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251B1 -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251B1
KR0161251B1 KR1019950027573A KR19950027573A KR0161251B1 KR 0161251 B1 KR0161251 B1 KR 0161251B1 KR 1019950027573 A KR1019950027573 A KR 1019950027573A KR 19950027573 A KR19950027573 A KR 19950027573A KR 0161251 B1 KR0161251 B1 KR 016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ner pot
rice
heat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696A (ko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251B1/ko
Priority to US08/704,981 priority patent/US5830520A/en
Priority to IN1523MA1996 priority patent/IN182780B/en
Priority to CN96122448A priority patent/CN1151853A/zh
Priority to JP8230321A priority patent/JPH09103365A/ja
Publication of KR97000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보온 밥솥에 적용되어 밥의 상태 선택 즉 된밥, 진밥, 보통밥을 자유로이 취사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가 취사 도중에 물의 양을 조절하지 않고도 된밥, 진밥, 보통밥 등을 선택하여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취사 도중 비등유 지점 이하의 공정에서도 상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뉴에서 메뉴별 조건을 설정하고 각 취사 시작키를 작동시킨 후 초기에 수초 동안 전원 상태 및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각 내솥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내솥 바닦의 온도를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하여 기설정된 릴레이의 온/오프 주기로 히터를 발열 제어하는 흡수 공정을 수행하고 흡수 공정이 끝난 후 내솥의 온도를 확인하여 가열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소정의 히터 가열에 의한 그 내솥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동시에 소정의 타임을 카운트를 개시하여 상기 제1기준 온도보다 소정 온도 높은 제2기준 온도까지 도달되면 타임 카운트를 종료하고 도달 온도에 따른 시간의 기울기를 연산하여 연산된 데이터를 취사량 판정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취사량 판정이 확정되고 내솥 온도가 상기 제2기준 온도보다 소정 온도 높은 제3기준 온도까지 상승하여 비등 유지 조건되면 취사량 판정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비등 유지 시간이 경과되거나 내솥의 온도가 취사 완료 온도로 기설정된 제4기준 온도가 될 때까지 계속 히터를 가열하여 비등 유지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중 내솥 온도가 취사 완료 온도로 기설정된 제4기준 온도를 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밥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상태 선택키부 입력이 있으면 기저장된 기울기 데이터에 따른 비등 유지 시간으로 비등 유지를 수행하되, 선택된 밥의 상태에 대응하여 히터의 온/오프 가열 주기를 가변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가열주기로 히터를 반복적으로 구동하여 비등유지를 수행하는 제5단계와, 비등 유지 공정이 끝나면 뜸 공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뜸 공정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채용되는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량 판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제3도(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내솥 온도 감지부
30 : 상태 선택키부 40 : 마이컴
50 : 히터 구동부 60 : 데이터 저장부
본 발명은 전기 보온 밥솥에 적용되어 밥의 상태 선택 즉 된밥, 진밥, 보통밥을 자유로이 취사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가 취사 도중에 물의 양을 조절하지 않고도 된밥, 진밥, 보통밥 등을 선택하여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취사 도중 비등유 지점 이하의 공정에서도 상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 보온 밥솥의 각 내용물에 따라 공정별 작동 조건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최초에 내솥이 안착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각 취사키 동작에 따라 그 공정이 시작된다.
일예로, 백미의 공정을 개략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솥의 안착을 감지하는 키에 의해 내솥이 안착 확인되면 메뉴키로서 백미를 선택한 후 밥짓기 시작 키를 누르면 공정별 진행 프로그램이 활성화된다.
이후, 공정별 프로그램 대로 진행을 하는데, 즉 흡수 공정-가열 공정-비등 유지 공정-뜸 공정-보온 공정으로 진행되고 종국에는 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취사 완료 표시를 수행하고 종료된다.
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내솥이 밥솥 내에 안착된 이후에는 계속적으로 공정별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진행 과정은 미리 소정의 기준치(표준 상태)로 정한 상태에서 공정별 순서로 진행되기 때문에 어떤 상태 변화의 조건에서는 이에 능동적으로 대비하지 못하였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된 된밥, 진밥 등을 취사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더욱 어려움이 있었다.
예컨데, 표준 취사로 설정되어 계속적인 공정별대로 진행 도중에 된밥, 진밥을 지으려면 내솥의 물의 양을 가감시켜야만 하는데, 이는 당연히 밥솥의 뚜껑을 개폐하여 물의 양을 가감해야 함에 따라 결국 밥맛을 저하시키는 주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상태 선택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도 발생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취사 도중 임의로 뚜껑을 개폐하지 않고도 즉 물의 양을 가감하지 않은 상태로 각 진밥, 된밥 등을 지을 수 있음과 동시에 소비자가 자유로이 밥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요망해 왔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요망 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표준 상태로 취사를 하는 경우 소비자가 자유로이 된밥, 진밥 등의 선택이 용이한 기능을 부가하되, 이 기능에서는 직접 물의 양을 조절하지 않도고 상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취사 도중에도 비등유 지점 이하의 고정에서는 상태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뉴에서 메뉴별 조건을 설정하고 각 취사 시작키를 작동시킨 후 초기에 수초 동안 전원 상태 및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각 내솥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내솥 바닦의 온도를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하여 기설정된 릴레이의 온/오프 주기로 히터를 발열 제어하는 흡수 공정을 수행하고 흡수 공정이 끝난 후 내솥의 온도를 확인하여 가열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소정의 히터 가열에 의한 그 내솥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동시에 소정의 타임을 카운트를 개시하여 상기 제1기준 온도보다 소정 온도 높은 제2기준 온도까지 도달되면 타임 카운트를 종료하고 도달 온도에 따른 시간의 기울기를 연산하여 연산된 데이터를 취사량 판정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취사량 판정이 확정되고 내솥 온도가 상기 제2기준 온도보다 소정 온도 높은 제3기준 온도까지 상승하여 비등 유지 조건되면 취사량 판정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비등 유지 시간이 경과되거나 내솥의 온도가 취사 완료 온도로 기설정된 제4기준 온도가 될 때까지 계속 히터를 가열하여 비등 유지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중 내솥 온도가 취사 완료 온도로 기설정된 제4기준 온도를 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밥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상태 선택키부 입력이 있으면 기저장된 기울기 데이터에 따른 비등 유지 시간으로 비등 유지를 수행하되, 선택된 밥의 상태에 대응하여 히터의 온/오프 가열 주기를 가변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가열주기로 히터를 반복적으로 구동하여 비등유지를 수행하는 제5단계와, 비등 유지 공정이 끝나면 뜸 공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뜸 공정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에서 상태 선택키부에 입력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밥의 상태는 매우 된밥, 된밥, 보통밥, 진밥, 매우 진밥을 포함하며, 매우 된밥에서 매우 진밥으로 갈수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 가열 주기에서 히터의 오프 주기를 길게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채용되는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로서, 본 발명에 의해 일예로 채용되는 장치는 키입력부(10), 내솥 온도 감지부(20), 상태 선택키부(30), 마이커(40), 히터 구동부(50), 데이터 저장부(60)로 구성된다.
여기서, 키입력부(10)는 각 메뉴별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선택키의 명령과 공정 진행의 시작을 알리는 밥짓기 취사키의 명령을 후술하는 마이컴(40)에 입력하여 준다.
내솥 온도 감지부(20)는 내솥 바닦의 온도를 감지하여 마이컴(40)의 입력단으로 입력하여 주어 각 공정별 작동 조건의 동작 제어에 대한 기준으로 설정한다.
상태 선택키부(30)는 상기 키입력부(10) 외에 별도로 설치하되, 각 상태키의 조작에 따른 순서가 보통밥-된밥-매우 된밥-진밥-매우 진밥의 차례로 활성화되도록 한다.
히터 구동부(50)는 그 내부로 각 취사용 히터 및 보온용 히터 등이 구비되되, 각 공정별 조건에 따라 마이컴(40)의 제어 출력으로 온/오프되어 취반 동작을 위한 가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부(60)는 초기의 흡수 공정시 45℃에서 75℃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그 온도로써 연산된 기울기값이 저장되어 상기 마이컴(40)의 출력 제어에 의해 비등 유지 공정시 상태 선택키부(30)의 조건에 따라 각 가열 시간을 결정하는 즉, 비등 유지 시간으로 활용하는 데이터로 이용되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은 결국, 취사량을 판정하여 취사량에 대응하여 밥을 짓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마이컴(40)은 상기 키입력부(10)와, 내솥 온도 감지부(20)의 입력 조건에 따라 공정별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주변의 출력단을 제어하되, 상기 상태 선택키부(30)에 의한 키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취사량 판정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연산된 가열 시간을 비등 유지 결정 시간으로 하여 주는 별도의 공정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출력단을 제어한다.
제3도(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써 백미 고속 모드에서 마이컴의 각 프로그램 공정 순서대로 진행을 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서, 메뉴에서 백미 고속을 선택하고 취사키를 누르면 초기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고, 또 내솥 바닦의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S100)와, 상기 단계(S100)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각 내솥 이탈 및 정전, 고온 취사일 경우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흡수 이상 공정 단계(S101)와, 상기 단계(S101) 후 내솥의 온도가 45℃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2)와, 상기 단계(S102)에서 판단된 결과가 그 이하이면 히터 가열 온/오프 주기를 12초 온, 4초 오프로 반복하도록 하는 단계(S103)와, 상기 단계(S103)에서 45℃로 판단되면 가열 공정을 시작하되, 그 공정 이상 여부를 판별하여 조치하는 단계(S104)와, 상기 단계(S104)에서 히터 가열에 대한 그 온도가 45℃에서 75℃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체크하여 온도에 따른 시간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S106)(S107)(S108)(S109)와, 상기 단계(S109)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10)와, 취사량 판정이 확정되고 소정의 가열을 유지하여 주는 비등 유지 공정 단계(S111)와, 상기 단계(S111)에서 취사 완료 온도인 125℃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12)와, 상기 단계(S112)에서 125℃로 판단되면 뜸 공정 모드로 진행하는 단계(S132)와, 상기 단계(S112)에서 그 이하로 판단되면 상태 선택키부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13)와, 상기 단계(S113)에서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의 표준 모드인 루틴으로 계속 진행하는 단계(S114)와, 상기 단계(S113)에서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과 동시에 기울기 데이터인 비례 상수를 리드하는 단계(S115)와, 상태 선택키부의 입력이 보통밥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16)와, 보통밥으로 판단되면 먼저 소정의 기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로 히터 온/오프 주기를 10/3으로 가열하는 단계(S117)(S118)와, 상태 선택키부의 입력이 된밥으로 판단되면(S119), 기울기의 비례 상수에 따라 미리 기준 시간으로 설정한 시간 측 비등 유지 시간으로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1로 가열하는 단계(S120)(S121)와, 상태 선택키부의 입력이 매우 된밥으로 판단되면(S122) 기울기의 비례 상수에 따라 미리 기준 시간으로 설정한 시간으로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0로 가열하는 단계(S123)(S124)와, 상태 선택키부의 입력이 진밥으로 판단되면(S125) 기울기의 비례 상수에 따라 미리 기준 시간으로 설정한 시간으로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4로 가열하는 단계(S126)(S127)와, 상태 선택키부의 입력이 매우 진밥으로 판단되면(S128) 기울기의 비례 상수에 따라 미리 기준 시간으로 설정한 시간으로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5로 가열하는 단계(S129)(S130)와, 전술한 단계를 수행한 후 각 설정 시간,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뜸 공정 모드로 진행하는 단계(S132)와, 상술한 단계의 진행이 전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취반으로 판단되어 수행되는 단계(S131)와, 비등 유지 공정이 끝난 후 7분 동안 보온용 히터를 75%로 통전시켜 진행하되,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판단되면 부저를 온시켜 보온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S133)(S134)(S135)(S136)(S137)로 구비되어 진다.
한편, 상기 비례값은 세트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가변이 있을 수 있으나, 그 가변은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2/3배 이상을 설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그 동작상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 보온 밥솥에 내솥이 안착된 후 키입력부(10)에 구비된 메뉴키를 누르면 이에 메뉴 스위치가 온되어 마이컴(40)에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그리하여, 메뉴별 공정 순서가 활성화되어 밥짓기 시작 공정이 시작된다. 여기서, 메뉴별은 편의상 백미 고속으로 선택하였다.
또, 키입력부(10)에 구비된 밥짓기 시작키 온의 신호가 마이컴(40)에 입력되면 마이컴(40)은 출력단에 연결된 히터 구동부(50)를 구동시켜 공정별 가열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초기 30초 동안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전원 상태에 이상이 없으면 바닦의 온도를 확인하는데(S100), 이는 각 내솥 이탈, 정전, 고온 취사에 대한 흡수 이상 공정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각 조건별에 따른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바(S101),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흡수 이상 공정시 조치된 사항을 그대로 수용하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상기의 흡수 이상 공정 확인이 끝난 후 히터 구동부(50)의 가열 동작에 따른 내솥 온도 감지부(20)에서 감지되어 마이컴(40)에 입력된 온도가 45℃ 이상이 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2)로 하는데, 그 온도가 45℃ 이하로 판정되면 히터 구동부(50)를 제어하여 히터 주기(예를 들면, 12초간 히터를 온하고 4초간 히터를 오프)로 반복하여 구동하고(S103), 반면에 감지된 내솥 온도가 45℃가 되면 가열 공정으로 진행하되, 역시 내솥 이탈, 정전, 고온 취사에 대한 가열 이상 공정 여부를 체크(S104)하여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각 조건별에 따른 조치를 취하고, 아울러 히터 구동부(50)를 제어하여 히터를 가열하는 동작을 계속 진행한다(S105).
다음에, 가열 이상 공정 여부 체크 후 감지된 내솥의 온도가 45℃인가를 판단하여(S106), 감지된 내솥의 온도가 45℃가 되면 곧바로 타임을 개시하는 출력을 인가하여 카운트를 시작하되(S107), 그 카운트인가와 함께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공정 진행 중 내솥 온도 감지부(20)에서 75℃로 판별되면(S108) 그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제2도의 그래프에서 같이 기울기값인 ①을 구하여 취사량의 판정 기준값을 정하도록 한다(S109).
이어, 취사량의 판정 기준인 기울기값을 마이컴(40)의 출력단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60)에 데이터로써 저장시켜(S110) 다음의 비등 유지 공정 시간을 결정하는데 그 근거 데이터로 한다.
다음에, 상술한 과정에 의해 취사량 판정이 확정되면, 소정의 가열을 유지하여 주는 비등 유지 공정 단계(S111)로 진행하는데, 이는 가열 공정에서 소정 온도까지 상승된 시점(예를 들면, 102℃)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하여, 전술한 단계에서 기설정된 취사 완료 온도(예를 들면, 125℃)인가를 판단하여(S112), 이때 125℃로 판단되면 곧바로 뜸 공정 모드(S132)로 진행하도록 하는 반면에, 그 이하로 판단되면 상태 선택키 입력부의 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13)로 진행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태 선택키부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S113) 그 입력이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종래의 표준 모드로 계속 진행하도록 하며(S114), 입력이 있는 경우는 기울기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60)에서 독출하여(S115), 각 상태별 조건의 공정을 실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태 선택키부(30)의 입력이 보통밥으로 선택되면(S116), 마이컴(40)에 입력되면 이는 소정치로 정한 기준 시간 그대로 진행을 하는데, 예로서 5분의 시간으로 정해져 있으면 히터의 비등 유지 시간을 5분으로 설정하여 그 설정된 시간 동안(S117), 히터 구동부(50)에 의한 온/오프 가열 주기를 10/3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열한다(S118).
상태 선택키부(30)의 입력이 된밥으로 선택되면(S119),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된 그 기울기의 비례 상수값이 예로서, 0.5로 정해지면 미리 비등 유지 시간이 결정된 시간 동안(S120),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1로 수행되로록 한다(S121).
상태 선택키부(30)의 입력이 매우 된밥으로 선택되면(S122),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된 그 기울기의 비례 상수값이 예로서, 0.5로 정해지면 미리 비등 유지 시간이 결정된 시간 동안(S123)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0으로 수행되도록 한다(S124).
상태 선택키부(30)의 입력이 진밥으로 선택되면(S125),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된 그 기울기의 비례 상수값이 예로서, 0.5로 정해지면 미리 비등 유지 시간이 결정된 시간 동안(S126)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4로 수행되도록 한다(S127).
상태 선택키부(30)의 입력이 매우 진밥으로 선택되면(S128), 데이터 저장부(60)에 저장된 그 기울기의 비례 상수값이 예로서, 0.5로 정해지면 미리 비등 유지 시간이 결정된 시간 동안(S129) 수행하되, 그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10/5로 수행되도록 한다(S130).
그리고, 상태 선택키부(30)의 입력이 매우 진밥도 아닐 경우 비정상적인 키입력으로 판단하고(S131), 리턴된다.
한편, 상술한 (S112)에서 내솥 온도가 125℃가 넘어서거나, (S117)(S120)(S123)(S126)(S129)에서 조건별 비등 유지 시간이 경과된 후, 뜸 공정으로 진행함에 있어(S132), 미리 결정된 뜸 공정 시간(예를 들면, 7분) 동안 진행되되(S133), 비등 유지 완료 후 내솥의 온도가 기설정된 비등 유지점 이하로 내려가면(S134), 보온용 히터를 75%만 통전시키고(S135), 뜸 공정 시간이 경과되면 취사 신호음을 울려준 뒤(S136), 보온 모드로 진행하여(S137)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준 상태로 취사를 하는 경우 소비자가 자유로이 된밥, 진밥 등의 선택이 용이한 기능을 부가하되, 이 기능에서는 직접 물의 양을 조절하지 않고도 상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취사 도중에도 비등 유지점 이하의 고정에서는 상태의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그 구성 요지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메뉴에서 메뉴별 조건을 설정하고 각 취사 시작키를 작동시킨 후 초기에 수초 동안 전원 상태 및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각 내솥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내솥 바닦의 온도를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하여 기설정된 릴레이의 온/오프 주기로 히터를 발열 제어하는 흡수 공정을 수행하고 흡수 공정이 끝난 후 내솥의 온도를 확인하여 가열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소정의 히터 가열에 의한 그 내솥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동시에 소정의 타임을 카운트를 개시하여 상기 제1기준 온도보다 소정 온도 높은 제2기준 온도까지 도달되면 타임 카운트를 종료하고 도달 온도에 따른 시간의 기울기를 연산하여 연산된 데이터를 취사량 판정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취사량 판정이 확정되고 내솥 온도가 상기 제2기준 온도보다 소정 온도 높은 제3기준 온도까지 상승하여 비등 유지 조건되면 취사량 판정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비등 유지 시간이 경과되거나 내솥의 온도가 취사 완료 온도로 기설정된 제4기준 온도가 될 때까지 계속 히터를 가열하여 비등 유지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중 내솥 온도가 취사 완료 온도로 기설정된 제4기준 온도를 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밥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상태 선택키부 입력이 있으면 기저장된 기울기 데이터에 따른 비등 유지 시간으로 비등 유지를 수행하되, 선택된 밥의 상태에 대응하여 히터의 온/오프 가열 주기를 가변하여 설정하고 설정된 가열주기로 히터를 반복적으로 구동하여 비등유지를 수행하는 제5단계와, 비등 유지 공정이 끝나면 뜸 공정을 위하여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뜸 공정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잇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태 선택키부에 입력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밥의 상태는 매우 된밥, 된밥, 보통밥, 진밥, 매우 진밥을 포함하며, 매우 된밥에서 매우 진밥으로 갈수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 가열 주기에서 히터의 오프 주기를 길게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KR1019950027573A 1995-08-30 1995-08-30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KR016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573A KR0161251B1 (ko) 1995-08-30 1995-08-30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US08/704,981 US5830520A (en) 1995-08-30 1996-08-29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finished cooking state of boiled rice
IN1523MA1996 IN182780B (ko) 1995-08-30 1996-08-30
CN96122448A CN1151853A (zh) 1995-08-30 1996-08-30 有选择地控制熟米饭状态的方法
JP8230321A JPH09103365A (ja) 1995-08-30 1996-08-30 ご飯の状態選択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573A KR0161251B1 (ko) 1995-08-30 1995-08-30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96A KR970009696A (ko) 1997-03-27
KR0161251B1 true KR0161251B1 (ko) 1998-11-16

Family

ID=1942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573A KR0161251B1 (ko) 1995-08-30 1995-08-30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61251B1 (ko)
IN (1) IN182780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82780B (ko) 1999-07-17
KR970009696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9076A (en) Microwave heating appliance with simplified user's operation
US611123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heating a cup in a microwave oven
KR0161251B1 (ko)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KR0166247B1 (ko) 전기보온밥솥의 균일취사방법
KR100725229B1 (ko) 전기 압력밥솥의 취사공정 제어방법
KR0163313B1 (ko)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JP3305603B2 (ja) 炊飯器
JPS59131829A (ja) 調理器
KR0159033B1 (ko) 전기밥솥의 이상공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87500B2 (ja) 炊飯加熱方法
JPH07148068A (ja) 炊飯器のお焦げ湯の製造方法
KR100186441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압력 가변 제어 방법 및 장치
JPS608629A (ja) 自動加熱調理器
JPS6161515B2 (ko)
CN117652870A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烹饪器具
JPH06102049B2 (ja) 炊分け炊飯方法
JP2936212B2 (ja) 炊飯ジャー
JPH0349719A (ja) 炊飯器
JPH0422564B2 (ko)
JPH06284960A (ja) 炊飯器
JPH0531020A (ja) 電気炊飯器
KR20040057769A (ko) 전기밥솥의 취반제어방법
JPH07280280A (ja) 加熱調理器
JPS6058114A (ja) 炊飯器
JPS5840431A (ja) 電子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