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051B1 - 물품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물품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051B1
KR0163051B1 KR1019910006420A KR910006420A KR0163051B1 KR 0163051 B1 KR0163051 B1 KR 0163051B1 KR 1019910006420 A KR1019910006420 A KR 1019910006420A KR 910006420 A KR910006420 A KR 910006420A KR 0163051 B1 KR0163051 B1 KR 016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erial
conveyor
article
sheet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618A (ko
Inventor
야스히로 세키네
Original Assignee
야스히로 세키네
도오고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히로 세키네, 도오고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히로 세키네
Priority to KR101991000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051B1/ko
Publication of KR92001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발명은 강판적층품 등의 직방체형상의 물품을 자동적으로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례, 장척으로 절단하여 수평으로 쌓는 강판의 적층품을, 방청등의 목적으로 포장지로 싸는 경우는, 정판등의 위에 펼친 포장지 위에 적층품을 올려놓고, 수작업에 의하여 포장을 행하고 있었으므로 극히 비능률적이었다.
특히 적층품의 전후, 좌우 상하의 6면을 포장지로 포장하는 경우는, 작업범위가 커서 한사람의 작업으로는 곤란하였다.
본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물품의 포장을 자동적으로 능률좋게 행할 수 있고, 성력화를 달성할 수 있는 물품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주요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 기재의 내용과 같다.

Description

물품포장장치
제1도 내지 제14도는 본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물품포장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제3도는 B-B선 단면도.
제4도는 C-C선 단면도.
제5도는 D-D선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장치의 요부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콘베이어부분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E-E선 단면도.
제9도 A-J는 시이트재 물품에의 포장동작을 표시하는 계략측면도.
제10도(a)-(c)는 시이트재의 상하방향 절곡을 표시하는 계략단면도.
제11도는 같은 절곡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사시도.
제12도(a)-(c)는 시이트재의 상하방향의 절곡 및 되돌림동작을 표시하는 계략단면도.
제13도는 동요부사시도.
제14도는 포장제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품포장장치 3 : 시이트재
3A : 로울 5 : 로울브라켓
10 : 콘베이어 12a,12b : 슬래트콘베이어
13 : 프리로울러콘베이어 30 : 시이트재 권취장치
31 : 권취로울러 32 : 로울러구동기
33 : 구멍 40 : 시이트재 인상장치
41 : 메인바아 42 : 보조바아
43 : 바아구동기구 45 : 에어실린더
46 : 에어실린더 47 : 아암
48 : 에어실린더 49 : 연결재
50 : 구멍 51 : 에어취출구멍
60 : 시이트재캇터 64 : 체인
65 : 절단날 66 : 모우터
71 : 구동로울러(시이트재구동부재) 72 : 열접착용히이터
73 : 프리로울러(시이트재압압부재) 80 : 절입로울(시이트재절입부재)
81 : 아암 83 : 구동기
84 : 회전축 90 : 시이트재절곡장치
91a,91b : 절곡판 94 : 안내간
95 : 부시 96 : 이동프레임구동기구
100 : 에어실린더 108 : 에어실린더
120 : 시이트재 되젖힘장치: 122 : 지축
123 : 통체 125 : 아암
126 : 지간 127 : 압압용시이트
128 : 권입부세장치 136 : 베벨기어
137 : 에어실린더(요동구동기) 138 : 랙피니온기구
139 : 구동축 140 : 베벨기어
150a,150b : 자동점착테이프첩부기 153 : 점착테이프
154 : 승강체 156 : 에어실린더
본발명은 강판적층품 등의 직사각체형상의 물품을 자동적으로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규격치수로 절단하여 수평으로 쌓은 강판의 적층품을, 방청 등의 목적으로 포장지로 포장하는 경우는, 정반등의 위에 펼친 포장지 위에 적층품을 올려놓고, 수작업에 의하여 포장을 행하므로써 사람의 손을 요하는 극히 비능률적인 것이었다.
특히 적층품의 전후, 좌우, 상면과 바닥의 6면을 포장지로 싸는 경우는 작업범위가 넓어져 한사람의 작업으로는 곤란하였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물품의 포장을 자동적으로 능률 좋게 행할 수 있고, 성력화를 달성할 수 있는 물품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의 물품포장장치는 반송면(搬送面)이 대략 수평인 콘베이어와 콘베이어 후방에 설치되어 열접착성을 보유하는 시이트재의 로울을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로울브라켓과 콘베이어의 입구부 상부에 설치되어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선 주위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시이트재 흡착용 구멍을 비치하고 진공펌프에 접속된 권취로울러와, 권취 로울러를 시이트재 권취방향으로 구동하는 로울러구동기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재 권취장치와,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연장한 외주면에 시이트재 흡착용 구멍을 구비하며, 진공펌프에 접속된 메인바아와, 메인바아와 평행으로 에어취출구멍을 구비하고 에어공급원에 접속된 보조바아와, 상기한 메인바아와 보조바아를 콘베이어의 후단과 시이트재의 로울 사이의 하강위치와, 상기한 권취로울에 접근한 상승위치와, 그 상승위치로부터 하강한 중간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바아구동기구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재 인상장치와, 상기한 권취로울러와 상승위치에 있어서의 메인바아 사이에 있어서 시이트재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구비한 시이트재캇터와, 시이트재 캇터의 앞쪽에 있어서 승강구동되고, 하강위치에서 콘베이어상의 물품위 시이트재를 앞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한 시이트재구동부재와, 시이트재구동부재의 앞쪽에 있어서 승강구동되고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열접착용 히이터와, 열접착용 히이터의 앞쪽에 있어서 승강구동되는 시이트압압부재와, 콘베이어 축방향에 배치되어 구동기에 의하여 연직축선의 주위로 회전구동되는 아암에 설치한 시이트재 절입부재와, 콘베이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 상부에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지된 한쌍의 이동프레임과 상기한 이동프레임을 접근이간 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동 프레임 구동기구와, 콘베이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이동프레임에 승강자재하게 지지되어 승강구동기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단면 L자 형상의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시이트재 절곡장치와, 콘베이어의 축방향에 있어서 콘베이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둘레로 회전자재한 통체와, 요동구동기에 의하여 축선의 둘레로 요동구동되는 아암의 선단에 고착되어 상기한 통체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지간과, 통체에 감기어 단부가 지간에 고정된 굽힘가능재료로 만든 압압용 시이트와 통체를 압압용시이트 권입방향으로 부세하는 권입부세장치로 이루어진 시이트재 되젖힘 장치와 상기한 절곡판의앞쪽에 있어서 이동프레임에 승강자재하게 지지되어 승강구동기에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자동점착테이프첩부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물품포장장치이다.
본발명에 있어서, 앞쪽이라 함은, 콘베이어의 진행방향축을 지칭하고, 뒷쪽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 축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물품포장장치에 있어서는, 열접착성을 보유하는 시이트재의 로울을 로울브라켓에 의하여 지지시키고, 이 시이트재의 일부를 인출하여 시이트재 권취장치의 권취로울러에 소정길이 만큼 권취하고, 또, 메인바아와 보조바아는 하강위치에 둔다.
포장대상인 물품은 후속의 다른 콘베이어에 의하여 반송하고, 본발명의 콘베이어를 상기한 다른 콘베이어와 등속으로 운전하여 본발명의 콘베이어상에 옮겨실으면, 물품의 전단면이 상하방항으로 장설된 시이트재를 밀어, 물품은 시이트재와 함께 콘베이어 위를 진행하고, 이에 따라서 로울러에서 되감겨진 시이트재가 물품과 콘베이어 상면 사이에 끼워져 권취로울러로부터 되감겨진 시이트재가 물품의 상면을 피복하여 간다.
시이트재 압압부재는 물품 상면의 시이트재를 압압하여 느슨함을 방지한다. 또, 물품의 좌우로펼쳐진 시이트재의 펼쳐진 부분 중, 물품의 전단면에 따라서 굴곡한 전단부는 시이트재 절입부재가 압압하여 물품의 측면에 따르도록 절곡한다. 물품이 전진하여 권취로울러에 권취한 시이트재가 전량 되감겨서 물품상면의 후단부 부근까지를 피복하면 콘베이어가 정지하고, 바아 구동기에 의하여, 메인바아와 보조바아는 상승위치로 이동하여 물품하면과 로울러 사이에 장출(張出)된 상태의 시이트재를 밀어올려서 권취로울러의 하면에 압압하고 메인바아와 권취로울러 내의 진공감압에 의하여 시이트재를 흡착한 상태에서 시이트재 캇터의 절단날이 시이트재를 절단한다.
다음에 권취로울러는 시이트재의 소정량의권취를 행하여 다음 물품의 포장에 대비함과 아울러, 메인바아와, 보조바아는 중간위치까지 하강하고, 보조바아의 에어취출구로부터 에어에의하여 시이트재를 전방으로 부세하면서 메인바아에 의한 흡착을 해제하면 시이트재는 낙하하여 앞서 물품상면을 덮고있던 시이트재 후단부에 포개지므로, 시이트재 구동부재에 의하여 느슨해진 부분을 없앤 후, 이 포개진 부분을 열접착용 히터에 의하여 열시일 한다.
다음에, 콘베이어에 의하여 물품을 이동하고, 시이트재 절입부재를 연직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물품의 후단면으로부터 좌우로 장출한 시이트재의 후단부를 물품의 측면에 다르도록 절곡한 뒤에 시이트재 절곡장치의 절곡판 하방에 물품을 정지시킨다.
이 물품에 대하여 하강구동 되어 물품측방향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된 절곡판에 의하여 시이트재에 상측장출부분을 하방으로 절곡 후, 시이트재 절첩반복장치의 아암 및 지간의 물품측면에 향하는 방향으로의 요동구동에 의해 압압용시이트가 시이트재의 하측장출부분을, 절곡판을 중간에 개재하여 물품의 측면과 상면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절첩반복한다.
이상태로 콘베이어를 구동하면, 시이트재의 장출부분은 절곡 및 절첩반복 상태를 유지하면서 절곡판과 압압용시이트 사이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오므로써 자동점착테이프 첩부기는 시이트재의 상면과 하측 장출부분의 절첩반복 선단부의 중합부(포개진 부분)에 점착테이프를 첩부하는 것으로 포장이 완료한다.
[실시예]
이하, 제1도 내지 제14도에 의하여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중 1은 물품포장장치로, 포장대상인 강판의 적층품으로 된 물품(2)을 한쪽면이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 크라프트지로된 시이트재(3)에 의하여 포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시이트제(3)로서는 물품(2)의 폭(W)(제3도 참조)에 물품두께(H)의 약 2배, 및 포장상태로 상면에 포개지는 되젖힘편부(175)(제13도 참조) 폭의 약2배를 추가한 광폭의 것을 사용한다.
물품(2)은 후단측 로울러 콘베이어(4)에 의하여 반송되어와서 콘베이어(10)상에 반송되면서 포장되도록 되어 있다.
5는 콘베이어(10)의 후방에서 로울러 콘베이어(4)의 하방에 설치한 로울브라켓으로서, 시이트재(3)의 로울(3A)을 지축(6)의 둘레에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브라켓(7)를 기초위에 고정설치한 기대(8) 위에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9는 기초위에 고정설치한 프레임이고, 지주(9A)상부에 대들보재, 연재 등을 프레임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콘베이어(10)는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2조의 체인(11)에 슬래트(11A)를 부착한 슬래트 콘베이어(12a)(12b)에 의하여 물품(2)의 양측단부 부근을 지지하면서 반송하고, 물품(2)의 중앙부 부근을 프리로울러 콘베이어(13)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2)의 폭에 따라서 양 슬래트 콘베이어(12a)(12b)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콘베이어의 프레임(14a)(14b)은 콘베이어(10)의 폭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즉, 프레임(14)의 체인구동측단부는 대차(15a)(15b)에 설치되고 체인 종동측단부는 대차(16a)(16b)에 설치되며 중앙부 부근은 대차(17a)(17b)에 각각 설치되고, 각 대차는 레일(18)(19)(20) 위를 콘베이어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11) 구동용 구동스프로켓(21)은 대차(15) (대차 15a 및 15b의 총칭, 이하 동일하게 총칭한다) 위에 축지지되고, 종동스프로켓(22)은 대차(16)위에 각각 축지지되며, 구동스프로켓(21)은 대차에 부착한 감속전동기(23)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있다.
또, 24는 콘베이어폭 조정장치로, 모우터(25)로 구동되는 기어박스(26A)를 통하여 회전구동되는 나사봉(27A)과 또한 연결간(27C) 및 기어박스(26B)를 개재하여 나사봉(27A)과 동기회전구동되는 나사봉(27B)을 보유하고 양 나사봉(27A)(27B)에 설치한 우나사부 (28a)를 프레임(14a)에 고착한 너트(29a)에 동일하게 좌나사부(28b)를 프레임(14b)에 고착한 너트(29b)에 각각 나사조합시키고, 양프레임(14a)(14b)을 상호접근 혹은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슬래트콘베이어(12a)(12b)를 동기시키기 위하여 양 콘베이어의 전종동(全從動)스프로켓(22)의 회전축은 도시하지 아니한 스프라인을 이용한 동기회전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 6도에 있어서 30은 콘베이어(10)의 입구부상방에 설치한 시이트재 권취장치로서 프레임(9)에 고착설치한 아암(9B)에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중공의 권취로룰러(31)를 주요구성부재로 한다. 32는 펄스모우터로 된 로울러 구동기로, 권취로울러(31)에 접속되고, 그 로울러를 화살표(P)로 표시하는 권취방향으로 소정회전수 만큼 회전구동하는 것이다.
권위로울러(31)의 외주면에는 시이트재 흡착용 구멍(33)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이 권취로울러(31)의 축단은 회전조인트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진공폄프에 접속되어 있다.
또, 40은 시이트재 인상장치로, 중공의 메인바아(41)와, 이에 평행한 중공의 보조바아(42)를 시이트재(3)와의 계합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43은 바아구동기구로, 콘베이어(10)의 양축에 있어서 기대(8) 위에 베어링(44)에 의하여 화살표(R) 방향으로 요동(기복) 자재하게 지지된 1쌍의 에어실린더(45)를 각각 별개의 에어실린더(46)에 의하여 요동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메인바아(41)는 에어실린더(45)의 피스턴로드 선단부에 고정되고, 메인바아(41)의 양단부에 요동자재하게 지지된 아암(47)(47)에 보조바아(42)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48은 아암요동구동용 에어실린더로, 에어실린더(45)의 피스턴롯드에 고정한 연결재(49)에 실린더부가 연결되고 아암(47)에 피스턴롯드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메인바아(41)의 외주면에는 시이트재 흡착용 구멍(50)이 복수개 천설되고 보조바아(42)의 이주면에는 에어취출구멍(51)이 복수개 천설되며, 메인바아(41)는 도시하지 아니한 진공펌프에 호오스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보조바아(42)는 도시하지 아니한 압축공기원에 호오스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60은 시이트재캇터로서, 크레임(9)에 고착설치한 크로스비임(61)(제2도 참조)에 구동스프로켓(62)과 종동스프로켓(63)을 축지하고, 양 스프로켓에 설치한 체인(64)에 절단날(65)을 부착하고 있다.
66은 구동스프로켓(62)을 회전구동하는 모우터이다.
71은 시이트재 구동부재인 구동로울러, 72는 전열식의 각봉형상 열접착용히이터, 73은 시이트재 압압부재인 프리로울러로, 어느것이나 프레임(9)에 고정한 지지된(9c)에 가이드롯드(74)(75)(76)를 개재하여 승강자재하게 지지되고, 에어실린더(77)(78)(79)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로울러(71)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동기기구를 내장한 자전식(自轉式)의것으로, 2축을 브라켓(71A)을 개재하여 승강판(71B)에 고정하고 있다.
80은 시이트재 절입부재인 절입로울로, 전체두께가 물품(2) 두께(H)에 근사한 연결고무로울을 탄성판(스프링강판)제 아암(81)의 선단에 축지하고, 콘베이어(10)의 프레임(14)에 고착한 지대(82)(제2도 참조)에 하우징부를 고정한 모우터로 된 구동기(83)의 연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84)에 상기한 아암(81)의 기부를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90은 시이트재 절곡장치로, 프레임(9)에 1쌍의 이동프레임(91a)(91b)을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지하고, 각 이동프레임(91)에 승강자재하게 지지된 승강 크로스비임(92a)(92b)에 단면 L 자형상의 절곡판(93a)(93b)을고착하여서 이루어진다.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프레임(9)의 상량(대들보)(9D)에 안내간(94)의 양단 및 중앙부를 고정하고, 이 안내간(94)에 따라서 슬라이드작동하는 부시(95)를 이동프레임(91)에 고정하고 있다.
96은 양쪽 이동프레임(91a)(91b)을 접근이간방향으로 동기구동하는 이동프레임구동기구로, 상량(9D)에 축지한 스프로켓(97a)(97b)에 설치한 체인(98)의 하측부에 한쪽의 이동프레임(91a)에 고착설치한 브라켓(99a)을 접속하고, 마찬가지로 체인(98)의 상측부에 다른쪽의 이동프레임(91b)에 고착설치한 브라켓(99b)을 각각 접속하여 양이동프레임을 서로 접근 혹은 이간방향으로 동거리 이동하도록 결합함과 아울러 이동프레임 구동용에어실린더(100)(제3도 참조)의 피스턴롯드를 한쪽의 이동프레임(91a)에 연결하고 있다.
101은 물품(2)의 폭에 따라서 이동프레임의 기준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위치조정기구로, 에어실린더(100)를 지지하는 이동대(102)를 프레임(9)에 고정설치한 가이드(103)에 의해 가로이행 자재하게 지지하고, 기부를 프레임(9)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며, 모우터(104)에 의하여 체인구동되는 나사봉(105)을 이동대(102)에 고정한 나사부재(106)에 나사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 승강 크로스비임(92)은 이동간(91)에 가이드롯드(107)를 개재하여 승강자재하게 지지되고, 에어실린더(108)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109는 2개의 가이드롯드(107)(107)를 동기시키는 동기축(同期軸)으로 이동프레임(9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며, 그 양단에 고착한 기어(110)가 가이드롯드(107)에 각설(刻設)한 랙(110)에 맞물려 있다.
120은 시이트되젖힘 장치로, 콘베이어(10)의 프레임(14)에 베아링(121)에 의해 프레임(14)과 평행한 지지축(122)을 요동자재하게 지지하고, 이 지지축(122)에 통체(123)를 회전자재하게 설치하고, 지지축(122)에 고착한 C형강제의 연결재(124)에 L자형상의 아암(125)의 기부를 고착하고, 이 아암(125)의 선단에 통체(123)와 평행한 지지간(126)을 고착하고 있다.
통체(123)에는 보강사가 들어있는 비닐시이트 등의 가요재제의 압압용시이트(127)가 권취되어 있고, 이 압압용시이트(127)의 단연부(端緣部)는 지지간(126)에 고정설치 되어 있다.
128은 권입부세장치로,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통체(123)의 일단부에 로오프시브(129)를 공착하고, 이 로오프시부(129)에 감긴 와이어로오프에 추(131)로서 장력을 부여하고, 통체(123)를 화살표(S)로 표시하는 권입방향으로 부세하도록 한 것이다.
132는 지주, 133 및 134는 뒤로 젖히는 시브, 135는 추(131)를 승강자재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이다.
또, 권입부세장치(128) 설치측과는 반대측의 지지축(122) 단부에는 베벨기어(136)가 고착되어 있다.
에어실린더(137)에 의하여 랙피니온(138)를 개재하여 회전구동되는 구동축(139)이 베아링을 개재하여 지지대(82)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며, 이 구동축(139)의 상단에 고착한 베벨기어(140)가 지지축(122)의 베벨기어(136)에 맞물리고, 에어실린더(137)에 의하여 지지축(122) 및 그것에 고착한 아암(125), 지지간(126) 등을 화살표 방향으로 요동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150a 및 150b는 이동프레임(91)의 단부에 승강자재하게 부착한 자동점착테이프 첩부기로서, 요동로울러(151) 및 (152)에 의해 첩부 대상물의 통과를 검출하여 점착테이프(153)의 첩부 및 테이프절단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점착봉함기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154는 자동점착테이프 첩부기(150)의 케이싱을 고정부착한 승강체, 155는 승강체(154)를 이동프레임(91)에 대하여 승강자재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롯드, 156은 승강체(154)의 승강구동용 에어실린더이다.
157은 에어실린더(156) 및 가이드롯드(155) 안내용의 가이드부슈를 설치한 지지판으로, 테이프첩부위치조정을 위하여 지지판(157)은 가이드(158)에 의하여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159는 지지판 위치 결정용 세트나사이다.
또, 160은 승강체(154)의 측벽부에 고착한 아암이고, 161은 이 아암의 선단부에 나입된 스톱퍼 볼트로 이 스톱퍼볼트(161)의 두부는 승강크로스비임(92)에 고착한 스톱퍼판(162)에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장치에 의한 포장공정에 대하여 제9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제9(a)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시이트제는 로울브라켓(5)에 지지된 로울(3A)로부터 인출하여, 소정의 길이 만큼 권취로울러(31)에 감아두고, 바아구동기구(43)의 에어실린더(46)에 의해 에어실린더(45)를 후방으로 누이고, 메인바아(41) 및 보조바아(42)를 콘베이어(10)의 후단과 후속의 로울러콘베이어(4) 사이의 하강위치에 위치시켜 둔다. 그리고, 로울러콘베이어(4) 및 콘베이어(10)를 동속으로 운전하여 로울러 콘베이어 위의 물품(2)을 화살표(X) 방향으로 반송하여 콘베이어(10) 위로 이송한다.
물품(2)은 전진시에, 상하로 설치된 상태의 시이트재(3)를 전단면(前端面)(2a)으로 밀어, 시이트재(3)와 함께 콘베이어(10) 위에 옮겨 실려져 전진하므로, 제9도(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로울(3A)로부터 되감기어진 시이트재(3)는 물품(2)과 콘베이어(10)의 상면 사이에 끼어들어가면서 물품(2)과 함께 전진하고, 또 권취로울러(31)(다만, 로울러 구동기는 단전상태)로부터 되감기어진 시이트재(3)는, 물품(2) 상면을 앞쪽으로부터 순차로 피복해간다. 물품(2)의 전단(20a)이 프리로울러(73)의 적하위치를 통과하면, 프리로울러(73)를 하강시켜서 물품(2) 위의 시이트재(3) 이에 압압하고, 시이트재(3)를 물품(2) 상면에 따르게하여 느슨함을 방지한다.
상기한 물품의 전진공정에 있어서, 제10도 (a)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물품(2)의 폭보다 커다란 시이트재(3) 좌우의 장출부분(170)의 전단부(171)는 좌우양측으로부터 물품(2)의 진로 내로 돌출한 상태로 정지지지 되어 있는 절입로울(80)부를 통과할 때에, 동도면 (b) 및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물품(2)의 측면으로 향하여 절입된다.
또 아암(81)은 탄성변형하는 절입로울(80)을 물품(2)의 측면에 향해서 압접한다.
물품(20)이 전진을 계속하여 제9도 (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권취로울러(31)에 감긴 시이트재(3)가 전부 물품(2) 상면으로 올려지면, 콘베이어(10)를 정지시켜, 제9도 (d)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에어실린더(46)에 의하여 에어실린더(45)를 기립시켜서 메인바아(41)와 보조바아(42)에 의하여 시이트재(3)를 밀어올리고, 로울(3A)로부터 되감는다.
다음에 에어실린더(48)를 피스톤롯드 돌출축으로 구동하고 아암(47)을 상방으로 요동시켜, 제9도(e)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메인바아(41)와, 보조바아(42) 사이에 걸쳐 넘긴 시이트재(3)를 빈 권취로울러(31)의 하면에 압압한다. 다음에, 진공펌프에 의하여 권취로울러(31) 및 메인바아(41)내를 감압하면, 구멍(33) 및 (50)에 의하여 시이트재(3)이 흡착되어서 권취로울러(31)와 메인바아(41)에 지지되므로, 시이트재캇터(60)의 모우터(66)를 운전하여 제9도(f)에 표기하는 바와같이 절단날 (65)에 의해 시이트재(3)를 절단한다.
다음에, 에어실린더(45)의 피스톤롯드를 인입하여 제9도(g)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메인바아(410)를 하강시켜 에어실린더(48)의 피스턴롯드도 인입하여 보조바아(42)를 다시 하강시켜, 보조바아(42)의 에어취출구(51)로부터 압축공기를 취출하여 상단을 메인바아(41)에 흡착된 시이트재(3)의 중간부를 전방으로 공기압력에 의하여 압압하면서, 메인바아(41)의 감압을 해제하면 시이트재(3)는 메인바아(41)로부터 떨어져서 낙하하여 제9도(h)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일부가 중합상태로 된다.
이 사이에 있어서, 상기한 절단날(65)에 의한 시이트재(3)의 절단후에, 권취로울러(31)의 감압을 유지한채 로울러구동기(32)에 의해 권취로울러(31)를 화살표(P) 방향으로 소정회전수 회전시켜, 시이트재(3)를 로울(3A)로부터 되감아서 권취로울러(31)에 권취하고 다음 물품(2)의 포장에 대비한다.
다음에, 에어실린더(45)를 신장상태로 하여 메인바아(41)와 보조바아(42)를 상승시키고 (제9도 h 참조), 바아구동기구(43)에 의하여 제9도(i)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후방으로 눕혀 하강위치로 되돌림과 아울러, 구동로울러(71)를 하강시켜서 시이트재(3)상에 압접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여, 시이트재(3)의 느슨함을 없앤 후, 제9도(j)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열접착용 히이터(72)를 하강시켜서 시이트재(3)의 중합부를 열접착한다.
다음에 콘베이어(10)를 구동하여 물품(2)의 후단면(2b)가 축방향의 퇴피위치에 있는 절입로울(80)의근방에 도래한 상태에서 정지시키고, 제10도 (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축(84)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절입로울(80)을 화살표방향으로 여러번 회전시켜서, 시이트재(3)의 좌우창출부분(170)의 후단부(172) 절입을 행한다.
다음에, 콘베이어(10)를 운전하여 시이트재(3)에 덮힌 물품(2)을 제1도에 쇄선(173)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절곡판(93)의 직하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12도(a)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절곡판(93)을 하강시키고, 다음에 제12도(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절곡판(93a)(93b)을 접근방향으로 구동하면, 시이트재(3)의 상측 장출부분(170a)은 물품(2)의 축면(2C)에 압압되고, 그 선단부는 하축 장출부분(170b) 상에 겹쳐진다.
다음에, 에어실린더(137)를 구동하여 구동축(139)을 통하여 지지축(122)을 화살표(U)방향으로 구동하면, 지지축(122)와 일체로 되는 아암(125) 및 지지간(126)도 지지축(122)의 축심둘레로 회동하고, 지지간(126)의 회동에 의하여 지지간(126)과 통체(123) 사이에 걸쳐 있는 압압용시이트(127)가 시이트재(3)의 하측 장출부분(170b)과 상측 장출부분(170a)의 선단부를 상방부로 되젖힌다.
지지간(126)의 절곡판(93)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지지축(122)을 회동시키면 제12도(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압압용시이트(127)는 통체(123)로부터 되감기면서, 상기한 하측장출부분(170b)은 절곡판(93)의 외면에 압접된다. 이때 통체(123)는 권입부세장치(128)에 의하여 화살표(S)방향(제5도 참조)에 부세되어 있어, 압압용시이트(127)에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다음에, 절곡판(93) 및 지지축(122) (따라서 지지간 126)을 상기한 상태로 지지한채, 콘베이어(10)를 전진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에 의하여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물품(2)과 절곡 및 되젖힘 상태의 시이트(3)만이 전진하여 절곡판(93) 및 압압용시이트(127)부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오고, 이 콘베이어(10) 위를 이동하는 시이트재(3)의 상면(174)과 절곡편부(175)의중합부에 대하여, 자동점착테이프 첩부기(150)에 의하여 접착테이프(153)의 첩부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자동점착테이프첩부기(150)는 에어실린더(156)에 의해 스톱퍼볼트(161)가 스톱퍼판(162)에 맞닿는 테이프 첩부 위치까지 하강시켜두는 것으로 한다.
테이프 첩부가 완료된 물품은 도시하지 아니한 앞쪽의 콘베이어 상에 옮겨실어져, 제1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포장이 끝난물품(176)이 얻어지는 것이다.
시이트재(3)는 권위로울러(31)와 로울(3A)사이에 펼쳐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다음의 새로운 물품(2)이 로울러 콘베이어(4) 위로부터 콘베이어상에 반송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포장이 행하여지며, 이하 동일한 공정이 반복된다.
그리고 최초 물품의 포장개시전에 있어서의 권취로울러(31)으로의 시이트재 (3)의 권위는 시이트재(3)를 로울(3A)로부터 적당길이 만큼 인출하여 콘베이어(10) 상에 올려놓고 압압하여 이 시이트재(3)에 대하여 상기한 제9도의 (d)-(g) (다만, 권취로울러 31의구동 만)의 공정을 행하면 된다.
또, 시이트재(3)의 권취공정에 있어서의 권취로울러(31)의 회전수는 물품(2)의 상변을 덮는 시이트재3)의 후단이 열시일 가능한 위치 (열접착용 히이터 72보다도 후방 위치)에 오도록 물품(2)의 싸이즈 (두께 H 와 길이방향 치수)에 따라서 미리 산출하여 두고, 상기한 물품의 사이즈를 제어장치에 입력함에 의하여 그 제어장치가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로울러구동기(32)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구동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물품(2)은 콘베이어(10) 위를 반송하면서 시이트(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포장된다.
본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절입로울(80)대신에 아암(81)에 고정한 부라쉬 등의 다른 형식의 시이트재 절입부재를 사용하거나, 회전구동되는 구동로울러(71)대신에 전방으로 구동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식의 시이트재 구동부재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시이트재 절입부재에 의하여 시이트재(3)좌우의 장출부분의 전단부(171)와 후단부(172)의 절임(접어넣음)을 행하도록 하였으나, 전단부(171)와 후단부(172)의 절입용에 별개의 시이트절입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아암(47)을 메인바아(41)에 대하여 상대이동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콘베이어(10)를 폭치수조절 가능하게 하고, 이동프레임(91)의 기준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정기구(101)를 설치하였으므로, 폭치수가 다른 여러종류의 물품(2) 포장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큰 장점을 가지는 것이지만 물품(2)이 1종류인 경우에는, 전기한 각 부분의 구성은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이상은 물품의 6면을 시이트재로 포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발명 장치는 물품의 전후와 천장바닥의 4면을 시이트재로 포장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자동점착테이프 첩부기는 상승위치로 지지하는 채로 하면 된다.
또, 물품의 6면을 시이트재로 포장하여 항상 점착테이프의 첩부를 행하는 전용장치 경우는 승강크로스비임(92)과 승강체(154)를 일체화하여 에어실린더(156)를 생략하여도 좋고, 이 경우는 시이트재 절곡장치의 승강구동기가 자동점착테이프 칩부기의 승강구동기를 겸하게 되어, 이러한 태양도 본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의하며, 물품의 시이트재에 의한 포장을, 콘베이어에 의한 반송중에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아니하고, 자동적으로 능률좋게 행할 수 있고, 성력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수작업에 의한 취급이 불가능한 대중량물품의 포장에 극히 적당한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반송면이 대략 수평인 콘베이어(10)와, 상기한 콘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고 열접착성을 보유하는 시이트재의 로울(3A)을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로울브라켓(5)과, 상기한 콘베이어(10)의 입구부 상방에 설치되고,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시이트재 흡착용의 구멍을 비치하고, 진공펌프에 접속된 권취로울러(31)와 그 권취로울러(31)를 시이트재 권취방항으로 구동하는 로울러구동기로 이루어진 시이트재 권취장치(30)와, 콘베이어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주면에 시이트재 흡착용 구멍을 구비하고 진공펌프에 접속된 메인바아(41)와, 그 메인바아 (41)와 평행으로 에어취출구멍을 구비하고 에어공급원에 접속된 보조바아(42)와, 베인바아와 보조바아(42)를, 콘베이어의 후단과 시이트재(3)의 로울(3A)의 사이의 하강위치와 상기한 권취로울러에 접근한 상승위치와, 그 상승위치로부터 하강한 중간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바아구동기구(43)로 이루어진 시이트재 인상장치(40)와, 권취로울러(31)와 상기한 상승위치에 있어서의 메인바아(41)와의 사이에 있어서 시이트재(3)를 절단하는 절단날(65)을 구비한 시이트재캇터(60)와, 시이트재캇터(60)의 앞쪽에서 승강구동되고 하강위치에서 콘베이어 상의 물품 위의 시이트재를 앞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시이트구동부재(71)와, 시이트구동부재(71)의 앞쪽에서 승강구동되어 콘베이어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열접착용 히이터(72)와, 전열접착용 히이터(72)의 앞쪽에서 승강구동되는 시이트재압압부재(73)와, 상기한 콘베이어의 축방향에 배치되고, 구동기에 의해 연직축선의 둘레로 회전구동되는 아암에 부착된 시이트재절입부재(80)와, 콘베이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의 상부에 콘베이어 폭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지된 1쌍의 이동프레임(91a)(91b)과 이동프레임(91a)(91b)과 이동프레임(91a(91b)을 접근이간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동프레임구동기구(96)와, 콘베이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이동프레임에 승강자재하게 지지된 승강구동기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단면L자 형상의 절곡판(93a)(93b)으로 되는 시이트재절곡장치와, 콘베이어의 축방향에 있어서 콘베이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의 둘레에 회전자재한 통체(123)와 요동구동기에 의하여 상기한 축선의 둘레로 요동구동되는 아암(125)의 선단에 고착된 통체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지지간(126)과, 통체에 권취된 단부가 지지간(126)에 고정된 가요재제의 압압용시이트(127)와, 통체를 압압용 시이트(127) 권입방향으로 부세하는 권입부세장치(128)로 이루어진 시이트재 되젖힘 장치(120)와, 상기한 절곡판의 앞쪽에서 상기한 이동프레임에 승강자재하게 지지되고 승강구동기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자동점착테이프 첩부기를 비치하여 이루어진 물품포장장치.
KR1019910006420A 1991-04-22 1991-04-22 물품포장장치 KR016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420A KR0163051B1 (ko) 1991-04-22 1991-04-22 물품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420A KR0163051B1 (ko) 1991-04-22 1991-04-22 물품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18A KR920019618A (ko) 1992-11-19
KR0163051B1 true KR0163051B1 (ko) 1998-12-01

Family

ID=1931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420A KR0163051B1 (ko) 1991-04-22 1991-04-22 물품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808B1 (ko) * 2004-03-31 2006-03-1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롤형 섬유원단 포장의 측면 절단 및 묶음장치
KR101292423B1 (ko) * 2012-06-05 2013-08-07 김현수 자동식 진공포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808B1 (ko) * 2004-03-31 2006-03-1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롤형 섬유원단 포장의 측면 절단 및 묶음장치
KR101292423B1 (ko) * 2012-06-05 2013-08-07 김현수 자동식 진공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18A (ko) 199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27449A (en) Packaging compressible material
US4450668A (e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CN110053806B (zh) 一种组合烟花围招的自动包裹装置
CN115367233B (zh) 一种产品包装生产线及其包装方法
CN110884714B (zh) 一种平板类产品自动包覆包装薄膜的包装设备
US3738079A (en) Bag type shrink wrapping apparatus
CN108082593A (zh) 一种自动缠胶设备及其缠胶方法
JPH03611A (ja) 束ねられた容器等を連続して包装する方法及び装置
CN112758733A (zh) 棉花膜ab贴胶带拼接设备及ab贴胶带制作方法
US4231210A (en) Package wrapping machine
US20020139089A1 (en) Apparatus for bagging material
KR0163051B1 (ko) 물품포장장치
CN210338383U (zh) 一种物件自动包纸机
JP2889968B2 (ja) 包装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223139A (ja) 紙継ぎ準備装置
JP3482041B2 (ja) テープ貼付装置
JPH03226415A (ja) 物品包装装置
CN112124691A (zh) 一种包版机
JP2795794B2 (ja) 金属板コイルの梱包装置
CN221114476U (zh) 一种铝隔条自动打包装置
JPH0730489Y2 (ja) 平判包装装置の胴巻包装機構
CN212333115U (zh) 一种包版机
CN217624268U (zh) 一种护角机
CN115009613B (zh) 一种型材包纸机及方法
CN213057737U (zh) 一种包版机的送纸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