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570B1 -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570B1
KR0163570B1 KR1019950008813A KR19950008813A KR0163570B1 KR 0163570 B1 KR0163570 B1 KR 0163570B1 KR 1019950008813 A KR1019950008813 A KR 1019950008813A KR 19950008813 A KR19950008813 A KR 19950008813A KR 0163570 B1 KR0163570 B1 KR 016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light
lens
le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930A (ko
Inventor
김후식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50008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570B1/ko
Priority to JP8082611A priority patent/JPH09101495A/ja
Priority to US08/616,231 priority patent/US5662402A/en
Priority to DE19614379A priority patent/DE19614379A1/de
Priority to CA002174027A priority patent/CA2174027A1/en
Publication of KR96003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6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in conjunction with image converters or intensifiers, or for use with projectors, e.g. objectives for projection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Lens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일정한 광량의 점광원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광되는 점광원을 균일한 발산광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발산광을 평면광으로 반사시키는 평면 리플렉터와; 상기 평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에서 집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 데이타에 따라 회전시켜 투광시키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와; 상기 액정 판넬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로 이루어지는 착탈식 액정 판넬을 장착한 투영기는, 액정 투영기에 있어서 소형의 액정 판넬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주의의 조도가 밝은 경우에는 액정 TV에 상기 엑정 판넬을 장착하여 화상을 볼 수 있으며, 대형 스크린을 통하여 화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액정 투영기에 상기 액정 판넬을 장착하여 확대시켜 볼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제1도는 종래의 단판식 액정 투영기의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투영기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 구성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6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의 코마 수차도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구성도이고,
제8도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티브이의 정면도이고,
제9도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티브이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발명은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외부기기에서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판넬을 착탈 가능한 소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소형으로 구성된 액정 판넬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대시켜 결상하는 광학계를 구성하여 휴대 가능한 착탈식 액정 판넬을 장착한 투영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판넬은 TFT(Thin Film Transistor) 공정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정세화, 대형화가 이루어져서 현재 본격적인 액정 티브이(TV)(이하, 액정 TV라 명명함)의 실용화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대형 판넬을 제작하는 것은 반도체 공정상의 문제로 인하여 소형 고정세 판넬을 제작하는 것에 비하여 기술적으로도 어려우며 가격 또한 비싸다.
따라서, 40 인치 이상의 액정 TV는 소형 판넬을 광학적으로 투영시켜 확대시키는 방식이 유리하다. 실제 시장에서도 컴퓨터 모니터나 휴대용 티브이 등에는 대형 직시형 액정 판넬을 사용한다.
첨부한 제1도는 종래의 단판식 액정 투영기의 구성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단판식 액정 투영기의 구성은, 아크 램프(1)와, 리플렉터(reflecter)(2)와, 적외광 필터(3)와, 제1 편광판(4)과, 액정 판넬(5)과, 제2 편광판(6)과, 결상 렌즈계(7)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부로 부터 액정 판넬(5)상으로 도시하고자 하는 화면을 전송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아크 램프(1)에서 발광된 자연색에 가까운 조명광은 리플렉터(2)를 통하여 평행광으로 반사되어 액정 판넬(5)로 입사된다.
상기 리플렉터(2)로부터 입사되는 조명광은 적외광 필터(3)를 통하여 조명광의 스펙트럼 성분 중에서 액정 판넬을 악화시키는 적외선 및 자외선 성분을 필터링된 다음, 다시 제1 편광판(4)을 통하여 직선 편광만 통과되어 액정 판넬(5)상으로 조사된다.
상기 조명광이 액정판넬(5)상으로 조사됨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신호 처리부로 부터 전송되는 각 화소의 구동 신호 따라, 입사되는 직선 편광은 회전되어 출력된다.
상기 액정 판넬(5)을 통과한 광은 제2 편광판(6)에 의하여 액정 판넬에서 회전된 편광과의 위상차에 따라 투과도가 달라져서 각 화소의 컨트라스트(contrast)가 발생된 다음, 결상 광학계(7)를 통하여 확대되어 스크린(8)상에 결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 투영기는 주위의 조도가 밝은 장소에서는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화상을 구별하기가 힘이 든다. 다시 말하자면, 스크린 상에 투영되는 화상은 적(R), 녹(G), 청(B)의 화소로 구성되며, 각 화소의 명암에 따라 화상의 계조 즉, 컨트라스트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위의 조도가 어두운 상태 즉, 주면 밝기가 0인 상태에서 각 화소의 명암인 S1=10, S2=20, S3=30, S4=40, S5=50이라고 할 때, 주위의 밝기가 100인 경우에 각 화소가 S1'=110, S2'=120, S3'=130, S4'=140, S5'=150으로 가변되다.
상기에서, 주위가 조도가 어두운 경우 각 화소 S1∼S5가 같은 스크린 상에서는 최고 S5:S1=5:1의 컨트라스트를 얻는다. 그러나, 주위의 조도가 밝은 경우에는 최고 S5':S1'=1.36:1의 낮은 컨트라스트를 얻게 된다.
따라서, 주위의 조도가 너무 밝은 경우에는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상의 컨트라스트가 악화되어 투영되는 화상을 구별하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투영되는 화상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더 밝은 광원을 조사하여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증가하고, 방출되는 열의 증가에 의하여 기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기기에서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판넬을 착탈 가능한 소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소형으로 구성된 액정 판넬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대시켜 결상하는 광학계를 구성하여 휴대 가능한 착탈식 액정 판넬을 장착한 투영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일정한 광량의 점광원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광되는 점광원을 균일한 발산광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발산광을 평면광으로 반사시키는 평면 리플렉터와;
상기 평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에서 집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 데이타에 따라 회전시켜 투광시키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와;
상기 액정 판넬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일정한 광량의 점광원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광되는 점광원을 균일한 발산광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발산광을 평면광으로 반사시키는 평면 리플렉터와;
상기 평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에서 집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 데이타에 따라 회전시켜 투광시키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와;
상기 액정 판넬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와;
상기 액정 판넬부와 결상 광학계 사이에 장착되어 광학계의 전체 거리를 단축시키는 제1 미러와 제2 미러로 이루어 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투영기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 구성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6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 렌즈의 코마 수차도이다.
첨부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구성은, 아크 램프(1)와, 상기 아크 램프(1)에서 발광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와, 상기 리플렉터(2)에서 반사되는 광을 평면광으로 반사시키는 평면 리플렉터(30)와, 상기 평면 리플렉터(30)에서 입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는 프레넬(fresnel) 렌즈(40)와, 상기 프레넬 렌즈(40)에서 집광되는 빛을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 데이타에 따라 회전시켜 투광시키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50)와, 상기 액정 판넬부(50)에서 출력되는 광을 확대하여 결상시키는 결상계(60)로 이루어진다.
첨부한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와 같은 컴팩트한 액정 투영기의 구성을 위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상계(60)의 구성은, 상측면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611)와, 양측이 오목하고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612)와, 액정판넬부(50)측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613)로 이루어진 제1렌즈군(61)과, 상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meniscus) 타입의 렌즈로 구성된 제2렌즈군(62)과, 액정 판넬부(50)측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타입의 비구면 렌즈로 구성된 제3 렌즈군(63)과, 프레넬 렌즈로 구성된 제4렌즈군(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결상계(60)의 제1렌즈군은 정, 부, 정의 3군 3매의 렌즈로 구성된 트리플리트 타입 렌즈(triplet type lens)로 이루어져, 상기 액정 판넬부(50)에서 인가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주결상 렌즈군이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50)는 종래와 동일하게 프레넬 렌즈(40)에서 집광되어 입사되는 빛의 직선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제1 편광판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에 해당하는 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 편광판에서 출력되는 빛을 회전시켜 출력하는 액정판넬과, 상기 액정 판넬에서 회전된 편광과의 위상차에 따라 투과도가 달라져서 각 화소의 컨트라스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제2편광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액정 TV는 소형 경량으로 전력 소모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액정 프로젝트는 투사 효율이 낮아서 밝은 화면을 얻기 위해서는 강력한 조명광이 요구되어 전력 소모가 크고 방열을 위한 각종 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져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정 TV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장착한 상태로서 휴대 가능하게 액정 판넬 장착하여 세트(set)를 구성하고, 스크린에 투영하여 대형 화면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정 판넬을 착탈하여 액정 프로젝트에 장착한 다음 램프의 광원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영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액정 판넬의 크기에 비례하여 투영기의 크기가 커져 휴대하기가 어려우므로, 액정 판넬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확대시켜 조사하기 위한 결상 광학계를 구성하여 액정 프로젝트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정 투영기를 통하여 스크린에 화면을 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아크 램프(1)에서 발광된 광이 리플렉터(2)를 통하여 반사되어 균일하게 확산되는 광으로 변환되어 평면 리플렉터(30)로 입사된다.
상기 평면 리플렉터(30)는 리플렉터(2)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평면광으로 변환시켜 프레넬 렌즈(40)로 반사시킨다. 상기 프레넬 렌즈(40)는 평면 리플렉터(30)에서 입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여 액정 판넬부(50)로 수직하게 입사시킨다.
상기에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넬렌즈(40)를 사용하지 않고 리플렉터30)만으로 광을 평행광으로 전환시키려면, 액정 판넬부(50)의 유효 화면보다 큰 리플렉터(30)의 유효경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5인치 액정 판넬의 경우, 상기 액정 판넬로 발광되어 입사되는 조명을 입사시키기 위해서는 5인치 이상의 직영의 리플렉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시키기 위하여,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프레넬 렌즈를 이용하여 발광되는 조명을 액정 판넬부(50)로 입사시킨다.
상기 액정 판넬부(50)로 입사된 광은 도시하지 않은 제1 편광판을 통하여 직선 편광만이 통과된 다음, 신호 처리부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액정 판넬의 각 화소의 작동에 따라 액정 판넬을 통과하나 다음 제2 편광판을 통하여 일정한 컨트라스트를 가지는 광으로 변환되어 결상계(60)로 입사된다.
상기 결상계(60)는 입사되는 광을 확대시켜 도시하지 않은 스크린 상으로 투영시킨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정 판넬부(50)는 약 10.4 인치의 소형 판넬로 구성되며, 상기 결상계(60)에 의하여 상기 액정 판넬부(50)에 의한 상의 크기가 약 159㎜인 경우에 2020㎜ 떨어진 물체 거리에 1150㎜의 투영상이 투영된다.
상기의 결상계(6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액정 판넬부(50)에서 수직에 가깝게 출력되는 광은 결상계(60)의 프레넬 렌즈(64)를 통하여 비구면 렌즈(63)를 통하여 주결상 렌즈계인 제1 렌즈군(61)으로 입사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넬 렌즈(64)는 광학계 전체의 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전체 광학계 초점 거리의 3배 이내의 짧은 초점 거리를 갖는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 전체의 초점 거리는 254.956㎜이고, 상기 프레넬 렌즈(64)의 초점 거리는 676.59㎜이다.
상기에서 프레넬 렌즈(64)를 장착한 이유는 렌즈의 위치상 구경이 크고 굴절력이 높은 렌즈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유리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렌즈의 두께가 두껍고 크기가 크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광학계의 크기가 증가하고 가격이 증가하므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투영기의 구현을 위하여 프레넬 렌즈(64)를 장착한다.
상기에서 프레넬 렌즈(64)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결상 성능과 기능의 최적화를 위한 비구면 렌즈인 제3 렌즈군(63)을 통하여, 제2 렌즈군(62)으로 입사되어 수차가 보정된 다음 제1 렌즈군(61)으로 입사되어 도시하지 않은 스크린에 결상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렌즈군(62)은 음의 비점 수차를 가지므로 전체 광학계의 일부 비점 수차의 불균형을 보정하며, 동시에 양의 왜곡 수차를 가지므로 제3렌즈군(63)에서 발생한 왜곡 수차 계수를 일부 보정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의 실시예값은 다음 표1과 같다.
상기의 제9 렌즈면과 제11 렌즈면은 비구면이고, 비구면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며 이에 따른 비구면 계수는 다음 표2와 같다.
다음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을 장착한 투영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을 장착한 투영기의 구성도이다.
첨부한 제7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을 장착한 투영기의 구성은, 아크 램프(1)와, 상기 아크 램프(1)에서 발광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와, 상기 리플렉터(2)에서 반사되는 광을 평면광으로 반사시키는 평면 리플렉터(30)와, 상기 평면 리플렉터(30)에서 입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40)와, 상기 프레넬 렌즈(40)에서 집광되는 빛을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 데이타에 따라 회전시켜 투광시키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50)와, 상기 액정 판넬부(50)에서 출력되는 광을 확대하여 결상시키는 결상계(60)와, 상기 결상계(60)와 액정 판넬부(50) 사이에 장착된 제1 미러(70)와, 제2 미러(8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상계(6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액정 판넬보다 큰 액정 판넬을 사용하는 경우에 광학계 길이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상계(60)의 제4 렌즈군(64)과 제3 렌즈군(63) 사이에 제1미러(70)와, 제2 미러(80)를 장착한다.
상기 액정 판넬부(50)에서 프레넬 렌즈(64)로 수직으로 입사한 광은 제1 미러(70)를 통하여 반사된 다음, 다시 제2 미러(80)를 통하여 반사된 다음 결상계(60)의 제3 렌즈군(63)으로 입사되어, 제1 렌즈군(61)을 통하여 결상되어 스크린에 화면이 투영된다.
다음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TV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8도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TV의 정면도이고,
제9도는 이 발명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TV의 측면도이다.
첨부한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액정 TV의 구성은, 백 라이트(90)와, 상기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93)와, 리모콘 수광부(91)와,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92)와, 상기 신호 처리부(92)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타에 따라 작동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판넬부(50)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정 TV의 리모컨 수광부(91)는, 액정 TV의 전면과 밑바닥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정 TV는 일반적인 액정 TV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며, 단지 액정 판넬부(50)가 장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다시 말하자면, 주위의 조도가 너무 밝은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하던 액정 판넬부(50)를 탈착하여 상기 액정 TV에 장착한 다음, 백라이트(90)의 조명을 이용하여 액정 TV 화면을 통하여 원하는 화상을 보는 것이다.
또한, 대형 화면으로 원하는 화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정 판넬부(50)를 탈착하여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영기에 장착하여 스크린에 화상을 확대시켜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액정 투영기에 있어서 소형의 액정 판넬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주위의 조도가 밝은 경우에는 액정 TV에 상기 액정 판넬을 장착하여 화상을 볼 수 있으며, 대형 스크린을 통하여 화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액정 투영기에 상기 액정 판넬을 장착하여 확대시켜 볼 수 있다.
또한, 상시 소형 액정 판넬을 장착한 투영기의 결상 광학계를 프레넬 렌즈를 사용하므로써, 소형 경량의 액정 투영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상 광학계의 주결상 렌즈와 프레넬 렌즈 사이에 비구면 렌즈를 장착하여, 렌즈의 결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일정한 광량의 점광원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광되는 점광원을 균일한 발산광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발산광을 평면광으로 반사시키는 평면 리플렉터와; 상기 평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에서 집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 데이타에 따라 회전시켜 투광시키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와; 상기 액정 판넬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상 광학계는, 상기 액정 판넬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수차를 보정하는 보정 렌즈군과; 상기 보정 렌즈군에서 보정되어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주결상 렌즈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결상 렌즈군은, 상측면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와; 양측이 오목하고 부의 굴적력을 가지는 제2렌즈와; 액정 판넬부측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로 이루어진 트리플리트 타입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정 렌즈군은, 상측면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타입의 렌즈로 구성된 제2 렌즈군과; 액정 판넬부측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타입의 비구면 렌즈로 구성된 제3 렌즈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넬 렌즈는, 전체 결상 광학계의 초점 거리의 3배 이내의 초점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정 판넬부는, 상기 프레넬 렌즈에서 집광되어 입사되는 빛의 직선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제1 편광판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에 해당하는 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 편광판에서 출력되는 빛을 회전시켜 출력하는 액정판넬과; 상기 액정 판넬에서 회전된 편광과의 위상차에 따라 투과도가 달라져서 각 화소의 컨트라스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제2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7. 일정한 광량의 점광원을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서 발광되는 점광원을 균일한 발산광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발산광을 평면광으로 반사시키는 평면 리플렉터와; 상기 평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는 평면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에서 집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 데이타에 따라 회전시켜 투광시키며, 착탈 가능한 액정 판넬부와; 상기 액정 판넬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광학계와; 상기 액정 판넬부와 결상 광학계 사이에 정착되어 광학계의 전체 거리를 단축시키는 제1 미러와, 제2 미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상 광학계는, 상기 액정 판넬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와; 상기 프레넬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수차를 보정하는 보정 렌즈군과; 상기 보정 렌즈군에서 보정되어 입사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주결상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미러와 제2 미러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프레넬 렌즈와 보정 렌즈군 사이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보정 렌즈군으로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KR1019950008813A 1995-04-14 1995-04-14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KR016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813A KR0163570B1 (ko) 1995-04-14 1995-04-14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JP8082611A JPH09101495A (ja) 1995-04-14 1996-04-04 着脱式液晶パネル付投影機
US08/616,231 US5662402A (en) 1995-04-14 1996-04-11 Projector with detachable liquid crystal panel
DE19614379A DE19614379A1 (de) 1995-04-14 1996-04-11 Projektor mit abnehmbarer Flüssigkristallanzeige
CA002174027A CA2174027A1 (en) 1995-04-14 1996-04-12 Projector with detachable liquid crystal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813A KR0163570B1 (ko) 1995-04-14 1995-04-14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930A KR960039930A (ko) 1996-11-25
KR0163570B1 true KR0163570B1 (ko) 1999-01-15

Family

ID=1941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813A KR0163570B1 (ko) 1995-04-14 1995-04-14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62402A (ko)
JP (1) JPH09101495A (ko)
KR (1) KR0163570B1 (ko)
CA (1) CA2174027A1 (ko)
DE (1) DE19614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1187B1 (en) 1992-02-20 2003-01-28 Kopin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matrix display system
JPH10161237A (ja) * 1996-10-04 1998-06-19 Canon Inc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GB9710909D0 (en) * 1997-05-27 1997-07-23 Digital Projection Ltd Projection system and light source for use in a projection system
JP3269494B2 (ja) 1998-12-21 2002-03-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投写型表示装置
DE29911120U1 (de) * 1999-06-25 1999-09-23 Chen Hilbert LCD-einsteckbarer Projektor
US20040036791A1 (en) * 2002-08-23 2004-02-26 Voss James S. Disposable digital electronic devices having detachable and powered liquid crystal display
TW200641509A (en) * 2005-05-19 2006-12-01 Coretronic Corp Auxiliary device suitable for realizing reciprocally modularization with projection apparatus
GB2429538A (en) * 2005-08-24 2007-02-28 Sharp Kk Proctor arrangeme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329191U (en) * 2007-07-27 2008-03-21 Tirid Tech Co Ltd Projector with image capturing ability
CN102778808A (zh) * 2012-08-16 2012-11-14 哈尔滨固泰电子有限责任公司 Led高清数字放映机及放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7510A (en) * 1987-04-30 1993-02-16 Nview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for projection systems
US5376979A (en) * 1990-12-31 1994-12-27 Kopin Corporation Slide projector mountable light valve display
US5396304A (en) * 1990-12-31 1995-03-07 Kopin Corporation Slide projector mountable light valve display
DE4201176A1 (de) * 1992-01-17 1993-07-22 Kodak Ag Fernbedienbarer diaprojektor
US5537171A (en) * 1992-03-13 1996-07-16 Hitachi, Ltd. Liquid crystal projection display
US5400095A (en) * 1993-05-11 1995-03-21 Proxima Corporation Display proj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 optical input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930A (ko) 1996-11-25
DE19614379A1 (de) 1996-10-17
JPH09101495A (ja) 1997-04-15
CA2174027A1 (en) 1996-10-15
US5662402A (en) 1997-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097B2 (en) Display apparatus and projection type lighting apparatus therefor
JP3429291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のプロジェクションレンズ
US6680762B2 (en) Proj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herein overall focal point of the lens is shifted to increase effective aperture ratio
US20070229718A1 (en) System for Using Larger Arc Lamps with Smaller Imagers
KR0163570B1 (ko) 착탈식 액정 판넬이 장착된 투영기
US20100103380A1 (en) Critical abbe illumination configuration
JP2002303931A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US6095654A (en)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JPH11271668A (ja) 照明光学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H08129155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H1114831A (ja) 偏光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照明装置並びに投写型表示装置
JP2877620B2 (ja) 液晶投射型表示装置
JP2879554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H06317800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射装置
KR100359728B1 (ko)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 장치
JP4771534B2 (ja) 投写型表示装置
TWI223124B (en) Light source module
JP2000098488A (ja) 照明光学装置
KR100482318B1 (ko) 후면 투사장치의 컬러 스크롤링 장치
JP2947214B2 (ja) 液晶投射ディスプレイ
KR0170645B1 (ko) 액정 투사장치
JP2768345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
KR200159878Y1 (ko) 카메라의 파인더 액정표시장치
KR0178747B1 (ko) 고광량 1판넬방식의 액정프로젝터
CN101034211A (zh) 三镜头透射式液晶板投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