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461B1 -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461B1
KR0166461B1 KR1019960002492A KR19960002492A KR0166461B1 KR 0166461 B1 KR0166461 B1 KR 0166461B1 KR 1019960002492 A KR1019960002492 A KR 1019960002492A KR 19960002492 A KR19960002492 A KR 19960002492A KR 0166461 B1 KR0166461 B1 KR 016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retaining
displac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888A (ko
Inventor
바엑크 토르스텐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피셔
피셔베르케 아르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피셔, 피셔베르케 아르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코. 카게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피셔
Publication of KR960033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6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or bot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면, 예를 들면 자동차의 중앙 제어판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음료수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유지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작은 설치 공간에서 유지 장치(10)를 수용하고 그 설치 공간에서 이것을 완전히 수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하지 않은 후에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가로누운 위치에서 직립 위치로 피봇되고 이에 의해 변위성 직립 아암(26)을 유지 위치에서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봇 아암(20)을 제안한다. 좁은 설치 공간에 대해 삽입된 음료수 용기 둘레에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유지 위치에서 변위성 아암(26)의 이동중에 측방으로 이동되는 유지 윙(60)을 더 제안한다.

Description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위치에 있는 유지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지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개방 위치에 있는 제1도의 유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개방 위치에 있는 제1도의 유지 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안으로 삽입되는 음료수용기(drinks container or can)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지 장치 12 : 하우징
20 : 피봇 아암 26 : 변위 아암
48 : 안내부 60 : 유지 윙
64 : 제어 리브 68 : 음료수 용기
본 발명은 대략 수평면 즉, 자동차의 중앙 제어판(contral console)에 오목들어가도록 장착되는 음료수 캔, 비커(beaker) 또는 컵등과 같은 음료수 용기(drinks container)용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형태의 간단한 유지 장치가 US-PS 4,583,707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음료수 용기의 삽입을 위한 개구를 갖는 수평 유지판을 갖는다. 이 유지판은 수직 방향으로 멀리 이동하도록 측방향으로 배열된 두개의 가위형 안내부(scissor guide)에 의해 베이스판상으로 안내되며, 그 각각은 서로 횡단하여 그 중심에서 서로 연결된 한쌍의 레버를 갖는다.
이 베이스판은 자동차의 수평면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음료수 용기의 삽입을 위해 대략 수평면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설치시 작은 공간만을 요구하는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는 음료수 용기가 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대향된 위치에 있는 두 아암을 갖는다. 두 아암은 서로 대향되게 놓여 있는 외주 부분상에서 음료수 용기 주위에 연결되어 음료수 용기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는 그 안으로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 보다 더 좁게 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그 외주의 충분히 큰 부분에 걸쳐 음료수 용기를 에워싸는 장점을 갖는다. 오목들어 가거나 또는 가로누운 위치에서, 상기 두유지 아암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가 제조되는 표면을 지나서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두 아암은 그 링키지(linkage)에 의해 서로 가압적으로 안내되므로, 이들은 항상 함께 이동한다. 서로 두 아암의 가압성 안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를 가져오기 위하여 상기 아암중 하나를 음료수 용기가 그 안으로 삽입되는 개방 위치 또는 설치면에서 오목 들어간 위치로 이동시키기 충분하며, 그 이유는 각각 다른 아암이 이동되는 아암과 항상 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두 아암은 수직하게 서있을 필요는 없다. 이들은 원추형 비커 형상으로 외향으로 경사지게 채용되거나 또는 내향으로 경사지게 채용된다. 연속해서 피봇 아암의 피봇각도는 각 경우에 90°이하이고, 이것은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를 경사면에 설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두 아암은 수직 위치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피봇 아암의 피봇 각도는 90°가 아니라 설치면의 경사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이다.
변위성 아암의 안내부가 직선적일 필요는 없고, 하기와 같이 곡선일 수도 있다. 곡선의 경우에, 안내부는 피봇 아암의 피봇축 방향으로 양호하게 구부러져 있다. 그러나 안내부 곡선의 중심점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심 영역에서 변위성 아암의 안내부는 피봇 아암의 피봇축에 접선적으로 이어지고, 따라서 유지 장치안으로 삽입되는 용기를 위해 수평 세팅-다운 면(setting-down place)으로부터 외향으로 피봇 아암 또는 피봇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어진다. 그 결과, 상기 안내부는 피봇 아암의 피봇축에 관해서 원형의 이론상원호 방향에서 그 중심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이 이에 의해 달성된다. 원형의 상기 원호로부터 안내부 단부의 환형 편차가 이 방법으로 작게 유지된다. 연속해서, 그 링키지에 의해 피봇 아암의 피봇팅중에 변위성 아암과 결합하는 힘은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작용한다. 안내부에 대한 횡방향으로 힘성분(force component)은 안내부 중심 영역에선 영(0; nil)이고, 안내부 단부에선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의 두 아암을 승강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이러한 방법에서 작게 유지되고, 특히 그 안내부에서 변위성 아암의 막힘이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를 가능한 좁게 만들고 또한 음료수 용기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외주의 충분히 넓은 부분에 걸쳐서 그 안으로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를 에워싸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의 변위성 아암은 상기 측면에 대해 피봇되게 배열된 두개의 유지 윙(wing; 날개)을 갖는다.
변위성 아암의 유지 장치에서, 이들은 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안으로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의 외주 방향에 대략 놓이도록 외향으로 피봇된다. 오목들어간 위치에서 외향으로 변위성 아암의 이동중에, 유지 아암이 내향으로 피봇되므로, 이들은 변위성 아암을 지나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변위성 아암과 함께 유지 장치가 장착되는 면의 개구내로 오목들어간다.
피봇 아웃(pivoting-out)은 각 유지 윙상에서 제어 돌출부에 의해 양호하게 실행되고, 변위성 아암이 유지 위치에서 상향으로 이동될 때 고정된 제어 리브에 대해 상승하여, 이에 의해 각 유지 윙을 외향으로 피봇시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윙의 하부 엣지부는 복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위성 아암의 하강중에, 이들은 고정된 보조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이에 의해 유지 윙을 내향으로 피봇시킨다. 두 아암의 오목들어가게될 개구의 측면 엣지는 보조면으로써 작용한다. 양호하게는, 복귀 면은 나선형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의 경사 설치 위치의 경우에 조차 삽입된 음료수 용기를 위한 수평 세팅-다운면을 가지기 위하여 상기 피봇 아암은 세팅-다운면을 갖는다. 이 세팅-다운 면은 피봇 아암과 함께 피봇된다. 피봇 아암이 직립일 때 그 수평 위치를 가정 하도록 상기 각도로 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피봇 아암과 그 세팅 다운 면은 양호하게 일체형(one-piece)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항상 수평인 세팅-다운 면을 갖는 다른 가능성은 상기 세팅 다운 면을 갖는 변위성 아암을 제공하므로써 구성된다. 이것은 변위성 아암을 갖는 일체형이다. 양 아암은 세팅-다운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의 개구는 피봇 아암과 결합하여 그 직립 위치에서 피봇 아암을 피봇시키는 스프링 소자에 의해 양호하게 실행된다. 변위성 아암에 대한 피봇 아암의 링키지에 의해, 상기 변위성 아암은 그 유지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유지 윙은 그 중심 돌출부 밖으로 피봇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의 피봇 아암은 공지된 바와 같이 하트형 곡선 제어부에 의해 가로누운 위치에 고정되게 배열되어 있다. 피봇 아암의 압력에 의해 피봇 아암은 고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는 그 스스로 유지 위치로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의 개방 운동은 댐핑 소자에 의해 실시예에서 댐프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폐쇄 위치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는 자동차의 대략 수평면에 즉, 중앙 제어판(central console)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이것은 사출 성형 부품으로 제조되는 하우징(12)을 갖고, 그중 두개의 사각형 측벽(14)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되어 있다. 두 측벽(14)은 단부벽(16)으로부터 대향 측면상에서 하우징(12)의 하측에 배열된 스트럿(strut; 18)과 단부벽(16)에 의해 연결된다. 스트럿(18)을 제외하고 상부 측면과, 단부벽(16)의 대향 측면 및 하측면은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의 기계적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전방 측벽이 절결되어서 유지 장치(10)의 내부 부분이 노출되어 있다.
유지 장치(10)가 폐쇄될 때 두 측벽(14) 사이에서 하우징(12)의 상부 엣지에 대해 놓여 있는 혀형 피봇 아암(tongue-shaped pivot arm; 20)이 하우징(12)에 장착되어 있다.
피봇 아암(20)은 측면에서 보아서 L 형상인 사출 성형 부품이다.
그 바닥에서, 이것과 수직하고 유지 장치(10)가 폐쇄될 때 하우징(12) 내측으로 연장하는 세팅-다운면(setting-down surface; 22)과 일체형으로 합체된다. 하우징(12)의 측벽(14)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측벽(22)은 세팅-다운면(22)에 일체식으로 인접한다. 하우징(12)의 측벽(14)에서 보어내에 결합되는 두 피봇 핀(24)에 의해 피봇 아암(20)은 하우징(12)상에 피봇적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의 하우징(12) 측벽(14)에서 피봇 아암(20)의 피봇핀(24)을 수용하기 위한 보어(bore)는 자유 전방 측면으로부터 그리고 하우징(12)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되어 있다.
피봇 아암(20) 아래에는 유지 장치(10)가 폐쇄될 때, 상향으로 변위되는 직립 허형 아암(26)이 있다. 상기 아암은 또한 측면에서 볼 때 L 형상인 사출 성형부품이다. 세팅-다운면(32)과 함께 일체형으로 그 상부 측면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측벽(30)과 베이스부(28)에서 일체형으로 합체된다. 이들 두 측벽(30)은 피봇 아암(20)의 측벽(22) 외측 평면에서 하우징(12)의 측벽(14)내에 배열된다. 베이스부(28)의 두 측벽(30) 각각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된 안내 리브(guide ribe; 34)를 갖는다. 안내 리브는 하우징(12) 측벽(16)의 내부 측면상에서 성형되는 두 리브(38)로 형성된 직선 안내 홈(36)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이 안내부(34, 36)에 의해, 변위성 아암(26)은 상향으로 평행하게 변위되도록 하우징(12)에 유지된다.
변위성 아암(26)의 베이스부(28)의 측벽(30)은 피봇 아암(20)의 두 측벽(22')의 각각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피봇 아암(20)의 각 드라이버핀(42)에 결합하는 수평 직사각형홀(40)을 각각 갖는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를 개방하기 위해, 하우징(12)의 측벽(14)과 피봇 아암(20)의 측벽(22')이 결합하는 나선형 비틀림스프링(44)이 있다.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피봇 아암(20)은 직립 수직 위치에서 피봇되고 이에 의해 그 세팅-다운면은 수평 위치에서 피봇된다. 그 피봇 이동중에 피봇 아암(20)은 변위성 아암(26)의 직사각형 홀(40)에 연결되는 드라이버핀(42)에 의해 상향으로 변위성 아암(26)을 변위시킨다. 그런 다음 변위성 아암(26)은 하우징(12)으로부터 상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다. 그 세팅-다운면(23)은 하우징(12)의 상부 엣지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피봇 아암(20)은 세팅-다운면(23)과 함께 상향으로 하우징(12)이 폐쇄된다. 두 아암는 서로 대향하여 평행하게 놓여 있고, 이들간의 거리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에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안내홈(36)에 있는 단부 정지부(46)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의 아암(20, 26)의 개방 운동을 제한한다.
두 아암(20, 26)의 이동을 댐핑하기 위해 공지된 바와 같이 유체 회전 댐퍼(48)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후측벽(14)안으로 비회전적으로 삽입된다. 회전 운동시 댐핑되는 회전 댐퍼(48)의 치차(gearwheel; 50)는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되고 제1도에 도시되지 않은 피봇 아암(20)의 후측벽(22')의 외측에 장착된 치차 세그먼트(52)에 결합된다.
비틀림 스프링(44)력에 대향하여 페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를 유지하기 위하여, 록킹 장치는 하우징(12)의 측벽(14)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하트형 곡선부(54)를 가지며, 유지 장치(10)가 고정될 때 피봇 아암의 두 측벽(22)중 하나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록킹 핀(56)과 결합하며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2)의 두 측벽(14)과 연결되는 스트럿(18)에 대해 지지되는 굽힘 스프링(58)은 그 위치에 하트형 곡선부(54)를 탄성력으로 유지한다.
유지 장치(10)가 폐쇄될 때 가로누운 피봇 아암(20)상의 상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피봇 아암은 고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유지 장치(10)가 폐쇄될 때, 하우징(12)의 개방 전방 측면방향에서 하우징(12)의 측벽(14)내로 연장되는 두 유지 윙(60)이 변위성 아암(26)의 양 측면상에 장착되어 있다. 그 하단부에서 유지 윙(60)은 그 피봇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여 변위성 아암(26)의 상향 이동중에 하우징(12) 단부벽(16)의 상부 영역에서 내부측벽에 일체식으로 장착된 리브(64)에 대해 지지되는 제어 돌출부(62; 제2도 및 제4도)를 갖는다. 이들 리브(64)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동안, 유지 윙(60)은 이들이 본 발명에 따라 유지 장치(10)안으로 삽입되도록 음료수 용기의 대략 외주 방향에 놓이는 위치에서 외향으로 피봇된다.
피봇팅-인을 위해서, 유지 윙(60)의 하부 엣지부는 하우징(12)에서 하향으로 변위성 아암(26)의 이동동안 하우징(12) 측벽(14)의 상부 엣지에 대해 지지되는 복귀면(66)으로써 나선형적으로 구성되고, 이에 의해 하향 이동중에 내향으로 유지 윙(60)을 피봇시킨다.
제5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에는 음료수 용기로서 그 내에 삽입되는 음료수 캔(68)이 도시되어 있다.
유지 윙(60)을 갖는 변위성 아암(26)은 비교적 큰 각도로 음료수 캔(68)의 외주 부분에 둘레에 연결된다. 양 측면상에서, 피봇 아암(20)은 음료수 캔(68)을 유지한다. 이러한 목적에 대해, 음료수 캔(68) 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리브(70)가 상부 영역에 있다. 상기 리브(70)가 음료수 캔(68)에 대해 지지되는 고무형 피복재는 이들 리브(70)상에 장착된다.
특히 유지 윙(6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장치(10)의 구조 폭이 음료수 캔(68)의 직경중 대략 제3에 상당할지라도, 음료수 캔(68)은 이것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충분히 큰 외주 부분에 걸쳐 에워싸인다.

Claims (10)

  1. 음료수 용기(68)용 유지 장치(10)에 있어서, 가로누운 위치에서 직립 위치로 피봇될 수 있고 그 직립 위치에서 유지 장치(10)에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68)의 외주 부분을 에워싸는 피봇 아암(20)과, 오목들어간 위치에서 유지 위치로 변위될 수 있도록 안내부(46)로 안내되고 피봇 아암(20)에 대향되게 서 있으며 유지 장치(10)안으로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68) 외주의 대향부분을 에워싸는 변위성 아암(26)을 포함하고, 상기 두 아암(20, 26)은 직립 위치에서 피봇 운동중에 피봇 아암(20)이 변위성 아암(26)을 유지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성 아암(26)의 이동 통로의 대략 중심에서 변위성 아암(26)의 안내부는 피봇 아암(20)의 피봇축에 대해 접선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성 아암(26)은 유지 장치(10)에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68)의 대략 외주 방향에서 직립 위치에서 외향으로 피봇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윙(60)은 유지 위치내에서 변위성 아암(26)의 이동 운동중에 유지 장치(10)에 고정된 위치에서 제어 리브(64)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이에 의해 유지 윙(60)을 외향으로 피봇시키는 제어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윙(60)의 하부 엣지부는 오목들어간 위치에서 변위성 아암(26)의 이동중에 유지 장치(10)의 고정된 보조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의해 유지 윙(60)을 내향으로 피봇시키는 복귀면(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면(66)은 나선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아암(20)은 이와 함께 피봇되고 상기 유지 장치(10)에 삽입되어 음료수 용기(68)용 세팅-다운면(23)을 가지며, 이 세팅-다운면은 그 직립 위치에서 피봇 아암(20)의 피봇중에 수평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성 아암(26)은 유지 장치(10)에 삽입되는 음료수 용기(68)용 세팅-다운면(32)을 가지며, 이 세팅-다운면은 변위성 아암과 함께 이동하여 변위성 아암(26)의 수평 위치를 유지 위치로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 동되는 피봇 아암(20)은 그 직립 위치에서 피봇되고, 유지 장치(1)는 가로누운 위치로 피봇 아암(20)을 고정하는 로킹 장치(54, 5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두 아암(20, 26)의 피봇팅 또는 이동 운동을 댐핑하기 위해 댐핑 소자(4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KR1019960002492A 1995-03-04 1996-02-02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KR0166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7612.5 1995-03-04
DE19507612A DE19507612A1 (de) 1995-03-04 1995-03-04 Halter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888A KR960033888A (ko) 1996-10-22
KR0166461B1 true KR0166461B1 (ko) 1999-01-15

Family

ID=775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492A KR0166461B1 (ko) 1995-03-04 1996-02-02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97593A (ko)
EP (1) EP0730994B1 (ko)
JP (1) JP2656766B2 (ko)
KR (1) KR0166461B1 (ko)
DE (2) DE19507612A1 (ko)
ES (1) ES217498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0962B1 (en) 1995-08-29 2001-11-20 Kenneth D. Eisenbraun Electrically operated object cradle
DE19756908A1 (de) * 1997-12-19 1999-06-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Gegenstandes in einem Fahrzeug
DE29822972U1 (de) * 1998-12-28 1999-03-04 Sarnatech Paulmann & Crone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Getränkebehältern in Kraftfahrzeugen
DE10206163A1 (de) * 2002-02-15 2003-08-28 Opel Adam Ag Bedieneinrichtung für ein Element und Verwendung der Bedieneinrichtung
DE10231519A1 (de) * 2002-07-12 2004-01-22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20040188581A1 (en) * 2003-03-28 2004-09-30 Smith Daniel G. Console with adjustable holder
KR100535596B1 (ko) * 2003-10-02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식 컵지지대를 가지는 컵홀더
US20050205740A1 (en) * 2004-03-17 2005-09-22 Alan Sturt Adjustable beverage holder
JP4333499B2 (ja) * 2004-06-30 2009-09-16 豊田合成株式会社 容器ホルダ装置
US8049768B2 (en) * 2006-08-09 2011-11-01 Primera Technology, Inc. Disc output storage drawer for processor
JP2009040196A (ja) * 2007-08-08 2009-02-26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
US8573668B2 (en) * 2011-11-21 2013-1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ing storage tray system with locking trunnion
GB2553071B (en) * 2015-05-07 2018-08-22 Honda Motor Co Ltd Container holder
US9969312B2 (en) * 2016-09-21 2018-05-15 Honda Motor Co., Ltd. Container holder for motor vehicle
US10940785B2 (en) * 2018-07-31 2021-03-09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holding unit
WO2020154325A1 (en) 2019-01-22 2020-07-3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707A (en) * 1984-09-18 1986-04-22 Assembled Components Company, Inc. Storage holder for a container
DE9016071U1 (ko) * 1990-11-26 1991-03-07 Kloeckner-Humboldt-Deutz Ag, 5000 Koeln, De
DE4200823A1 (de) * 1992-01-15 1993-07-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Gefaesshalter
DE4224700A1 (de) * 1992-07-25 1994-01-27 Euwe Eugen Wexler Gmbh Haltevorrichtung für Getränkebehälter
US5280870A (en) * 1992-12-17 1994-01-25 International Ventures, Ltd. Collapsible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DE4306935C1 (de) * 1993-03-05 1994-07-07 Audi Ag Haltevorrichtung für ein Getränkebehältnis
DE9306415U1 (de) * 1993-04-28 1994-09-08 Paulmann & Cron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Getränkedosen
DE9308232U1 (de) * 1993-06-02 1993-09-02 Paulmann & Cron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Getränkedosen o.dgl. Behältnissen im Innenraum von Kraftfahrzeugen
DE4404078A1 (de) * 1994-02-09 1995-08-10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Halten von Getränkebehältern, Trinkgefäßen oder dergleichen
DE4429515C1 (de) * 1994-08-19 1995-11-16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Halten von zwei Getränkebehältnissen in der Mittelkonsole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0994A3 (de) 1998-06-10
DE19507612A1 (de) 1996-09-05
EP0730994B1 (de) 2002-05-08
JP2656766B2 (ja) 1997-09-24
US5697593A (en) 1997-12-16
DE59609175D1 (de) 2002-06-13
JPH08244513A (ja) 1996-09-24
ES2174983T3 (es) 2002-11-16
EP0730994A2 (de) 1996-09-11
KR960033888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461B1 (ko)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KR0166462B1 (ko) 음료수 용기용 유지 장치
KR0139849B1 (ko) 음료수 용기 홀더
KR101028221B1 (ko) 컵 홀더
KR100196259B1 (ko) 2개의 음료수 용기 홀더 장치
US6705580B1 (en)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KR20010020958A (ko) 음료 용기 고정 장치
US5628486A (en) Conceal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6685152B2 (en) Container holder
US5598999A (en)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US5820094A (en) Cup holding device with a guide for guiding cup holders
US5718405A (en) Cup holder
JP3887615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SK16795A3 (en) Device for holding of drinking containers, vessels for drinking
US7121517B2 (en) Cup holder assembly with sliding partial ring
US5163470A (en) Overfill preventing device in underground liquid storage tank
US6715727B2 (en) Container holder
US6234438B1 (en) Holding device for a drinks container in a motor vehicle
KR20000005869A (ko) 음료용기용홀더
KR20010050687A (ko) 음료 용기용 고정 장치
JP2004010040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部
EP3663130A1 (en) Drinking receptacle holder
KR100445177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100250918B1 (ko) 차량적재용 소품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