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464B1 -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464B1
KR0166464B1 KR1019960010723A KR19960010723A KR0166464B1 KR 0166464 B1 KR0166464 B1 KR 0166464B1 KR 1019960010723 A KR1019960010723 A KR 1019960010723A KR 19960010723 A KR19960010723 A KR 19960010723A KR 0166464 B1 KR0166464 B1 KR 0166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ating film
coating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240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모토
케니치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카와이 이사무
후지 주코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이 이사무, 후지 주코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카와이 이사무
Publication of KR96003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84Grinding tools, roller mills or disc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5Layered products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7/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29L2017/001Carriers of records containing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disc records for needle playback, cylinder records
    • B29L2017/003Records or discs
    • B29L2017/005CD''s, DV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4Bum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의 제거효율과 환경안전성 및 처리능력이 우수한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장수지부재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전단하는 돌출부전단장치(10)와 한쌍의 롤(23, 24)에 의해 압연하여 도막측이 수지부재측과 비교하여 짧게 단면형상을 갖도록 도장수지부재를 형상수정하는 단부처리장치(20), 회전주속도가 다른 도막측 롤(33, 44)과 수지소재측 롤(34, 43)에 의해 도장수지부재를 압연하여 수지부재와 도막 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을 부여해서 수지소재로부터 도막을 박리제거하는 상면 및 하면 도막박리장치(30, 40)를 연속적으로 배설한다.

Description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장수지제품의 재활용 방법의 개략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박리제거장치의 일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 전체설명도.
제3노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돌출부 전단장치의 지지롤의 요부사시도.
제4도는 제3도 같이 돌출부 전단장치의 지지롤의 요부사시도.
제5도(a)는 제4도의 I-I선 단면도.
(b)는 제4도의 II-II선 단면도.
(c)는 전단롤의 롤표면 전개도.
제6도는 돌출부 전단장치의 작동 설명도.
제7도는 돌출부 전단장치의 전단롤 부착물 제거기구의 일부절개설명도.
제8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반송장치의 요부설명도.
제9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선단처리장치의 요부사시도.
제10도는 선단처리장치의 도막측 롤 및 수지소재측 압연롤의 요부사시도.
제11도는 선단처리장치에 의하여 도장부재의 형상수정을 설명하는 도장부재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상면 도막박리장치의 요부사시도.
제13도는 상면 도막박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
제14도는 제12E의 IV-IV선 단면도.
제15도는 상면 도막박리장치의 롤 냉각수단의 개요설명도.
제16도는 롤 냉각수단의 개요설명도.
제17도는 롤 냉각수단의 개요설명도.
제18도는 도막측 롤에서 도막부착잔존률 및 도막박리률의 설명도.
제19도는 하면 도막박리장치의 요부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 전체설명도.
제21도는 돌출부전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전단롤의 요부정면도, (b)는 전단롤 부착물 제거기구의 설명정면도.
제22도는 종래 도막박리장치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막박리제거장치 20 : 단부처리장치
23 : 도막측압연롤 23a : 나선상 홈
24 : 수지소재측 롤 24a : 나선상 홈
30 : 상측 도막박리장치 33 : 도막측 롤
34 : 수지소재측 롤 37 : 스크레퍼(scrapper)
37a : 선단 37b : 벨트 콘베이어
40 : 하측 도막박리장치 43 : 수지소재측 롤
44 : 도막츨 롤 47 : 스크레퍼(scrapper),
47b : 벨트 콘베이어 50 : 반송장치
52 : 회전구동장치 56 : 롤쌍
56 : 롤 57 : 롤
60 : 반송장치 62 : 회전구동장치
65 : 롤쌍 66 : 롤
67 : 롤 70 : 반송장치
72 : 회전구동장치, 75 : 롤쌍
76 : 롤 77 : 롤
80 : 반송장치 Wa : 수지부재
Wb : 수지소재 Wc : 도막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컨데, 자동차등의 장식 및 완충용 범퍼, 사이드레이싱(SIDE LACING)등, 또는 콤팩트 디스크 롬(CD-ROM)등의 도장이 된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분리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최근 환경문제 내지는 자원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지제품의 리사이클화가 제기 되는바,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분야에 있어서도 범퍼, 사이드레이싱등의 수지제품을 제조할 때 야기되는 공정 내 불량품 및 폐차등으로부터 분리 회수된 수지제품의 재활용이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범퍼, 사이드레이싱등의 수지제품은 외관 및 품질 향상을 위해 제품의 표면에 도장을 칠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범퍼의 표피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수지소재상에 염계열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등의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되는 프라이머(PRIMER)층을 매개로 도막이 형성되어지는데, 이 도막은 예를 들어 아미노 폴리에스테르계, 아미노 아크릴계, 폴리에스텔 우레탄계,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등의 열경화성 수지로서, 경화 반응전의 이들 수지는 액상이지만 열을 가하는 도장공정에 의해 가교구조가 부여된다. 이것은 강하게 고착되는 치밀한 구조로, 도장이 이루어진 수지범퍼에는 뛰어난 내약품성, 내열성, 내마찰성, 내후성 및, 표면 광택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장이 이루어진 범퍼를 그대로 분쇄 및 펠레트화 해서 재사용하게 되면 수지제품의 소재를 구성하고 있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재료에 도막편이 혼입하게 되는데, 이 도막편이 혼재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재를 사용한 성형가공에는 도막편이 용융수지의 유동성을 저해하여 수지제품의 그을림, 웰드마크(Weld mark, 흔적), 기포등의 성형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또한 수지제품의 표면이 도드라져 도막편이 수지제품의 외관성을 떨어뜨려서 제품의 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도막편이 열경화성 수지로서, 기본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임에 따라 도막편과 기본수지 사이에는 거의 상호작용이 없어 미분산되지 않는 도막편이 재생수지의 일체화를 저해하여 재활용 수지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현저히 저하 시킴에 따라 재생 수지제품의 용도범위가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도장처리된 수지제품을 재활용한 경우에는 도막제거가 필요하게 되고, 도장된 수지제품으로부터 도막을 박리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일본 사단법인 자동차 기술회 편집발행의 1992년 자동차기술잡지 Vol.46, No.5, 제3∼9면에 개시된 것처럼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방법이 있다.
기계적 도막제거 방법은, 예를 들어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미립자 형상의 연마재를 수지제품상에 형성된 도막표면에 불어서 붙어있는 도막이나 부착물을 파괴하여 제거하는 소트블래스팅법(Shot brasting method)이나, 수지제품을 미분쇄한 후 압출기 내에 용융시켜 스크린메쉬(SCREEN MESH)에 의해 필터링하여, 용융하지 않고 혼재해 있는 도막편을 제거하는 스크린메쉬법이 있다.
상기 소트블라스팅법은 마찰 혹은 완충재등에 의해 도막을 제거함을 따라 독성 및 환경안전성이 뛰어난 반면, 다단계의 처리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도막제거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만곡부 내지는 요철부위의 처리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한편, 스크린메쉬법은 필터링에 의해 도막편을 제거함에 따라 독성, 환경안전성은 우수하지만 용융되지 않은 도막편에 의해 스크린메쉬의 눈목공간이 좁아져서 압출압력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압출량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저하됨과 더불어, 도막편의 제거효율도 저하되고, 스크린메쉬의 눈목에 의해 생산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스크린메쉬를 자주 교환해 주어야 한다.
물리적 도막제거 방법은 할로겐계용제 내지는 각종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도막과 소재사이의 경계에 용제침투 및 용제에 의한 도막의 팽창현상을 이용하여 도막을 제거하는 것으로, 환경안정성이 뒤떨어지고, 또 도막제거효율 내지는 처리능력이 비교적 낮으며, 더구나 소재의 질까지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화학적 도막제거방법은 예를 들어 유기염을 포함한 에탄올 수혼합용액에 박리수지의 가교점부근의 에테르결합(ether bonding)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도막을 화학적으로 분해제거 하는 유기염법으로서, 이 도막제거방법은 배수처리등의 2차처리 공정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처리효율이 낮아 효율적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지제품의 도막을 제거하는 장치는 일본 특허공개 평5-337,941호 공보에 개시된 바, 본 발명의 제22도의 정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표면의 박리장치에 제안되었는데, 이 박리장치는 한쌍의 반송롤(101)로 수지제품, 예컨데 사이드레이싱(102)dml 발포성의 합성수지를 회전체(103, 104) 사이로 이송하고, 이 사이드레이싱(102)의 반송속도(V)를 회전체(103) 및 (104)의 회전주속도 보다 늦게 설정함에 따라 이 사이드레이싱(102)의 도막(102a) 및 양면테이프(102b)에 대하여 절삭 및 높은 마찰력을 작용시켜 이 사이드레이싱(102)의 표면의 도막(102a) 및 양면테이프(102b)를 절삭·박리시키고, 또한 한쌍의 반송롤(101)에 의해서 이 사이드레이싱(102)을 외부로 반출하는 것이다.
이 장치는 회전하는 발포성의 합성수지로부터 회전체(103,104)에 수지제품을 접촉시킴에 따라 이들 회전체(103,104)가 취성파괴되어 분진을 발생함에 따라 작업환경이 악화되고, 또 절곡 내지는 만곡진 수지제품에는 적절하게 작용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발명이 해결해야할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막의 제거효율, 환경안정성 및 처리능력이 뛰어나고 고품질의 재활용 수지제품을 얻을 수 있는 도막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막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는 수지소재표면에 도막을 갖는 도막수지 부재의 수지소재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를 전단제거하는 돌출부 전단장치와,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롤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전단제거된 도장수지부재를 압연하여 도막측이 수지소재측과 비교하여 짧게되는 전단형상에 형상수정하는 단부처리장치, 대향 배설되어 서로 회전주속도가 다른 도막측 롤과 수지소재측 롤의 협동에 의해 상기 형상수정된 도장수지부재를 압연하여 수지소재와 도막과의 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을 부여해 수지소재로부터 도막을 박리제거하는 도막박리장치 및 각각의 장치에 배치되어 이들 각 장치사이에 있어 도막수지부재를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의 일실예를 자동차부품에서도 비교적 큰 물품인 도장이 칠하여진 수지범퍼를 회수해서 재활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에 적용된 도막수지제품의 재활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재활용방법의 개요를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수지범퍼의 제품 및 조립시에 발생하는 공정내에서 불량품이나 폐차로부터 분리된 범퍼(W)는 수지제품 회수공정(a)에 의해서 회수되고, 금속부품이 제거되어 필요에 따라 수지제품 전단공정(b)에서 소정의 폭으로 수지부재(Wa)로 전단된다.
이 수지부재(Wa)는 도막박리공정(c)에서 후술하는 도막박리제거장치(1)에 의해 수지소재(Wb)로부터 도막(Wc)이 박리제거된다.
도막박리공정(c)에서 도막(Wc)이 박리제거된 수지소재(Wb)는 다음 분쇄 처리공정(d)에 있어서 슈레더(shredder)등으로 분쇄재(Wb)로 분쇄된다. 분쇄재(Wd)는 이어 패레트화공정(e)에서 예컨데, 압출기는 이의 호퍼에 투입된 분쇄재(Wd)를 스크류회전에 의해 배럴(barrel) 내로 전진시키고, 또한 밴드히터로 가열하여 이 배럴내부를 전진하는 사이에 용융시킨다. 그러면 밀어 압출되는 일정형상의 패레트(We)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배럴선단부에 설치된 스크린메쉬에 의해 잔존한 도막편을 제거한다. 더욱이 이 스크린메쉬가 자동으로 교환가능이 이루어짐에 따라 처리능력이 뛰어나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다.
패레트화공정(e)에 의해 얻어진 패레트(We)는 다음의 성형공정(f)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버진(virgin) 폴리프로피렌계 수지등으로부터 제조된 패레트가 가해져서 다시한번 범퍼(W) 등의 수지제품을 만들 수 있다. 페레트화 공정(e)에 있어서, 분쇄재(Wd)를 패레트화된 분쇄재(Wd)의 분쇄상태, 예를 들어 이 분쇄재(Wd)가 미분쇄상태로 있다면 패레트화공정(e)은 생략가능하다.
다음, 상기 도막박리공정(c)에 있어서 수지소재(Wb)로부터 도막(Wc)을 박리제거하는 도막박리제거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는 박리제거장치(1)의 개요를 나타낸 전체 설명도로서, 도막박리제거장치(1)는 수지제품전단공정(b)에 있어서 소정폭으로 전단된 수지부재(Wa)로부터 돌출하는 리브등의 돌출부(Wf)를 제거해서 평판형상하는 돌출부 전단공정(B)과 이 돌출부 전단공정(B)에서 얻어진 평판형상화로 된 수지부재(Wa)의 단부형상을 처리하는 단부처리공정(c)으로 이루어진 전처리공정(A)과, 상기 전처리공정(A)에서 형상이 정돈된 수지부재(Wa)의 상면에 칠해진 도막(Wc)을 수지소재(Wb)로부터 박리하는 상면 도막박리공정(E)과 하면에 칠해진 도막을 수지소재(Wb)로부터 박리하는 하면 도막박리공정(F)으로 이루어진 도막박리공정(D)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돌출부전단공정(B), 단부처리공정(C)에 대응해서 각 공정의 기능을 하는 돌출부전단장치(10), 단부처리장치(20) 및 도막박리공정(D)에 대응하여 도막박리장치가 설치되고, 도막박리장치는 상면 도막박리공정(E) 및 하면 도막박리공정(F)에 상응하는 상면 도막박리장치(30) 및 하면 도막박리장치(40)를 갖으며, 이들 각 장치(10, 20, 30, 40) 사이에는 반송장치(50, 60, 7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들 각 장치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돌출부 전단장치(10)는 투입구(12a)로부터 투입된 수지부재(Wa)를 반송장치(5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2)를 갖추고, 이 가이드부(12)의 도중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대향된 지지롤(13)과 전단롤(14)를 갖추고 있다.
상기 지지롤(13)은 제3도에 요부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전단장치(10)의 지지프레임(11)에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지지롤 지지부재(19a)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보유지지되되, 연결수단(15a)을 매개로 연결된 감속기능 모우터등의 회전구동장치(15)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더욱이 상기 지지롤 지지부재(19a)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1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롤(13)과 전단롤(14) 사이의 간극양이 도장수지부재(Wa)의 두께등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상기 전단롤(14)은 한쌍의 전단롤 지지부재(11a)에 의해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한 지지롤(13)과 대향되어 지지되되, 감속장치용 모우터등의 회전구동장치(16)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단롤(14)은 제4도에 사시도와, 이 제4도의 I - I선 단면도인 제5도(a), II-II선 단면도인 제5도(b) 및, 5도(c)에서 상기 전단롤(14)의 롤표면의 전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상의 롤표면을 따라 사선행의 환형의 홈부(14b)를 매개로 등간격의 롤회전축 상방향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롤(13)과 전단롤(14)은 이 지지롤(13)과 전단롤(14) 사이의 투입구(12a)로부터 투입된 수지부재(Wa)를 서로 협동해서 끼워넣어 반송장치(50)쪽에 보낼 수 있게 서로 역회전방식이며, 더욱이 이 지지롤(13)의 회전주속도에 대해 전단롤(14)의 회전주속도가 크게 설정되게 각각의 회전구동장치(15, 16)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제6도에 동작 설명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회전주속도는 다른 지지롤(13)과 전단롤(14) 사이에 투입된 리브등의 돌출부(Wf)를 갖는 수지부재(Wa)는 이 지지롤(13)과 전단롤(14)의 협동에 의해 송출됨과 더불어 이 돌출부(Wf)가 전단롤(14)의 홈부(14b)안에 삽입되어 롤표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상의 전단날(14a)에 의해 전단 제거되어 평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전단날(14a)에 의해 돌출부(Wf)가 전단제거된 전단면(Wg)은 이 전단날(14a)이 나선형상의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Wf)와 전단날(14a)이 완충적으로 닿지 않게 되어 제6도(a)에 점선(Wg')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날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절단되지 않고 매끄럽게 절단된다.
상기 돌출부(Wf)의 전단제거에 따라 야기되는 발생한 파편 내지는 미진등에 의해 전단롤(14)의 전단날(14a) 사이의 홈부(14b)에 부착되어 원활한 돌출부제거가 달성되지 않게 될 염려가 제기되는 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상기 돌출부전단장치(10)에는 전단롤(14)의 홈부(14b) 내에 부착한 파편등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전단롤 부착물 제거기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단롤 부착물 제거기구(18)는 제6도를 부분절개하여 III-III선 단면으로 설명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롤(14)의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프레임(11)에 설치된 베이스(18a)와, 단면이 대략 T자형의 슬라이더(18b), 이 슬라이더(18b)의 기부를 좁게해서 슬라이더(18b)를 베이스(18a)의 위쪽을 따라 전단롤(14)의 회전축선 방향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보유지지하는 한쌍의 슬라이더 수납부재(18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더 수납부재(18c)의 정상부 양쪽 선단에는 전단롤(14)에 형성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전단날(14a)의 측면(14c)을 서로 협지하여 이 측면(14c)상을 전동하는 가이드롤(18e)을 구비한 한쌍의 가이드핀(18d)이 설치되되, 회전하는 전단롤(14)에 대응 작동해서 슬라이더(18b)가 전단롤(14)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종복동되게 구성되며, 또 상기 슬라이더(18b)의 정상부에는 이 슬라이더(18b)에 형성된 안내구멍(18g)에 끼워 지지된 스프링(18h)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부세되어 전단롤(14)에 형성된 각 홈부(14b)내에 끼워지는 여러개의 스크레퍼핀(18f)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전단롤(14)에 형성된 홈부(14b) 내에 부착된 잘라진 부착물은 이 전단롤(1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전단롤(14)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항시 각 홈부(14b) 내에 끼워 위치하는 스크레퍼핀(18f)의 끝부분에 의해서 긁혀 떨어진다.
상기 스크레퍼핀(18f)의 끝부에 의해 긁혀 떨어진 부착물은 하방에 설치된 수부(18i)에 낙하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콘베이어등에 의해 돌출부 전단장치(10)의 밖으로 반출된다. 상기 돌출부전단장치(10)에 의해 돌출부(Wf)가 전단 제거되어 평판화된 수지부재(Wa)는 반송장치(50)로 공급되고, 이 반송장치(50)에 의해 다음의 단부처리공정(c)으로 작용하는 단부처리장치(20)로 이동 공급된다.
상기 반송장치(50)는 제2도 및 제8도에 요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52)에 의해 체인, 벨트등의 전달수단(53) 및 풀리(54)등을 매개로 회전구동하는 반송용 도막측 롤(56)과 반송용 수지요소측 롤(57)로부터 여러개, 본 실시예에서는 5대의 롤쌍(55)이 프레임(5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롤쌍(55)이 서로 대향되어 설치된 도막측 롤(56)과 수지요소측롤(57)은 돌출부전단장치(10)측에 공급된 수지부재(Wa)를 끼워 넣어 점차적으로 단부처리장치(20)쪽으로 반송하듯이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더욱이 회전주속도가 다른 돌출부전단장치(10)의 지지롤(13)과 전단롤(14)의 사이에 협지되어 보내질 때, 도막(Wc)쪽에서 만곡형성된 수지부재(Wa)를 평판형태로 수정하기 위해서 도막측 롤(56)의 회전주속도가 수지요소측 롤(57)의 회전주속도와 비교해서 크게 되도록 이 도막측 롤(56) 및 수지요소측 롤(57)의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단부처리장치(20)는 반송장치(50)에 의해 반송된 수지부재(Wa)를 다음의 반송장치(60)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2)를 갖추고, 이 가이드부(22)의 도중에 상면 도막박리공정(E)에서 도막박리 효율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 형상수정하는 한쌍의 대향된 도막측 압연롤(23)과 수지요소측 압연롤(24)을 갖추고 있다.
상기 도막측 압연롤(23)은 대략 원주형상으로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처리장치(20)의 지지프레임(21)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한쌍의 도막측 압연롤 지지부재(29a)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보유지지되며, 자유로운 이음부(25a)를 매개로 연결된 감속용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25)에 의해 회전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막측 압연롤 지지부재(29a)가 승강수단(29)에 의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도막측 압연롤(23)이 상하로 운동하여 이 도막측 압연롤(23)과 수지요소측 압연롤(24) 사이의 간극량은 조절된다.
한편, 수지요소측 압연롤(24)은 한쌍의 지지부재(21a)에 의해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도막측 압연롤(23)과 대향해서 지지프레임(21)에 지지되며, 감속용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26)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도막측 압연롤(23)과 수지요소측 압연롤(24) 사이는 각 회전구동장치(25, 26)에 의해 도막측압연롤(23)과 수지요소측 압연롤(24) 사이에 공급된 수지부재(Wa)를 압연하여 반송장치(60) 쪽으로 보내기 위해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구동하게된다.
또한, 상기 도막형 압연롤(23)의 롤표면에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롤(23)의 롤표면 중앙측으로부터 롤표면측 끝단쪽을 향해 나선방향으로 여러개의 나선상홈(23a)은 나선상홈(23a)이 대향형성되어 있는데 각 나선상홈(23a)은 그 단면이 원호 모양으로 도막측 압연롤(23)의 회전을 따라 수지부재(Wa)와의 압접부위가 순차적으로 롤표면측 끝부분에서 롤표면 중앙쪽을 향해 변형 이동되듯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 되어진 도막측 압연롤(23)과 수지요소측 압연롤(24) 사이에 공급된 수지부재(Wa)는 이들 압연롤(23, 24)에 의해 압연되어서 상기롤(23, 24)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펼쳐진다. 이 압연시에 상기 도막측 압연롤(23)의 롤표면에 형성된 나선상홈(23a)의 단부, 즉 나선상의 돌조부(23b)가 도막(Wc)의 표면에 침투하여 수지부재(Wa)의 도막(Wc)쪽에 대하여 압연하는 롤(23, 24)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미치는 연신이 억제되어, 수지소재(Wb)의 수지소재측 압연롤(24)의 접촉부가 보다 많이 연신되는데, 예컨데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짧게 형성된 상기 수지부재(Wa)는 도막(Wc)과 비교해서 수지소재(Wb)쪽이 보다 크게 연신된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Wc)쪽을 짧게하는 단면을 갖도록 수지부재(Wa)의 형상이 변형 수정된다.
단부처리공정(c)에서 대략 단면이 짧게 되어 있는 수지소재(Wb)쪽이 크게 수정 변형되어진 수지부재(Wa)는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62)에 의해 전달수단(63)을 매개로 회전구동하는 반송용 도막측 롤(66)과 반송용 수지소재측 롤(67)로 이루어진 여러개의 롤쌍(65)을 갖는 반송장치(60)에 의해 점진적으로 이들 반송용 도막측 롤(66)과 반송용 수지소재측 롤 (67) 사이에 끼워져서 반송되어, 상면 도막박리공정(E)의 기능을 갖춘 상면 도막박리장치(30)로 공급된다.
상기 상면 도막박리장치(30)에는 반송장치(60)에 의해 반송된 수지부재(Wa)를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 사이로 안내하여 이들 롤(33, 34)에 의해 도막(Wc)이 박리되어진 수지부재(Wb)를 다음의 반송장치(7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2)가 구비되되, 이 가이드부(32)의 도중에 도막(Wc)을 박리하기 위해 한쌍의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은 금속제인 롤표면이 경면의 크롬도금을 실시하여,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측 롤(33)은 상면 도면박리장치(30)의 지지프레임(31)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도막측 롤지지부재(29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자유로운 이음부(35a)를 매개로 연결된 감속용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35)에 의해 회전구동되는데, 상기 도막측 롤지지부재(39a)는 승강수단(3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도막측 롤(33)이 상하이동하여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 사이에 간극량이 조정된다.
한편, 수지소재측 롤(34)는 도막측 롤(33)과 대향되어 지지프레임(31)에서 지지부재(31a)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양단이 보유지지되면서 감속용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36)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상기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은 각각의 회전주속도가 서로 다른 바, 예컨데 수지소재(Wb) 표면에 압접하는 수지소재측 롤(34)의 회전주속도와 비교해서 도막(Wc) 표면에 압접하는 도막측 롤(33)의 회전주속도가 크고, 또 양롤(33, 34) 사이에 공급된 수지부재(Wa)에 압압력을 부여하듯이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구동 된다.
따라서 반송장치(60)로부터 공급된 수지부재(Wa)는 도막측 롤(33) 및 수지소재측 롤(34)의 압압력에 의해 압연되고, 또 양롤(33, 34)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주속도 차이에 의하여 도막(Wc)과 수지소재(Wb) 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이 작용하여 수지소재(Wb)로부터 도막(Wc)이 박리된다.
비록 상기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 사이에 공급된 수지부재(Wa)의 단면형상이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형의 경우에는 도막측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제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도막측 롤(33)이 압접하는 도막(Wc)쪽 및 수지소재측 롤(34)이 압접하는 수지소재(Wb)의 표면쪽이 바깥쪽 방향으로 빠져나가듯이 변형되는 바, 특히 양선단부에 있어서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에 의한 압압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되어 이 수지소재(Wb)와 도막(Wc) 사이에 충분한 전단미끄럼응력이 가해지지 않음으로서 도막(Wc)의 박리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도막(Wc)이 수지소재(Wb)의 양단부위에 잔존할 염려가 있게 된다.
그러나 단부처리공정(c)에 있어서 상기 수지소재(Wa)의 단면형상이 제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Wc)쪽이 짧게되는 형상으로 수정됨에 따라, 이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의 압압력에 의해 제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Wc)쪽 및 수지소재(Wb)의 표면쪽이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듯이 변형된다. 이에 따라 단부에 있는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에 의해 압압력이 확보되어 수지소재(Wb)의 상면과 도막(Wc) 사이에 충분한 전단슬립응력이 부가됨에 따라 수지부재(Wc)의 단부부위에 있어서 도막(Wc)의 박리가 충분히 이루어져서 도막(Wc)의 잔존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12도에서 참조부호 37은 도장측 롤(33)의 롤표면(33a)에 근접되어 이 도장측 롤(33)의 롤표면(33a)에 부착되는 도막을 긁어내는 스크레퍼로서, 이 스크레퍼(37)에서 도막측 롤(33)의 롤표면(33a)에서 긁어내어진 도막(Wc)은 반출장치, 예를 들어 벨트콘베이어(37b)에 의해 상면 도막박리장치(30)가 반출 회수된다.
상기 스크레퍼(37)는 경강제, 예를 들어 S45C에 의해 제조되어 제14도에 확대된 바와 같이 그 선단(37a)는 약 45°의 예각으로 상면과 롤표면(33a)의 접선과의 각도(α)가 약 126°이고, 또 롤표면(33a)과 선단(37a)의 간극(β)는 약 0.03mm로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도막측 롤(33)에는 도막(Wc)의 부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크레퍼(37)가 도막을 긁어 회수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도막측 롤(33)을 냉각하는 롤냉각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롤 냉각수단의 일실시예를 제15도 내지 제17도에 의거 설명한다.
제15도는 롤 냉각수단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참조부호 38은 회전구동장치(36)에 의해서 회전구동하는 수지소재측 롤(34), 또는 회전구동장치(35)에 의해서 회전구동하는 도막측 롤(33)의 적어도 한쪽 혹은 양쪽 롤(33, 34)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는 도막측 롤(33)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이다.
상기 냉각수단(38)은 도막측 롤(33)의 회전구동장치(35)에 연결하지 않은 쪽의 단부에 접속된 도막측 롤(33) 내부에 냉각액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접속구(38i)와 냉각액저장탱크(38c)를 연결하는 유입관(38a) 및 배출관(38b)을 갖추며, 상기 유입관(38a)에는 냉각액저장탱크(38c)로부터 접속구(38i)를 매개로 도막측 롤(33) 내부로 냉각액을 압송하기 위한 펌프(38d)가, 배출관(38b)에는 접속구(38i)로부터 배출되어 도막측 롤(33)에서 회수되는 냉각액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38f)와 냉각액을 냉각하기 위한 라지에타(38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38)은 온도센서(38f)로부터 온도검출신호에 따라 펌프(38d)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38e)의 회전을 제어하는 펌프구동제어회로(38g)를 갖는다.
한편, 상기 도막측 롤(33)은 제16도의 단면도와 이 제16도 IV-IV선 단면도인 제1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본체(33A)와 연결부재(33B), 환상부재(33C)를 갖추고, 이 롤 본체(33A)는 이의 일단쪽이 도막측 롤지지부재(39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구동장치(35)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33b)과, 이 회전축(33b)을 에워싸는 환상부재 맞춤홈(33c)이, 다른쪽 타단에는 연결부재 맞춤요부(33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 본체(33A)의 롤표면(33a)의 근처에는 환상부재 맞춤홈(33c)과 연결부재 맞춤요부(33d) 사이를 연통하는 여러개의 냉각액관로(33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3B)는 이 연결부재 맞춤요부(33d) 내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본체부(33f)와 이 본체부(33f)로부터 돌출해서 도막측 롤지지부재(39)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3g)을 갖추고, 회전축선을 따라 이 회전축(33g)으로부터 본체부(33f)에 도달하는 냉각액 배출관로(33h), 상기롤 본체(33A)에 형성된 냉각액관로(33e)와 일단이 연통하는 보조 냉각액관로(33i), 이 보조냉각액관로(33i)와 냉각액 배출관로(33h)를 연결하는 공급측 연결관로(33j)와, 배출측 연결관로(33k) 및, 보조냉각액관로(33i)의 타단이 개구된 환상부재 맞춤홈(3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부재(33c)는 환상형으로서, 롤 본체(33A)의 환상부재 맞춤홈(33c)에 끼워 맞추어져 연접하는 각 냉각액관로(33e)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통관로(33a)를 폐쇄하여, 롤 본체(33A)내부에 냉각액의 순환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접속구(38i)는 유입관(38a)에 접속하는 입구(38b) 및 배출관(38b)에 접속하는 배출구(38n)를 갖춘다. 이 배출구(38m)의 반대쪽선단은 베어링(38m)을 매개로 회전축(33g)의 한쪽 선단을 폐쇄한 연결관(38p)과 상대회전을 허용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8p) 및 냉각액 배출관로(33h) 내에는 선단이 공급측 연결관로(33j)에 연결된 내관(38q)이 주위와 간극을 갖추면서 삽입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싱(38j)은 도막측 롤(33)의 반구동측 지지부재(39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38f)가 배출관(38b)의 냉각온도를 검출해서 소정온도상승에 따라 펌프 구동제어회로(38)에서의 출력치, 예를 들어 전류를 증대시키고 구동장치(38e)에 의해 구동된 펌프(38d)에 의한 냉각액의 유량이 증대되어 유입관(38a)을 매개로 접속구(38i)의 입구(38k) 및 내관(38q)을 개방하고, 이 내관(38q) 선단으로부터 냉각액압송량을 증대시켜 회전구동하는 도막측 롤(33)의 냉각액배출관로(33h)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측연결관로(33j) 내부에 압송되는 냉각액은 냉각액관로(33e)내에 압송되어, 각 냉각액관로(33e), 보조냉각액관로(33i), 연통관로(33g)로 흘러서 롤표면(33a) 근처를 순환유동하여 도막측 롤(33)의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상기 냉각측롤(33)을 냉각한 냉각액은 배출측 연결관로(33k)로부터 배출관로(33h)로 흐르고, 이어 연결관(38p)을 지나 접속구(38i)의 배출구(38m) 및 배출관(38b)을 매개로 라지에타(38h)로 압송되되, 이 라지에타(38h)에서 방열냉각된 후 냉각저장액탱크(38c)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도막측 롤(33)이 냉각되어 온도센서(38f)에 의해 검출온도가 저하되면, 펌프구동제어회로(38g)에서의 출력을 감소시키고 롤(33)쪽으로 흐르는 냉각액 압송양을 감소시킴에 따라 이 도막츨 롤(33)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제어 되어진다.
제18(a)도는 온도센서(38f)에 의해 도막측 롤(33)에서 배출되는 냉각액온도와, 이 도막측 롤(33)의 롤표면(33a)에서 스크레퍼(37)에 의해 도막측롤(33)에 부착된 도막(Wc)을 긁어내어 제거한후 도막측 롤(33)의 롤표면(33a)에서 도막(Wc)의 부착잔존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제18(b)도는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에 의해서 도막(Wc)을 박리할 때 도막박리율과 냉각액 검출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들 제1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측 롤(33)를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한 상태하에서, 특히 도막측 롤(33)에서 검출된 냉각액 40℃ 이하로 유지되게 되면, 도막측 롤(33)에서 도막부착잔존율의 저하가 현저하면서 도막박리율의 고유지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면 도막박리장치(30)에서 수지소재상면의 도막(Wc)이 박리된 수지소재(Wb)는 반송장치(70)에 의해 다음의 하면 도막박리공정(F)의 기능을 갖춘 하면 도막박리장치(40)로 반송된다.
상기 상면 도막박리장치(30)와 하면 도막박리장치(40) 사이에 배치된 반송장치(70)는 모터등의 회전구동장치(72)에 의해 체인, 벨트등의 전달수단(73)등을 매개로 회전구동되고, 이 반송장치(70) 이전에 배설된 상면 도막박리장치(30)의 도막측 롤(33)쪽에 배치되는 상측 롤(76)과 수지소재측 롤(34)쪽에 배치되는 하측 롤(77)로 이루어진 여러개, 본 실시예에서는 5쌍의 롤쌍(75)이 프레임(7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롤쌍(75)이 서로 마주보면서 설치되어 있는 상측 롤(76)과 하측롤(77)은 상기 상측 도막박리장치(30)에서 공급된 수지소재(Wb)를 서로 협동해서 끼워 넣어 순차적으로 하면 도막박리장치(40)쪽으로 반송하도록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며, 더욱이 상기 회전주속도가 다른 도막측 롤(33)과 수지소재측 롤(34) 사이에 압입된 도막(Wc)를 박리할 때 이 도막측롤(33)이 수지소재측 롤(34)의 회전주속도 보다 크게되는 회전주속도로서 회전구동 되어지는 것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휘어서 만곡변형된 수지소재(Wb)를 평판상으로 형성수정하기 위해 하측 롤(77)의 회전주속도가 상측롤(76)의 회전주속도와 비교하여 크게 되도록 이 상측 롤(76) 및 하측 롤(77)의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하면 도막박리장치(40)에는 반송되는 수지소재(Wb)를 다음의 호퍼(80)등의 회수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2)가 설치되되, 이 가이드부(42)의 중간에는 수지소재(Wb)의 하면에 칠해진 도막(도시되지 않았음)을 박리하기 위한 한쌍의 수지소재측 롤(43)과 도막측 롤(44)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9도에 요부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측 롤(43)은 하면 도막박리장치(40)의 지지프레임(41)에 수지측 롤지지부재(49a)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승강수단(4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음매(45a)를 매개로 회전구동장치(45)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한편, 도막측 롤(44)은 수지측 롤(43)과 대향된 지지부재(41a)에 의해 지지프레임(41)에 지지되어 회전구동장치(46)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상기 수지측 롤(43)과 도막 롤(44)은 각각의 회전주속도가 서로 달라, 도막측 롤(44)이 수지소재측 롤(43)의 회전주속도보다 크게되는 회전주속도로 회전구동되며, 또한 양 롤(43, 44) 사이에 공급되어진 수지소재를 압연하듯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수지소재(Wb)는 수지소재측 롤(43) 및 수지소재측 롤(44)의 압압력에의해 압연되고, 또 양 롤(43, 44) 사이의 회전주속도의 차이로 인해 수지소재(Wb)와 하면에 칠해진 도막 사이에 전단응력이 가해져서 이 수지소재(Wb)로부터 도막이 박리된다.
상기 도막측 롤(44)의 롤표면(44a)에 근접해서 도막측 롤(44)의 표면에 부착된 도막을 긁어내는 스크레퍼(47) 및, 이 스크레퍼(47)에 의해 긁어진 도막을 하면 도막박리장치(40)로부터 반출하는 벨트 콘베이어(47b)가 설치되고, 상기 도막측 롤(44)에 부착된 도막의 부착력을 저감하여 이 스크레퍼(47)를 이용하여 도막의 벗김을 손쉽게 하기 위해 상면 도막박리장치(30)와 같은 모양의 롤 냉각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면 도막박리공정(e)의 기능을 하는 하면 도막박리장치(40)를 갖는 도막박리장치(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수지부재(Wa)의 하면에 도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하면 도막박리장치(40)를 생략함에 따라 장치를 간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면 도막박리장치(30)를 하면 도막박리장치(40)의 상류측에 배치한 예를 기재 하였지만, 이 하면 도막박리장치(40)를 상면 도막박리장치(30)의 상류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바, 이 경우 상류측에 배치된 하면 도막박리장치(40)의 도막측 롤(44)에 대응하여 하면 도막박리장치(40)와 상면 도막박리장치(30) 사이에 배치되는 반송장치(70)는 상측 롤(76)의 회전주속도가 하측롤(77)의 회전주속도에 비해 크게되어, 이 상측 롤(76) 및 하측 롤(77)의 회전주속도를 설정함에 따라 상기 하면도막박리장치(40)에 의해 윗쪽방향으로 휘어서 만곡된 수지소재(Wb)를 평판형태로 형상수정이 되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측 도막분리장치(30)와 하측 도막분리장치(40)를 각각 1대씩 갖는 수지도막박리장치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부위에 동일부호를 부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상기하면 도막박리장치(40)의 하류측에 다른 반송장치(80)를 매개로 상면 도막박리장치(30) 및 하면 도막박리장치(40)를 배치하는 등, 이 상면 도막박리장치(30)와 하면 도막박리장치(40)를 교대로 연속적으로 여러대를 배치하여 수지소재(Wb)의 상면 및 하면에 칠해진 도막의 박리공정을 적절히 반복하여 도막제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더욱이 동일 장치인 상기상면 도막박리장치(30) 혹은 하면 도막박리장치(40)를 연속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21도는 돌출부 전달장치의 전단롤 및 전단롤 부착물 제거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단롤(14')에는 이의 중앙부위에서 서로 대향하는 대칭형상으로 다른 나선방향의 전단인(14a')을 형성함과 더불어 전단롤 부착물제거구가 이 전단롤(14')과 대향하여 상기 전단인(14a') 사이에 형성된 홈부(14b')에 끼워 맞추어지면서 중앙부위에서 서로 대향하는 다른 나선상의 스크레바인(18')을 갖는 롤(18')에 의해 형성되어 서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전단롤(14')의 홈부(14b') 내에 부착된 절단파편등의 부착물은 항시 홈부(14b') 내에 끼워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스크레파날(18f')에 의해 긁어져 제거된다. 또한 각 공정에 사용되어진 돌출부전단장치(10), 단부처리장치(20), 상면 도막박리장치(30) 및 하면 도막박리장치(40)의 각각에 설치되는 롤을 제거하게 되면 다른 구성품은 기본적으로 동일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각 반송장치(50, 60, 70, 80)의 구성품은 기본적으로 동일 구성에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설비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CD-ROM등 돌기부가 없는 평판형상 혹은 미리 돌기부를 제거한 평판형상화로 된 수지부재의 도막을 박리하는 경우에는 전처리공정(A)에 있는 돌기부전단공정(B) 및 이 공정(B)에 이용된 돌기부전단장치(10)를 생략함에 따라 도막박리장치(10)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는 자동차의 범퍼와 CD-ROM의 도막박리에 대해서 기재하였지만 다른 도장이 칠해진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에 폭넓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도장수지부재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절단 제거하여 돌출이 전단제거된 도장수지부재를 도막측이 수지부재와 비교하여 짧게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상수정하여 도막박리 효율의 향상을 꾀하고, 수지소재에서 도막을 분리제거하는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도막의 박리제거가 회전주속도가 다른 도막측 롤과 수지소재측 롤 사이에서 압연하여 수지소재와 도막 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을 부여함에 따라 수지소재에서 도막이 박리 되어지기 때문에 도막의 제거효율을 최대한으로 증대시켜서 수지소재를 얻는다.
따라서 고품질의 재생수지제품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종래의 도막제거 방법에 비해 용제등을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으며, 환경안전성이 우수하다. 더욱이, 처리능력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면서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도막수지제품의 재생활용에 공헌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수지소재표면에 도막을 갖는 도장수지부재의 수지소재로부터 돌출한 돌출부를 절단제거하는 돌출부 전단장치와,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롤에 의해상기 돌출부가 전단제거된 도막수지부재를 압연해서 도막측이 수지소재측과 비교해서 짧게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상을 수정하는 단부처리장치, 대향배설되어 서로 회전속도가 다른 도막측 롤과 수지소재측 롤의 협동에 의해 상기 형상수정된 도막수지부재를 압연하여 수지소재와 도막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을 부여하여 이 수지소재로부터 도막을 분리제거하는 도막박리장치 및, 각각의 장치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장치사이에 있어 도장수지부재를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박리장치는 서로 대향배설되어 서로 다른 회전주속도를 갖는 도막측 롤과 수지소재측 롤의 협동에 의해 도장수지부재를 압연하여 수지소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도막과 수지소재 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을 부여하여 수지소재 상연으로부터 도막을 분리제거하는 상면 도막박리장치와, 대향배설되어 서로 다른 주회전속도를 갖는 도막측 롤과 수지소재측 롤의 협동에 의해 도막수지부재를 압연하여 수지소재의 하면에 설치되어 도막과 수지소재 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을 부여하여 수지소재 하면으로부터 도막을 분리제거하는 하면 도막박리장치, 및 상면 도막박리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장치 사이에서 도장수지부재를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도막박리장치와 하면 도막박리장치가 반송장치를 매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반송장치가 여러개 배설되고 서로 마주보는 롤쌍과, 각 롤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도막박리장치와 하면 도막박리장치 사이에 배치된 반송장치는 상류측에 배설된 도막박리장치의 도막측 롤에 배치되는 반송장치의 롤이 다른쪽 롤의 회전주속도와 비교해서 적은 회전주속도로 회전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선단이 도막측 롤의 롤표면에 근접하여 이 롤표면에 부착되는 도막을 긁어 내는 스크레퍼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에 의해 긁어 떼어지는 도막을 반출하는 반출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
  8. 도장수지부재에 칠해진 도막의 돌출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대향된 롤쌍에 의해 상기 도막수지부재의 형상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도막수지부재와 도막 사이에 전단미끄럼응력을 부여하여 이 도막수지부재에서 도막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도막을 반송장치에 따라 반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방법.
KR1019960010723A 1995-04-12 1996-04-10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KR0166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20895A JP3177403B2 (ja) 1995-04-12 1995-04-12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除去装置
JP95-87208 1995-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40A KR960037240A (ko) 1996-11-19
KR0166464B1 true KR0166464B1 (ko) 1999-03-20

Family

ID=1390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723A KR0166464B1 (ko) 1995-04-12 1996-04-10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67148A (ko)
EP (2) EP1020286B1 (ko)
JP (1) JP3177403B2 (ko)
KR (1) KR0166464B1 (ko)
DE (2) DE6961375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40641S1 (en) 1997-01-10 2001-04-17 Water Pik, Inc. Flexible shower arm
US20080083844A1 (en) 2006-10-09 2008-04-10 Water Pik, Inc. Showerhead attachment assembly
JP4948553B2 (ja) * 2009-02-12 2012-06-0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ンパ減容機
JP5403735B2 (ja) * 2009-02-12 2014-01-2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ンパ減容機
KR102095361B1 (ko) 2018-04-09 2020-03-31 주식회사 창평기업 재활용 폐 도장수지 칩의 페인트 박리장치
CN109774114A (zh) * 2019-03-05 2019-05-21 江苏派恩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覆膜尺寸装置
CN111037248A (zh) * 2020-02-23 2020-04-21 杨松 废旧载重轮胎外胎破碎机器人胶块粗碎机构的运行方法
CN111037246B (zh) * 2020-02-23 2021-07-13 温州海源技术服务有限公司 废旧载重轮胎外胎破碎机器人胶块细碎机构的运行方法
CN111037247A (zh) * 2020-02-23 2020-04-21 杨松 废旧载重轮胎外胎破碎机器人胶块破碎系统的运行方法
CN114683443B (zh) * 2022-03-11 2023-09-12 安徽科技学院 一种pvc绝缘胶带回收处理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1727A (en) * 1972-07-06 1976-04-20 Greenberg William B De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DE2702177A1 (de) * 1977-01-20 1978-07-27 Kloeckner Gmbh & Co Geb Walzenzerkleinerungsmaschine
JPS59142115A (ja) * 1983-02-02 1984-08-15 Dainichi Nippon Cables Ltd ラミネ−トシ−ス条の分離方法
US4599131A (en) * 1985-06-10 1986-07-08 Owens-Illinois, Inc. Delabeler for plastic containers
ATE116789T1 (de) * 1985-09-05 1995-01-15 Somar Corp Vorrichtung zum abschälen eines films.
US4840316A (en) * 1988-07-13 1989-06-20 Barclay Randel L Rubber crumb recovery from vehicle tires
US4940187A (en) * 1989-10-26 1990-07-10 Tocew Lee Systematic equipments for recycling raw materials from waste wires
GB2240067A (en) * 1989-12-05 1991-07-24 Shaw Timber Limited Apparatus for removing a surface layer from a piece of material
KR960000279B1 (ko) * 1990-06-26 1996-01-04 지.피 리서치 리미티드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및 그 장치
DE9116160U1 (ko) * 1991-05-18 1992-04-30 Schumacher, Uwe, 7901 Weidenstetten, De
IT1249986B (it) * 1991-08-12 1995-03-30 Fernando Stroppiana Procedimento per il riciclaggio di materiali di scarto contenenti materie plastiche e relativo impianto.
JPH0569443A (ja) * 1991-09-11 1993-03-23 Toyo Chem Co Ltd 合成樹脂被覆体の剥離装置
JP3048283B2 (ja) * 1991-11-15 2000-06-05 アイン株式会社総合研究所 プラスチック材の回収方法および樹脂塗膜の分離装置
TW215061B (ko) * 1991-11-15 1993-10-21 Pautekku Kk
FR2685158B1 (fr) * 1991-12-12 1994-03-25 Circee Procede et dispositif pour enlever les pellicules protectrices de flans insoles de circuit imprime.
DE4142054A1 (de) * 1991-12-19 1993-06-24 Linde Ag Zerkleinerung von bahnfoermigem material
DE4207972A1 (de) * 1992-01-10 1993-07-15 Bayer Ag Verfahren zum zerkleinern von kunststoffen oder organischen, natuerlichen polymeren
WO1993013858A1 (en) * 1992-01-20 1993-07-22 Eco Italia S.A.S. Di Basile Rodolfo & C. Roller device for crumbling stripes of carcasses of worn tires
DE4216638C1 (ko) * 1992-05-20 1993-09-16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567 Stuttgart, De
DE4217005C2 (de) * 1992-05-22 1994-03-03 Himont Inc Verfahren zur Wiedergewinnung des Kunststoffes aus lackierten Kunststoffteilen
US5312052A (en) * 1992-06-01 1994-05-17 Dellekamp Michael D Method for reclaiming fiber reinforcement from a composite
DE4322298A1 (de) * 1992-08-04 1994-02-10 Bayer Ag Verfahren zur Auftrennung von Kunststoff-Nichtmetall-Verbundsystemen
JP3354207B2 (ja) * 1993-05-21 2002-12-09 株式会社エーアンドエーマテリアル 植物繊維の分散性向上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装置
US5566888A (en) * 1993-05-21 1996-10-22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cycling a resin component
KR100308849B1 (ko) * 1993-11-08 2001-12-28 미우라 아끼라 도장플라스틱으로부터도장막의박리방법및장치,플라스틱의재생방법
US5588599A (en) * 1994-09-12 1996-12-31 Novak; James P. Method of manufacture of polyester-chip products for casting artificial-stone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0286A3 (en) 2000-07-26
EP0741007B1 (en) 2001-07-11
DE69613752T2 (de) 2002-05-08
EP1020286B1 (en) 2003-03-26
JPH08281649A (ja) 1996-10-29
EP0741007A3 (en) 1997-07-02
US5667148A (en) 1997-09-16
EP1020286A2 (en) 2000-07-19
DE69627049D1 (de) 2003-04-30
DE69613752D1 (de) 2001-08-16
JP3177403B2 (ja) 2001-06-18
KR960037240A (ko) 1996-11-19
EP0741007A2 (en) 1996-11-06
DE69627049T2 (de)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464B1 (ko)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제거장치와 방법
KR100187507B1 (ko) 도장수지제품의 도막박리장치와 이의 방법
US629603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coating from coated product
JP3177402B2 (ja) 塗装樹脂製品の塗膜除去装置
JP3177371B2 (ja) 塗装樹脂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
JP3177400B2 (ja)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方法及び塗膜剥離装置
US58912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and removing a coated film on resin product
EP11220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a coating film of a coated resin product
JP3182087B2 (ja) 塗膜剥離装置
JP3177372B2 (ja) 塗装樹脂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
JP2829236B2 (ja) 塗装樹脂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
JP3177373B2 (ja) 塗装樹脂製品のリサイクル方法
JP3177416B2 (ja) 塗装樹脂製品リサイクル用射出成形装置
US5876557A (en) Safety device for film removing apparatus
JP3177462B2 (ja) 塗膜剥離除去装置用搬送装置
JP3228597B2 (ja) 樹脂部品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