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262B1 -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262B1
KR0167262B1 KR1019950037890A KR19950037890A KR0167262B1 KR 0167262 B1 KR0167262 B1 KR 0167262B1 KR 1019950037890 A KR1019950037890 A KR 1019950037890A KR 19950037890 A KR19950037890 A KR 19950037890A KR 0167262 B1 KR0167262 B1 KR 016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tube
moving
palle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967A (ko
Inventor
이세용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5003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262B1/ko
Publication of KR97002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지를 소켓에 장착하기 위한 패키지 장착장치의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튜브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패키지를 공급함으로써 마찰에 의한 패키지의 손상이 발생하고, 튜브 교체시 장비를 멈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수개의 튜브를 적층하기 위한 튜브적치부와, 그 튜브적치부에서 이동한 튜브내의 패키지를 취출하기 위한 패키지취출부와, 상기 패키지취출부에서 취출된 패키지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패키지이동부로 구성하여 종래와 같이 튜브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패키지를 공급함으로써 발생하던 마찰에 의한 패키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튜브적치부에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튜브를 수개 적층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패키지가 소진된 튜브 교체시에 장비를 멈추지 않고, 계속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패키지 장착장치를 보인 개략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가 구비된 패키지 장착장치를 보인 것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횡단면도.
(d)는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패키지
12 : 튜브 13 : 튜브적치대
13a : 적치홈 14 : 전, 후진 실린더
15 : 스토퍼 16 : 상, 하 이동 실린더
17 : 전, 후진 실린더 18 : 이동팰리트
18a : 안착홈 19 : 감지팰리트
19a : 감지홈 19c : 감지센서
20 : 상, 하 이동 실린더 21 : 상,하 이동 팰리트
22 : 지지팰리트 23 : 고정척
24 : 고정벽 25 : 리드스크류
26 : 이동실린더 26a : 이동팁
27 : 지지바 28 : 모터
29 : 벨트 30 : 안내레일
31 : 벨트 32 : 롤러
33 : 모터
본 발명은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키지 검사시 패키지를 소켓에 끼우기 위하여 패키지가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패키지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키지의 전기적인 검사를 하기 위하여 외부로의 전기적인 단자가 되는 소켓리드가 내설되어 있는 소켓에 패키지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소켓에 패키지를 장착하는 일반적인 패키지 장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패키지 장착장치를 보인 개략구성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장착장치는 수개의 패키지(1)가 수납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튜브(2)와, 그 튜브(2)에서 공급되는 패키지(1)를 흡착하여 소켓(3)에 장착하는 이중 실린더(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중 실린더(4)는 내측 실린더(5)와 외측 실린더(6)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 실린더(5)는 에어(AIR)로 패키지(1)를 흡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패키지 장착장치는 패키지(1)가 튜브(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 패키지(1) 1개를 이중 실린더(4)의 내측 실린더(5)가 패키지(1) 상면에서 흡착한다. 상기와 같이 패키지(1)를 흡착한 이중 실린더(4)가 소켓(3)의 상부로 이동을 하고, 그런 다음 이중 실린더(4)의 외측 실린더(6)가 스프링(3c)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는 소켓(3)의 상부 하우징(3a)을 누른다. 이와 같이 상부 하우징(3a)을 누르면 소켓(3)에 내설되어 있는 소켓리드(3b)가 벌어지는데, 이때 내측 실린더(5)가 소켓(3)의 내부로 패키지(1)를 삽입한 후, 소켓(3)의 상부 하우징(3a)을 누르고 있던 외측 실린더(6)의 힘을 제거하면 소켓(3)에 패키지(1)가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키지 장착장치는 패키지(1)를 공급하는 튜브(2)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어 각각의 패키지(1)가 미끄러져 내려가므로 패키지(1)가 서로 부딪쳐서 손상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미끄러져 있는 패키지(1)를 이중 실린더(5)가 불안정하게 흡착하기 때문에 소켓(3)에 삽입시 소정높이에서 자유 낙하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소켓(3)에 수평하게 안착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튜브(2)에 담겨있는 일정수량의 패키지(1)가 공급이 완료되면 장비를 멈추고 새로운 패키지(1)가 담긴 튜브(2)를 설치한 후에 다시 장비를 가동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시간의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키지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패키지의 손상을 방지하고, 패키지를 소켓에 수평하게 안착시키는데 적합한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부에 일정량의 튜브가 항상 적재되어 있도록 하여 패키지가 담긴 튜브를 설치시 장비를 멈추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간이 절감되는데 따른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수개의 튜브를 적층하기 위한 튜브적치부와, 그 적치된 튜브 중 소정의 갯수를 이동하고 그 이동된 튜브에서 패키지를 취출하기 위한 패키지취출부와, 그 튜브고정부에서 취출된 패키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패키지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튜브적치부는 장비 본체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튜브를 적치하기 위한 튜브적치대와, 그 튜브적치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튜브적치대에서 적치된 소정 갯수의 튜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팰리트와, 그 이동팰리트의 외측에 설치되며 그 이동팰리트에 튜브의 안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팰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적치대는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튜브를 적치하기 위한 수개의 적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팰리트는 상면에 튜브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팰리트의 상면에는 수개의 감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감지홈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키지취출부는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되며 튜브를 상승시켜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 하 이동 팰리트와, 그 상, 하 이동 팰리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패키지가 소진된 튜브를 밀어내도록 지지하는 지지팰리트와, 상기 튜브를 파지하기 위한 고정척과, 상기 튜브에 수납되어 있는 패키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패키지이동수단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키지이동수단은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벽과, 그 고정벽의 내측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그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실린더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실린더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모터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실린더의 하부에는 튜브의 상부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홈에 끼워져 패키지를 밀기 위한 이동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키지이동부는 장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그 안내레일의 상면에 설치되어 패키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와, 그 벨트를 지지하는 수개의 롤러와, 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가 구비된 패키지 장착장치를 보인 것으로, (a)는 종단면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며, (c)는 횡단면도이고, (d)는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의 전기적인 시험을 하기 위하여 패키지를 소켓에 장착하는 패키지 장착장치는 튜브적치부와, 패키지취출부와, 패키지이동부 및 패키지압입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중 신규한 부분은 패키지를 수평이동하도록 구현한 튜브적치부, 튜브고정부, 패키지이동부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패키지 이동장치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개의 패키지(11)가 수납되어 있는 다수개의 튜브(12)를 적층하기 위한 튜브적치부와, 그 튜브적치부에서 이동된 튜브(12)를 고정 또는 취출하기 위한 패키지취출부와, 그 패키지취출부에서 취출된 패키지(1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 위한 패키지이동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튜브적치부는 장비 본체(10)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어 다수개의 패키지(11)가 수납되어 있는 튜브(12)를 적치하기 위한 튜브적치대(13)와, 그 튜브적치대(13)의 하부에 위치하는 튜브(12)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 후진 실린더(14)에 부착된 수개의 스토퍼(15)와, 상기 튜브적치대(13)에서 적치된 소정 갯수의 튜브(1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체로 된 상,하 이동 실린더(16)와 전, 후진 실린더(17)에 연결 설치된 이동팰리트(18)와, 그 이동팰리트(18)의 외측에 설치되며 이동팰리트(18)에 튜브(12)의 안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팰리트(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적치대(13)의 내측에는 튜브(12)를 적치하기 위한 수개의 적치홈(13a)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팰리트(18)는 상면에 튜브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개의 안착홈(18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팰리트(19)의 상면에는 수개의 감지홈(19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감지홈(19a)에는 감지센서(19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키지취출부는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되며 상, 하 이동 실린더(20)로 튜브(12)를 상승시켜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 하 이동 팰리트(21)와, 그 상,하 이동 팰리트(21)와, 그 상,하 이동 팰리트(21)의 내측에 설치되어 패키지(11)가 소진된 각각의 튜브(12)를 밀어내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팰리트(22)와, 상기 튜브(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척(23)과, 상기 튜브(12)에 수납되어 있는 패키지(11)를 이동시키기 위한 패키지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키지이동수단은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되는 공정벽(24)과, 그 고정벽(24)의 내측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25)와, 그 리드스크류(25)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25)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실린더(26)와, 상기 리드스크류(2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실린더(26)가 이동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27)와, 상기 리드스크류(2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8) 및 상기 리드스크류(25)와 모터(28)를 연결하는 벨트(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실린더(26)의 하부에는 튜브(12)의 상부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홈에 끼워져 패키지(11)를 밀기 위한 이동팁(26a)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키지이동부는 장비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30)과, 그 안내레일(30)을 상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패키지(11)를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31)와, 그 벨트(31)를 지지하는 수개의 롤러(32)와, 그 롤러(3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패키지이동부의 후방에는 상기 벨트(31)에 의해 이동된 패키지(11)를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40)와, 상기 패키지(11)를 흡착하여 이동하기 위한 픽업툴(41)과, 그 픽업툴(41)에 의해 이동된 패키지(11)를 일시 수납하는 중간포켓(42)과, 그 중간포겟(42)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실린더(도시 되어 있지 않음)와, 상기 중간포켓(42)에 수납된 패키지(11)를 흡착 및 이동하여 보드(43)에 설치된 각각의 소켓(44)에 압입하는 이중실린더(45)로 구성된 패키지압입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9c는 감지팰리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실린더이며, 34는 패키지취출부에서 밀려나오는 튜브(12)가 담기는 튜브수거대이고, 23a는 튜브(12)내의 패키지(11)를 밀어내는 푸셔이며, 23b는 고정척(23)과 푸셔(23a)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실린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로 형성된 수개의 안착홈(13a)에 대수개의 패키지(11)가 수납되어 있는 튜브(12)를 수개 적층하고, 최하위에 있는 튜브(12)를 전,후진 실린더(14)에 의해 전진한 스토퍼(15)가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전,후진 실린더(17)에 의해 이동된 이동팰리트(18)가 상,하 이동 실린더(16)에 의해 상승하여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면 스토퍼(15)가 전,후진 실린더(14)에 의해 후진하고, 이때 최하위에 위치한 튜브(12)는 상부에 적치된 튜브(12)들의 무게에 의하여 이동팰리트(18)의 안착홈(18a)에 안착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감지 팰리트(19)가 상, 하 이동 실린더 (19c)에 의해 상승되어 이동팰리트(18)의 안착홈(18a)에 튜브(12)가 안착된 상태를 감지센서(19b)로 확인한 후, 다시 하강한다.
그런 다음 이상이 없으면 스토퍼(15)가 다시 전진하여 최하위에서 2번째 튜브(12)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스토퍼(15)의 위치는 이동팰리트(18)의 안착홈(18a)의 위치보다 튜브(12) 1개 높이만큼 높으므로 2번째 튜브(12)가 지지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이동팰리트(18)가 상,하 이동 실린더(16)에 의해 약간 하강한 상태로 전, 후진 실린더(17)에 의해 튜브취출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팰리트(18)가 패키지취출부로 이동을 할때는 상기 이동팰리트(18)가 이동하는 높이보다 약간 낮은 상태에 설치된 지지팰리트(22)의 상면에 얹혀있는 패키지(12)가 소진된 튜브(12)들을 이동팰리트(18)가 밀어서 튜브수거대(34)로 밀어내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 하 이동 팰리트(21)가 상, 하 이동 실린더(20)에 의해 상승하여 안내레일(3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각각의 튜브(12)들을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척(23)이 튜브(12)의 일측을 잡고 전, 후진 실린더(23b)에 의해 전진되어 튜브(12)의 타측을 안내레일(30)에 근접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튜브(12)가 안내레일(30)에 근접하면 푸셔(23a)가 튜브(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내레일(30) 방향으로 패키지들을 약간 밀어 주는 것이다. 그런 다음 패키지이동수단이 하강하여 패키지(11)들을 안내레일(30)의 상면에서 회전 하는 벨트(31)의 상면을 밀어내는 것이다.
상기 패키지이동수단을 부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동실린더(26)에 의해 그 이동실린더(26)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이동팁(26a)이 하강을 하고, 그 이동팁(26a)이 튜브(12)의 상면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12)의 내측 저면에 닿으면 약간 상부로 밀리게되는데 이때 센서(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센서(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감지를 하면 모터(28)가 회전을 하고, 그 모터(28)에 연결된 벨트(29)에 의해 리드스크류(25)를 회전하게 되어 그 리드스크류(25)를 따라 이동실린더(26)가 지지바(27)에 회전이 억제되며 안내레일(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실린더(26)의 하부에 부착된 이동팁(26a)에 의해 튜브(12)내의 패키지(11)도 안내레일(30)의 상면에서 회전하는 벨트(29)의 상부로 밀려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벨트(29)의 상부에 패키지(11)가 위치하면 모터(33)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29)의 상부에 패키지(11)가 얹혀져 이동하여 패키지 압입부의 승강실린더(40) 상부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패키지(11)가 승강실린더(40)의 상부까지 이동하면 승강실린더(40)가 약간 상승하여 패키지(11)를 들어 올리고, 그 들어 올린 패키지(11)를 픽업툴(41)이 하강을 하여 흡착한 후, 중간포 (42)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중간포켓(42)에 패키지(11)가 수납되면 수평이동실린더(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중간포켓(42)을 이중실린더(45)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이중실린더(45)가 하강하여 패키지(11)를 흡착한 후, 보드(4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소켓(44)에 장착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수개의 튜브를 적층하기 위한 튜브적치부와, 그 튜브적치부에서 이동한 튜브내의 패키지를 취출하기 위한 패키지취출부와, 상기 패키지취출부에서 취출된 패키지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패키지를 공급함으로써 발생하던 마찰에 의한 패키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튜브적치부에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튜브를 수개적층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패키지가 소진된 튜브 교체시에 장비를 멈추지 않고, 계속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 및 생상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수개의 튜브를 적층하기 위한 튜브적치부와, 그 적치된 튜브 중 소정의 갯수를 이동하고 그 이동된 튜브에서 패키지를 취출하기 위한 패키지취출부와, 그 튜브고정부에서 취출된 패키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패키지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적치부는 장비 본체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패키지가 수납되어 있는 튜브를 적치하기 위한 튜브적치대와, 그 튜브적치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와, 상기 튜브적치대에서 적치된 소정 갯수의 튜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팰리트와, 그 이동팰리트의 외측에 설치되며 그 이동팰리트에 튜브의 안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 필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적치대는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튜브를 적치하기 위한 수개의 적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팰리트는 상면에 튜브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팰리트의 상면에는 수개의 감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감지홈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취출부는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되며 튜브를 상승시켜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하 이동 팰리트와, 그 상,하 이동 팰리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패키지가 소진된 튜브를 밀어내도록 지지하는 지지팰리트와, 상기 튜브를 파지하여 이동하기 위한 고정척과, 상기 튜브에 수납되어 있는 패키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패키지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이동수단은 소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벽과, 그 고정벽의 내측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그 리드스크류를 따라 아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실린더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실린더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모터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실린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튜브의 상부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홈에 끼워져 패키지를 밀기 위한 이동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이동부는 장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그 안내레일의 상면에 설치되어 패키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와, 그 벨트를 지지하는 수개의 롤러와, 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KR1019950037890A 1995-10-28 1995-10-28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KR016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890A KR0167262B1 (ko) 1995-10-28 1995-10-28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890A KR0167262B1 (ko) 1995-10-28 1995-10-28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967A KR970023967A (ko) 1997-05-30
KR0167262B1 true KR0167262B1 (ko) 1999-02-01

Family

ID=1943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890A KR0167262B1 (ko) 1995-10-28 1995-10-28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2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967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9333B2 (ko)
KR0167262B1 (ko) 패키지 수평 이동장치
JP2820898B2 (ja) ワーク体の整列積層装置
JPH0134886B2 (ko)
KR100319015B1 (ko) 번인 테스터용 소팅 핸들러의 빈 트레이 적재스택커
CN114435824A (zh) 一种自动上钢片设备
KR0124820Y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JPH06879Y2 (ja) トレ−の搬送装置
JPH10236654A (ja) トレイパックの取出し装置
CN113086658B (zh) 轴类仓式全自动上料机
JP3009099B2 (ja) ワ−クロ−ダ−
CN220885926U (zh) 下料摆盘装置和下料摆盘设备
CN214685082U (zh) 装配机
CN216958066U (zh) 一种电池串料盒流转装置
CN219193517U (zh) 一种数据线插头上料机
CN221050634U (zh) 托盘自动出入库设备
CN218619188U (zh) 一种玻璃分片装置
CN217768323U (zh) 一种料盘供料设备
CN112563524B (zh) 圆柱电芯加工设备
JPH0628484Y2 (ja) 倉庫設備
KR0155450B1 (ko) 프린트 기판의 이송방법
JPH0442269Y2 (ko)
CN116969008A (zh) 一种用于背板连接器的自动检测包装机及方法
JP2875653B2 (ja) 半導体装置の搬送装置
JPH0720957Y2 (ja) プリント回路板の自動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