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468B1 -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468B1
KR0160468B1 KR1019940031714A KR19940031714A KR0160468B1 KR 0160468 B1 KR0160468 B1 KR 0160468B1 KR 1019940031714 A KR1019940031714 A KR 1019940031714A KR 19940031714 A KR19940031714 A KR 19940031714A KR 0160468 B1 KR0160468 B1 KR 016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compound
resistance
fibe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955A (ko
Inventor
서승원
권오관
Original Assignee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배
Priority to KR101994003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468B1/ko
Publication of KR96001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우레탄에 하기 일반식(I)로 표기되는 페놀계 화합물(A)과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C) 및 하기 일반식(II)로 표기되는 세미카바지드계 화합물(D)을 혼합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우레탄 섬유는 내광성, 내폐가스(NOx) 성, 내염소성,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급 의료용으로 적당 하다.
(단, 여기서 R1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R2는 t-부틸기 또는 네오벤질기이다.)
(단, 여기서 R3~R6는 동일하지 않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X는 탄소수 15이하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Description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변색에 안정화된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내광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및 다관능성 활성수소 화합물을 원료로 얻어진 중합체로써 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엘라스토머, 발포제, 피혁, 폴리우레탄 섬유, 코팅재료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은 내열성, 내산화성, 내광성이 약하고 특히 그 가공 및 사용할 때에 있어서 열화 및 변색이 잘되기 때문에 제조공정 중에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등의 여러 안정제를 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폴리우레탄 섬유는 고도의 안정성이 요구되는데 그 제조공정에 있어서 방사, 열처리, 정련, 표백, 염색, 후처리가공 등의 다단계 공정을 필요로하고 이용면에 있어서도 섬유 및 의류로써 착용, 세탁이 빈번하기 때문에, 열화와 변색이 일어나 제품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단계 공정의 조건에 대해 열화 및 착색을 받지 않는 고안정성의 첨가제가 요구된다.
종래로부터 폴리우레탄 섬유에 내변색성을 내변색성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안정제와 그 조합물이 제안되어 왔으나, 내광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 등의 안정성을 전체적으로 만족하는 폴리우레탄 섬유는 없었다.
따라서 섬유업계에서는 특히 폐가스(NOx)에 대해서 장시간 안정한 변색과 착색이 없는 폴리우레탄 섬유의 출현이 강력한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광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이 우수한 안정화된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에 하기 일반식(I)로 표기되는 폐놀계 화합물(A)과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C) 및 하기 일반식(II)로 표기되는 세미카바지드계 화합물(D)을 첨가하여 내변색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것으로, 제조과정 및 이용단계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안정성이 뛰어나 열화, 변색, 착색은 물론 폐가스(NOx)분위기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그 효과가 열화되지 않는 내변색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 여기서 R1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R2는 t-부틸기 또는 네오벤질기이다.)
(단, 여기서 R3~R6는 동일하지 않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X는 탄소수 15이하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및 다관능성 활성수소 화합물을 함께 반응시켜 얻어진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 디올,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폴리에스테르계 디올등이 있고,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2,4-톨루엔디이소시아 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등이 있다.
여기에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다관능성 수소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의 폴리우레탄 섬유에 첨가되는 일반식(I)의 폐놀계 화합물(A)의 구체적인 예로는,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5,5]운데칸, 3,9-비스{2-[3-(3-네오벤질-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닐옥산]-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5,5]운데칸 등이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로는 각종 중합체의 자외선 흡수제로서 첨가되는 일반적인 것이 사용되면,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C)의 구체적 예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이미노-1,3,5-트리아진-2,4-디올][(2,2,6,6-테트라메틸-4-피페리질)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질)이미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반식(II)의 세미카바지드계 화합물(D)의 구체적인 예로는 1,6-헥사메틸렌 비스(N,N-디메틸세미카바지드), 4,4'-(메틸렌-디-p-페닐렌)비스(N,N-디메틸렌세미카바지드), 1,4-사이클로헥실렌비스(N,N- 디메틸세미카바지드)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화합물 (A)~(D)의 폴리우레탄 섬유에 대한 함유량은 각각 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2~3중량% 이다.
또한 (A)~(D)의 화합물을 조합시켜 폴리우레탄에 첨가할 때, (A)~(D)의 폴리우레탄에 대한 총량은 0.4~10중량%, 바람직하게는 0.8~5%이다. 첨가 시기는 폴리우레탄의 제조후가 바람직하고, (A)~(D)는 한꺼번에 첨가하여도 좋고 별도로 첨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중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에 혼합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 즉, 안료, 염료, 안정제, 증량제 등을 첨가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한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은 그 목적에 따라 좌우되며 건식, 습식 또는 용융성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섬유, 필름, 피혁등으로 다양하게 용도 전개가 가능하고, 특히 섬유로는 탄성사로서 그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섬유는 내광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안정성이 뛰어나 고급의류용으로 적합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분자량 185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2000부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500부를 혼합하여 90℃에서 60분간 반응시켜 양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로폴리머를 합성하였다.
여기에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5833부를 첨가하고 용해시킨 후 0℃로 냉각하고 이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에틸렌디아민 54부를 1746부의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에 용해시킨 액으로 쇄연장시키고 또한 디메틸아민 12.9부를 121.6부의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에 용해시킨 액으로 쇄종지시켜 최종적으로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우레탄 용액에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시스피로[5,5]운데칸(이하 A-1으로 지칭) 12.8부와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이하 B-1으로 지칭) 12.8부, 아디핀산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질 (이하 C-1으로 지칭) 12.8부 및 1,6-헥사메틸렌 비스(N,N-디메틸세미카바지드 (이하 D-1으로 지칭) 12.8부를 첨가시켜 200℃ 분위기에서 방사하여 4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얻었다. 이 섬유에 대해 내후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첨가제의 첨가량은 폴리우레탄에 대해 중량%로 환산한 값으로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첨가제D-1 대신에 4,4'-(메틸렌-디-p-페닐렌)비스(N,N디메틸세미카바지드) (이하 D-2로 지칭)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한 후, 이 섬유에 대해서 내후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첨가제의 첨가량은 폴리우레탄에 대해 중량%로 환산한 값으로 하기 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첨가제D-1 대신에 D-2를 사용하고, B-1 대신에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이하 B-2로 지칭)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한 후 이 섬유에 대해서 내후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첨가제의 첨가량은 폴리우레탄에 대해 중량%로 환산한 값으로 하기 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중합체 용액에 어떤 것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하고, 이 섬유에 대해서 내후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표1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첨가제의 첨가량은 폴리우레탄에 대해 중량%로 환산한 값으로 하기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첨가제 A-1만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하고, 이 섬유에 대해서 내후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첨가재의 첨가량은 폴리우탄에 대해 중량%로 환산한 값으로 하기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첨가제A-1 대신에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기스 [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이하 X로 지칭)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하고, 이 섬유에 대해서 내후성, 내폐가스(NOx)성, 내염소성, 내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첨가제의 첨가량은 폴리우레탄에 대해 중량%로 환산한 값으로 하기 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첨가제A-1 대신에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이하 Y로 지칭)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한 후 이 섬유에 대해서 내후성, 내폐가스(NOx), 내염소성, 내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첨가제의 첨가량은 폴리우레탄에 대해 중량%로 환산한 값으로 하기표2에 함께 나타내었다.
*) 단 표 2에서 첨가제투입량은 폴리우레탄 섬유에 대한 중량%이다.
*)물성 평가방법
내후성 평가 : 40데니어 폴리우레탄 섬유를 알루미늄판에 감아 자외선 페드오메타에서 20시간 방치하여 처리전,후의 변색(△E)을 대비측정하여 평가한다. 또한 처리 전,후의 강력 보지율(%)도 함께 구한다.
내폐가스(NOx)성 평가 : 40데니어 폴리우레탄 섬유를 알미늄판에 감아 650ppm의 NO가스 농도에서 1시간 처리한후 △E값과 강력 보지율을 구한다.
내염소성 평가 : 40데니어 폴리우레탄 섬유를 염소농도 30ppm의 수용액 중에서 5시간 처리한 후 처리전,후의 △E 및 강력보지율을 구한다.
내열성 평가 : 40데니어 폴리우레탄 섬유를 2배로 신장시켜 고정한 후 180℃에서 60초간 열처리하여 처리 전후의 강력보지율을 구한다.

Claims (5)

  1. 폴리우레탄에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페놀계 화합물(A)과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C) 및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세미카바지드계 화합물(D)을 혼합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단, 여기서 R1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R2는 t-부틸기 또는 네오벤질기이다.)
    (단, 여기서 R3~R6는 동일하지 않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X는 탄소수 15이하의 2가 탄화수소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화합물(A),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 힌더드아민계광안정제(C), 세미카바지드계화합물(D)의 폴리우레탄 섬유에 대한 함유량은 각각 0.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화합물(A),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 힌더드아민계광안정제(C), 세미카바지드계화합물(D)의 폴리우레탄 섬유에 대한 함유량은 각각 0.2~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화합물(A),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 힌더드아민계광안정제(C), 세미카바지드계화합물(D)은 폴리우레탄 중합후 첨가되며, 첨가되는 화합물(A)~(D)의 총 함유량은 폴리우레탄 섬유에 대하여 0.4~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화합물(A),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 힌더드아민계광안정제(C), 세미카바지드계화합물(D)의 폴리우레탄 중합후 첨가되며, 첨가되는 화합물(A)~(D)의 총 함유량은 폴리우레탄 섬유에 대하여 0.8~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KR1019940031714A 1994-11-29 1994-11-29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KR016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714A KR0160468B1 (ko) 1994-11-29 1994-11-29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714A KR0160468B1 (ko) 1994-11-29 1994-11-29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55A KR960017955A (ko) 1996-06-17
KR0160468B1 true KR0160468B1 (ko) 1998-12-01

Family

ID=1939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714A KR0160468B1 (ko) 1994-11-29 1994-11-29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705B1 (ko) * 2001-03-30 2003-09-17 주식회사 효성 내변색성 및 내염소성이 향상된 스판덱스 섬유
KR100523810B1 (ko) * 1999-12-31 2005-10-25 주식회사 효성 내변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사의 제조방법
CN103015187A (zh) * 2012-12-27 2013-04-03 上海氟聚化学产品有限公司 聚氨酯涂层用有机硅改性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336A (ko) * 1996-12-23 1998-09-15 김인환 내변색성이 향상된 스판덱스사의 제조방법
KR100412193B1 (ko) * 2001-12-28 2003-12-24 주식회사 효성 내변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810B1 (ko) * 1999-12-31 2005-10-25 주식회사 효성 내변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사의 제조방법
KR100397705B1 (ko) * 2001-03-30 2003-09-17 주식회사 효성 내변색성 및 내염소성이 향상된 스판덱스 섬유
CN103015187A (zh) * 2012-12-27 2013-04-03 上海氟聚化学产品有限公司 聚氨酯涂层用有机硅改性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55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669511C3 (de) Elastische Faden und Fasern aus einem segmentierten Polyurethan
DE1902931A1 (de) Semicarbazid-alkylamin-Elastomerfaeden
KR100780434B1 (ko)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0160468B1 (ko) 내변색성 폴리우레탄 섬유의 제조방법
US3994881A (en) Spandex process and product based on tetra-halogenated diisocyanates and diamines
EP0421215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licht- und abgasbeständiger PUH-Elastomerfäden und -folien und Elastomerfäden entsprechender Zusammensetzung
JP2625508B2 (ja) 安定化されたポリウレタン
JP271714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の軟らかいセグメントをもつたスパンデツクス成形品
KR100242354B1 (ko) 폴리우레탄우레아탄성섬유
US3507834A (en) Filaments of segmented elastomers from sterically hindered tertiary aralkyl diisocyanates and diamines
US3726836A (en) Viscosity-stabilized solution of polyurethane
JP3874156B2 (ja) 複合弾性糸
JP483945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610378B1 (en) Stabilized polyurethaneurea solutions and spandex fibres therefrom
KR101429383B1 (ko) 내변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4666966A (en) Polyurethane composition and a stabilizer thereof
JP3826377B2 (ja) ポリウレタン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73233A (ja) ポリウレタン糸およびその製法
US3753953A (en) Hydrolysis-resistant polyesterurethane threads and preparation thereof
KR100507822B1 (ko) 스판덱스(등록상표명)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스판덱스
US3554979A (en) Polyetherurethanes containing n-t-butyl tertiary amine groups in the chain
JP3838408B2 (ja) ストレッチパンツ
JP3807538B2 (ja) ガードル
JPS6147819A (ja) ドライクリ−ニングに安定な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KR101262775B1 (ko) 무기물 안정화가 우수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