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198B1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198B1
KR0160198B1 KR1019950040037A KR19950040037A KR0160198B1 KR 0160198 B1 KR0160198 B1 KR 0160198B1 KR 1019950040037 A KR1019950040037 A KR 1019950040037A KR 19950040037 A KR19950040037 A KR 19950040037A KR 0160198 B1 KR0160198 B1 KR 016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eveloper
developing apparatus
interfer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802A (ko
Inventor
조해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198B1/ko
Publication of KR96001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공동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동부에 설치되며 그 표면 일부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현상 드럼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및 이탈을 제어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카트리지 착탈장치와, 카트리지의 착탈동작에 연동되어 카트리지의 장착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장치와, 상기 계수장치에 의해 계수된 회수가 임의로 정해진 회수에 도달하면 상기 카트리지의 탈리를 방지하는 카트리지 탈리 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규제 장치에 의해 현상제 카트리지의 회수를 제한하여 공급 및 회수 현상제의 총량을 제한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현상제 공급총량과 현장제 회수부의 체적과의 불균형으로 인한 현상제의 넘침으로 기기내부를 오염시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제1도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규제장치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도.
제4도는 제2도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규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장치구성을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의 접촉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간섭자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 간섭자와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제7도는 제5도에서 접촉자 및 간섭자 선단부의 발췌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현상장치 11,21,21' : 프레임
12,22 : 감광 드럼 13,23 : 현상 로울러
14,24 : 대전기 15,25 : 전사기
16 : 회수현상제 보관부 17,27 : 아지테이터(agitater)
18,30 : 카트리지 9,19 : 종이안내부
20 : (본발명의)현상장치 26,26' : 회동 레버
26a,26a' : 간섭자 26b,26b' : 걸림턱
26s,26s' : 스프링 28 : 카트리지 규제수단
29,29' : 회전캠 29a,29a' : 톱니
29b,29b' : 스톱퍼 29t,29t' : 토션 스프링
31,31' : 역전방지수단 32,32' : 고정턱
41,41' : 접촉자 41a : 머리부
41b : 몸통부 41h : 홈
26c,41c : 힌지결합부 61 : 고정핀
62 : 비틀림 스프링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상제 회수 용기의 용량과 현상제의 공급총량의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공급회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화상 형성장치의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예컨대, 복사기, 프린터등)에 있어서, 화상 형성 과정에서 감광체(감광드럼)에 옮겨진 현상제(토너)는 전사(轉寫) 영역을 지나면서 그 대부분이 기록지위로 이동되었지만 일부분은 감광체에 잔존하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잔존 현상제는 클리닝(cleaning) 단계를 거치면서 일정한 장소로 회수되고, 감광체는 화상 형성을 위한 작동 시점과 동일한 상태로 회귀하여 화상 형성의 1회 프로세서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화상 형성 과정에서의 잔존 현상제 회수 및 그 처리 방법으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첫째, 잔존 현상제를 별도의 용기에 회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회수된 현상제의 회수용기를 수작업으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기기내부의 오염 및 환경 오염과 관련하여 현상제 회수용기를 별도로 폐기해야 하는 부담이 기기 제작자 또는 기기 사용자에게 지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방법은 회수 용기의 용량과 현상 장치에서의 현상제 공급량이 불균형을 이룰 때, 즉 교환주기에 맞추어 사용자가 현상제 회수용기의 교환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 회수된 현상제가 회수용기로부터 넘쳐 기기 내부에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두번째의 방법으로는 회수된 현상제를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현상제를 전자기적으로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순환 장치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현상 장치 내에 회수된 현상제를 보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시 현상 장치의 구성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분류된다. 즉, 현상 장치 자체를 1회 사용하는 방법(one cartridge)과 별도로 구입한 현상제를 공급하면서 현상 장치의 수명까지 현상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refill cartridg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현상제의 공급이 기기제작자에 의해 1회 행해지는 방식과 기기사용자에 의해 복수회 행해지는 방식으로 대별된다.
제1도에는 현상 장치 내에 회수된 현상제를 보관하는 방식의 종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현상장치(10)의 프레임(11) 상부에는 현상제를 담고 있는 착탈가능한 카트리지(18)가 안착된다. 그리고, 카트리지(18)에 부착된 밀봉 필름(18f)을 제거함으로써 카트리지(18)는 내부에 있던 현상제가 쏟아져 프레임(11) 내에 공급된다. 공급된 현상제는 아지테이터(agitator;17)에 의해 프레임(11) 내에 넓게 확산 분포되고, 현상로울러(13)에 의해 감광드럼(12)에 공급된다. 감광드럼(12)에 옮겨진 현상제는 전사 영역을 지나면서 그 대부분이 기록지 위로 이동되고 일부는 감광드럼(12)에 잔존하게 된다. 그리고, 잔존 현상제는 클리닝 단계를 거쳐 회수되어 프레임(11)내에 마련된 회수현상제 보관부(16)에 보관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보관부(16)는 소정의 설계치에 따른 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참조번호 14는 대전기, 15는 전사기, 그리고 9는 종이안내부이다.
이와 같은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 장치의 수명은 보통 부품수명 및 회수 현상제의 보관부 체적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현상장치가 기록지 6000매의 수명을 가지며,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 1통의 용량이 기록지 2000매의 수명을 갖는 경우, 최초 기기구입시 현상제 카트리지가 한 개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를 2회 교환할 수 있으며, 이때까지 회수된 현상제는 상기 보관부(16)에 채워진다.
여기서, 현상제의 공급이 기기사용자에 의해 복수회 행해지는 방식과 관련하여, 기기제작자는 전술한 첫째 방법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공급총량과 회수현상제 보관부(16) 용량과의 불균형에 의해 넘친 현상제로 인해 기기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공급회수 및 현상장치의 수명을 명기하는 방식으로 기기를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기기 사용자가 항상 기기를 모니터링하기는 어려우며, 상기와 같은 사항을 사실상 종종 간과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제 회수 용기의 용량과 현상제의 공급총량의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공급회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는,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공동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동부에 설치되며 그 표면 일부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현상 로울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및 이탈을 제어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카트리지 착탈장치와, 카트리지의 착탈동작에 연동되어 카트리지의 장착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장치와, 상기 계수장치에 의해 계수된 회수가 임의로 정해진 회수에 도달하면 상기 카트리지의 탈리를 방지하는 카트리지 탈리 방지장치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가 소정의 회수만큼 교환이 이루어지면 카트리지 규제 장치의 작동에 의해 현상제 카트리지의 착탈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종래와 같은 현상제 공급총량과 회수용기의 용적과의 불균형으로 인한 현상제의 넘침으로 기기내부를 오염시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규제장치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장치(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의 가지는 프레임(21)이 마련되고, 그 프레임(21)의 내외부에는 감광드럼(22), 현상로울러(23), 대전기(24) 및 전사기(25) 등이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21)의 일측 소정 부위에는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30)의 장착을 위한 안착부(21f)가 마련되고, 안착부(21f)의 하부 프레임(21) 내에는 카트리지(30)로부터 프레임(21) 내부로 공급된 현상제를 골고루 확산 분포시키기 위한 아지테이터(27)가 설치된다. 그리고, 안착부(21f)의 일측에는 카트리지의 장착 및 이탈을 제어하는 카트리지 규제 수단(28)이 마련된다.
상기 규제 수단(28)은 카트리지 착탈장치와, 카트리지의 착탈동작에 연동되어 카트리지의 장착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장치와, 상기 계수장치에 의해 계수된 회수가 임의로 정해진 회수에 도달하면 상기 카트리지의 탈리를 방지하는 카트리지 탈리 방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착탈장치는 제1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제1의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며, 상기 프레임(21)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30)를 구속시키는 걸림턱(26b)과 이 걸림턱(26b)과 소정 각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간섭자(26a)를 구비하는 회동 레버(26)로 구성된다.
상기 계수장치는 상기 간섭자(26a)에 의해 간섭되는 다수의 톱니(29a)가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제2방향으로 회동하는 회전캠(29)과, 상기 회전캠(29)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수단(31)으로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탈리 방지장치는 상기 회전캠(29)의 톱니(29a)들로부터 소정 각도 떨어져 형성된 스톱퍼(29b)와, 이 스톱퍼(29b)가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간섭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21)에 형성된 고정턱(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참조 부호 19는 종이안내부이다.
한편, 상기 회전캠(29)에는 회전캠(29)에 제1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모멘트를 주는 토션(tortion) 스프링(29t)이 설치되고, 상기 역전방지수단(31)에도 탄성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압축스프링(31s)이 설치된다. 참조부호 26s는 회동 레버(26)에 복원력을 주기 위한 인장스프링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규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회동 레버(26')의 간섭자(26a') 및 현상장치의 프레임(21')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회동 레버(26')의 간섭자(26a')에는 소정의 홈(41h)이 형성되고, 그 홈(41h)의 선단부에는 회전캠(29')의 톱니(29a')에 직접 대응하는 접촉자(41)가 설치된다. 접촉자(41)는 톱니(29a')와 접촉되는 부분인 머리부(41a)와, 상기 홈(41h)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운동하는 몸통부(41b)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통부(41b)에는 접촉자(41)의 왕복운동을 위해 스프링(41s)이 장착된다.
여기서, 접촉자(41)는 회동 레버(26')의 선단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 레버(26')가 제1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회전캠(29')의 어느 하나의 톱니를 간섭하여 회전캠(29')을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동 레버(26')가 제2방향으로 복귀될 때에 회전캠(29')의 다른 톱니의 간섭에 의해 탄성적으로 절곡되어 회동 레버(26')가 제2방향으로 부드럽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상장치의 프레임(21')은 토너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 레버(26')의 몸체를 전부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다.
한편,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회동 레버의 간섭자 선단부에 결합되는 접촉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5도는 간섭자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캠과 연동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6도는 간섭자와 분리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제7도는 간섭자와 결합된 상태에서의 접촉자 및 간섭자 선단부의 부분 발췌 확대도이다.
이들을 참조하면, 회동 레버(26')의 간섭자(26a')의 선단부 및 접촉자(41')의 일측 단부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힌지결합부(26c)(41c)가 형성되며, 접촉자(41')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핀(61)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접촉자(41')의 회동복원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간섭자(26a') 선단부의 일측 힌지결합부(26c)와 접촉자(41')의 힌지결합부(41c)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62)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61)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접촉자(41')가 톱니(29a')를 밀어주는 힘은 한층 확실하게 전달되며, 회동 레버(26')의 제1방향으로의 회동 후 원상태로 복귀 시, 접촉자(41')에 대한 톱니(29a')의 간섭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시의 카트리지 착탈 규제장치 및 그 주변 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2도는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30)가 현상 장치 프레임(21)의 안착부(21f)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 안착부(21f) 과정을 다시 설명해보면, 먼저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30)를 안착부(21f)에 위치시키고 상부로부터 힘을 가하여 카트리지(30)를 누르면 회동 레버(26)는 제3도의 점선 상태로 후퇴되면서 카트리지(30)가 안착된다. 이때, 회동 레버(26)가 후퇴되면, 회동 레버(26)에 형성된 간섭자(26a)도 연동되어 회전캠(29)의 톱니(29a)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반시계방향의 토션 모멘트(Mt)를 받고 있는 회전캠(29)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고, 그렇게 회전되면서 동시에 회전캠의 톱니(29a)는 역전방지수단(31)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역전방지수단(31)은 안착홈(41h) 내부로 슬라이딩되면서 후퇴된다. 이와 같이 해서 회동 레버(26)가 완전히 후퇴되면, 회전캠(29)의 톱니(29a)는 회전캠 역전방지수단(31)의 하부에 놓이게 된다. 즉, 역전방지수단(31)은 후퇴했다가 압축 스프링(31s)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앞으로 전진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모멘트를 받는 회전캠(29)은 톱니(29a)가 역전방지수단(31)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회전캠(29)은 하나의 톱니(29a) 만큼 돌아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2회째의 현상제 공급 시에는 상기 첫 번째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를 장착하게 되는데, 첫 번째의 카트리지를 제거하기 위해 회동 레버(26)를 강제로 후퇴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캠(29)의 톱니(29a)는 다시 1회동되며, 따라서 이 단계까지 회동된 톱니는 2개가 된다.
첫 번째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거한 후, 2회째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회동한 회전캠 톱니(29a)는 3개가 된다. 여기서, 현상장치의 수명을 현상제 2회 공급으로 제한한 경우(즉, 현상제의 2회 공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회수현상제의 최대량과 회수 현상제 보관부의 체적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캠의 스톱퍼(29b)는 고정턱(32)의 위치까지 회전되어 회전캠(29)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전캠(29)이 회전할 수 없으며 이에 맞물려 있는 회동 레버(26)가 회동할 수 없고, 따라서 2회째 장착한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3회째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장착이 불가능해지고, 이는 곧 공급되는 현상제의 총량을 그 시점에서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회수 현상제의 총량도 그 시점에서 제한되며, 이에 따라 결국 회수 현상제가 넘치는 사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톱니(29a)의 개수는 사용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개수와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카트리지 규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반적인 동작은 제3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접촉자(41)와 스프링(41s)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 및 후퇴를 하면서 회전캠의 톱니(29a')를 눌러주는 한편, 간섭자(26a')의 복귀시 접촉자(41)의 머리부(41a)가 톱니(29a')의 라운딩부를 타고 좀 더 원활하게 회귀될 수 있다. 또한, 제5도 도시된 접촉자와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전반적인 동작은 제3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전술한 것처럼 접촉자(41')가 톱니(29a')를 밀어주는 힘은 한층 확실하게 전달되며, 회동 레버(26')의 제1방향으로의 회동 후 원상태로 복귀 시, 접촉자(41')에 대한 톱니(29a')의 간섭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장치는 카트리지 착탈 규제장치에 의해 현상제 카트리지의 교환 회수를 제한하여 공급 및 회수 현상제의 총량을 제한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현상제 공급총량과 현상제 회수부의 체적과의 불균형으로 인한 현상제의 넘침으로 기기내부를 오염시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교환용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공동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공동부에 설치되며 그 표면 일부가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현상 드럼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및 이탈을 제어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규제 수단은 카트리지 착탈장치와, 카트리지의 착탈동작에 연동되어 카트리지의 장착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장치와, 상기 계수장치에 의해 계수된 장착 회수가 소정의 회수에 도달하면 상기 카트리지의 탈리를 방지하는 카트리지 탈리 방지장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착탈장치는 제1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제1의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를 구속시키는 걸림턱과 이 걸림턱과 소정 각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간섭자를 구비하는 회동 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계수장치는 상기 간섭자에 의해 간섭되는 복수의 톱니가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면서 제2방향으로 회동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탈리 방지장치는 상기 회전캠의 톱니들로부터 소정 각도 떨어져 형성된 스톱퍼와, 이 스톱퍼가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간섭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레버의 간섭자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전캠의 톱니에 의해 직접 대응하는 접촉자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자는 간섭자의 선단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동 레버가 제1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회전캠의 어느 하나의 톱니를 간섭하여 회전캠을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동 레버가 제2방향으로 복귀될 때에 회전캠의 다른 톱니의 간섭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회동 레버가 제2방향으로 부드럽게 복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간섭자의 선단부에 상기 회전캠 측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촉자와 상기 간섭자 사이에는 상기 접촉자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19950040037A 1994-11-08 1995-11-0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016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037A KR0160198B1 (ko) 1994-11-08 1995-11-0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29180 1994-11-08
KR94-29180 1994-11-08
KR1019950040037A KR0160198B1 (ko) 1994-11-08 1995-11-0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802A KR960018802A (ko) 1996-06-17
KR0160198B1 true KR0160198B1 (ko) 1999-03-20

Family

ID=1939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037A KR0160198B1 (ko) 1994-11-08 1995-11-07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59837A (ko)
JP (1) JP3405627B2 (ko)
KR (1) KR0160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7272A2 (en) * 1998-02-26 2000-12-06 Sun Micro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verifying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JP3663542B2 (ja) * 2002-01-23 2005-06-22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機のトナー供給容器
US7076188B2 (en) * 2004-03-19 2006-07-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reduced toner capacit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593202B2 (ja) * 2004-08-23 2010-12-0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ユニットの過使用防止構造およびこの構造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US7587155B2 (en) * 2006-03-27 2009-09-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39968B2 (en) * 2006-03-27 2009-12-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47005B2 (en) * 2006-03-27 2010-01-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toner box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82759B2 (ja) * 2006-03-27 2012-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トナーボックス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650085B2 (en) * 2006-07-27 2010-01-19 Xerox Corporation Automated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the need for service and/or supplies replenishment in a machine
CN102331699B (zh) * 2011-09-23 2013-08-2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盒
US9063462B2 (en) 2012-06-29 2015-06-23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Network printer system
US8905511B2 (en) 2012-06-29 2014-12-09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Network printer system
US8891982B2 (en) 2012-06-29 2014-11-18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Network printer system
US9104174B2 (en) * 2012-06-29 2015-08-11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Refilled toner cartridge having increased yield
JP6465069B2 (ja) * 2016-04-28 2019-0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80054024A (ko) * 2016-11-14 2018-05-24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8124362A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WO2019074517A1 (en) * 2017-10-13 2019-04-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LEASE OF CONSUMABLES FROM PRINTING DEVICES BASED ON COMPARISONS OF VALUES EXTRACTED FROM STORAGE DEVICES
US11110716B2 (en) 2017-10-13 2021-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ing consumables
JP7415523B2 (ja) * 2019-12-13 2024-01-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5145A (en) * 1954-08-30 1958-07-29 Charles M Lee Friction locking device
US5196884A (en) * 1989-10-02 1993-03-23 Ricoh Company, Ltd.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replaceable parts
US5268722A (en) * 1990-04-13 1993-12-07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developer supply container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prohibiting detachment
US5229824A (en) * 1991-07-17 1993-07-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material supplying device for integral type processing unit assembled in electrophotographic type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0552863U (ja) * 1991-12-18 1993-07-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ユニット等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着脱機構
JPH05289515A (ja) * 1992-04-15 1993-11-05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US5430531A (en) * 1992-12-28 1995-07-04 Canon Kabushiki Kaisha Locking apparatus for toner cartridge
EP0608812B1 (en) * 1993-01-26 1998-12-0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086763B2 (ja) * 1993-03-09 2000-09-1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27215A (ja) 1996-09-03
JP3405627B2 (ja) 2003-05-12
US5659837A (en) 1997-08-19
KR960018802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198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7476285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トナー供給機構、シャッタ
EP1308794B1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792217B2 (en) Use status detecting mechanism and image-producing unit
KR10036239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토너 카트리지 조립체
US20040114961A1 (en) Developing cartridge, side cover mounting method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0892321B1 (en) Toner container and toner supply apparatus
JP289533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002688A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712037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JP629218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60105305A (ko) 사이드 부재,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7533312B (zh) 能够安装调色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US518947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lidably mounted developing unit and photoconductive unit
JP6614858B2 (ja) 画像形成装置
CN105824216B (zh) 成像设备
JPH0356471B2 (ko)
KR20050076851A (ko) 인쇄기의 폐토너 저장고
JPS59127073A (ja) 画像形成装置
JPS5825650A (ja) 画像形成装置
JPH08328448A (ja) 画像形成装置
KR20240058564A (ko) 토너 카트리지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인쇄 장치
JP4654602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62090U (ko) 페토너 저장통 결합장치
JPH07140879A (ja) 電子写真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