 곡분의 합성 과립 및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및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 물질의 과립이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 및/또는 기포 형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 알콜 에테르(예: 알킬 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아릴 설포네이트와 같은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와 알부민 가수분해 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는, 예를 들어, 리그닌 설파이트 폐수액 및 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제제에는 점착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분말, 과립 또는 라텍스 형태의 천연 및 합성 중합체(예: 아라비아 고무,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무기 안료(예: 산화철, 산화티탄 및 프루시안 블루(Prussian Blue))와 유기 염료(예: 알리자린 염료, 아조 염료 또는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착색제 및 미량영양소(예: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활성물질 0.1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활성물질 배함물은 시판 제제로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용형태로, 예를 들면, 살충제, 미끼, 살균제, 살비제, 살선충제, 살진균제, 생장조절 물질 또는 제초제와 같은 다른 활성 화합물과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살충제는,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카바메이트, 카복실레이트, 염화탄화수소, 페닐우레아, 미생물로부터 생성된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성물질 배합물은 시판 제제로 및 이들 제제로부터 제조된 사용형태로, 예를 들면, 상승제와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승제란, 첨가된 상승제 자체가 활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으며 활성 화합물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화합물이다.
시판되는 제제로부터 제조되는 사용형태의 활성물질 함량은 광범위한 한도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사용형태에서의 활성물질 농도는 활성물질 0.000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활성물질은 사용형태에 적합한 통상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생물시험 실시예]
시험대상 화합물:
일반식(I)의 화합물:
제1번 : 1-(2-클로로-5-피리딜메틸아미노)-1-메틸아마노-2-니트로에틸렌;
제2번 : 1-(2-클로로-5-피리딜메틸아미노)-1-디메틸아미노-2-니트로에틸렌;
제3번 : 1-[N-(2-클로로-5-피리딜메틸)-N-메틸아미노]-1-메틸아미노-2-니트로에틸렌;
제4번 : 3-(2-클로로-5-피리딜메틸)-1-,1-디메틸-2-니트로구아니딘;
제5번 : 3-(2-클로로-5-피리딜메틸)-1,3-디메틸-2-니트로구아니딘.
공지된 살진균 활성물질:
(A) 아세페이트
(B) 카탑
(C) 티오사이클람
(D) 프로폭서
(E) BPMC
(F) 클로르피리포스메틸
(G) 에토펜프록스
[실시예 1]
[나팔로크로시스 시험]
[시험 화학물질의 제조]
용매: 크실롤 3중량부
유화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1중량부
활성물질의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활성물질 1중량부를 상술한 양의 유화제가 함유된 상술한 양의 용매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물로 예정된 농도로 희석한다.
[시험 방법]
15cm 길이의 세개의 벼모를 직경 9cm인 각각의 비닐 수지 포트에 심는다. 모종 10일 후, 상기에서와 같이 제조된 예정된 농도의 활성물질의 물희석물을 분무기로 포트당 20ml씩 식물에 뿌린다. 물방울이 공기 건조된 후, 직경 9cm 높이 25cm인 플라스틱 네트 실린더를 각각의 포트에 놓고, 벼잎말이 나방(나팔로크로시스 메디날리스 기니어(Cnaphalocrosis medinalis Gueneer))의 4기 유충 10마리를 각각의 포트에 접종한다. 포트들을 각각 일정 온도로 유지된 방에 놓고, 2일 후, 죽은 해충의 수를 센다. 그런 다음 사망률을 계산한다. 상기 시험을 2회 반복해서 실행한다.
결과는 표1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2]
[플루텔라 시험]
[시험 방법]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예정된 농도의 활성물질의 물희석물을, 직경 9cm인 포트에 심어져 있는, 약 15cm 길이의, 결구 형성 이전의 양배추모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포트당 20ml양으로 뿌린다. 물방울이 공기 건조된 후 내유기인 배추좀나방(플루텔라 마쿨리페니스 : Plutella maculipennis)의 4기 유충 10마리를 각각의 포트에 접종한다. 포트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 방에 각각 둔다. 2일 후, 죽은 해충의 수를 세어, 사망률을 계산한다. 상기 시험은 2회 반복해서 실행한다.
결과는 표2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8
[실시예 3]
[닐라파바타 시험]
[시험 방법]
15cm 길이의 세개의 벼모를, 직경 약 13cm인 포트에 각각 심는다. 모종 10일 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예정된 농도의 활성물질의 물희석 분무기를 사용하여 포트당 20ml양을 식물에 뿌린다. 물방울이 공기 건조된 후, 케이지(cage)를 각각의 포트 위에 놓고, 브라운 플랜토퍼(닐라파바타 루겐스: Nilaparvata lugens)의 4기 유충 10마리를 각각의 포트에 접종한다. 포트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 방에 각각 둔다. 3일 후, 죽은 해충의 수를 세어, 사망률을 계산한다. 상기 시험은 2회 반복해서 실행한다.
결과는 표3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9

Claims (3)

  1. (A) (1) 하기 일반식(I)의 니트로 화합물과 (B) (2) O,S-디메틸 아세틸포스포로아미드 티오에이트, (3) S,S'-[2-(디메틸아미노)트리메틸렌]비스(티오카바메이트), (4) N,N-디메틸-1,2,3-트리티안 -5-일아민, (5) 2-이소프로폭시페닐 메틸카바메이트, (6) 2-2급-부틸페닐 메틸카바메트, (7) O,O-디메틸 O-3,5,6-트리클로로-2-피리딜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및 (8) 2-(4-에톡시페닐)-2-메틸프로필 3-페녹시 벤질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살충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살충제로 이루어진 활성물질 배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조성물.
    Figure kpo00010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C1-4알킬 그룹이고, R2는 -S-R3, 또는
    Figure kpo00011
    이며(여기서, R3는 C1-4알킬그룹이고, R4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C1-4알킬그룹이다), Y는 CH 또는 N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니트로 화합물이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인 살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성물질 배합물에서 니트로 화합물(A):살충제(B) 중량비가 1:0,0.5 내지 1: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KR1019900003104A 1989-03-10 1990-03-09 살충조성물 KR0167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5 1989-03-10
JP89-56125 1989-03-10
JP5612589 1989-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850A KR900013850A (ko) 1990-10-22
KR0167337B1 true KR0167337B1 (ko) 1999-01-15

Family

ID=1301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104A KR0167337B1 (ko) 1989-03-10 1990-03-09 살충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67337B1 (ko)
CN (1) CN10440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95C (zh) * 1995-12-27 2000-09-06 仪秀华 高效芳香脱臭粒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9403B2 (ja) * 1988-11-29 1998-07-23 日本バイエルアグロケム株式会社 殺虫性ニトロ化合物
JPH02191253A (ja) * 1989-12-11 1990-07-27 Nippon Tokushu Noyaku Seizo Kk 殺虫性ニトロ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850A (ko) 1990-10-22
CN1044071C (zh) 1999-07-14
CN1045333A (zh) 199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956B1 (ko) 해충구제용 조성물
KR0135531B1 (ko) 이미다졸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960015007B1 (ko) 3-치환된 1-(2-클로로-티아졸-5-일-메틸)-2-니트로이미노-1,3-디아자사이클로알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28735A (ko) 살충 및 살비 활성 배합물
KR100475292B1 (ko) 농약인치환된n-메틸렌티오우레아
EP0547451B1 (en) Guanidine derivatives as inseticides
KR970005305B1 (ko) 1,2,3,4-테트라하이드로 -5-니트로-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살충제
DE4005114A1 (de) Substituierte pyrazolinderivate
HU189518B (en) Pest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n-phosphonyl-carbonyl-carbamates as active substanc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active substances
EP2305035B1 (de) Mittel zur Bekämpfung von Pflanzenschädlingen
US4107324A (en) Indan-5-yl-N-methylcarbamic acid esters
KR0167337B1 (ko) 살충조성물
KR100227886B1 (ko) 구아니딘 유도체
JPS6230187B2 (ko)
DE3012642A1 (de) 3-carbamoyl-4-hydroxy-cumar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ls schaedlingsbekaepfungsmittel
US4248866A (en) Combating arthropods with N-(O-ethyl-S-n-propyl-thiophosphoryloxy)-naphthalimides
US4211790A (en) Combating arthropods with an oxime ester of N-carboxylated-carbamate
KR100225225B1 (ko) 구아니딘 유도체
CA1290685C (en) Flubenzimine containing agents for combating pests
US5118706A (en) Carboximide containing agents for combating pests
KR820000972B1 (ko) N-(0-에틸-s-n-프로필-(디)-티오포스포릴옥시)-나프탈이미드의 제조방법
KR810000820B1 (ko) N,n-디알킬-0-피리미디닐-카바민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DE19829075A1 (de) Mittel zur Bekämpfung von Pflanzenschädlingen
CS199219B2 (en) Fungicide and insecticide and process for preparing effective compound
EP0075144A1 (de) N,N-Dimethyl-O-imidazol-4-yl-carbaminsä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