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201B1 -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201B1
KR0167201B1 KR1019960004524A KR19960004524A KR0167201B1 KR 0167201 B1 KR0167201 B1 KR 0167201B1 KR 1019960004524 A KR1019960004524 A KR 1019960004524A KR 19960004524 A KR19960004524 A KR 19960004524A KR 0167201 B1 KR0167201 B1 KR 016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function
additional
control panel
changing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755A (ko
Inventor
백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0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201B1/ko
Publication of KR97006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서 부가기능을 변경하거나 증설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부가기능 변경장치에 있어서는 조작반의 부가기능 스위치부가 현장마다 다르고 외부결선도 달라 표준화할 수 없는 결함이 있고, 다수개의 스위치가 원가가 상승되는 결함이 있으며, 일단 현장에 설치된 후 부가기능을 증설하거나 벼경하고자 하는 경우 스위치 및 배선이 추가되고 기본적인 롬 프로그램이 변경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반에서 조작반에 부가기능 변경항목을 지원하고, 부가기능 항목수에 관계없이 고정설치된 셋팅스위치, 스위크롤스위치, 설정완료 스위치를 이용하여 부가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반 부가기능 스위치부의 표준화를 실현하고, 제어반의 롬 프롬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부가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결선의 변경없이 부가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제어반 주변의 제어 블록도.
제2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서 조작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이 적용되는 조작반의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에 대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반 11 : 제1중앙처리장치
12 : 제2중앙처리장치 21-24 : 홀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
21A-24A : 부름등록부 31,41 :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
40 : 조작반 42 : 롬
43 : 램 44 : 입력포트
45 : 출력포트 46 : 표시장치
47 : 통신포트 48 : 배터리 백업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작반에서 부가기능을 변경하거나 증설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제어방식의 엘리베이터에서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확장하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제어반 주변의 제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홀스테이션(Hall Station)용 중앙처리장치921-24)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행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통신하는 제1중앙처리장치(11)와, 카스테이션(Car Station)용 중앙처리장치(31)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행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통신하는 제2중앙처리장치(12)와,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부름등록부(21A-24A)를 통해 부름이 발생되는 층을 감지하여 해당 층의 부름이 등록되게 하고, 그 부름등록부(21A-24A)상에 현재 운행층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홀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21-24)와, 카내의 조작반에서 발생되는 부름을 등록시키고 카내에 필요한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31)로 구성되었다.
제2도는 제1도에서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31)의 주변구성을 보이기위한 조작반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포트(37)를 통해 상기 제어반(10)의 제2중앙처리장치(12)와 운행정보를 통신하면서 카내의 조작반(30)에서 발생되는 부름을 등록시키고 카내에 필요한 운행정보를 표시하는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31)와, 조작반(30)의 프로그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롬(32)과, 조작반(3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33)과, 부가기능 입력용 스위치(SWa-SWn)를 통해 입력 부가기능 선택사항을 받아들이는 입력포트(34)와, 현재 운행층 및 부가기능등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포트(35) 및 표시장치(36)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사운전, 브이아이피(VIP)운전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가기능 입력용 스위치(SWa-SWn) 중에서 해당 스위치를 온시키면 그 온된 스위치입력신호가 입력포트(34)를 통해 램(33)에 일시저장되고,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31)는 소정 주기로 그 램(33)에 저장된 부가기능 입력용 스위치(SWa-SWn)의 온/오프상태정보를 읽어 통신포트(37) 및 데이터 네트워크(NW)를 통해제어반(10)의 제2중앙처리장치(12)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중앙처리장치(12)는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NW) 및 통신포트(37)를 통해 카의 운행위치 정보나 부가기능 정보등을 상기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31)에 전송하고,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는 롬(32)에 저장된 기본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된 후 출력포트(35)를통해 표시장치(36)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장치(36)를 통해 카의 운행위치나 자기가 선택한 부가기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표시장치(36)는 세븐세그먼트나 도트인디케이터, 도는 엘씨디등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부가기능 변경장치에 있어서는 부가기능 입력용 스위치의 갯수가 엘리베이터 현장별 부가기능마다 다르므로 조작반의 부가기능 스위치 부가 현장마다 다르고 외부결선도 달라 표준화할 수 없는 결함이 있고, 다수개의 스위치를 필요로 하여 원가가 상승되는 결함이 있으며, 일단 현장에 설치된 후 부가기능을 증설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스위치 및 배선이 추가되고 기본적인 롬 프로그램이 변경되어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반의 부가기능 입력용 스위치부를 적은 수량의 스위치로 표준화 하고, 부가기능이 증설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하드웨어의 증설이나 변경없이 스포트웨어의 변경만으로 가능토록한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에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은 부가기능이 셋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제어반의 제어하에 기 설정된 형식으로 자동 셋팅하거나 부가기능 변경요구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하는 제1단계(S1-S3)와, 부가항목의 변경요구시, 변경가능한 항목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입력에 따라 변경항목을 설정하여 램의 부가기능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2단계(S4-S7)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이 적용되는 조작반의 블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포트(47)를 통해 제어반(10)에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제어반(10)으로 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조작반(40) 각부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41)와, 제어반(10)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42)과, 변경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43)과, 셋팅스위치(SW1), 스크롤스위치(SW2), 설정완료 스위치(SW3)의 온,오프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포트(44)와, 분석된 데이터를 근거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위치 및 부가기능 스위치 상태등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포트(45) 및 표시장치(46)와, 전송된 데이터 및 변경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배터리 백업장치(48)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작반(40)의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41)는 제어반(10)에 있는 제2중앙처리장치(12)의 제어하에 램(43)의 부가기능을 자동으로 셋팅하게 되는데, 최초 엘리베이터 설치시 스위치(SW1-SW3)는 모두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부가기능 스위치상태를 변경하기 위하여 셋팅스위치(SW1)를 누르면, 상기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41)는 이를 인지한 후 표시장치(46)에 변경할 수 있는 부가기능 항목과 스위치(SW1-SW3)의 온/오프상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장치(46)에 표시된 항목 중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스크롤스위치(SW2)를 원하는 횟수만큼 누르면 상기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41)는 그 누름회숫에 따라 커서위치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지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설정완료 스위치(SW3)를 누르면 그 지정 표시된 항목을 설정하여 램(43)에 저장하게 되며, 이렇게 변경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백업장치(48)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변경된 데이터는 상기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41)의 제어하에 통신포트(47) 및 데이터 네트워크(NW)를 통해 상기 제2중앙처리장치(12)에 전송되고, 이렇게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근거로 엘리베이터는 부가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장치(46)는 엘씨디나 씨알티로 구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며, 여기에 카의 현재위치와 부가기능의 표시를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가기능 표시항목은 제어반(10)의 제2중앙처리장치(12)의 데이터의 의존하도록 하여 임의로 조작반(40)에서 부가기능을 설정할 수 없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가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때에는 제어반(10)의 롬 프로그램을 변경하여야 하며, 이때, 변경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NW) 및 통신포트(47)를 통해 카스테이션용 중앙처리장치(41)에 전달되고, 그 중앙처리장치(41)는 이를 근거로 램(43)의 데이터를 변경하게 되어 외부결선을 변경하지 않고도 부가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반에서 조작반에 부가기능 변경항목을 지원하고, 부가기능 항목수에 관계없이 고정설치된 3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부가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반 부가기능 스위치부의 표준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어반의 롬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부가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결선의 변경없이 부가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용이하게 부가기능의 증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부가기능이 셋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제어반의 제어하에 기 설정된 형식으로 자동 셋팅하거나 부가기능 변경요구가 발생되는지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부가항목의 변경요구시 변경가능한 항목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입력에 따라 변경항목을 설정하여 램의 부가기능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정된 부가기능 데이터를 계속 보존하기 위해 베터리백업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부가항목의 변경요구 및 설정은 셋팅스위치, 스크롤스위치, 설정 스위치의 입력을 근거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KR1019960004524A 1996-02-24 1996-02-24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KR016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524A KR0167201B1 (ko) 1996-02-24 1996-02-24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524A KR0167201B1 (ko) 1996-02-24 1996-02-24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755A KR970061755A (ko) 1997-09-12
KR0167201B1 true KR0167201B1 (ko) 1998-12-01

Family

ID=1945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524A KR0167201B1 (ko) 1996-02-24 1996-02-24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99B1 (ko) * 1996-08-17 2004-10-06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신호전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755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2228A2 (en) Portable test and communication device
US7404469B2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KR0167201B1 (ko)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부가기능 변경방법
JPH0427220A (ja) 車両配車装置
JPH07319783A (ja) プロトコル変換器
KR19980702769A (ko)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US6081201A (en) Selective call receiving apparatus with multi-call-alarming units
JP3395667B2 (ja) 負荷制御データ設定装置
KR0141248B1 (ko) 단말기의 호대기 서비스 등록 및 해제방법
JP2507354B2 (ja) 移動無線装置における自動呼出方式
JP2692066B2 (ja) 通信端末装置
JPH06204931A (ja) 基地局、移動局間の無線通信システム
JPH08249277A (ja) 入出力装置共用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799699B2 (ja) 携帯型データ端末装置
KR200324720Y1 (ko) 단문 무선데이터 전송장치
JPH10116151A (ja) コードレスマウスによるコンピュータ装置制御方 式
KR19980702770A (ko)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JP2912283B2 (ja) 列車無線システム
KR200221651Y1 (ko) 화면표시기능을 갖는 주파수공용통신용 차량정보단말기
JPH0329429A (ja) 選択呼出し受信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600538Y2 (ja) 携帯用無線通信機
JPS5981732A (ja) デ−タ処理装置
JPH09218985A (ja) Pos端末装置
KR2001006489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GB2325065A (en) Simplified invocation of user-selectable functions in a mobi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