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315B1 - 간이교환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이교환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315B1
KR0158315B1 KR1019950026985A KR19950026985A KR0158315B1 KR 0158315 B1 KR0158315 B1 KR 0158315B1 KR 1019950026985 A KR1019950026985 A KR 1019950026985A KR 19950026985 A KR19950026985 A KR 19950026985A KR 0158315 B1 KR0158315 B1 KR 0158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lephone
button
telephones
extens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050A (ko
Inventor
유윤경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2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315B1/ko
Priority to US08/704,191 priority patent/US5838784A/en
Publication of KR97001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Abstract

본 발명은 주장치의 각종 등록데이터를 임의의 전화기(단말기)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각 서로 다른 내선번호를 갖는 다수의 전화기와, 이들 전화기에 대해 통화 및 교환기능을 제공하는 주장치를 구비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다수의 전화기에 대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수단과, 각 내선번호에 대한 저장영역을 갖추어, 다이얼링 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수단, 소정의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저장수단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한 전화기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대한 데이터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단말기에서 주장치에 접속된 다른 단말기의 등록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의 시스템관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교환전화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전화기의 구성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난 전화기의 상면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화기의 LCD표시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주장치 11 : 스위치부
12 : 국선트렁크모듈 13 : 데이터 송수신부
14 : 음성 및 데이터 변환부 16 : 프로그램 메모리
17 : 데이터 메모리 18 : 밧데리 백업회로
19 : 제어부 20 : 전화기
21 : 오디오부 22 : 버튼부
23 : 데이타 송수신부 24 : 음성 및 데이터 변환부
25 : 데이타 송수신부 26 : 제어부
27 : 프로그램 메모리 28 : 데이터 메모리
221 : 숫자버튼 222 : 고정기능버튼
223 : 가변기능버튼 224 : 선택버튼
본 발명은 간이교환전화시스템(Key telephone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장치의 각종 등록데이터를 임의의 전화기(단말기)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사무실이나 빌딩 등에 있어서는 일명 키폰시스템이라 칭하는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은 하나의 주장치에 대해 다수의 전화기를 접속하여, 여러대의 전화기에서 소정의 전화회선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전화시스템과는 달리 주장치에 데이터 메모리를 갖추어 각 전화기에서 등록한 각종데이터, 예컨대 단축다이얼번호등을 이 주장치의 데이터 메모리를 통해 통합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데이터 메모리는 정전시등에 밧데리 백업회로를 통해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메모리에 등록된 데이터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한 데이터 메모리를 일정한 영역단위로 구분한 다음 이를 각각의 전화기에 대해 할당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의 특정한 전화기에서 등록한 예컨대 단축다이얼번호등은 해당 전화기를 통해서만이 데이터의 등록, 변경, 조회, 삭제와 같은 관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 설치시 등에는 관리자가 전화기마다 이동하여 프로그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임의의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은 각각 서로 다른 내선번호를 갖는 다수의 전화기와, 이득 전화기에 대해 통화 및 교환기능을 제공하는 주장치를 구비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다수의 전화기에 대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수단과, 각 내선번호에 대한 저장영역을 갖추어, 다이얼링 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수단, 소정의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저장수단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한 전화기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대한 데이터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관리자는 임의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다른 모든 전화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그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을 나타낸 요부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주장치이고, 23은 이 주장치(10)에 접속되는 전화기이다.
또한, 주장치(10)측에 있어서, 참조번호 11은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전화기와 전화기 사이 또는 전화기와 국선간을 스위칭 연결하는 스위치부이고, 12는 본 간이교환전화시스템과 국선을 인터페이스하여 내선가입자의 국선발신요구시 이를 외부 국선과 연결시킴과 더불어 국선으로부터 착신호출시 이를 내선가입자가 응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국선트렁크 모듈이다. 또한, 참조번호 13은 각 전화기(20; 201∼20n)에서 오는, 예컨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화기(20)로부터의 버튼신호등을 수신하고 주장치(10)측에서 전화기(20)로 송출되는 데이터, 예컨대 LCD표시를 위한 데이터 등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14는 음성신호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3)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신호를 혼합 또는 분리하는 음성 및 데이터 변환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5는 소정의 시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머이고, 16은 제어부(19)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161)와 각 전화기(201∼20n)의 고유한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저장부(162)를 구비한 프로그램 메모리, 17은 각종 처리데이터와 내선 및 국선번호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 18은 전원오프시에 이 데이터 메모리(17)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백업회로이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17)에는 각 전화기(201∼20n)에 대한 일정한 소정의 저장영역이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19는 주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이는 상기 스위치부(11)를 제어하여 전화기와 전화기 또는 전화기와 국선을 연결시킴과 더불어 데이터 송수신부(13)를 통한 전화기(20)로부터의 버튼신호입력에 대응하는 LCD표시 데이터를 출력하고, 특히 각 전화기(20)에 대응하는 데이터 메모리(17)의 등록데이터를 관리하여 해당 데이터의 수정, 입력, 삭제 및 조회등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2도는 전화기(2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제2도에서 참조번호 21은 핸드셋트, 마이크, 스피커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통화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부이고, 22는 사용자가 전화기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한 버튼부로서, 이 버튼부(22)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숫자버튼(221)과, 대리응답이나 스피커폰 기능등의 고정적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고정기능버튼(222), 하나의 버튼에 대해 사용자가 임의로 국선번호나 내선번호등을 대응시켜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변기능버튼(223) 및 이후에 설명할 LCD표시부(24)에 표시되는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2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23은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부(22)를 조작하게 되면 선택된 버튼에 해당하는 버튼데이터를 주장치(10)측으로 송신하고, 이 주장치(10)측으로부터 송출되어 온 해당 버튼입력에 대응하는 표시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24는 상기 오디오부(21)와 데이터 송수신부(23)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혼합하여 송출함과 더불어 주장치(10)측으로 송신되어 온 신호로부터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를 분리하는 음성 및 데이터 변환부, 25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3)에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기 위한 LCD표시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6은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27은 이 제어부(26)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 28은 각종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이다.
즉, 상술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전화기(20)의 버튼부(22)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9)는 데이터 송수신부(23)와 음성 및 데이터 변환부(24)를 통해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주장치(10)측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가 음성 및 데이터변환부(14)와 데이터 송수신부(13)를 통해 제어부(19)로 인가되면, 제어부(19)는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표시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13)와 음성 및 데이터 변환부(14)를 통해 전화기(20)측으로 송출함과 더불어,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전화기(20)측에서는 상기 주장치(10)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변환부(24)와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새 수신된 표시데이터를 근거로 제어부(26)가 LCD표시부(25)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 주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관리동작을 제4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관리자가 메모리 내용을 관리하기 위해 임의의 전화기(20)에 구비된 버튼부(22)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ST1 단계), 본 기능에 해당하는 메모리 제어코드를 입력하여(ST2 단계) 해당 데이터가 주장치(10)측으로 입력되게 되면, 제어부(19)는 해당 전화기(20)측으로 표시데이터를 출력하여 해당 전화기(20)의 LCD표시부(25)에 제어하고자 하는 내선번호를 입력하라는 안내를 표시하게 된다(ST3 단계).
이어, 관리자가 전화기(20)의 숫자버튼(221)을 이용하여 내선번호, 예컨대 231을 입력하게 되면(ST4 단계), 주장치(10)의 제어부(19)는 입력되는 내선번호 231이 사용되고 있는 내선번호인지를 판단하여(ST5 단계), 사용되지 않는 내선번호인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부(13)를 통해 전화기(20)측으로 표시데이터를 송출하여 전화기(20)의 LCD표시부(25)에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한편, 사용되는 내선번호인 경우에는 제5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내선번호와 메모리버튼숫자 및 선택메뉴화면을 표시하게 된다(ST7 단계).
제5도에서 DSP, NEXT 및 ADD의 표시는 제3도의 선택버튼(224)의 각 상측에 표시되어 관리자가 원하는 항목의 아랫쪽에 있는 선택버튼(224)을 통해 해당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 DSP는 해당 내선번호에 대응하는 메모리 내용을 조회하기 위한 것이고, NEXT는 다음 내선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ADD는 해당 내선번호의 메모리 영역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표시상태에서 관리자가 NEXT로 표시된 부분의 하단에 있는 선택버튼(224)을 누르게 되면(ST8 단계), 주창치(10)의 제어부(19)에서는 상술한 ST3 단계로 복귀하여 내선번호입력을 안내하기 위한 표시데이터를 해당 전화기(20)측으로 송출한 후, 다시 ST4 단계 이하의 플로우를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ST8단계에서 관리자가 조회기능을 선택, 즉 LCD표시부(25)의 DSP부분의 하단에 설치된 선택버튼(224)를 누르게 되면, 주장치(10)의 제어부(19)는 데이터 메모리(17)로부터 해당 내선번호의 첫번째 메모리 버튼, 예컨대 제3도에서 가변기능버튼(223)의 첫번째 버튼에 해당하는 버퍼포인터를 검색한 후(ST9 단계), 해당 포인트의 내용을 전화기(20)로 출력하여 LCD표시부(25)에 표시하게 된다(ST10 단계).
제5도(b)는 상술한 ST10 단계에서 실행되는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 No. 1의 표시는 해당 데이터가 데이터 메모리(17)내의 첫번째 저장내용, 즉 가변기능버튼(223)의 첫번째 버튼에 해당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ICOM은 내선번호(외선번호의 경우는 CO)를 나타낸다.
또한, 표시부(25) 하단에 표시된 Prov와 Next및 DEL은 각각 이전표시, 다음 메모리 내용표시 및 메모리내용 삭제를 나타낸 것으로, 관리자가 제4도(B)의 표시상태, 즉 제4도(b)의 ST11단계에서 제3도의 선택버튼(224)를 사용하여 Prov를 선택하게 되면, 주장치(10)의 제어부(19)는 ST7 단계를 이행하여 표시부(24)는 제5도(a)의 표시상태로 되게 되고 NEXT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내선의 다음 메모리버퍼 포인트를 검색하여 그에 따른 메모리 내용을 LCD표시부(25)에 표시해 주게 된다(ST12, ST10 단계). 또한, 관리자가 DEL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포인트의 메모리 데이터를 삭제한 후(ST13 단계) ST12 및 ST10단계를 실행하여 다음 메모리 버퍼포인트의 내용을 LCD표시부(25)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ST8 단계에서, 즉 제5도(a)의 표시상태에서 관리자가 ADD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9)는 전화기(20)측으로 제5도(c)와 같이 등록하고자 하는 버튼을 누르라는 안내데이터를 송출하게 되고(ST4단계), 이에 따라 관리자가 가변기능버튼(223)중 원하는 소정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9)는 선택한 버튼(223)에 대해 국선번호를 등록할 것인지 내선번호를 등록할 것인지를 입력하라는 표시를 실행하게 된다(ST16 단계). 또한, 이때 이 전화면으로로의 복귀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도 함께 실행하게 된다.
이어, 관리자가 제5도(d)의 선택화면을 보고 선택버튼(224)를 사용하여 내선번호, 즉 Icom를 선택하게 되면(ST17 단계), 제어부(19)는 제5도(e)와 같은 내선번호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관리자가 전화기(20)의 숫자버튼을 조작하여 내선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한 번호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내선번호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T19 단계). 그리고 이때 입력한 내선번호가 사용되고 있는 내선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LCD표시부(25)에 에러메시지를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ST18 단계로 복귀하여 다시 내선번호입력을 요구하는 한편(ST20 단계), 사용되고 있는 내선번호인 경우에는 현재 입력을 하고 있는 내선번호의 저장영역에 선택된 버튼위치와 내선번호라는 표시 및 입력된 다이얼링 데이터를 저장한 후(ST21 단계) 상술한 ST7 단계, 즉 제5도(a)의 표시상태로 복귀하게 된다(ST21단계).
한편, 상술한 ST17단계에서 관리자가 국선번호, 즉 CO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어부(19)는 제5도(f)와 같은 국선번호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ST22 단계). 그리고, 관리자가 숫자버튼(221)을 이용하여 예컨대 23...등의 국선번호를 입력한 후 선택버튼을 조작하여 OK를 선택하게되면(ST23 단계), 현재 입력을 하고 있는 내선번호의 저장영역에 선택된 버튼위치와 국선번화라는 표시 및 다이얼링 데이터를 저장한 후(ST24 단계), 상술한 ST7 단계, 즉 제5도(a)의 표시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ST22단계 이후의 국선번호입력단계에서 관리자가 BKS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할 때마다 순차 역순으로 입력한 숫자가 삭제됨으로써 잘못 입력한 번호를 정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ST17 단계, 즉 제5도(d)의 표시상태에서 관리자가 Prov를 선택하게 되면 ST17 단계, 즉 제5도(a)의 표시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동작의 종료는 관리자가 고정기능버튼(222)의 해제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자가 임의의 전화기를 통해 임의의 내선번호에 대한 등록내용을 추가, 변경, 조회 및 삭제할 수 있게 되므로 관리자가 데이터 등록을 위해 일일히 각 전화기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메모리에 대한 접근시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권한이 없는 일반인이 전화기를 오조작하는 등에 의해 등록데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내선번호와 국선번호를 동시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등록데이터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장치의 각종 등록데이터를 임의의 전화기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각각 서로 다른 내선번호를 갖는 다수의 전화기와, 이들 전화기에 대해 통화 및 교환기능을 제공하는 주장치를 구비한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는 다수의 전화기에 대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수단과, 각 내선번호에 대한 저장영역을 갖추어, 다이얼링 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버튼의 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수단, 소정의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저장수단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한 전화기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대한 데이터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교환전화시스템.
KR1019950026985A 1995-08-28 1995-08-28 간이교환전화시스템 KR0158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985A KR0158315B1 (ko) 1995-08-28 1995-08-28 간이교환전화시스템
US08/704,191 US5838784A (en) 1995-08-28 1996-08-28 One-touch di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dialing numbers in a telepho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985A KR0158315B1 (ko) 1995-08-28 1995-08-28 간이교환전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50A KR970014050A (ko) 1997-03-29
KR0158315B1 true KR0158315B1 (ko) 1998-12-01

Family

ID=1942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985A KR0158315B1 (ko) 1995-08-28 1995-08-28 간이교환전화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838784A (ko)
KR (1) KR0158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815B2 (en) 2001-09-19 2004-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posure method for correcting line width variation in a photomas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173B1 (ko) * 1996-05-31 1999-07-01 윤종용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GB2322511B (en) * 1997-02-21 2001-08-15 Nokia Mobile Phones Ltd Handling of a local phone number database
KR100480238B1 (ko) * 1997-07-25 2005-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지보수프로그램의버전에의한교환시스템의접근레벨결정방법
KR100384058B1 (ko) 2000-10-27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이온주입장치의 텐더트론 가속기내 터보펌프 구동상태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0416811B1 (ko) * 2001-04-27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제조용 고에너지 이온 주입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0651A (en) * 1987-10-01 1989-04-07 Canon Kk Telephone system
US5245653A (en) * 1989-07-18 1993-09-1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card connectable to a telephone
US5119414A (en) * 1989-07-18 1992-06-02 Canon Kabushiki Kaisha Key telephone system reading dialing information from a portable memory card
EP0482989B1 (en) * 1990-10-22 1997-07-09 Canon Kabushiki Kaisha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US5430791A (en) * 1993-02-26 1995-07-04 At&T Corp. Technique for administering personal telephone numbers
JPH0715523A (ja) * 1993-06-23 1995-01-17 Toshiba Corp 電話装置
US5509000A (en) * 1994-06-10 1996-04-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568546A (en) * 1994-10-31 1996-10-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bbreviated dialing assign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815B2 (en) 2001-09-19 2004-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posure method for correcting line width variation in a photo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38784A (en) 1998-11-17
KR970014050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202B1 (en) Mobile computer system design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expansion
US5371788A (en) Arrangement for displaying menu screens on a telephone terminal
JPH0583382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システムのテナント制御方式
KR0158315B1 (ko) 간이교환전화시스템
US5978667A (en) Electronic exchange system for portable stations
JP3351620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
JPH05300206A (ja) タッチパネル電話機
US4996708A (en) Key telephone system adapted to respond to information stored in a portable outpulser
JPH04310053A (ja) テレビ電話装置
JP2776512B2 (ja) 電話交換機
JPH0290771A (ja) 電話番号検索方式
KR100307028B1 (ko) 음성인식전화기에서의화자종속형음성데이타관리방법
KR19980053595A (ko) 통화중 메모기능을 갖춘 키폰시스템
KR100557105B1 (ko) 키폰전화기에서 파노라마 방식에 의한 문자 정보를출력하는 방법
JPH0340641A (ja) 電話端末装置
KR100235468B1 (ko) 간이교환전화시스템에서 다이얼링 오조작시 재다이얼링 방법
KR0178253B1 (ko) 키폰전화기의 버튼확장장치
JPH08149531A (ja) 構内交換装置およびその電話機
KR19990026364A (ko) 사설 교환기에서 다중 착신호 전환 방법
JPH1127364A (ja) 音声認識電話装置
JPH04111672A (ja) ファクシミリ端末
JPH01321755A (ja) 通信端末装置
KR20000044326A (ko) 아이에스디엔 단말의 표시기능을 이용한 교환시스템의 기능을원격 설정하는 방법
JP2001197531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KR19990015304A (ko) 키폰시스템에서 예약 착신 전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