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770A -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 Google Patents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770A
KR19980702770A KR1019970706177A KR19970706177A KR19980702770A KR 19980702770 A KR19980702770 A KR 19980702770A KR 1019970706177 A KR1019970706177 A KR 1019970706177A KR 19970706177 A KR19970706177 A KR 19970706177A KR 19980702770 A KR19980702770 A KR 1998070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dispatch
communication
gro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인-도르아이도
Original Assignee
로버트 벡슬러
지오테크커뮤니케이션,인코포레이티드
죠지 칼하운
파워스펙트럼테크날러쥐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벡슬러, 지오테크커뮤니케이션,인코포레이티드, 죠지 칼하운, 파워스펙트럼테크날러쥐엘티디. filed Critical 로버트 벡슬러
Publication of KR1998070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에 있어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수단(114), 통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수단(112), 입/출력 터미널(17), 상기 입/출력 터미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 및 전송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 수단(128)으로 구성되는 무선 유니트(12); 및
무선 유니트 입/출력 터미널(17)에 접속되는 입/출력 터미널(18), 가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24) 정보를 등록하고 가입자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 수단(62),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및 키패드 수단을 제어하고, 무선 유니트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 수단(50)으로 구성되는 가입자 터미널(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무선 통신, 특히 특수 이동 무선(SMR)으로써 언급되는 무선 통신 부분에 있어서의 현재의 노력은, 대개 가입자로써 알려진 SMR 사용자에게 더 큰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현재의 SMR 장비의 문제에 의해 제한되어 왔다. 심각한 제한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장비의 영역은, 가입자 유니트로써 알려진, 가입자가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유니트이다.
상기 제한은 가입자 유니트의 성능을 방해하는 문제의 전자 구조 디자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한의 결과로써, 가입자 유니트는,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문제 구조의 결과로써, 가입자 유니트는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수신된 통신 신호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주변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된다.
현재의 가입자 유니트는 또한 이들이 이들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에 있어서 제한을 받게 되고, 이로써 통신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많은 제한은, 업무가 사무실 환경의 바깥에서 일하는 현장 고용인을 가지고 있어 비즈니스가 한번에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고용인과 통신하며 이루어지는, 디스패치 통신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하나의 문제는 그들의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장 고용인이 그들의 (가입자 유니트가 장착된) 차량을 떠나야 하고 이로써 그들의 무선 터미널 상의 디스패치된 정보를 언제나 들을 수 없다는 것이다. 만일 메시지가 디스패치될 때에 현장 근로자가 차량을 떠나게 되면, 고용인은 디스패치된 메시지를 놓치게 된다. 메시지의 중요성에 따라, 이는 불행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는 현재 가입자 유니트의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문제이며, 다른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및 다른 제한의 관점에서, 디스패치된 통신을 더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입자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1은 기지국, 디스패치 스테이션 및 다수의 가입자 유니트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2는 통신을 하기 위하여 기지국, 디스패치 스테이션 및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사용되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무선 장치 및 가입자 터미널을 갖는, 가입자 유니트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4는 가입자 터미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5는 가입자 터미널의 회로도.
도6은 무선 장치의 회로도.
도7은 디스패치 모드 동안 가입자 터미널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디스패치 그룹 정보의 가입자 유니트로의 분배를 도시한 도면.
도9 및 도10은 디스패치의 수신시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취해지는 단계 및 디스패치의 히스토리(history)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취해지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마지막 디스패치 기능을 수행시키는 데 있어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취해지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우선순위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해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취해지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스캔 방해 제거를 수행하기 위해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취해지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을 수행하기 위해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취해지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라, 새로운 가입자 유니트 구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동 가입자 유니트는 두 개의 장비, 무선 유니트(radio unit)와 가입자 터미널(subscriber termina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 터미널이 자동차의 승객실에 설치되는 반면, 무선 유니트는 자동차의 트렁크내에 설치된다.
무선 유니트는 수신기, 송신기, 입/출력 터미널, 및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유니트 프로세서 수단은 무선 유니트 입/출력 터미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수신 및 송신 신호를 처리한다. 가입자 터미널은 무선 유니트 입/출력 터미널과의 통신을 위한 입/출력 터미널, 가입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이를 통해 가입자가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키보드 및 프로세서 수단을 포함한다. 가입자 터미널 프로세서 수단은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를 제어한다. 이는 또한 무선 유니트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 정보를 처리한다. 이는 또한 가입자 유니트 내에 제2 입/출력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에 바람직한데, 이는 가입자 유니트 내의 프로세서 수단에 의해서 제어된다. 자기 스와이프(swipe) 장치, 프린터, 바 코드 스캐너 및 직렬 키보드와 같은 주변 장치들은 상기 제2 입/출력 장치에 접속되어 가입자 유니트 프로세서 수단의 제어하에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디스패치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고 가입자 유니트에서 처리된다. 가입자 유니트는 모든 디스패치 활동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가입자 유니트의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메모리가 억세스되고 디스패치 통신에 관계된 정보의 목록이 각 디스패치 통신에 대해 발생된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디스패치 정보는 가입자 유니트의 사용자가 디스패치 통신을 발생시키는 실체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실체를 호출하기 위하여, 이용자는 목록을 위 아래 방향으로 커서를 움직여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적당한 키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된 디스패치 활동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가입자 유니트는 선택된 디스패치 통신의 소스에 대해 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패치 스캐닝 기능의 부분으로써, 가입자 유니트는 가입자가 할당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룹의 목록을 저장하고, 디스패치 통신이 수신될 때, 가입자 유니트는 디스패치가 지시하는 그룹을 판단하고 그 그룹의 가입자에게 알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디스패치 스캐닝 기능은 우선순위 스캐닝, 스캔 방해 제거 및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변경된다.
우선순위 스캐닝에서, 우선순위 레벨은 각 그룹에 할당되고 할당된 그룹의 목록내의 가입자 유니트에 의해 저장된다. 디스패치 통신이 수신될 때 마다, 가입자 유니트는 디스패치가 지시하는 그룹을 판단하고 이어서 할당된 그룹의 테이블 및 그룹 우선순위 레벨을 억세스한다. 만일, 가입자 그룹 중의 하나를 지시하는 새로운 디스패치 통신이 수신될 때에 현재 처리되고 있는 디스패치 통신이 있다면, 가입자 유니트는 현존하는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과 새로이 수신된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을 비교하고 상위 우선순위 레벨을 가지는 디스패치 통신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스캔 방해 제거에 있어서, 가입자 유니트가 할당된 그룹에 과다하고 불필요한 디스패치 통신량이 존재하는 동안, 가입자는 그 그룹을 선택한 다음 이를 가입자 유니트가 스캐닝 기능의 부분으로써 유지하는 목록으로부터 제거한다. 그러면, 가입자 유니트는 그 그룹에 디스패치를 위한 스캔을 하지 않게 되고, 이로써 방해 통신량을 없애게 된다.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에 있어서, 가입자는 가입자 유니트가 자신이 할당된 그룹의 목록에 대한 스캐닝을 그만둔 다음, 선택된 시간 주기가 지난 후, 자동적으로 스캐닝 과정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가입자 유니트를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특정하게 도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되기는 하지만,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부가 및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은 기지국(2), 디스패치 스테이션(4) 및 다수의 가입자 유니트(6)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은,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각 섹터에서 주파수 설정이 재사용되는, 섹터 8 내지 10으로 분할된 주파수 호핑(hopping) 시스템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TDMA 시스템, CDMA 시스템 및 아날로그 시스템까지도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기지국(2)은 다수의 가입자 유니트(6)과 디스패치 스테이션(4)을 위한 다중 억세스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통신 설비를 포함한다. 기지국(2)은 또한 공중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을 통해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설비를 포함한다.
디스패치 스테이션(4)은, 통상적으로 포인트-투-멀티포인트(point-to -multipoint) 통신으로 언급되는, 디스패치 스테이션(4)으로부터 가입자 유니트(6)중의 하나에 통신을 디스패치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를 포함한다. 또한 개별 가입자 유니트와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설비도 포함한다. 가입자 유니트(6)는 일반적으로 통신 신호를 송신, 수신 및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자동차용 또는 휴대용 설비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중망 인터페이스로 언급되는 기지국(2), 디스패치 스테이션(4) 및 가입자 유니트(6) 사이의 통신 연결이 도시되었다. 도 2에서의 통신 채널은 다수의 교통 채널(TCH), 최소한 하나의 제어 채널(CCH) 및 최소한 하나의 억세스 채널(ACH)를 포함한다. 도 1의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모든 이들 채널은 섹터 8 내지 10의 각각에 존재한다. TCH는 업링크(uplink)(가입자 유니트(6)로부터 기지국(2)으로의 송신)와 다운링크(downlink)(기지국(2)로부터 가입자 유니트(6)로의 송신) 내에서 동작한다. 그러나, CCH와 ACH는 한 방향에서만 동작한다, 즉 CCH는 다운링크에서, ACH는 업링크에서만 동작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10개의 25kHz 주파수 채널이 업링크를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10개의 25kHz 주파수 채널이 다운링크를 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섹터 8 내지 10에 있어서, 9개의 주파수 채널이 9 개의 업링크 TCH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9개의 주파수 채널이 9개의 다운링크 TCH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섹터에 있어서, 나머지 주파수 채널은 하나의 ACH와 하나의 C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음성 정보, 데이터 정보, 및 기지국(2)과 가입자 유니트(6) 사이의 대역내의 오버헤드(overhead) 제어 신호는, 주파수 호핑 및 시간 호핑 통신 방법론을 양호하게 사용하여, TCH 위에서 송신되는데, 이때 어떠한 통신 방법 및 어떠한 공중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2)으로부터 가입자 유니트(6)로의 타이밍 및 제어 신호는 CCH상에서 송신된다. 가입자 유니트(6)로부터 기지국(2)으로의 상태 및 동작 요구는 ACH상에서 송신된다. 도2의 공중망 인터페이스는 또한 기지국(2)과 디스패치 스테이션(4) 사이의 통신에 이용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가입자 유니트(6)가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이 설명되었고, 지금부터는 가입자 유니트(6)가 설명될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입자 유니트(6)는 두 개의 설비, 즉 무선 유니트(12)와 가입자 터미널(14)로 분할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유니트(12)는, 가입자 터미널(14)의 제어하에 한 쌍의 안테나(15, 16)를 통해, 기지국(2), 디스패치 스테이션(4) 또는 다른 가입자 유니트(6)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이들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유니트(12)는, 다음의 설명 및 도면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필수적인 통신 과정을 수행하여 송신 및 수신하는 데에 필요한 처리 파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 유니트(12)는, 가령 음성 코딩, 에러 교정 엔코딩, 인터리빙, 비테르비 디코딩, 주파수 호핑, 시간 호핑, 자동 게인 제어, 자동 주파수 변조, 다이버시티 수신 처리 및 변조와 같이, 송신 및 수신 신호 상에서의 필요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 유니트(12)는 또한 이들 통신 타입에 관련된 다양한 속성(attribute) 뿐 만 아니라 통신이 음성 통신인지, 데이터 통신 또는 디스패치 통신인지를 판단하고,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의 정보를 이용한다. 이러한 목록은 통신 시스템에 따라 변하지만, 본 발명의 구조는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가 무선 유니트(12)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무선 유니트(12)는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수신 및 송신되는 통신 신호를 처리한다. 이 정보는 인터페이스(17, 18)를 통해 가입자 터미널(14)에 제공된다. 가입자 유니트(14)는 가입자에게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무선 유니트(12)로부터 통신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가입자 유니트(14)는 또한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고, 또한 무선 유니트(12)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 정보를 처리한다.
도3의 구조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이며, 여기서 가입자 터미널(14)이 클라이언트이고 무선 유니트(12)가 클라이언트 가입자 터미널(14)의 통신 요구를 실행하는 서버이다.
도3의 구조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시스템(1)의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기능이 무선 유니트(12)에 의해서 수행되는 반면, 통신 서비스(음성 송신, 음성 수신, 디스패치, 데이터 전송 등)와 가입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은 가입자 터미널(14)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렇게 되면, 가입자 유니트가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필요로 할 때, 가입자 터미널(14)는 무선 유니트(12)를 통한 해당 서비스로의 억세스를 요구한다.
도4 내지 도6은 가입자 유니트(6)의 다양한 면을 도시한다. 도4에서는, 양호하게는 차량의 승객실에 가입자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가입자 터미널(14)의 외부도가 도시된다. 가입자 터미널(14)은 디스플레이(24), 키패드(26) 및 핸드세트(28)를 포함한다. 키패드(26)는, 대개 소프트 키로 일컬어지는 다섯 개의 키(30 내지 34)를 포함하며, 이들의 기능은 디스플레이(24)의 하부 상에 나타나는 특성에 의해 한정된다. 키패드(26)는 또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다수의 키(36 내지 43)를 포함한다. 각각의 키(36 내지 41)는 키에 관련된 기능이 인에이블될 때 밝게 켜지는 LED 디스플레이(44)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핸드세트(28)는 통신 세션을 시작하고 끝내는 데에 필요한 수 키패드 및 키를 포함한다. 핸드세트(28)는 또한 많은 무선 유니트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푸시-투-토크(push to talk) 버튼을 포함한다.
도5 내지 도6에서, 가입자 터미널(14) 및 무선 유니트(12)의 프로세싱 회로가 각각 도시된다. 도5를 참조하면, 가입자 터미널(14)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 발진기 회로(52), 전원 회로(54), 직렬 인터페이스 회로(56),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58), 메모리 회로(60), 키보드 인터페이스 회로(62), 입/출력 디코더 회로(64), LED 구동기(66) 및 인터페이스 회로(68)를 포함한다. 가입자 터미널(14)은 또한 실시간 클록(70)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에에서는, 기지국(2)이 실시간 클록 정보를 전송되는 동안에 가입자 유니트(6) 각각에 분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기지국(2)에 의해 전송된 신호로부터 실시간 클록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메모리 회로(60)에 저장한다. 이 정보는 실시간 클록 정보를 가지는 가입자 터미널(14)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진기 회로(52)에 의해 발생된 타이밍 정보와 결합된다. 만일 실시간 클록 정보가 분배된 기지국(2)이 사용되면, 실시간 클록(70)과 그의 백업 전원 소스인, 전원 회로(54)내의 배터리(72) 및 배터리 처리 회로(72, 74)가 제거될 수 있다.
메모리 회로(60)는 디코더 회로(76), 어드레스 래치(78), 부트(boot) ROM(80), 플래쉬 메모리(82) 및 스태틱 RAM(84)을 포함한다. 부트 ROM(80)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와 가입자 터미널(14)의 회로를 초기화하는데 필요한 코드와 함께 가입자 터미널(14)을 위한 장래에 다운로드되는 소프트웨어 버전에 필요한 코드를 저장한다. 플래쉬 메모리(82)는 비휘발성의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이고, 이 메모리는 전원이 차단된 중에도 유지되어야만 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태틱 RAM(84)은 필요한 동작 메모리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58)는 LCD 디스플레이(24), 전원(86), LCD 제어기(88), 메모리 회로(90) 및 어드레스 제어기(9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58)는 입/출력 디코더(64)를 통해 마이크로 제어기(50)에 의해 억세스된다. 디스플레이될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부터 메모리 회로(90)에 다운로드된다. 디스플레이(24)상의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LCD 제어기(88)에 의해 종래의 방법으로 제어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50)은 키(30 내지 34, 36 내지 43)의 선택과 함께 핸드세트(handset)(28)상의 키의 선택에 응답한다. 키가 선택될 때, 선택 신호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회로(62)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진행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또한 LED 구동 회로(66)를 통해 LED(44)를 제어한다. RS-232 인터페이스(94)는 가입자 터미널(14)과, 노트북 컴퓨터, 자기 스트립을 판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기 스와이프(Swipe) 장치, 프린터, 바코드 판독기 및 직렬 키보드와 같은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 RS-485 인터페이스(96)와 인터페이스 회로(68)는 가입자 터미널(14)과 무선 유니트(12)(도 6에 도시)의 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
도 6에는, 무선 유니트(12)의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유니트(12)는 안테나(102, 104), 무선 보드(106), 기본 대역 유니트(108), 서비스 보드(110), 및 GPS 인터페이스(111)를 포함한다. 안테나(102, 104)를 제외한, 도 6에 도시된 무선 유니트 회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자동차 트렁크 내부에 가입자 터미널(14)과는 분리되어 설치된다. 안테나(102, 104)는 자동차 외부에 양호하게 설치된다.
무선 보드(106)는 송신기 및 수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특히, 무선 보드는 송신기(112), 두 개의 수신기 채널(114,116), 듀플렉서(118), 주파수 합성기(120), 이득 및 주파수 제어 회로(122), 및 송신기 이득 제어 회로(12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보드(106)의 회로는 주파수 호핑을 통한 통신을 제공한다, 즉 통신 신호는 신호를 수 개의 다른 주파수 채널 위에 호핑함으로써 송신되고 수신된다.
무선 보드(106)는 기본 대역 유니트(108)와 인터페이스된다. 기본 대역 유니트(108)는 모뎀(126), 제어기(128), 음성 처리 패키지(130) 및 가입자 터미널(14)의 회로에 대한 인터페이스 회로(132)를 포함한다. 기본 대역 유니트(108)는 가입자 터미널(14)로부터 기지국(2)에 송신될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을 위해 이 신호를 무선 보드(106) 내의 송신기(112)에 전송한다. 기본 대역 유니트(108)는 또한 무선 보드(106)가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이들을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가입자 터미널(14)에 전송한다.
가입자 터미널(14)은 몇 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디스패치 모드이다. 가입자가 가입자 터미널(14) 상의 DISP KEY 41을 선택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가입자 터미널(14)로 하여금 디스패치 모드에 들어가게 하며, 이로써 가입자가 디스플레이(24) 상에서 디스패치 통신에 관련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디스패치 모드에 들어가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바람직하게는 도7에 나타낸 스크린이 디스플레이(24) 상에 디스플레되게 한다.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곱 개의 연속적으로 숫자가 매겨진 라인을 가진다. 디스플레이(24)의 2번째 라인은, 가입자 터미널(14)이 디스패치 동작 모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단어 DISPATCH를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가입자 유니트(6)는 가입자 그룹내로, 바람직하다면 가입자가 바라는 그룹내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패치 스테이션(4)에 응답하는 모든 가입자는 그들의 작업 기능에 따라 그룹핑(grouping)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만일 디스패처가 판매, 서비스 및 배달 직원과 통신을 하게 되면, 디스패처는 모든 판매 직원을 제1 그룹에, 모든 서비스 직원을 제2 그룹에, 모든 배달 직원을 제3 그룹에 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판매 직원에게만 관련된 통화는 제1 그룹에만 보내어지고 나머지도 마찬가지이다.
도8을 참조하면, 가입자 유니트(6)로의 그룹 및 서브그룹 정보의 분배 과정을 도시한다. 단계(200)에서, 디스패처에 의해서 요구되는 그룹핑, 바람직하다면, 서브 그룹핑이 TCH를 통해 디스패치 스테이션(4)에서 기지국(2)으로 송신된다. 기지국(2)은 그들이 유지하고 있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다음, 단계(202)에서 CCH를 통해 모든 가입자 유니트(6)에 그룹 및 서브그룹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2)에 의해 가입자 유니트(6)로 전송된 그룹 및 서브그룹은 바람직하게는 단계(204)에서 제어기(128) 회로의 메모리 내 무선 유니트(12)에 저장된다. 한 가입자가 다수 그룹 또는 다수 서브그룹에 할당될 수 있는데, 각 경우의 할당된 그룹은 제어기(128)에 저장된다. 디스패처(4)가 도8의 방법에 의해 언제라도 할당된 그룹 및 서브그룹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룹핑 정보가 송신될 때 마다, 제어기(128)는 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하자마자 메모리에 새로운 그룹핑 및 하위 그룹핑을 저장한다. 가입자가 하나 이상의 그룹에 포함되면, 가입자는 가입자 터미널(14) 및 무선 유니트(12)를 스캔 모드로 들어가게 한다. 무선 유니트(12) 내의 제어기(128)는 가입자가 할당된 그룹의 목록을 저장한다. 스캔 모드일 때, 제어기(128)는 디스패치 통신이 지시하는 그룹과 제어기(128) 목록 내의 그룹을 비교한다. 만일 둘 사이의 매치가 이루어지면, 제어기는 그 디스패치의 수용을 허락한다. 만일 지시하는 디스패치의 그룹이 제어기(128) 목록 내의 그룹이 아니면, 제어기(128)는 그 디스패치의 수용을 허락하지 않는다.
디스패치 전송이 행해지고 있는 디스패치 그룹 및 서브그룹에 관한 정보가 도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24)의 세 번째 및 6번째 라인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7에서, 세 번째 라인 상의 12a(또는 서브그룹 정보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지12)는 가입자 유니트(16)의 액티브 그룹 및 서브그룹을 나타낸다. 12는 그룹을 나타내고 a는 서브그룹을 나타낸다. 액티브 그룹은 가입자가 디스패치 모드에서 듣고 전송할 수 있는 그룹이다. 여섯 번째 라인의, 라벨 LAST 바로 위의 3c는 디스패치 통화가 행해지는 마지막 그룹 및 서브그룹을 나타낸다. 여섯 번째 라인의, PICK 바로 위의 5a는 뒤를 잇는 디스패치 통화가 지시하는 그룹 및 서브그룹을 나타낸다.
도7의 디스플레이의 일곱 번째 라인 상에 디스플레이 된 목록들은 소프트 키(30 내지 34)의 기능을 한정한다. 디스패치 모드에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 키는 다음과 같이 한정된다. 제1 소프트 키(SCAN으로 라벨이 붙여짐)(30)는 이전에 설명한 스캐닝 기능을 실행시키고, 제2 소프트 키(PICK로 라벨이 붙여짐((31)는, 선택될 때, 가입자가 디스플레이의 세 번째 라인 상에 디스플레이 된 액티브 그룹을 PICK 라벨 바로 위에 디스플레이 된 그룹(도7에서는 5a)으로 바꿀 수 있게 하며, 제3 소프트 키(1 TO 1로 라벨이 붙여짐)(32)는 본 발명에는 관련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고, 제4 소프트 키(HIST로 라벨이 붙여짐)(33)는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른 디스패치 통신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제5 소프트 키(LAST로 라벨이 붙여짐)(34)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다른 디스패치 통신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HIST 및 LAST 소프트 키가 선택될 때에 수행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전에, 가입자 터미널(14) 및 무선 유니트(12)에 의해 수행되는 몇몇 백그라운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통신이 수신되는 각각의 시간에 무선 유니트(12) 및 가입자 터미널(14)에 의해 취해지는 일부 단계를 도시한다. 단계(300)에서, 무선 터미널(12)은 전송이 디스패치 통신인지를 판단한다. 무선 터미널(12)이 단계(300)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기지국(2)은 통신이 디스패치 통신일 때 미리규정한 순서에 매치하는 CCH상의 전송된 통신 신호에 제어 비트를 추가한다. 제어기(128)는 기지국(2)에 의해서 통신 신호에 추가된 제어 비트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무선 유니트(12)에 의해 수신된 각 통신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기(128)는 수신된 신호가 디스패치 통신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들 제어 비트와 제어기(128)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규정한 순서를 비교한다.
만일 통신이 디스패치 통신이 아니면, 제어기(128)는 수신되는 통신 신호상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9의 처리 루틴을 빠져나간다. 반면에, 만일 전송이 디스패치 통신이라면, 단계(302)에서, 제어기(128)는 디스패치 통신이 지시하는 그룹 및 서브그룹(또는 그룹들 또는 서브그룹들)을 판단하는 통신 신호내의 제어 정보를 억세스한다. 이후, 단계(304)에서, 제어기(128)는 어떤 그룹 및/또는 서브그룹 가입자가 억세스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억세스하고, 이를 디스패치 통신내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본질적으로 제어기(128)는, 기지국(2)이 가입자가 그룹에 포함되는지를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가입자의 디스패치로의 억세스가 허락되지 않는다면, 제어기(128)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 과정을 빠져나간다. 만일 가입자의 디스패치 통신으로의 억세스가 허락된다면, 제어기(128)는 스캔 기능이 인에이블한지, 또는 그룹이 액티브한 그룹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를 한다. 만일 스캔 기능이 인에이블하거나 그룹이 액티브한 그룹이면, 제어기(128)는 단계(306)에서 디스패치 통신 신호가 무선 유니트(12)로부터 가입자 터미널(14)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 과정을 빠져나간다.
단계(308)에서, 가입자 터미널(1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가입자가 할당된 그룹 및/또는 서브그룹을 지시하는 가입자 터미널(14)에 의해 수신되는 이전의 디스패치 통신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태틱 RAM(84)을 스캔한다. 저장된 정보는 디스패치 통신의 시간 뿐 아니라 디스패치 통신의 그룹 및 서브그룹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미리규정한 시간 주기,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분 범위 내의 현재의 디스패치 통신과 같이 동일 그룹에 지시된 디스패치 통신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마이크로프로세서(50)가 마지막 분내의 그룹에 지시된 디스패치 통신이 있었음으로 판단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이 루틴을 빠져나간다. 그러나, 만일 마지막 분에 이 그룹으로 송신된 어떠한 디스패치도 없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디스패치 통신을 처리하기 위하여 단계(310)를 계속한다. 단계(308)의 목적은 그룹내에서 급속하게 반복되는 디스패치 통신이 가입자에게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되어 이에 따라 히스토리 기능을 뒤업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단계(310)에서, 디스패치 통신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의해 타임 택(time tag)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기지국(10)에 의해 분배된 실시간 클록(70)을 억세스함으로써 또는 실시간 클록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패치를 타임 택한다. 타임 택 후, 단계(312)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스태틱 RAM(84)내에 디스패치 통신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 저장된 정보는 디스패치 통신에 관련된 그룹, 서브그룹 및 타임 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가입자는 디스패치 동작 모드에서 HIST 라벨이 붙여진 네 번째 소프트 키(33)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패치 통신에 관한 저장된 정보를 억세스할 수 있다. HIST 키가 선택되고 가입자 터미널(14)이 디스패치 동작 모드에 있을 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바람직하게는 가입자 터미널(14)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디스패치 통신에 대한 또는 디스패치 통신에 관련된 정보의 히스토리가 가입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HIST 소프트 키(33)가 선택이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도10에 도시한 스크린이 디스플레이(24)에 나타나도록 한다. 도8의 디스플레이의 두 번째 라인, DISP: CALL HISTORY는 가입자 터미널(14)이 히스토리 모드에 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 라인(4 내지 6) 상에는, 마지막 세 개의 디스패치 통신에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각 디스패치 통신을 보낸 그룹 뿐 아니라 그 디스패치 통신이 수신된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서브그룹이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가 디스플레이(24)상에 적합하지 않은 정보의 목록으로부터 부가적인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가입자는 커서 업 키(42) 및 커서 다운 키(43)를 사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마지막 10 개의 디스패치 통신을 억세스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스태틱 램(84)을 억세스하고, 관련된 그룹 및 타임 택을 포함하는 지나간 디스패치 통신에 관한 저장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58)를 통해 디스플레이(24)에 보냄으로써,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킨다. 도10을 참조하면, 가입자가 가입자 유니트(16)에 의해 수신된 마지막 디스패치 통신이 다양한 시간에 다양한 그룹으로 보내지는 지를 판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예에서, 디스플레이는 디스패치 통신이 오전 11:14에 제3 그룹으로, 오전 10:58에 제9 그룹으로, 오전 9:12에 판매 그룹으로 보내진 가입자를 나타낸다.
도10의 네 번째 라인 상의 화살표는 무선 터미널(22)의 사용자가 키(42, 43)를 각각 이용하여 저장된 디스패치 정보의 목록을 스크롤 업 및 다운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입자 터미널(14)은 또한 가입자가 디스패치 통신의 어떠한 소스와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원하는 디스패치에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라인을 스크롤한 다음, 무선 터미널의 핸드세트(28)에 있는, 가입자 유니트(16) 상의 푸쉬-투-토크(PTT) 버튼을 누름으로써 달성된다. PTT 버튼의 선택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는 곧,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송이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메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한다. PTT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자마자,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디스패치 통신 목록 중 어떤 것을 가입자가 선택했는지를 알기 위하여 메모리(84)를 억세스함으로써 가입자가 어떤 그룹과 통신하고 싶어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 정보는 제어기(128)가 통신 신호를 가입자가 선택한 디스패치 그룹을 지시하도록 포맷시키는 무선 유니트(12)로 보내진다. 그러면, 통신 신호는 송신기(112)에 의해 송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가입자는 -디스패치 동작 모드 동안 LAST 라벨이 붙여진 다섯 번째 소프트 키(34)를 선택함으로써 LAST 소프트 키 바로 위에 디스플레이 되는 가입자 터미널(14) 상에서 바로 이전에 액티브했던 마지막 그룹까지- 가입자 유니트의 액티브 그룹을 쉽게 바꿀 수 있다. 그러면, 마지막 그룹이 액티브 그룹이 된다. 예로써, 도7에서 12a가 액티브 그룹이고 3c가 마지막 그룹이다. 만일 가입자가 LAST 소프트키를 선택한다면, 3c가 액티브 그룹이 되고 12a가 마지막 그룹이 된다.
도11을 참조하면, 이러한 기능은 가입자 터미널(1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의해 달성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메모리(84)에 액티브 그룹 및 마지막 그룹을 저장한다. 단계(350)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LAST 소프트키의 선택을 감지한 다음, 단계(352)에서, 메모리(84)에 저장된 액티브 그룹 및 마지막 액티브 그룹이 토글되도록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또한 디스플레이(24) 상에 나타나는 그룹이 토글되도록 한다. 이는 가입자가 다른 그룹으로 부터의 디스패치 통신에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11을 참조하면, 단계(354) 내지 단계(364)는 마지막 디스패치 기능을 실행시킴에 있어 가입자 터미널(14)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단계를 도시한다. 단계(35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언제 디스패치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디스패치가 수신되면, 단계(356)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PICK 소프트키가 선택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만일 PICK가 선택되지 않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다음의 디스패치가 지시하는 그룹이 마지막 그룹이 되게 하지만, 액티브 그룹은 변하지 않는다. 예로써, 만일 액티브 그룹이 9라고 하면, 마지막 그룹은 6이고 다음의 디스패치가 지시하는 그룹이 3이면, 마지막 그룹은 3으로 바뀌지만, PICK 소프트키가 선택되지 않는 다면 액티브 그룹은 9로 남는다.
만일 PICK 소프트키가 선택되면, 단계(360)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액티브 그룹을 다음의 디스패치가 지시하는 그룹으로 바꾸고 마지막 그룹을 액티브 그룹으로 바꾼다. 예로써, 만일 액티브 그룹이 9이면, 마지막 그룹은 6이고 다음의 디스패치가 지시하는 그룹이 3이면, 마지막 그룹은 9로 바뀌며 액티브 그룹은 3으로 바뀐다.
만일 새로운 그룹이 핸드세트(28) 상의 키를 이용하여 가입자에 의해 손으로 선택된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가 단계(362)에서 이 선택을 감지한다. 그런 다음, 단계(36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액티브 그룹을 손으로 선택된 그룹으로 바뀌게 하고 마지막 그룹을 이전의 액티브 그룹으로 변하게 한다. 예로써, 만일 액티브 그룹이 9이고 마지막 그룹이 6이고 손으로 선택된 그룹이 4이면, 액티브 그룹은 4가 되고 마지막 그룹은 9가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364)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액티브 그룹을 손으로 선택한 그룹으로 바꾸기는 하지만 마지막 그룹을 바꾸지는 않는다. 상기 예에서, 액티브 그룹은 다시 4로 바뀌지만 마지막 그룹은 6으로 남는다.
이제, 도12를 참조하면, 우선순위 스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무선 유니트(12) 내에서 제어기(128)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단계(400)에서, 제어기(128)는 수신된 신호가 디스패치 통신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디스패치 통신이 아니면, 제어기(128)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수신된 신호가 디스패치 통신이면, 제어기(128)는 통신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억세스함으로써 디스패치 통신이 지시하는 그룹을 판단한다.
그런 다음, 단계(404)에서, 제어기(128)는 가입자 유니트(6)가 디스패치 통신이 지시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그의 메모리를 억세스한다. 이 정보는 디스패치 스테이션(4)에 의하여 기지국(2)을 통해 가입자 터미널(14)로 전송된 것임을 기억하라. 만일 가입자 유니트(6)가 자신이 그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알게 되면, 제어기(128)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가입자 유니트가 자신이 그 그룹에 포함된 것을 알게 되면, 제어기(128)는 스캔 기능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를 한다. 만일, 스캔이 가능하면, 단계(406)에서,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신이 처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어떠한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신도 처리되지 않았으면, 제어기(128)는, 가령 현재의 디스패치 통신의 처리와 같은 다른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만일 우선순위 디스패치 통신이 처리되었으면, 제어기(128)는 가입자가 우선순위 스캔을 선택했는지를 판단한다.
가입자는 키패드(26) 상의 SETUP 버튼(39)을 선택함으로써 가입자 터미널(14)으로부터 우선순위 스캔을 선택한다. 셋업 루틴 동안, 가입자에게는 우선순위 스캔을 인에이블하게 하느냐 또는 디스에이블하게 하느냐의 선택이 주어질 것이다. 가입자 터미널(14)은 무선 유니트(12)의 메모리에 저장된 우선순위 스캔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무선 유니트(12)에 보낸다. 만일 우선순위 스캔이 가능하면, 셋업의 부분으로써, 가입자는 우선순위 레벨을 그가 할당된 각 그룹에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패처는 그룹에 우선순위 레벨을 할당할 수 있고 기지국(2)에 궁극적으로는 가입자 유니트(12)에 그룹 할당과 함께 상기 정보를 보낸다. 어떠한 경우라도, 제어기(128)는 그룹 할당을 저장함에 부가하여 그 메모리 내에 그룹의 우선순위 레벨을 저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이 및 로우의 두 개의 우선순위 레벨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그룹에 할당될 수 있는 다수의 우선순위 레벨이 있다.
도12를 다시 참조하면, 만일 우선순위 스캔이 디스에이블 하면, 단계(408) 이후에 제어기(128)는 다른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만일 우선순위 스캔이 가능하면, 단계(410)에서 제어기(128)는 처리되고 있는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 및 새롭게 수신된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을 억세스한다. 그런 다음, 제어기(128)는 이들 우선순위 레벨을 비교한다. 만일 새롭게 수신된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이 처리되고 있는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적거나 같으면, 제어기(128)는 다른 처리 단계를 계속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만일 새롭게 수신된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이 처리되고 있는 디스패치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크면, 제어기(128)는 단계(412)에서 새롭게 수신된 디스패치 통신이 가입자 터미널(14) 상에서 가입자에 의해 수신되도록 한다.
이제, 도13을 참조하면, 스캔 방해 제거 기능을 수행할 때 무선 유니트(12) 내에서 제어기(128)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단계(440)에서, 제어기(128)는 가입자가 인에이블한 스캔 방해 제거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기능은 셋업 모드에서 가입자에 의해서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가입자는 키패드(26) 상의 SETUP 버튼(39)을 선택함으로써 셋업 모드에 들어간다. 셋업 동안에, 가입자는 스캔 방해 기능을 인에이블하게 또는 디스에이블하게 할 것이다. 만일 스캔 방해 기능이 인에이블하면, 가입자는 또한 제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룹 및 시간의 길이를 등록하게 될 것이다.
도13을 다시 참조하면, 가입자 터미널(14)은 스캔 방해 제거 기능이 인에이블한지 디스에이블한 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무선 유니트(12)로 보내고, 만일 가능하면, 제거되는 그룹 또는 그룹들이 제거될 것이고 제거되는 시간 길이 만큼 수행된다. 제어기(128)는 이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442)에서, 어떤 그룹 또는 그룹들이 스캔 목록으로부터 제거되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444)에서, 제어기(128)는 그룹 또는 그룹들의 시간의 길이가 스캔 목록으로부터 제거되는 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계(446)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어기(128)는 가입자 터미널(14)이 가입자에게 가입자가 스캔 방해 제거 기능을 인에이블시키는 데에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패스워드를 요구하도록 조장한다. 만일 가입자가 부정확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제어기(128)는 다른 처리 단계를 진행한다. 만일 가입자가 정확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단계(448)에서 제어기(128)는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그룹 또는 그룹들이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시간 길이에 대한 스캔 목록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단계(450)에서, 제어기는, 선택된 시간 길이가 지난 후에, 제거된 그룹 또는 그룹들이 스캔 목록에 다시 추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128)는 일시적인 제거를 위해 선택된 각 그룹의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이 우선순위는, 가입자에 의해서 또는 디스패치 스테이션에서 디스패처에 의해서,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세트될 수 있다. 스캔 방해 제거 기능이 인에이블할 때, 제어기(128)는, 스캔 목록으로부터 어떠한 그룹도 제어하기 전에, 제거를 위해 선택된 각 그룹들의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만일 우선순위가 디스패치 스테이션(4)에서 디스패처에 의해 바람직하게 세트된 미리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그룹은 제어기(128)에 의해 스캔 목록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런 다음 제어기(128)는, 가입자에게 그 그룹이 우선순위 레벨때문에 제거되지 못했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가입자 터미널(14)에 보낸다.
도14를 참조하면,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입자 유니트(6)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도시한다. 단계(460)에서, 제어기(128)는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 기능이 인에이블한지 디스에이블한지를 판단한다. 이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SETUP 버튼(39)을 선택함으로써 들어갈 수 있는 셋업 모드에서 가입자에 의해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 된다. 셋업 모드 동안에, 만일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 기능이 인에이블하게 되면, 가입자는 또한 스캐닝 기능이 디스에이블 될 시간을 등록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제어기(128)가 스캐닝 기능이 디스에이블되어져야 하는 시간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기에 보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만일 가입자가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자 시도한다면, 가입자 터미널(14)은, 단계(464)에서 가입자에게 패스워드를 요구한다. 패스워드는 바람직하게는 기지국(2)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디스패치 스테이션으로부터 디스패처에 의해 세트된다. 가입자가 곧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만일 패스워드가 부정확하면, 가입자 터미널(14)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그 가입자에게 시간 스캔 디스에이블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패스워드가 정확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제어기(128)에 스캔 기능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보낸다.
단계(466)에서, 제어기(128)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할 때, 가입자가 속해있는 이전에 언급한 그룹 목록의 스캐닝을 중지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의해 보내진 일부 명령은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시간을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이다. 제어기(128)는 스캐닝 기능을 선택된 시간 길이 동안 디스에이블 되도로 유지한다. 그런 다음, 선택된 시간 주기가 지난 후, 제어기(128)는 스캐닝 기능이 다시 시작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된 모든 내용은 한정이 아닌 예증적인 것으로서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Claims (8)

  1. 가입자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에 있어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수단; 통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수단; 입/출력 터미널; 상기 입/출력 터미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 및 전송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 수단으로 구성되는 무선 유니트; 및
    무선 유니트 입/출력 터미널에 접속되는 입/출력 터미널; 가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정보를 등록하고 가입자 유니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및 키패드 수단을 제어하고, 무선 유니트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 수단으로 구성되는 가입자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유니트 처리기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가입자 터미널 내의 제2 입/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 수단은 직렬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 수단에 접속되고 그 동작은 상기 가입자 터미널 처리기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자기 스와이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 수단에 접속되고 그 동작은 상기 가입자 터미널 처리기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 수단에 접속되고 그 동작은 상기 가입자 터미널 처리기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바 코드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 처리기 수단에 접속되고 그 동작은 상기 가입자 처리기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직렬 키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터미널은 자동차의 트렁크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가입자 터미널은 자동차의 승객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입자 유니트.
KR1019970706177A 1995-03-07 1996-03-07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KR19980702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1292795A IL112927A (en) 1995-03-07 1995-03-07 An appointment unit for use in a multi-approach communication system
IL112,927 1995-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770A true KR19980702770A (ko) 1998-08-05

Family

ID=1106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177A KR19980702770A (ko) 1995-03-07 1996-03-07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13771A4 (ko)
KR (1) KR19980702770A (ko)
AU (1) AU5359996A (ko)
CA (1) CA2214781A1 (ko)
IL (1) IL112927A (ko)
WO (1) WO19960279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633A (ja) * 1982-09-14 1984-03-22 Toshiba Corp リピ−ト制御方式
JPS59123336A (ja) * 1982-12-28 1984-07-17 インタ−ナシヨ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ヨン 直列キ−ボ−ド・インタフエ−ス・システム
US5218188A (en) * 1989-10-24 1993-06-08 Norand Corporation Compact hand-held RF data terminal
US5249302A (en) * 1987-10-09 1993-09-28 Motorola, Inc. Mixed-mode transceiver system
JPH01143529A (ja) * 1987-11-30 1989-06-06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US5134717A (en) * 1988-11-26 1992-07-28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with repertory dialer
JP3104878B2 (ja) * 1990-01-31 2000-10-3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JP2810774B2 (ja) * 1990-08-10 1998-10-1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のデータ送信方式、及び携帯端末装置
DE4301816A1 (de) * 1993-01-23 1994-07-28 Sel Alcatel Ag Telekommunikations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JP2833397B2 (ja) * 1993-01-29 1998-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機
US5522089A (en) * 1993-05-07 1996-05-28 Cordata,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module adapted for initiating telephone communications through DTMF dia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3771A1 (en) 1997-12-29
IL112927A (en) 1998-07-15
AU5359996A (en) 1996-09-23
CA2214781A1 (en) 1996-09-12
WO1996027950A1 (en) 1996-09-12
EP0813771A4 (en) 1999-10-20
IL112927A0 (en) 199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6769A (en) Cellular telephone having simplified user interface for storing and retrieving telephone numbers
US5613213A (en) Determining and displaying available services for a communication unit
EP0855822B1 (en) Telephone system providing access to a telephone directory stored in a parent portable telephone unit for a plurality of child portable telephone units
EP0872136A1 (en) A subscriber unit having a sleep mode and a dormant mode
US5724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unit consisting of multiple devices
US54794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control module to a communication resource in a dispatch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2128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or messaging using voice channel signalling
EP1746775B1 (en) Conn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to a server
EP1052863B1 (en) Multimode mobile telephone apparatus
US5802455A (en) Selective call receiver using typeface-based source identification
KR19980702769A (ko)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US713666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ontrol channel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a scan list
KR19980702770A (ko) 다중 억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가입자 유니트
US20020019251A1 (en) Method of selectively storing display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KR1005306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 수행 방법
KR100369654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다이알링방법
EP0452644B1 (en) Controller for a signalling system
KR100241898B1 (ko) 전화기의 비밀번호 노출 방지 장치 및 방법
US60029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s in plural communication units
JPH05167530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JPH0247933A (ja) 無線送受信機の識別コード設定装置
JP2000081937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その機能情報項目検索方法
KR100260106B1 (ko) 통화 집단 호출용 쌍방향 무선 장치
GB2321828A (en) Changing a control channel in a cellular system
KR19990056213A (ko) 이동통신 전화기의 전화번호 송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