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86B1 - 땜납 결합재 - Google Patents

땜납 결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86B1
KR0162986B1 KR1019890016726A KR890016726A KR0162986B1 KR 0162986 B1 KR0162986 B1 KR 0162986B1 KR 1019890016726 A KR1019890016726 A KR 1019890016726A KR 890016726 A KR890016726 A KR 890016726A KR 0162986 B1 KR0162986 B1 KR 016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frame
semiconductor chip
solder
chip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652A (ko
Inventor
제이. 더나웨이 토마스
케이.스필버거 리챠드
에이. 딕스 로리
엠. 로이 제랄드
Original Assignee
클라이드씨. 블라인
허니웰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이드씨. 블라인, 허니웰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클라이드씨. 블라인
Publication of KR90000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10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arrangement of seals between parts, e.g. between cap and base of the container or between leads and wall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6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400 degrees C
    • B23K35/268Pb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50Tape automated bonding [TAB] connectors, i.e. film carri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6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tape automated bonding [TA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32Binary Alloys
    • H01L2924/01322Eutectic Alloys, i.e. obtained by a liquid transforming into two solid ph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1Imped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5Mechanical effects
    • H01L2924/351Thermal str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01Pb-base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땜납 결합재
제1도는 대표적인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제2도는 미리형성된 땜납 융기가 도전용소에 부착된 대표적인 리드프레임 조립체의사시도.
제3도는 땜납 융기가 형성된 전달기판상에 위치된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4a도는 공동과 공동내에 땜납 펠릿을 구비한 전달기판의 평면도.
제4b도는 전달기판의 공동내에 위치한 땜납 펠릿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 4a도의 4B-4B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도면.
제5도는 반도체칩의 대응하는결합 패드상에 위치된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가 부착된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땜납 융기재의 융착에 관한 종래의 반도체 칩 생산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제7a도는 땜납재가 용착된 전달기판의 사시도.
제7b도는 대표적인 반도체 칩에 땜납 융기를 이송한 다음의 제7a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땜납 융기 전달기판의 측면 확대도.
제8a도는 칩 표면상에 위치된 종래의 리플로우 없는 판금된 융기의 측면 확대도.
제8b도는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융기를 설며하는 리플로우 있는 판금된 융기의 측면 확대도.
제8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플로우전의 고수율 고밀도 땜납 융기의 측면확대도.
제8d도는 리플로우 후 제 8c도에 도시한 땜납 융기의 측면확대도.
제9도는 적층된 리드프레임 조립체와 보호수단의 측단면도.
제10도는 저가 탭 패키기 및 보호수단의 측단면도.
제11도는 대표적인 종래의 리드프레임 및 칩 조립체 공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저가 탭 피키기 리드프레임 및 칩 조립체 공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13a도는 각을 이룬 응력 완화 수단의 평면도.
제13b도는 파동형 응력 완화수단의 평면도.
제13c도는 아아치형 응력 완화 수단의측면확대도.
제14도는 적층된 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측단면도.
제15a도는 조립체의 외부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에 탑재된 캐패시터를 설명하는 종래의 대표적인 리드프레임 및 칩 조립체의 부분확대도.
제15b도는 보호수단내에 부분적으로 도시되고 다음레벨의 패키징에 탑재된 필터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측단면도.
제16도는 주석-납 혼합물의 위상대 온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7도는 대표적인 벨트퍼네이스 결합 기구의 측면 확대도.
제18도는 연성 땜납 융기의 결합 균일성을 얻이 위하여 단단한 삽입체로 구성된 리드프레임 및 칩 홀딩 장치의 측단면도.
제19도는 강성 융기 결합 균일성을 얻기 위하여 공형 삽입체로 구성된 리드 프레임 및 칩 홀딩 장치의 측면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86, 164 : 리드프레임 12, 62, 166 : 도전 요소
16, 66 : 땜납 융기 42 : 반도체 칩
46 : 인터페이스 패드 54, 162 : 리드프레임 조립체
70 : 유전체 72 : 페이퍼
76, 185 : 보호수단 84 : 리드프레임 패키지
88 : 반도체 칩 96 : 패드
112, 113 : 밀봉부재 114 : 챔버벽
130 : 인쇄회로기판 169 : 디커플링 캐패시터
210 : 벨트퍼네이스 212 : 홀딩부재
230 : 위치조정용 쐐기
본 발명의 전자 부품 결합 및 패키징 분야에 관한 것이다.
전자 부품 패키징 분야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서, 반도체 칩에서 리디프레임의 전도성 요소의 결합은 결합 공정 동안에 종종 패시베이션 분열을 일으킨다. 이들 분열은 과도한 결합력, 결합 공정 동안 발생되는 오정열(misaligme), 또는 반도체 칩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하게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적합한 격리(standoff) 때문에 발생될 수 있다. 다른 분열 현상은 부품의 열 순화 중에 발생되는 불량품이거나 오동작되는 질이 나쁜 생산품의 생산을 야기시킨다. 패키징 분야에서의 다른 문제점들은 고집적된 장치들의 영역 활용 요구 사항들을 달성하도록 칩 패키징시 다양한 레벨의 미세한 피치 지오메트리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특히 패키징 분야에서는 수년간 이어져온 문제점들중 주목할만한 것으로 대표되며,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책을 연구했다.
반도체 칩 및 다른 전자 부품들의 생산에서 비경제적, 비효율적 또는 불필요한 처리 단계는 패키징 분야에서 실제로는 여분의 것이라 생각된다. 게다가 추가의 처리단계가 요구되는 보다 복잡한 장치들에 있어서는 열악한 수행력 및 낮은 수율을 만들 수 있는 처리상의 에러에 점점 더 영향을 받게 된다. 반도체 칩의 생산성 면에서는, 제조된 칩의 체적은 처리상의 문제로 인해 부적절하게 패키징된 상당량의 장치들로 인해 결정된다. 또한, 새롭게 설계된 칩들의 초기 생산 단계에서 저생산 수율을 경험하는 것은 극히 일반적이다. 칩 생산 공정에서 요구되는 단계들의 합리화 및 최소화에 의해 보다 증가된 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단계들을 통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자 부품 패키징의 종래의 기술에서 명시되는 또다른 문제점은 제조된 장치들이 칩 표면 면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패키징 분야에서의 비효율적 구조는 전자 장치의 수행 능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전자 부품상에 존재하는 공간의 효율적 사용은 개선된 전자부품 수행력의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전자 부품상의 유용한 칩 표면 영역의 보다 효과적인 사용은 공간 및 피치 지오메트리(pitch geometries) 개선과 같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딸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조립품의 생산성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개선책을 제공한다.
전자 부품을 결합하는데는 다양한 결합 기술들이 존재한다. 이들 결합 기술은 금과 같은 상대적으로 강성 결합물질 및 땜납(solder)혼합물과 간은 연성 결합물질을 사용한다. 비록 땜납 혼합물을 사용하는 기술이 공지되었으나, 상기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칩 생산 공정동안 반도체 칩 장치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져 왔다.
여러 가지 땜납 혼합물로는 주석-납 혼합물등이 이용되어 왔다. 일반저으로, 연성 땜납 물질은 최종 부품을 검사하기 전의 최종 처리 단계에서 부품들의 계면 영역상에 위치된다. 패키징 공정에서의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의 형성에 있어서 패키징처리의 다른 구조에 대해 연성 땜납 재료를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른 구조의 일예로는 리드프레임의 전도성 부품이 있다. 리드 프레임의 전도성 부품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위치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생산성, 패키징 및 검사 주기에서 실질적인 효과들이 발생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반도체 칩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의 결합 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된 땜납 혼합물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원 출원에서는 최적의 신호 충실도, 미세한 피치 지오메트리, 향상된 수율 및 신뢰성 증대를 이루기 위한 전자 부품의 개선된 패키징 및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개선책들로는 테이프 리드프레임 기술, 땜납 융기 전송 및 결합 기술, 그리고 바람직한 결합 및 유동성 혼합물질의 몇가지 독특한 구체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을 제공하는 구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3중량%이하의 주석과 97중량%이상의 납으로된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전원, 그라운드 및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 제공단계와 : 하나의 도전요소상에 3중량%이하의 주석과 97중량%이상의 납의 유효성분을 갖는 땜납 결합재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기된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상술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상술하는 특정 구조 및 작용은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오히려 어떤 적당히 설명된 시스템 또는 구조에 있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에 숙련된 사람을 교육하기 위한 대표적인 것이라고 해석 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상황하에서는 상대적인 물질의 두께 및 상대적인 부품의 크기가 발명의이해를 돕기 위하여 확대 표시되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보다 미세한 피치 지오메트리, 개선된 수율, 개선된 신뢰성 및 제조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전자부품의 패키징 및 결합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개선점은 테이프 리드프레임 구성, 땜납 융기 전달 결합기술 및 제기된 결합 및 유동물질 혼합물등 몇가지의 독특한 제기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제1도에는 전형적인 리드프레임(10)이도시되어 있다. 리드프레임은 여러 가지로 구성되고 형성지어질 수 있지만 리드프레임의 기본적인 기능은 리드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도전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리드프레임(10)은 입/출력 신호를 전자창지상의 결합위치에 전송하기 위한 도전 요소(12)를 구비한다. 리드프레임(10)은 도전요소들을 격리하기 위한 유전체(14)를 갖는 테이프 리드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14)는 또한 장치의 동작 및/또는 온도 순환중의 응력완화 뿐만아니라 결합중에 충격흡수(cushioning)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점차적으로 간단화됨에 다라 고성능 및/또는 다중 단자 장치등을 적당히 패캐징해야될 필요성등이 대두되게 되었다. 사실상, 현행 반도체 칩들은 패키징 공정에서 칩당 수백회의 결합을 필요로한다. 특히 어떤 칩 용량은 현재 칩당약 600 내지 800회의 결합을 갖고 있다. 패키징 기술분야에서 결합은 대략 칩당 2000회 이상을 필요로한다. 그러나 칩당 결합 동작은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칩에 대한 응력이 각 결합이 증가할 때에 또한 증가하며, 칩의 고장 또는 불량에 대한 다른 잠재적인 원인도 또한 결합동작의 수가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칩당 결합동작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한가지 발법은 리드프레임(10등의 리드프레임을 반도체 칩상의 적당한 결합위치와 제휴시키고그 다음 리드프레임에 한번의 결합력을 가하여 동시에 다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이다. 보통 연동 결합이라 하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강성 결합재를 사용하는 문제들이 가장 잘예시된다. 연동 결합으로 강성 결합재를 사용하는 경우 압축 결합을 실시하기 위하여는 결합재가 더 연셩인 경우보다 더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강성 결합재의 압출결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칩 표면 안정화 분열 및 리드프레임의 도전요소에 대한 과도압축을 자주 발생한다.
비록 테이프 리드프레임의 사용이 자기 정열에 관한 어떤 장점 및 칩상의 결합 인터페이스 영역에 대한 리드프레임의 도전요소의 수직 격리를 제공하지만 연성 땜납 재를 사용해도 좋다. 지금까지는 땜납 결합재 또는 연성 땜납등 연성 결합재가 리드프레임상에 보다는 능동적 전자 장치 인터페이스 영역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한하여 왔다. 그러나,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재를 재치하는 것은 칩등 능동성 전자부품이 처리와 관련하여 받게되는 어떤 잠재적인 역효과를 감소시킨다. 아마도 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서 칩등 전자 장치에 보다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 땜납 융기를 미리 형성함으로서 장치 그 자체는 이들이 리드프레임 조립체 또는 칩 반송자에 집적되기 전에 수용가능성에 대하여 시험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수율 및 신뢰도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개선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상에 땜납 융기(16)를 재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형성된 땜납 융기를 리드프레임 수단(10)상에 재치함으로써 결합재는 칩 제조 공정에 관계없이 검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에서 설명한 것처럼,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리드프레임을 전자 장치와 상호접속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땜납융기를 미리 형성한 도전요소(12)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리드프레임(10)은 전원, 그라운드, 및 전자 장치의 결합 위치에 입/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도전요소 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또한, 땜납 융기(16)는 전자 장치상의 적당한 결합위치와 결합을 허용하는 형태로는, 도전요소(12)상에 미리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땜납 융기(16)는 주석 및 납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준비시 결합(bond-when-ready)융기된 리드프레임이라 하는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가잔 리드프레임 조립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도전요소(12)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융기(16)를 수납하도록 리드프레임(10)을 위치결정하는 단계와, 도전요소의 소망하는 위치에 땜납 융기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땜납 융기된 도전요소는 그다음 전자장치의 결합 위치와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땜납 융기(16)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는 땜납 융기 또는 용착물(16)의 형태로 땜납재를 수납하기 위하여 전달표면(22)을 갖는 비납땜성 전달 기판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땝납재는 소정패턴으로 땜납 용작물을 형성하도록 전달 표면(22)에 융착된다. 리드프레임(10)의 도전요소(12)는 그 다음 정열되어 패턴화된 땜납 융기(16)와 결합된다. 최종적으로, 도전 요소 및 패턴화된 땜납 융기는 리드프레임(10)의 도전요소(12)와 습슥 접촉되도록 리플로우(reflow)점까지 가열된다.
땜납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달기판상(20)에 융착될 수 있다. 융착 단계는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를 전달표면(22)상에 위치시키고 그 다음 전달표(22)상에서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새도우 마스크의 구멍을 통하여 땜납재를 증발시킴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종래의 판금기술을 사용하여 전달표면(22)상에 땜납재를 판금할 수도 있다. 전달기판(20)사애 땜납 융기(16)를 미리 형성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미리 형성된 땜납재를 재치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공동(32)을 구비한 비납땜성 전달기판(20)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다음, 미리 형성된 땜납 펠릿(34)은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동(32)내에 끼워 지도록 전달표면상에 융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전달기판(20)은 땜납재의 다수의 전달을 위하여 재사용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또한 반도체 칩의 준비시 결합(bond-when-ready) 패키징을 위하여 도전요소에 땜납융기가 미리 형성된 리드프레임 조립체 구성방법을 제공한다. 이방법은 전원, 그라운드 및 신호 도전요소(12)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10) 제공단계와,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 결합패드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리드프레임(10)의 도전요소(12)상에 땜납 융기(16)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술한 바와같이 리드프레임(10)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융기재를 융착시키는 여러 가지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 잘 나타나 있다. 비록 전달기판(20) 및 리드프레임(10)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재를 용착시키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한 방법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땜납 융기 전달기술은 리드프레임외에 능동성다이 및 웨이퍼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기판 기술을 사용함으로서 어떤 다른 장점도 발생되어지며,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 리프드레임의 특정 응용 으로서의 융기없이 반도체 칩 및 다른 장치들을 땜납 융기가 미리 형성된 리드프레임에 유리하게 접속하는 것이다. 사실상 리드프레임에 융기를 만드는 것, 특히 리드프레임의 연성 땜납 융기에 관한 전반적인 개념을 칩 제조 고정중에서 융기 형성 공정을 취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칩은 리드프레임에 결합될때까지 융기형성 공정을 받지 않는다. 이것은 몇가지 이유로 중요한 사항인데 시간과 효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 공정은 전압 스파이크, 판금전류 발생 또는 판금 융제로부터의 판금 부식 작용등의 판금 기술 및 잠재적 수율문제에 칩이 노출되지 않게 한다. 또한 극히 낮은 수율이 새로운 칩제조 공정의 최소 6개월 동안에 발생한다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사실상 유효 수율은 그때에야 수년에 걸쳐 생산단위(batch)당 60-80%의 최대치로 상승한다. 그르므로 가능한한 수율상의 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다. 융기없는 칩의 선 시험된 신뢰할 만한 재고품을 사용함으로써, 단위 수율의 증가가 실현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칩 제종 공정중에서 융기 형성공정을 제외함으로써 결합시100%수율의 융기가 형성된 리드프레임 및 100% 수율의 칩이 사용되어진다. 이것은 어떠한 부품상의 악영향도 없이 칩 제조공정을 융기 형성 공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또한 과거에는 하나의 저효능의 직렬화된 사건으로서 결합되었던 병렬 공정 및 생산을 허용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비용 절감을 더 크게하고 준비시 결합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땜납 융기를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 적용하는 또 하나의 장점은 중립점 이격에 기안한 종래의 땜납 피로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 문제는 칩들이 열순환 또는 동작에 기인하여 그 칩과 다른 비율로 팽창하는 강성 기판의 표면상에 위치되는 융기를 포함할때에 발생한다. 이것은 가끔 칩으로부터 융기를 분리시키고 칩 동작을 감퇴시킨다. 대조적으로, 실질적으로 상기한 열응력들과 무관한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사에 땜납 융기를 재치함으로서 융기들을 부착 상태로 남아 있는다. 이러한 장점은 신뢰도를 개선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저가의 고수율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를 제공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키트는 반도체 칩(42), 리드프레임(10) 및 리드프레임(10)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16)등의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반도체 칩(42)은 칩으로의 신호 입력 또는 칩으로부터의 신호출력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패드라 하는, 습식의 리플로우 불능의 인터페이스 영역(46)을 포함한다. 리드프레임(10)은 전원, 그라운드 및 칩(42) 인터페이스 영역으로/로부터의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 도전요소(12)를 갖는 리드프레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또한 감소된 공정의 고수율 반도체 칩 및 칩(42)으로/로부터의 신호의 칩/출력을 위하여 융기 없는 인터패이스 패트(46)를 가진 반도체 칩(42)을 포함한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를 포함하며, 리드프레임(10)은 칩 패드(46)와 리폴로우 결합하도록 배열된 땜납융기가 형성된 도전요소 (12)를 구비한 리드프렘임을 포함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가의 고수율 리드프레임 조립체 제조방법은 칩으로/로부터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습식의 리플로우 불능의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한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인터페이스 패트 또는 영역에 땜납 융기가 미리 형성된 도전요소를 포함한 리드프레임을 정열시키는 단계와,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칩 인터페이스 패드와 도전적으로 상호접속하기 위하여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리플로우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감소된 공정의 고수율 리드프레임 조립체 제조방법을 칩으로/로부터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융기없는 인터페이스 패드를 포함한 반도체 칩을 재치하는 단계와, 도전요소를 칩 패드에 리플로우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리드프레임의 도전요소를 인터페이스 패드에 정열시키는 단계와, 리드프레임을 칩에 리플로우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감소된 공정의 고수율 리드프레임 조립체를 리플로우 결합하은 방법은 도전요소 상에 미리 형성되어 지닌 땜납 융기를 리플로우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제6도는 대표적인 종래의 칩 제조공정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반도체 칩 또는 웨이퍼에 납땜 가능한 융기를 판금하는 공정은 전형적으로 칩 생산 주기에 통합되는 여러 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는 보통 집적 회로 웨이퍼 제공단계와 계자 금속화(field metalization)의 최소 융착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에, 광저항 기술을 사용하고 금속화 융기가 놓여질 위치가 광저항층에 애칭홀에 의해 정해진다. 그다음, 인터페이스 금속층에 에칭홀에 제공된다. 그다음, 융기 형성을 위한 금속 인터페이스 금속위에 판금된다. 금속은 주석-납 혼합물일 수 있다. 그다음, 금속화 융기가 리플로우도고 계자 금속에칭 단계가 이어진다. 최종적으로 부드럽고 융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금속화 융기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이 다시 리플로우 된다. 그다음, 집적회로 칩 또는 웨이퍼상의 금속화 융기에 탭이 결합된다. 현행의 저가 탭 패키지 리드프레임 발명은 실질적으로 제6도에 도시된 모든 처리단계를 생략하며, 따라서, 칩 생산주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칩에 단한 손상의 위험을 절감시킨다. 이것은 제조원가가 고가이거나 긴생산 주기를 요구하는 반도체 칩에 특히 관계가 있다. 사실, 실질적인 통상의 장점은 생산주기를 감소시키고 병렬생산 기술에 대한 더 큰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선 융기의 리드프레임은 있는 그대로의, 예를들면 융기가 없는 칩 또는 웨이퍼에 준비시 결합 부착을 위하여 선 융기의 리드프레이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은 만일 100%가 아니면 동작 장치의 매우 높은 수율이 매우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도록 결합 공정 이전에 독립 융기 조사 및 독립 칩 조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커다란 장점이 된다. 이 공정에서는 보통으로 행하여지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칩을 테스트하기전에 반도체 칩의 융기형성에 관련된 소비성 단계가 생략됨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본 발명은 또한 최대 수율의 선융기된 발명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선 융기 형성된 칩이 필요한 경우, 예를들면, 종래 기술의 소비성 생산단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결합 신뢰도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개선은 본 발명의 단일위상 땜납 합금에 따라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 한다.
전자 장치를 결합하기 위하여 리플로우 가능한 땜납 재료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써 진공증착 및 판금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러한 공정은 종래 기술의 공정에 관련된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특히, 능동성다이 또는 웨이퍼 상에 땜납 재료를 진공증착하는 종래의 기술은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새도우 마스크를 능동성다이 또는 웨이퍼상에 재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다음, 조리베ㅊ는 새도우 마스크의 기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웨이퍼의 젖을 수 있는 부분상에 땜납 재료가 증발되어 증착되는 챔버에 재치된다. 그러나, 능동성다이 또는 웨이퍼의 새도우 마스크 긁힘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자주 발생한다. 그러한 긁힘은 능동성 부품에 영향을 주는 신뢰도 및 수율문제에 상당한 영향을 마친다. 또한 고농도 장치에 대한 필요조건이 증가함에 따라 마스크는 더 많은 기공을 포함해야 한다. 기공 농도 및 마스크 평면성에 관계된 실질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예를들어 기공간의 거리를 불충분하게 이격하면 능동성 웨이퍼상에서 단지 부분적인 융기배치만을 제공한다.
또 다른 문제점은 과잉 땜납 재료가 어떤 기공을 통과하여 능동성 웨이퍼 또는 다이상에서 전기적인 바이패스를 일으킬때에 발생된다. 이 현상은 또한 후광(heloing)이라고 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어떤 마스킹 공정에 의하여 일어날 수도 있다. 이 후광은 능동성 다이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잔유물을 남기는데 이것은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증발 처리는 종래의 증착 기술과 관련된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능동성 웨이퍼 또는 다이를 노출할 필요가 있었다. 사실, 증발 처리중에 발생된 열은 어떤 마스크를 능동성 장치에 접착하고 또한 그 장치를 손상 시킨다. 능동성 웨이퍼 또는 다이에 대한 이같은 손상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능동성 웨이퍼 또는 다이가 단지 부분적인 융기 또는 금속화 층 (laydown)을 수납하면, 능동성 부품은 버려지거나 납땜가능한 재료의 적당한 패턴을 달성하도록 추가로 처리되어야 한다. 일단 재처리 되었으면 이들 선택들은 어느것도 바람직하거나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들 증착처리의 문제에 대한 해결수단으로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여 고수율의 땜납 융기가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 한가지 방법은, 제7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땜납제를 수납하기 위한 전달 표면(22)을 갖는 비납땜성의 전달기판(20)을 제공하는 것이다. 땜납재는 그다음,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달표면(22)상에 용착되어 소정패턴의 땜납용기(16)를형성한다. 전달표면(22)상의 땜납제의 융착은 판금, 증착, 또는 앞에서 언급되었고 이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공동(cavity)내의 펠릿 재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제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방법은 반도체 웨이퍼(72)의 납땜 가능한 도전요소(70)를 전달표면(22)상의 패턴화된 땜납 융기와 일치되도록 정열하고, 그다음 웨이퍼(72)의 도전요소(70)와 습식 접촉하여 패턴화된 땜납융기를 가열 및 리플로우 시킨다. 따라서, 이 공정은 상기 문제들을 제기하는데, 이 문제들은 본 발명에 의해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공정단계에 노출된 종래의 능동성 장치의 신뢰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땜납 융기 전달은 새도우 마스크에 의한 긁힘의 위험 없이, 그리고 종래의 능동성 다이상에 후광을 형성하는 것등의 어떤 잔류 땜납재를 전달함이 없이 고수율의 땜납융기가 형성된 반도체 웨이퍼(72)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수율의 땜납 융기 반도체 웨이퍼 제조방법은 땜납 융기를 형성하는 능동성 웨이퍼 및 다이의 종래 판금 공정과 관련한 난점들을 해소시킨다, 전압 스파이킹, 전류 발생 및 산화부식등 전수한 문제들은 전술한 중간 전송기판(20)을 사용함으로서 극복한다. 또 판금공정과 관련된 연장된 주기시간에 대한 능동장치의 노출은 없어진다.
종래의 능동성다이의 판금에 관한 또 하나의 문제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금공정을 사용하여 능동성 다이에 형성된 땜납융기의 모양이 특징적인 버섯모양 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그러한 땜납융기의 윗부분의 직경이 보통 팽창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의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의 능동성다이 판금공정은 밀도가 제한되고 미세한 피치 지오메트리으 장치를 제조하고자 할 때에 낮은 값을 갖는다. 땜납융기가 좁은 베이스상에서 버섯모양의 윗부분을 갖는 이 형상은 종래의 판금이 피치농도 약 8일에서만 양호한 결과를 가져온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달 방법을 사용하면, 1-2일 정도의 작은 융기 스페이스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제8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탄한 미치 지오메트리 구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사실,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플로우 전과 후의 종래의 판금기술을 사용한 융기 스페이스를 비교하고, 제8c도 및 제8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달 방법에 따른 미세한 피치의 융기 스페이스를 비교하면 그 장점이 매우 명확해진다. 또한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판금공정을 선리플로우된 버섯 모양의 용착이 접속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평탄치 않은 융기크기에 대한 더 큰 포텐셜을 조장한다.
비록 다음의 설명이 땜납 결합재의 영호한 구성에 관한 것이라 해도, 상기한 고수율의 땜납 융기 반도체 웨이퍼의 제조 방법은 3중량% 이하의 주석을 포함한 땜납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전자장치 패키징 분야에 있어서, 개개의 전자부품의 성능특성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선될 수 있다. 그러한 기술중의 하나는 제9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상의 스페이스의 사용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제9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층된 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54)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상의 스페이스를 활용하는 개선된 수단을 나타낸다. 특히, 적층된 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54)는 여러 가지의 수직으로 이격된 선 또는 층에 뿐만아니라 전자부품의 더 많은 영역으로 액세스되는 다층 도전단자를 배열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적층된 테이프 리드페임 조립체(54)은 집적회로 칩으로 사용되도록 설계되고 적층 관계로 배열된 다수의 리드프레임(54)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드프레임(54)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요소(62)를 포함하는 것이좋다. 땜납 융기(66)를 포함한 땜납 융기수단은 리드프레임(54)의 선택된 도전요소(62)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제공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기된 적층 리드프레임(54)은 인접 리드프레임(54)간의 분리를 유지하고 리드프레임내의 다수의 도전요소를 절연 분리하기 위하여 유전체(70)를 포함한 비습식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기된 적층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54)와 땜납 융기(66)는 도전요소(62)를 집적회로 칩(72)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제14도는 도전요소(62U)를포함한 제1의 상부 리드프레임(U)과, 도전요소(62L)를 포함한 제2의 하부 리드프레임(L)과, 제1 및 제2의 리드프레임 사이에서 적층 관계로 위치되어 일정 임피던스의 스티립라인 또는 일정 임피던스의 마이크로 스트립 구성을 형성하도록 신호선 (62M)을 형성하는 도전요소를 포함하는 제3의 중간 리드프레임(M)으로 이루어진 적층된 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54)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리드프레임(54) 및 이들의 도전요소들의 크리는 어떤 형성된 회로의 전기적 파라메터를 규정한다. 사실, 도전요소(62)도 또한 그라운도도체 또는 그라운드 도체 또는 그라운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어떤 도전요소(62)가 전원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전원도체는 전원 평면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도전요소(62)는 또한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제9도를 참조하면, 적층된 리드프레임 조립체(54)가 도시되어 있다. 적층된 리드프레임 조립체(54)는 선형 도전요소(62)를 포함한 각각의 리드프레임과 적층 관계로 배열된 복수의 리드프레임(58)으로 구성된 것이 좋다. 또한 땜납융기 수단은 도전요소(62)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적층된 땜납융기(66)를 포함한다. 제9도는 보호수단(76)을 구비한 적층 리드프레임 조립체(54)를 나타낸 것이다. 제기된 보호수단(76)은 척층된 리드프레임 조립체(54)의 주변부에 위치되며 적층된 리드프레임의 다른 부분은 보호수단(76)으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장치와의 접속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층된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적층된 리드프레임을 사용함으로서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별개의 리드프레임을 통합한다. 따라서, 적층된 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54)는 특성임피던스 제어, 인덕턴스, 캐피시턴스, 저항 및 누화(corss-talk)잡음등 고속 집적회로의 신호관리와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한다. 적층된 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54)는 땜납 융기(66)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또는 리드프레임(54)의 다른 물리적 특성을 구성함으로서 제어된 임피던스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된 테이프 리드프레임 조립체(54)는 종래의 다층 세라믹 인쇄회로 기판 및 패키지에 관한 혁신적인 비용감소를 제공하며, 또한 중요한 성능상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제 제10도를 참조하면,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84)의 측면 단면이 도시 되어 있다.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84)는 생산 공정이 단축되고 또한 동작중의 신뢰도가 개선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84)는 리드프레임(86), 반도체 칩(88), 복수의 본래부터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16)를 포함한 결합수단과, 반도체 칩(88)의 주위 및 리드 프레임(86)의 일부를 밀봉 및 주변보호하고 리드프레임(86)의 다른 부분은 보호수단(90)으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장치와의 접속을 제공하는 보호수단(7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 반도체 칩(88)은 칩 전면(92)과 칩 후면(93)을 포함하며, 칩 전면(92)은 칩(88)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패드(96)를 갖는다. 리드프레임(86)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패드(96)에 입/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단부(102)를 갖는 신호 도전요소(110)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보호수단(76)은 각각 제1 및 제2의 밀봉부재(112, 113)로 이루어진 밀봉수단을 포함하며, 이들은 반도체 칩(88) 주변에서 챔버를 형성한다. 밀봉부재(112, 113)의 내부표면은 칩(88)과 밀봉부재(112, 113)의 독립 열팽창 순환을 허용하도록 반도체 칩(88)으로부터 이격되어진 챔버벽(114)을 포함한다. 보호수단(76)은 또한 주변 오염물질로부터 반도체 칩(88)을 코팅하여 보호하는 장벽 밀봉부재(112, 113)간 또는 보호수단(76)과 다음 레벨의 패키징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밀봉하는 패키장 밀봉수단(117)을 포함한다.
보호수단(76)은 또한, 제10도, 13a도, 13b도, 및 13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순환중에 칩(88), 리드프레임(86) 및 보호수단(76)에 대한 열응력에 의해 야기되는 기계적 피로를 완화하기 위하여 챔버벽(114)과 반도체 칩(88)사이에 위치된 응력 완화수단(12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응력완화 수단(120)은 열순환에 의한 응력에 관계없이 리드프레임(86)으로 버터 칩(88)으로 또는 그 역으로 흐르는 신호에 대한 전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도전요소(100)의 응력 완화 팽창부(122)를 포함한다. 제13a도는 각을 이룬 응력완화 수단(120a)으로 구성된 응력완화수단(120)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유사하게, 제13B도는 열순환중에 칩(88), 리드프레임(86), 및 보호수단(76)에 대한 열응력에 의해 야기된 기계적 피로를 완화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물결 모양의 응력 완화수단(120b)을 일부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3c도는 유연성 아아치 모양의 응력완화수단(120c)으로 구성된 응력완화수단(120)의 측면 확대도 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는 반도체를 개방 공동(126)으로 캡슐 봉입한다. 또한 리드프레임(85)의 공동(126)내에 있는 부분은 열응력에 의한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응력완화수단(1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전성의 상실 또는 장치의 고장을 일으킴이 없이 열팽창에 의해 유기된 부품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캡슐 봉입된 응력완화 팽창수단(120)을 구비한다. 또한, 이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 상호 받아들여질 수 없는 열팽창 차이를 겪게되는 다른 부품재료를 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설명하는 관계없이 리드프레임 및 칩으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전도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84)의 밀봉부재(112, 113)증 적어도 하나는 다음 레벨의 패키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전요소(100)의 제2의 단부(102)는 중간 패키징없이 패키지(84)를 인쇄 회로기판(130)에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패키지에 칩(88)이 어떻게 접속 되는가에 관한 냉각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저가 패키지의 다른 장점을 설명한다. 특히, 반도체 칩(88)의 전면(92)은 칩패드(96)로 구성되고 후면(93)은 보호수단(90)의 일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은 소모되는 열이 열흡수(heat sink)를 제공하도록 납땜 겸합 및 공기만을 갖는 경우보다더 많은 칩 영역이 동작중 흡열부와 접촉하게 함으로서 후측 탑재에 있어서 열저항 특징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인쇄회로기판 또는 다른 레벨의 패키징 상에의 탑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패키지에는 또한 강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84)의 장벽 밀봉수단(116)은 폴리이미드재로 이루어진 것이 좋고 결합수단은 땜납융기재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84)는 또한 인쇄로기판 또는 다른 레벨의 패키징과 직접 접속되도록 구성된 고농도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를 포함한다. 고농도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는 실질적으로 1.02인치(0.5㎜)이하의 패턴 반복으로된 미세한 피치 결합 패드를 포함한 결합패드(96)를 가진 반도체 칩(88)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유사하게, 리드프레임(86)은 미세한 피치 도전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겹합수단은 미세한 피치 패드에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농도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는 마이크로칩(88)이상 위치된 패드(96)와, 약0.003인치(0.073㎜)와 0.008인치(0.203㎜)사이의 피치로 격리된 리드프레임 도전요소(1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보호수단(90)의 외부로 연장된 도전요소(100)의 부분들은 약 0.004인치(0.102㎜)와 약 0.010인치(0.254㎜)사이의 피치로 이격된다.
다시 제10도를 참조하면,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 (84)의 구성 방법이 도시도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이러한 구성방법은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패드(96)를 가진 반도체 빛(88)제공단계와, 칩(88) 제공단계와, 칩(88)과의 접속을 위한 리드프레임(86)의 위치결정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프레임(86)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패드(96)로의 입력 및 출력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제1단부(101)와 제2단부(102)를 가진 신호 도전요소(10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칩 및 리드프레임 패키지는 미리 형성된 땜납융기(16)를 사용하여 도전요소(100)를 칩 패드(96)에 결합함으로서 형성된다. 그 다음, 보호수단(76)은 반도체 칩(88)과 리드프레임(86)의 일부 주위를 밀봉 및 주변보호하고 리드프레임(86)의 다른 부분은 보호수단(76)으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장치와의 접속을 제공하도록 제기된다. 제기된 구성방법은 챔버를 형성하도록 반도체 칩(88)주변에 위치된 제1의 밀봉부재(112)와 제2의 밀봉부재(113)로 이루어진 보호수단(7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재 각각은 칩(88)과 밀봉부재(112, 113)의 독립 열팽창 순환이 가능하도록 반도체 칩(88)으로부터 이격된 쳄버벽(114)을 포함한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의 제기된 조립 방법에서는 중간 패키징 없이 도전요소의 제2단부(102)를 인쇄 회로기판(130)에 접속한다.
상기한 방법은 유전체등의 테이프 수단에 의해 분리되고 운반되는 복수의 도전요소를 갖는 테이프 리드프레임을 포함한 리드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보호수단(76)을 제공하는 이외에 응력완화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저가 리드프레임 패키지(84)의 구성 방법은 열순환 중에 칩(88), 리드프레임(86) 및 보호수단(76)에 가해진 열응력에 의해 일어난 기계적 피로를 경감하기 위하여 챔버벽(114)과 반도체 칩(88) 사이에 응력완화수단(120)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패키징 기술분야에서, 리드프레임에의 다이 또는 능동장치의 결합에는 실질적인 경비가 소요된다. 이 경비는 필요로하는 다이당 겹합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므로, 반도체 칩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디아당 결합의 수도 증가한다. 다이를 리드프레임에 결합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에너지를 줄이기 위하여 종래에 여러 가지의 개선안이 제시되어왔지만 처리단계의 대표적인 패턴을 산업상 실시하는 것이다. 제11도는 탭 조립체의 종래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의 리드프레임은 다이에 부착되어야 한다. 그다음, 다이는 제1의 리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고 패키지에 에폭시 결합된다. 그 다음, 제1의 리드프레임은 패키지에 부착되어야 하고 뚜껑(lid)이 그 위에 용접되어야 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이 단계중에 다이로부터 패키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통하는 전도로(conductve path)를 제공하기 위하여 패키지에 제2의 리드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 때에만 조립된 패키지가 기능시험을 받을 준비가 된다. 탭 조립체 당 1000회 이상의 결합을 필요로 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인 것이었다. 본 발명의 저가 탭 패키지는 다수의 종래 탭 조립체 단계들을 인지하고 제거한다. 사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저가 탭 패키지는 더 적은 처리단계로 이루어지며 조립된 다이당 결합되는 수를 크게 감소시킨다. 특히,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저가 탭 패키지는 리드프레임을 다이에 부착하는 것을 필요로한다. 그 다음, 칩은 패키지에 에폭시 결합된다. 다음에, 패키지상에 뚜껑이 봉인되고 패캐지가 기능시험 받을 준비상태로 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속되는 리드프레임 주변에 보호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대부분의 고성능 칩에 대해 수백회의 결합을 요구하는 종래의 필요조건을 제거하는 혁신것인 것이다. 대규모의 칩 제조공정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많은 충돌을 일으킴으로서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 동일한 상호접속 필요 조건과 비교하여 제거된 결합 횟수의 칩당 감소율은 쉽게 50%를 초과하며, 신뢰도가 크게 증가된다. 칩당 결합 필요조건의 이 같은 큰감소는 지금까지 설명한 생산 효율을 달성하면서 이들 장치들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제15b도는 신호 성능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또 한의 리드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리드프레임 조립체(162)는 고성능 패키지이 있어서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기된 리드프레임 조립체(162)는 전원, 그라운드 및 반도체 칩등 전자부품으로/로부터의 신호도전로중 적어도 한가지를 제공하기 위한 도전요소(116)를 구비한 리드프레임(164)을 포함한다. 리드프레임 조립체에 대한 전기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캐패시터 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캐패시터 수단은 리드프레임(164)의 전원과 그라운드 도전요소 사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캐패시터(169)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리드프레임 장치에 있어서의 신호 충실도는 전기 잡음에 의해 감소되며 이것은 본 발명의 필터 리드프레임에 따라 배열된 디커플링 캐패시터(169)를 사용함으로서 제거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특정 디크플링 캐패시터가 위치된 반도체 칩의 전원 및 그라운드 접속부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그 캐패시터의 잡음 감소 능력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된다. 종래의 디커플링 캐패시터는 제1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형적으로 인쇄회로기판 및 패키지상에 패키지상에 재치된다. 그러나, 제1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커플링 캐패시터(169)를 리드프레임(164)상에 직접 재치함으로서, 캐패시터는 이들의 디커플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각각의 전원 및 그라운드 접속에 가능한한 근접하게 위치된다. 디커플링 캐패시터(169)를 리드프레임 전원 및 그라운드 도전요소(166)에 부착하는 여러 가지 수단들은 땜납 페이스트, 땜납 선형성(preform)또는 전도성 에폭시를 사용하는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필터 리드프레임 조립체(162)는도전요소(166)ㄹ르 분리하기 위한 유전체(173)를 갖는 데이프 리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도전요소(166)는 구리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제1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 리드프레임 조립체(162)는칩으로/로부터의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영역(180)을 갖는 반도체 칩(178)으로 이루어진 통합 부품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반도체 칩(178)은 칩(178) 인터페이스 영역과 캐패시터(169)사이의 분리를 최소화하면서 신호의 디커플링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캐패시터(169)가 칩 인터페이스 영역(180)위에 위치되게 리드프레임(164)에 접속된다.
필터 리드프레임 조립체(162)는 보호수단(76)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호수단(76)은 반도체 칩(178)과 테이프 리드프레임(164) 주변에서 밀봉된 주변보호를 제공하고 데이프 리드프레임(164)의 다른 부분은 보호수단(185)으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장치와의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제15b도는 어떠한 중간 패키징 없이 보호수단(185)으로붙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190)과의 접속을 제공하는 리드프레임 제2단부(188)을 갖는 필터 리드프레임 조립체(162)를 나타낸다.
필터 리드프레임 조립체(162)는 굴곡을 제공하고 조립체의 분열 또는 파괴를 방지하도록 개방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땜납 구성은 제조상의 효율, 개선된 성능 및 더 큰 신뢰도를 달성하도록 하는 전자 부품의 패키징 및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 패키지의 신뢰도에 있어서의 중요한 개선은 연성 땜납융기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달성된다. 여러 가지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광범위의 열환경을 통하여 단일 고체상 금속상태를 유지하는 혼함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전자부품이 매우 높은 온도에서 실온이하의 온도까지의 범위의 여러 가지 동작 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많은 종래의결합 혼합물은 금속 피로를 유도하는 온도 변화중에 고체와 액체 사이의 위상 변화를 가져온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나타내며, 그러한 결합재를 사용하는 시스템 및 부품에 대한 실질적인 신뢰도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은 전자 결합 혼합물 분야에서 사용된 땜납 결합재에 의해 지금까지 경험했던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넓은 범위에서 단상 고체를 유지하는 제기된 주석-납의 땜납 혼합물을 나타낸다. 특히, 3중량% 이하의 주석과97중량% 이상의 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고신뢰도의 결합을 가져온다. 예를들어, 1중량%의 주석을 함유한 땜납 융기를 테스트하면 예를들어, 3-6중량%의 더 높은 주석을 함유한 융기보다 그 신뢰도가 3배 이상으로 됨을 알 수 있다.
제16도에는 간단화된 주석-납 상평형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주석-납 혼합물은 선 A, B, C,위의 온도에서 완전히 용해되어 액체상태로 된다. 따라서, 선 A, B, C,는 이 시스템의 액상선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Ⅰ라고 표시된 모든 영역에서는 완전히 액체상태이다. 도면에서 베타(β)와 알파(α)라고 표시된 영역 Ⅱ와 Ⅲ은 각각 고체 용제 영역이다. 주어진 구성 및 주어진 온도의 합금이 α와 β영역내로 들어오면 단상(single phase)을 갖는다. 이들 영역의 상한선을 형성하는 A-D선과 C-F선은 D-F선과 함께 고상선이라 부른다. 고상선(A, D, F, C)아래의 물질은 완전히 고체상태이다. 영역 IV의 물질은 β와 α를 여러 가지 비율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F-C선과 D-E선의 곡선은 고체 용제 영역 Ⅱ와 Ⅲ에서의용질(기본 요소)량이 냉각으로 감소되고 영역Ⅳ가 여러 가지 구성의 α와 β가 상존하는 이중상(double phase)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영역 Ⅴ와 Ⅵ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고상선과 액상선 사이에 위치하며 따라서 각각 β+액체와 α+액체로 이루어진다. 이 영역들은 보통 불활성 범위라고 한다. 전자 결합에 대한 대부분의 공지된 땜납 혼합물은 이 불활성 범위내에 존재한다, 그러나 α 또는 β의 고체 결정이 주석과 납의 액체 용제에 담가지고 온도가 내려갈때에, 액체는 더 이상 대량의 제2의 위상을 용해하지 못하며, 공용온도(eutectic temperature)에 도달하거나 물질의 균형이 α와 β의 혼합물로 전체적으로 고정될 때까지 β와 α의 더 많은 결점들이 형성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 Q는 90중량%의 납과 10중량%의 주석으로 이루어진 합금을 나타낸다. 합금이 고온 액체 용제로부터 더 낮은 온도로 변화할 때에 이것은 여러 가지의 급속 위상을 통과한다. 초기 냉각시에 합금은 먼저 영역 Ⅵ에서 α의 결정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불활성 범위로 변환된다. 더 냉각되면 합금은 영역 Ⅲ에서 고체(α)상의 형태로 고정된다. 합금이 더 낮은 온도인 선 F-G에 근접하면, 고체 용제는 더 이상 모든 주석을 보유할 수 없고 β상의 형성은 영역 Ⅳ에서 β와 α가 공존하는 2상영역을 만든다.
제16도는 또한 98중량%의 납과 2중량%의 주석 혼합물인, 선 R에 의해 표시된 것과 유사한 혼합물의 경우에만 정상적인 실온에서 α의 단상만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사실, 이와같이 주석함량이 낮은 혼합물은 가장 넓은 범위의 단상의 고체 땜납 혼합물을 제공한다. 결국, 연성의 땜납 결합재는 광범위한 동작 온도중에 금속위상이 변화되지 않는 주석함량이 매우 낮은 합금으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결합재의 신뢰도 및 피로를 야기하는 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적어도 약 -65℃∼200℃의넓은 온도 범위에서 단상의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연성 땜납 결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기된 연성 땜납 결합재는 주석과 납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혼합물은 주석과 납을 포함하는 것이 요망되는데 이때 주석의 중량%는 혼합물이 실질적인 0℃에서 단상고체(α)상태로부터 2상 고체(α+β)상태로 변화하는 값보다 적거나 동일하다. 상기 주석-납 혼합물의 땜납 결합재는 전자부품간에 미리 형성된 위치 및 실질적인 리플로우 결합을 하도록 구성된 땜납 융기를 아울러 포함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땜납 융기의 형태일 수 있는 제기된 땜납 결합재는 안정도 범위의 열순환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3중량% 이하의 주석과 97중량%이상의 납을 포함한다. 특히, 잔자부품의 상호 접속에 사용되는 제기된 땜납융기재는 0.5∼2중량%의 주석과 98∼99.5중량%의 납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제기된 주석 함량내에서 제조된 부품은 -65℃에서 150℃까지 1000회 이상 고장없이 열순환된다. 대조적으로 약 3∼6%의 주석함량을 가진 땜납 결합재를 사용하여 시험하여 시험하여 본 결과 200회 이하의 열순환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애 따른 제기된 여넝 땜납 결합재의 최소한 몇가지의 응용예는 미국방성 군사표준 883이내에서 초안된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따라서, 미리 형성된 융기 구성의 땜납 결합재는 -65℃∼150℃의 온도에서 미국방성 군사표준 883방법 1010에 의해 요구된 최소값인 100회의 열순화을 초과하는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이 되도록 제공한다. 이 땜납 결합재는 3중량%이하의 주석과 97중량% 이사의 납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이러한 땜납 결합재는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의 혼합물로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을 설명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65℃∼+150℃의 온도 범위에서 미국방성 군사표준 883방법 1010에 의해 요구된 최소값인 100회의 열수환을 초과하고 주석과 납의 혼합물로 되어 있으며 이때 주석의 중량퍼센트는 혼합물이 실질적으로 0℃에서 단상고체(α) 상태로부터 2상고체(α+β) 상태로 변화하는 값보다 적거나 동일한 값인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을 위한 땜납결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이국방성 군사표준 883방법 1010에서 열순환 필요조건으로 규정한 -65℃∼1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사의 고체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혼합물을 포함한 전자부품을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되는 땜납융기재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또는 전자부품 패키징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이 아닌 방법으로 고신뢰도의 결합을 제공하도록 땜납 혼합물을 반도체 칩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을 리드프레임을 전자장치에 상호접속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고강도의 땜납융기가 미리 형성된 도전요소를 갖는 리드프래임 조립체를 아울러 포함한다. 이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전원, 그라운드 및 전자장치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리드프레임은 또한 전자 장치상의 결합위치와 선택적인 결합을 위하여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포함한다. 땜납 융기는 0℃∼1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상 고체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이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땜납융기는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땜납융기는 0℃∼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고체를 유지하고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98∼99.5중량%의 납의 함량을 가진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땜납 융기 혼합물 특성중 어느 하나를 갖는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도전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절연제를 가진 테이프 리드프레임임을 아울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은 전원, 그라운드 및 신호도전 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제공단계와, 도전요소를 전자장치의 결합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도전요소상에 땜납 융기를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준비시 결합의 융기가 형성된 리드프레임 제조방법을 또한 나타내며, 땜납융기는 0℃∼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로서 미리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준비시 결합의 융기가 형성된 리드프레임 제조방법의 일환으로서 미리 형성되는 땜납융기의 혼합물은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으로된 혼합물을 포함한다. 사실, 제기된 준비시 결합의 융기형성된 리드프레임 제조방법은 0℃∼105℃의 온동범위에서 단상고체상태를 유지하고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 중량의 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된 땜납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저가의 고강도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가 또한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제기된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는 칩으로/로부터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한 반도체 칩을 구비한다. 조립체는 또한 전원, 그라운드 및 반도체 칩상의 결합위치로의 입력 및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렘임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는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반도체 칩상의 결합위치 사이에 리플로우되는 땜납 융기를 포함하는 땜납융기수단을 포함한다. 땜납융기는 0℃∼150℃의 온도번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땜납융기는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발명의 땜납 혼합물에 따른 다른 하나의 저가 고강도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는 0℃∼1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갖는 땜납융기를 포함한 땜납융기수단을 포함하며, 그 혼합물은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 제조방법은 칩으로/로부터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한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결합위치에 입/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 수단 제공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반도체칩의 결합 위치 사이에 위치되고 0℃∼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의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가진 땜납융기를 포함한 땜납 융기수단 제공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상의 결합위치와 접합하도록 땜납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기된 방법에서의 땜납 융기의 혼합물은 0℃∼150℃의 온도범위에서만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짐으로서 정해지는 것 보다는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저가 고강도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에 대한 또 다른 제조방법은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를 포함하고 그 혼합물ㅇ느 0℃∼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은 또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상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 수단 결합단계와, 반도체 칩의 결합 위치에 미리 형성되고 0℃∼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기위한 혼합물을 갖는 땜납융기 제공단계와, 반도체 칩 결합 패드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융기를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정열하는 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상의 결합위치와 접합하도록 땜납 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 저가 고강도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저가 고강도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를 제조하는이러한 방법은, 대안으로서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땜납 혼합물에 대한 또 하나의 실시예는 칩으로/로부터의 신호 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한 반도체 칩과,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결합 위치로/로부터의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가진 리드프레임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 미리 형성되고 0℃∼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가진 땜납융기를 구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저가 고수율 고강도의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키트를 포함한다. 땜납융기는 도한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5의 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조립체 키트는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 미리 형성된 땜납융기를 포함한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땜납융기는 약 0.5∼2중량%의 주석과 약 98∼99.5중량%의 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부품의 패키지 및 결합분야에서 추가진보사항은 다음의 개량된 퍼네이스(furnace) 결합구조 및 방법을 포함한다.
전자부품 결합의 기본 퍼네이스 결합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결합될 장치는 퍼네이스내에 위치되어 가열되고 도전요소를 저압 결합한다. 그러나 결합되는 여러 가지 도전요소에 인가된 균일하지 않은 압축력하에서는 자주 문제가 발생한다. 가금, 이러한 불균형 결합력은 어떤 도전요소의 과잉 압축을 야기하고 다른 도전요소가 불충분하게 압축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전체적인 패키지의 신뢰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압축문제를 받지 않고 반도체 칩에 리드프레임이 도전요소를 압축 퍼네이스 결합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특히, 제17도에 도시된 결합 시스템(208)은 반도체 칩을 지지하기위한 칩 지지표면이 있는 홀딩 부재를 구비한 홀딩수단과, 리드프레임의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재치수단과, 칩 결합위치에 도전요소를 결합한 것을 가열 및 리플로우 하기 위한 퍼네이스를 포함한 퍼네이스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표적인 퍼네이스 결합 주기는 홀딩부재(212)내에 설치된 도전요소 및 반도체 칩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벨트 퍼네이스(210)등의 퍼네이스 수단을 포함한다. 벨트 퍼네이스(210)는 벨트 퍼네이스(210)를 통하여 홀딩 부재를 이송하는 벨트 부재(215)를 포함한다. 제기된 벨트 퍼네이스(210)는 도전요소가 결합되는 칩의 위치 주변의 대기를 중간으로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중간 또는 감소된 대기는 재료의 무용제 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홀딩부재(212)에 반도체 칩을 재치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챔버(220)에는 반도체 칩(223)을 임시로 유지하고 리드프레임(226)의 도전요소(225)에 칩(223)을 정밀하게 정열할 수 있도록 진공을 만드는 진공 수단이 제공된다. 챔버(220)는 또한 칩(223)이 홀딩부재(212)의 열보유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재치수단은 칩을 퍼네이스(210)내에서 가열하기 전에 재치된 칩(223) 및 리드프레임(226)을 단단히 고정하기위하여 J로 표시된 화살표로 나타낸 클램프 스프링 조립체를 아울러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결합장치(208)재치수단은 리드프레임(226)을 결합하고 정열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위치조정용 쐐기(230)를 아울러 구비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같이, 홀딩부재(212)에는 위치조정구멍(233)을 형성하는 표면(232)이 위치된다. 위치조정구멍(233)은 위치조정용 쐐기(230)를 미끌어질 수 있게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 조정용 쐐기(230)와 위치조정구멍(233)의 상호작용은 칩(233)의 결합위치에 관하여 도전요소(225)에 조약한 정렬을 제공한다.
제17도에 도시된 홀딩부재(212)는 단자대 융기정열을 유지하고 땜납융기(235)와 도전요소(225) 사이의 접촉을 확실히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땜납 융기(235)와 도전요소(225)간의 접촉은 강성 삽입물 또는 공형 삽입물을 사용함으로서 달성된다. 강성 삽입물(240)은 연성 땜납 융기를 적용할 때에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강성 삽입물(240)은 칩(223)위에 수직 배열된 리드프레임 도전요소(225)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강성 삽입물(240)은 중력에 의한 압축력을 리드프레임에 가하고 도전요소(225)가 적당한 칩결합 위치에 충분히 접촉되도록한다. 도전요소(225)상에 강성 삽입물(240)을 재치하는 조절된 압축 효과는 도전요소(225)의 초기 비평탄성 및 칩(223)에 위치된 땜납융기(235)의 어떤 높이차에 관계없이 반도체칩(223)에 각 도전요소(225)가 일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제기된 삽입물은 석영을 사용하는데 석영은 열차단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208)를 사용하는 경우, 칩(223)에 대한 도전요소(225)의 수직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격리 수단(242)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칩표면(224)상의 도전요소 높이를 유지하기위하여 강성 결합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강성재를 사용하면, 압축 결합력이 안가되었을 때 칩(223)이 파열 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형 삽입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공형 삽입물(248)은 공칭삽입 압축이 칩(223)상의 강성재 융기 사이의 높이차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강성 삽입물(240)과 유사한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이 특성은 제조공정중 부품손상의 한 원인을 제거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의해 제조된 부품의 신뢰도를 증가시킨다. 결합장치(208)는 미리 형성된 리플로우 가능한땜납 융기가 부착된 도전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있다. 미리 형성된 리플로우 가능한 땜납 융기는 칩(223)상에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강성 삽입물(240) 및 공형 삽입물(248)은 쉽게 교체될 수 있어 효율을 높이고 연마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재료절약 및 부품청결은 결합 공정중에 땜납 융기(235)를 둘러싸는 중간 또는 감소 대기하에서 본 발명의 퍼네이스 결합을 사용할 때에 증대된다. 결합 공정을 질소 분위기내에서 완성 하였을 때 무용제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프레임의 도전요소에 반도체 칩을 조절된 압축 퍼네이스 결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칩 지지표면(222)을 포함한 홀딩부재(212)에 복수의 결합 위치를 갖는 반도체 칩(223)을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치하는 다계와, 리드프레임(226)의 도전요소(225)를 칩결합 위치에 접속하는 미리 형성된 결합재 제공단계와,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 위치에 정열하는 단계와, 결합재가 도전요소 및 칩 결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결합재를 리플로우되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와, 결합 공정을 완료하기위해 결합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결합 공정중에 결합재 주변에서 중간 또는 감소대기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반도체 칩 재치 단계는 홀딩부재내로 연장된 챔버위의 칩지지 표면에 칩을 재치하는 단계와, 칩을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 정확히 정열시키기 위해 칩을 임시 홀딩하도록 진공상태를 만드는 단계와, 조립체의 가열 이전에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정열되어 있는 칩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리 형성된 결합재의 재치 단계는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리드프레임 도전요소 또는 반도체 칩 결합 위치상에 재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용제 퍼네이스결합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물이 다른 수단에 의하여 결합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용해물은 제기된 조성물이 염가이고 쉽게 입수하 수 있으며 쉽게 혼합되어지기 때문에 특히 가격면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결합된 표면을 세정하는데 관련된 비용은 이들 표명이 종래의 용해물을 이용하여 결합된 후에, 본 발명의 용해물이 종래의 용해물을 사용했을 때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탄화(charring)를 최소화하거나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용해물 또는 용제는 결합재로서 금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정상 대기에서 땜납결합을 사용할 경우, 결합 위치에서의 접합을 위하여 무산소 표면을 만들도록 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염화 암모늄, 염화아연, 염화수소 또는 다른 공지의 활성물등의 활성용제는 일반적으로 완전한 산성이며 유독성으로 될 수 있다. 활성용제를 사용한 후에 가끔 잔류하는 잔유물은 부품을 부식시킬 수 있으며, 다른 난점을 일으킨다. 대조적으로, 오일과 로진을 포함한 본 발명의용해물을 사용하면 부품 표면상에 잔유물이 잔류할 때에도 상기한 활성 용해물과 관련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실질적으로 불활성인 잔유물을 남긴다. 탄화성 및 부식성 용제 잔유물의 문제에 대한 종래의 해결방법은 알콜 조성물을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알콜은 증발성이 있으므로 그 효율이 감소한다. 워터 화이트 로진을 포함한 용해물에 이소프로필 알콜이 사용될 경우 용제가 가금 태빙 처리중에 건조되고 탄화되며 실제적으로 세정이 불가능하진 않더라도 세정하기가 어렵다. 탄화된 융제는 이온성 오염원 또는 심미적인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 이 용해물은 결합 영역으로 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진 및 오일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좋다.
제기된 용해물은 저가이고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위험성이 없는 물질인 것이 좋다. 제기된 용해물은 쉽게 혼합되고 분배되며 결합 위치에서 쉽게 제거된다.
이 용해물은 땜납을 표면에 결합하는데 필요한 온도이상의 점화온도를 갖는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가끔 용해물의 발화에 의해 야기되었던 탄화 잔유물은 실질적으로 최소화되거나 제거된다. 제기도니용해물은 약5∼95, 바람직하기로는 10∼90, 더 좋게는 20∼80, 특히 더 좋게는 30∼70중량%의 오일과 약 5∼95, 바람직하기로는 10∼90, 더 좋게는 20∼80, 특히 더 좋게는 30∼70중량%의 로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용해물은 본질적으로 약 5∼95중량%의 오일과 약 5∼95중량%의 로진으로 구성된다. 로진에 오일을 첨가하면 용제의 점도를 조정할수 있으며, 이로써 처리 또는 분배가 더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오일을 첨가하더라도 납땜중에 산화물의 형성을 최소화함에 있어 로진의 효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실 오일을 첨가하면 특히 미세 지오메트리 공간을 갖는 구조와 함께 사용할 때에 로진의 효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이 조성물의 안정도는 결합 공정의 온도 상승중에 용제 혼합물의 오일과 로진 각각의 백분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제기된 오일은 적어도 약 375℃의 점화온도를 갖는 것이 좋다. 비교적 높은점화 온도를 갖는 오일을 선택함으로서 결합중에 용제가 탄화되는 경향이 감소되어 진다. 따라서,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은 적어고 약 375℃의점화온도를 갖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기된 오일은 식물성 오일, 어유, 동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기된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은 적어도 약 390℃, 바람직하기로는 약 400℃, 더 좋게는 약 415℃, 특히 더 좋게는 약 425℃의 점화온도를 갖는다. 사용하기 위해 상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오일은 적어도 약 430℃의 점화 온도를 갖는 것이 가장좋다.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루 때는 땅콩유, 해바라기유, 유채유, 두유, 캐스터유, 조조바유, 옥수수유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높은 점화온도를 나타내는 다른 공지의 오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식물성 오일은 땅콩유이며 적어도 430℃의 점화온도를 갖는 것이 좋다. 제기된 용해물에 있어서 로진의 중량%의 50%에도달할때에 제기된 용해물의 장점은 충분히 실현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들어, 로진의 합성율이 50%에 도달할 때 용해물은 분배 빛 사용을 위하여 쉽게 유동될 수 있다. 더욱이, 로진의 중량%가 증가하면 제기된 용해물의 반탄화(anti-charring)특성을 결합주에 더 명확하게 되고 발생하는 탄화의 양은 최소화 된다. 결국, 제기된 용해물은 적어도 약 30, 바람직하기로는 약 40, 더 좋게는 약 50중량%의 로진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오일의 중량%에 대한 로진의 중량% 비율은 적어도 약 0.1, 바람직하게는 약 0.5, 더 좋게는 0.75, 이보다 더 좋게는 0.9, 특히 좋게는 0.95, 가장 좋게는 약1인 것이 좋다.
제기된 용해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로진은 실질적으로 불합성이고 비활동성로진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제기된 로진은 많은 제조원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워터 화이트 로진을 포함하지만 비활동성의 다른 로진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제기된오일 및 로진 화합물은 전자 부품에서 사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그것과접촉하는 사람에게 무해한 비부식성 비유독성 용해물을 제공한다. 또한 의도된 사용이 전자부품의 안전 또는 다른 이유 때문에 비활동성 로진을 요구하지않을 때, 이용해물은 제기된 오일 조성물과 양립할 수 있는 활동성 로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해물에 대한 제기된 실시예가 탄화 및 땜납 작업중 탄화된 잔유물의 생성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납땜 펴면의 세정이 훨씬 용이하여 진다.
예를들어, 특히 거칠거나 유독한 세정물질은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한 표면은 따뜻한 크실렌, 건성 아세톤등의 비교적 순환 세정물질을 사용하여 쉽게 세정된다.
도전요소를 땜납과 결합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한다. 이 방법은 땜납과 용해물을 결합되어질 도전요소상에 재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용해물은 약 5∼95중량%의 오일과 약 5∼95줄량%의 로진을 포함한다. 다음 단계는 표면, 땜납 및/또는 용제를 약 250∼4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며, 이때 용해물의 탄화는 최소화 된다. 결합은 약 250∼400℃, 바람직하게는 300∼400℃의 온도에서 발생하며, 비교적 높은 점화온도의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에 의하여 이들 온도에서 탄화가 최소화될수 있을 경우 종래의 용제에서 나타나는 탄화 효과는 실질적으로 최소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 1]
점화온도가 443℃인 땅콩유와 알파5002라는 상표명으로 거래되고 있는 로진을 같은 중량비로 함께 혼합하고 유리 믹서에서 적당한 속도로 약 2분동안 흔들었다. 결과적인 용해물은 부드럽고 점성이 있으며 쉽게 분배될 수 있는 것이었다.
결과적인 용해물을 리드프레임 표면에 인가하고 땜납을 이 표면에 가까운 325℃의 리플로우 온도로 가열했을 때 실질적으로 탄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비록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묘시하였지만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를 고안해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하고 도시된 부분의 특정 형성 및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Claims (27)

  1. -65℃ 내지 150℃의 온도범위에서 미국방성 군사표준 883 방법 1010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수인 100회의 열순환을 크기 순서로 초과하는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을 제고하는 땜납 결합재에 있어서, 주석과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주석의 중량 퍼센트는 0℃에서 상기 혼합물이 단상 고체(α) 상태로부터 2상고체(α+β)상태로 변화하는 값과 같거나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결합재.
  2.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을 제공하는 땜납 결합재에 있어서, 주석과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주석의 중량 퍼센트는 0℃에서 상기 혼합물이 단상 고체(α)상태로부터 2상고체(α+β)상태로 변화하는 값과 같거나 그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는 땜납 결합재.
  3. -65℃ 내지 +150℃의 온도범위에서 미국방성 굼사표준 883 방법 1010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수인 100회의 열순환을 크기순서로 초과하는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을 제공하는 땜납 융기에 있어서, 주석과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주석의 중량 퍼센트는 0℃에서 상기 혼합물이 단상 고체(α)상태로부터 2상고체(α+β)상태로 변화하는 값과 같거나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융기.
  4. 전도성 전자부품의 고강도 결합을 제공하는 땜납 융기에 있어서, 주석과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주석의 중량 퍼센트는 0℃에서 상기 혼합물이 단상 고체(α)상태로부터 2상고체(α+β)상태로 변화하는 값과 같거나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융기.
  5. 리드프레임을 전자장치에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도전요소에 고강도 땜납융기가미리 형성된 리드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전자장치상의 결합 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 수단과, 전자장치상의 결합위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되고, 0℃ 내지 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포함한 땜납융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조립체
  6. 재5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융기가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래임 수단은 도전요소를 절연하기 위한 유전체를 갖는 테이프 리드프레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조립체.
  8. 리드프레임을 전자장치에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도전요소에 고강도 땜납 융기가 미리 형성된 리드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전자장치상이결합 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 수단과, 전자장치상의 결합위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되고,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하는 땜납 융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래임 수단은 도전요소를 절연하기 위한 유전체를 갖는 테이프 리드프레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조립체.
  10. 준비시 결합시 융기가 형성된 리드프레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원, 그라운드 및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 제공단계와, 정자 장치의 결합위치에 도전요소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0℃ 내지 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로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융기가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로 미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제조 방법.
  12. 준비시 결합시 융기가 형성된 리드프레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원, 그라운드 및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 제공단계와, 전자 장치의 결합위치에 도전요소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로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제조 방법.
  13.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한 반도체 칩과,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과,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 사이에서 리플로우되고 0℃ 내지 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를 포함한 땜납 융기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융기가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15.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한 반도체 칩과,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과,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 사이에서 리플로우되고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들을 포함한 땜납 융기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16.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한 반도체 칩과,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 제공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 사이에서 위치되고, 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들을 포함한 땜납 융기 수단 제공 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접합하도록 땜납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
  17.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 제공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 사이에서 위치되고,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를 포함한 땜납 융기 수단 제공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접합하도록 땜납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
  18.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 제공단계와,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되고 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 제공 단계와;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융기를 반도체 칩의 대응하는 결합위치와 일치되게 정열하는 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접합하도록 땜납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
  19.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 제공단계와,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되고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가진 땜납 융기 제공단계와,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 융기를 반도체 칩의 대응하는 결합위치와 일치하게 정열하는 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접합하도록 땜납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
  20.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 제공단계와, 반도체 칩 결합 위치에 미리 형성되고 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가진 땜납 융기 제공 단계와, 반도체 칩 결합 패드상에 미리 형성된 땜납융기를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 일치하도록 정열하는 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여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접합하도록 땜납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
  21. 저가 고강도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제공단계와,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도전요소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 리드프레임 수단 제공단계와, 반도체 칩 결합 위치에 미리 형성되고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갖는 땜납 융기 제공단계와, 반도체 칩 결합 패드상에 미리 형서왼 땜납 융기를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일치되게 정열하는 단계와, 대응하는 리드프레임 도전요소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에 접합하도록 땜납융기를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칩 조립체 제조방법.
  22. 저가 고수율 고강도의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과,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칩의 결합위치로/로부터의 신호 전송을 위한 신호도전요소 적어도 한가지를 갖는 리드프레임과, 반도체 칩 결합 위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서 미리 형성되고 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땜납 융기들을 포함한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융기가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
  24. 저가 고수율 고강도의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과,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로/로부터의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도전요소 적어도 한가지를 갖는 리드프레임과,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에 미리 형성되고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하는 땜납 융기들을 포함한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
  25. 저가 고수율 고강도의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과,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로/로부터의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도전요소 적어도 한가지를 갖는 리드프레임과,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칩 결합위치에 미리 형성되고 0℃ 내지 150℃의 온도범위에서 단상의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땜납 융기들을 포함한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융기가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한 혼합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
  27. 저가 고수율 고강도의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에 있어서, 칩으로/로부터의 신호입/출력을 위한 결합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과, 전원, 그라운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결합위치로/로부터의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도전요소 중 적어도 한가지를 갖는 리드프레임과, 리드프레임 도전요소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칩 결합위치에 미리 형성되고, 약 0.5 내지 약 2중량%의 주석과 약 98 내지 약 99.5중량%의 납을 포함하는 땜납 융기들을 포함한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칩 및 리드프레임 조립체 키트.
KR1019890016726A 1988-11-21 1989-11-18 땜납 결합재 KR0162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4,412 1988-11-21
US07/274,412 US5010387A (en) 1988-11-21 1988-11-21 Solder bonding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652A KR900008652A (ko) 1990-06-03
KR0162986B1 true KR0162986B1 (ko) 1998-12-01

Family

ID=2304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726A KR0162986B1 (ko) 1988-11-21 1989-11-18 땜납 결합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10387A (ko)
EP (1) EP0370741A1 (ko)
JP (1) JPH02187296A (ko)
KR (1) KR0162986B1 (ko)
CA (1) CA131076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2828A1 (de) 2015-11-20 2017-05-24 Mando Corporation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autonomen Lenk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306A (en) * 1988-11-21 1992-03-24 Honeywell Inc. Stacked tab leadframe assembly
US5331235A (en) * 1991-06-01 1994-07-19 Goldstar Electron Co., Ltd. Multi-chip semiconductor package
US5121293A (en) * 1991-08-08 1992-06-09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devices using tab in board technology
WO1996015283A1 (en) * 1994-11-15 1996-05-23 Tosoh Smd, Inc. Method of bonding targets to backing plate member
US5522535A (en) * 1994-11-15 1996-06-04 Tosoh Smd, Inc. Methods and structural combinations providing for backing plate reuse in sputter target/backing plate assemblies
US5593082A (en) * 1994-11-15 1997-01-14 Tosoh Smd, Inc. Methods of bonding targets to backing plate members using solder pastes and target/backing plate assemblies bonded thereby
US5982018A (en) * 1997-05-23 1999-11-09 Micron Technology, Inc. Thin film capacitor coupons for memory modules and multi-chip modules
US6114756A (en) * 1998-04-01 2000-09-05 Micron Technology, Inc. Interdigitated capacitor design for integrated circuit leadfram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445A (en) * 1883-03-20 Ments
US4332343A (en) * 1978-09-20 1982-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in-situ modification of solder comopsition
EP0039160A3 (en) * 1980-04-29 1982-08-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s for bonding conductive bumps to electronic circuitry
JPS586143A (ja) * 1981-07-02 1983-01-13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JPS5846176A (ja) * 1981-09-10 1983-03-17 帝人株式会社 ポリアミド合成繊維の撥水撥油加工方法
JPS58151037A (ja) * 1982-03-02 1983-09-08 Mitsubishi Metal Corp 半導体装置用pb合金ろう材
US4754912A (en) * 1984-04-05 1988-07-0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trolled collapse thermocompression gang bonding
JPS6187396A (ja) * 1984-10-05 1986-05-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回路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S61196564A (ja) * 1985-02-25 1986-08-30 シーメン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フイルムキヤリヤ集積回路とその製造方法
US4814855A (en) * 1986-04-29 1989-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lltape structure for tape automated bonding, multilayer packaging, universal chip interconnection and energy beam processes for manufacturing ballta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2828A1 (de) 2015-11-20 2017-05-24 Mando Corporation 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autonomen Lenk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87296A (ja) 1990-07-23
US5010387A (en) 1991-04-23
CA1310764C (en) 1992-11-24
EP0370741A1 (en) 1990-05-30
KR900008652A (ko) 199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6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eadframe having conductive elements preformed with solder bumps
KR0162985B1 (ko) 염가 고성능 반도체 칩 패키지
US4892245A (en) Controlled compression furnace bonding
US489832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yield solder bumped semiconductor wafer
US5099306A (en) Stacked tab leadframe assembly
JP4114597B2 (ja) 無鉛はんだによる電子部品パッケージ相互接続のための構造および形成方法
TWI261341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assembly method
US6013877A (en) Solder bonding printed circuit boards
JP4609296B2 (ja) 高温半田及び高温半田ペースト材、及びそれを用いたパワー半導体装置
KR970005526B1 (ko) 납땜 도금된 회로에 납땜 범프 상호 접속부를 형성하는 방법
JP3127151B2 (ja) 半田構造部、電子構成部品アセンブリ及び電子構成部品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6847118B2 (en) Low temperature solder chip attach structure
US6583517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joining two substrates with a low melt solder joint
US20010050181A1 (en) Semiconductor module and circuit substrate
TWI269416B (en) Lead free alloys for column/ball grid arrays, organic interposers and passive component assembly
KR0162986B1 (ko) 땜납 결합재
US4948032A (en) Fluxing agent
US5161729A (en) Package to semiconductor chip active interconnect site method
US6600233B2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surface mounted pins on an organic substrate
KR0163708B1 (ko) 적층식 리드프레임 조립체
EP0370743A1 (en) Decoupling filter leadframe assembly
EP0370738A1 (en) Solder bumped leadframe
JPH0572751B2 (ko)
JP2004260157A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組立方法
JPH11317487A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