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722B1 - 펌프 및 오버센터 스냅링크 - Google Patents

펌프 및 오버센터 스냅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722B1
KR0157722B1 KR1019950035491A KR19950035491A KR0157722B1 KR 0157722 B1 KR0157722 B1 KR 0157722B1 KR 1019950035491 A KR1019950035491 A KR 1019950035491A KR 19950035491 A KR19950035491 A KR 19950035491A KR 0157722 B1 KR0157722 B1 KR 015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valve
arm
floa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649A (ko
Inventor
히데아키 유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와라 요시야스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576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02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687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33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394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47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394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47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3947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47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466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67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368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1200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와라 요시야스,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filed Critical 후지와라 요시야스
Publication of KR96001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2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 F16T1/22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of closed-hollow-body type
    • F16T1/24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of closed-hollow-body type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25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04D15/0022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 F16K3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with the valve guided for rectilinear movement and the float attached to a pivoted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 F16K3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with the valve guided for rectilinear movement and the float attached to a pivoted arm
    • F16K31/26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with the valve guided for rectilinear movement and the float attached to a pivoted arm with a second lever or toggle between the pivoted arm and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21Discriminating outlet for liquid
    • Y10T137/304With fluid responsive valve
    • Y10T137/3052Level responsive
    • Y10T137/3068Float
    • Y10T137/308With pressure balanced outlet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381Quick acting
    • Y10T137/7387Over center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oat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작은 부력을 받는 작은 플로트에 유용한 스냅오버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스냅오버기구는 제1 아암 또는 토글링크에 연결된 스프링부분에 대하여 플로트 또는 압축아암피벗지점과 피벗 사이의 거리가 플로트 또는 압축아암에 연결된 스프링부분에 대하여 플로트 또는 압축아암피벗지점과 피벗으로부터의 거리 보다 더 크게 한 기하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기하형상은 제1 토클링크에 전달되는 주아암에 의한 부력의 크기를 크게 하고 전환밸브에 전달되는 제1 토글링크에 의한 부력의 크기를 크게 한다.

Description

펌프 및 오버센터 스냅링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스냅기구 부위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상승위치에서 플로트를 구비하고 있는 플로트 아암부위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냅기구 부위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 b-b선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냅기구 부위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주아암과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냅기구의 단면도.
제13도는 종래 기술의 펌프에서의 스냅기구 부위의 단면도.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본 발명의 하부 밸브헤드의 단면의 측면과 끝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및
제15도는 본 발명의 연결관의 단면의 측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펌프 2 : 용기
3 : 플로트 4 : 전환밸브
5 : 스냅기구 6 : 밸브
7 : 본체부위 8 : 커버부위
10 : 액체저장공간 11 : 동작유체입구
13 : 동작유체출구 16 : 액체입구
17 : 액체송출구 20 : 동작유체급송밸브
27 : 연결판 28 : 밸브스핀들 작동로드
34 : 플로트아암 37 : 제1축
58 : 제2축 59 : 제3축
71 : 드레인 밸브축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물, 연료등과 같은 액체를 급송하기 위한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펌프는 증기배관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액을 수집하여 보일러 또는 폐열 회수시스템에 이 응축액을 급송하는데 있어서 특히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관련기술의 설명]
대부분의 경우의 증기배관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액은 다량의 열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응축액으로부터 폐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응축액을 회수하여 보일러 또는 폐열회수시스템내로 응축액을 급송함으로써 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고 있는 응축액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널리 행해지고 있었다.
종래 기술의 응축액 회수시스템에서 사용된 펌프는 용기 안에 응축액을 수집하고 나서 전환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용기 내로 증기와 같은 고압동작유체를 도입한다.
고압동작유체의 압력은 용기의 내부로부터 응축액을 송출한다.
펌프의 고효율작동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기 내에 가능한 한 많은 응축액을 수집하여 전환밸브를 적당하게 개폐조작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펌프는 전환밸브의 손쉬운 개폐조작을 확보하기 위해서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스냅기구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고정스냅기구가 장착된 펌프는 프랑카트(Francart) 명의의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5,141,4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13도는 프랑카트 명의의 특허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펌프에서 사용된 스냅기구의 정면도이다. 프랑카트 명의의 특허공보에서 개시된 펌프에서는 스냅기구(100)가 주아암(101), 제1 아암(102) 및 코일압축스프링(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아암(101)은 지지부재 또는 프레임(105) 상에 제1축(106)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아암(101)의 전방 끝상에는 플로트(108)에 고착되어 있는 나사부재(104)를 통하여 플로트(108)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아암(102)은 그 한 쪽 끝에 제1축(106)에 의해서 지지부재(10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주아암(101)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다른 한 쪽 끝은 스프링브래킷부재(116)를 통하여 제3축(110)에 의해서 코일스프링(103)의 한 쪽 끝에 연결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03)의 다른 한 쪽 끝은 스프링브래킷부재(115)를 통하여 제2축(112)에 의해서 주아암(101)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스핀들 작동로드(111)는 축(107)에 의해서 제1 아암(102)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스핀들(도시안됨)과 스냅핑기구(100)는 밸브스핀들 작동로드(111)를 통하여 전환밸브에 링크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펌프에 있어서, 용기(도시안됨) 안에서 응축액의 축적은 플로트(108)를 상승시킨다. 플로트(108)가 상승하면서 코일스프링(103)의 스프링브래킷부재(115)는 위로 향하여 이동해서 코일스프링(103)을 가압한다.
플로트(108)가 추가로 상승함에 따라서 코일스프링(103)은 제1 아암(102)과 일직선으로 된다. 코일스프링(103)과 제1 아암(102) 사이의 각도가 180도를 초과할 때까지 플로트(108)는 더 상승한다. 그 결과, 코일스프링(103)은 갑자기 가압상태로부터 원상태로 복원되어 코일스프링(103)과 제1 아암(102) 사이의 연결부위 (제3축(110))는 아래로 향하여 스냅식으로 끼워진다. 이 이동은 제1 아암에 연결된 밸브스핀들 작동로드(111)의 하향 이동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전환밸브(도시안됨)를 갑자기 개폐 조작한다.
종래 기술의 펌프는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펌프액체에 대한 단순설계 및 성능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크기의 부력 또는 큰 플로트가 전환밸브의 적당한 개폐조작을 위해서 큰 힘을 획득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1축(106), 제2축(112) 및 제3축(110)에 의해서 형성된 삼각형에서 제1축(106)과 제2축(112) 사이의 거리가 제1축(106)과 제3축(110)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기 때문이다. 제1축(106)과 제2축(112) 사이의 거리는 길고, 그에 따라서 주아암(101)에 의해서 생기고 제1 아암(102)에 전달된 부력의 크기는 작다.
더구나 제1축(106)과 제3축(110)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밸브스핀들 작동로드(111)에 전달되는 제1 아암(102)에 의한 부력의 크기도 또한 작다.
[발명의 개요]
종래 기술장치에 대한 상술된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부력을 받고 있는 플로트로도 큰 힘으로 전환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 여전히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플로트, 전환밸브 및 스냅기구가 동작유체입구, 동작유체송출구, 액체입구 및 액체송출구를 갖추고 있는 용기 안에 조립되어 있는 펌프를 특징으로 한다.
스냅기구는 용기 내에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제1축,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아암,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토를링크, 제1축으로부터 짧은 거리로 이격되고, 제1축과 평행한 지점에서 주아암상에 기능적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제2축, 제1축으로부터 긴 거리로 이격되고 제1축과 평행한 지점에서 제1 토글링크에 기능적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제3 축, 및 제2 축과 제3축 사이에서 장착되고 양쪽 장착 위치에서 피벗 가능한 제2 토글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기구는 제1축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주아암에 플로트를 기능적으로 연결하고, 다른 또 하나의 연결기구는 제1 토글링크에 전환밸브를 기능적으로 연결한다. 제2축이 제1축 및 제3 축과 정렬될 때까지 제1 코글링크를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압축신장성기구는 제2 축이 제1축 및 제3축과의 정렬상태의 위치너머로 지나갔을 때 뻗어서 스냅식으로 끼워져서 제1 토글링크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펌프에 있어서, 용기 안에서 응축액의 축적은 플로트를 상승시켜서 제1축을 중심으로 주아암을 회전시키고 그리고 제2축은 제1축과 제3축이 졍렬할 때까지 제1축과 제3축 사이에서 이동시켜서 압축신장성 기구를 변형하도록 가압한다.
플로트가 추가로 상승하면서 제2축은 제1축 및 제3축과의 정렬상태의 위치를 초과하고, 그리고 압축신장성기구는 갑자기 뻗어 병형상태로부터 원상태로 복원하여 스냅식으로 끼워져서 제3 축을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전환밸브는 갑자기 개폐조작되어 용기 내에 축적된 액체가 펌핑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펌프에서 사용된 스냅기구에 있어서, 제1축과 제3축 사이의 거리는 제1축과 제2축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다. 제1축, 제2축 및 제3축에 의해서 형성된 삼각형에 있어서, 제1축과 제2축 사이의 거리는 짧은 반면에 제1축과 제3축 사이의 거리는 길다. 그러므로 제1 토글링크에 전달되는 주아암에 의한 부력의 크기는 크고 전환밸브에 전달되는 제1 토글링크에 의한 부력의 크기도 또한 크다.
따라서, 전환밸브는 작은 부력, 즉 작은 플로트가 사용될 때에도 큰 힘으로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주제,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 펌프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스냅기구의 확대단면도이다. 제3도는 상승된 위치에서 제1도의 플로트가 구비되어 있는 스냅기구의 확대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제1도의 실시예의 펌프(1)는 플로트(3), 전환밸브(4), 스냅기구(5) 및 밸브(6)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용기(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용기(2) 내에서 본체부위(7)와 커버부위(8)는 나사(도시안됨)로 연결되어 있고 액체 저장공간(10)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2)의 본체부위(7)에는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실시예의 독립된 구성요소는 용기(2)의 커버부위(8)상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부위(8)에는 4개의 개구부, 즉 동작유체입구(11), 동작유체출구(13), 액체입구(16) 및 액체송출구(17)가 구비되어 있다.
동작유체입구(11) 내부에는 동작유체급송밸브(20)가 장착되어 있고, 동작유체출구(13)의 내부에는 동작유체배출밸브(21)가 장착되어 있다. 동작유체급송밸브(20)는 밸브케이스(22), 밸브헤드(23) 및 밸브승강로드(24)로 구성되어져 있다.
밸브케이스(22)는 축선방향으로 구비된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고 관통구멍의 상부 끝은 밸브시트(25)로서 기능을 한다. 밸브케이스(22)의 중간부분에 액체저장공간(10)과 관통구멍을 연결하고 있는 4개의 개구부(26)가 제공되어 있다.
밸브헤드(23)는 반구형이거나 구형이고 밸브승강로드(24)의 끝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동작유체급송밸브(20)는 특히 용기(2)로부터 분해하지 않고도 쉽게 세척하도록 되어 있다. 밀봉캡(C)은 밸브헤드(23)위에 있는 커버부위(8) 상에 바람직하게는 나사에 의해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급송밸브(20) 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있다. 스크린(S)은 밸브헤드(23)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입자의 역류를 막아 입자가 동작유체급송밸브(20)를 막히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밸브헤드(23)와 밸브승강로드(24)는 밀봉캡이 장착되어 있는 커버부위(8)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하여 유니트로서 제거될 수 있다.
이 성능은 밸브승강로드(24)와 연결판(27) 사이에서 고정된 연결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고정된 연결을 하고 있지 않는 것은 또한 동작유체급송밸브(20)가 또한 밸브승강로드(24)와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8) 사이에서 공차를 타이트하게 할 필요없이 제조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밸브케이스(22)는 동일한 구멍을 통하여 커버부위(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유체급송밸브(20)의 구성 요소 중의 각각은 커버부위(8)와 본체부위(7)를 분리할 필요없이 용기(2)의 외부로 제거되어 세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펌프(1)에 있어서 동작유체급송밸브(20)의 밸브케이스(22)의 끝은 동작유체입구(11)내로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밸브헤드(23)는 동작유체입구(11)측상에 위치되어 있고 밸브승강로드(24)는 연결판(27)과 접촉상태로 밸브케이스(22)안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용기(2)측으로 삽입된다. 연결판(27)은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8)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8)는 스냅기구(5)에 연결되어 있다.
동작유체배출밸브(21)는 밸브케이스(29), 밸브헤드(30) 및 밸브승강로드(31)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케이스(29)는 축선방향으로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이 안에 밸브시트(32)가 제공되어 있다. 밸브승강로드(31)의 끝상에 체결된 밸브헤드(30)는 아래로부터 밸브시트(32)와 접촉한 상태가 될 때까지 도달해서 밸브를 개방 및 폐쇄하고 있다.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6)와 밸브승강로드(31)는 핀(3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전환밸브(4)는 동작유체급송밸브(20)와 동작유체배출밸브(21)을 포함하여 동작유체급송밸브(20)가 개방될 때 동작유체배출밸브(21)는 폐쇄되고, 그리고 동작유체급송밸브(20)가 폐쇄될 때 동작유체배출밸브(21)는 개방된다. 가압된 모든 유체는 동작유체로서 펌프(1)에 동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액체입구(16)는 커버부위(8)의 거의 중앙에 위치되고 있고 액체송출구(17)는 용기(2)의 하부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다.
플로트(3)는 플로트아암(34)과 축(35)을 통하여 브래킷(3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스냅기구(5)는 제1 축(37)을 통하여 브래킷(38)상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36)과 브래킷(38)은 나사(도시안됨)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용기(2)의 커버부위(8)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플로트아암(34)은 U자 형태로 굽은 판으로 제조되어서 2개의 평행한 판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를 마주보고 있을 것이다. 플로트(3)는 플로트아암(34)의 굽은 부위에 연결되어 있으며 플로트아암(34)의 다른 끝에는 축(4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된 브래킷(36)은 제4도에 도시된 2개의 L자형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축(41과 42)과 전술한 축(35)은 판을 가로질러서 연결되어 있다.
축(35)은 또한 피벗으로서 역할을 하고 플로트(3)는 축(35)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축(41과 42)은 또한 플로트(3)에 대하여 각각 상한 및 하한 정지부로서 역할을 한다. 더구나 브래킷(38)은 2개의 L자형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판을 가로질러서 축(43)과 제1 축(37)은 이들 2개의 판을 연결하기 위해서 장착되어 있다. 축(43)은 또한 하기에 기술된 제1 아암(52)에 대하여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스냅기구(5)는 주아암(51), 제1 아암(52), 코일압축스프링(54), 스프링브래킷부재(55) 및 스프링브래킷부재(56)를 포함하고 있다. 주아암(51)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가 평행인 2개의 판으로 이루어져있다.
2개의 판의 좌측끝(제1도에서)상에는 슬롯(57)이 제공되어 있다.
주아암(51)은 주아암(51)의 각진 부위에서 제1축(37)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아암(51)은 슬롯(57)안에는 플로트아암(34)의 축(40)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 연결 때문에 주아암(51)은 플로트(3)의 상하동작의 결과로서 제1축(37)을 상하로 요동하게 한다.
주아암(51)의 좌측끝(제1도에서)은 플로트(3)가 상승할 때 아래로 향하여 요동한다. 주아암(51)의 반대쪽 끝상에는 제1 축(37)과 평행한 제2 축(58)이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브래킷부재(55)는 제2 축(58)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52)은 제1 축(37)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52)은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는 2개의 평행한 판으로 아루어져 있으며, 각각은 역 L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아암(52)의 하부 끝에는 제1 및 제2 축(37과 58)과 평행한 제3 축(59)이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브래킷부재(56)는 제3 축(59)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브래킷부재(55와 56)사이에는 코일압축스프링(54)이 장착되어 있다.
제1 축(37)과 제3 축(59)사이의 거리는 제1 축(37)과 제2 축(58)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다. 제1 아암(52)의 상부 끝에는 축(60)이 장착되어 있으며 여기에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8)의 하부 끝이 연결되어 있다. 주아암(51)은 축(60)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개방되어 있는 윈도우(81)를 가지고 있다.
액체송출구(17)의 액체저장공간(10)측상에는 이중밸브인 밸브(6)가 구비되어 있다.
밸브(6)는 상부 및 하부 밸브케이스(61과 62), 상부 및 하부 밸브헤드(63 및 64) 및 드레인밸브축(7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밸브케이스(61)와 하부밸브케이스(62)는 나사 또는 볼트(도시안됨)에 의해서 서로 고착되어 있고 상부밸브케이스(61)는 나사 또는 볼트(도시안됨)에 의해서 커버부위(8)에 체결되어 있다.
상부밸브케이스(61) 안에는 상부밸브시트(66)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하부밸브케이스(62) 안에는 하부밸브시트(6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시트(66.67)는 액체저장공간(10)으로부터 액체가 밸브시트(66,67)에 의해서 둘러 싸여진 개구부를 직접 통하여 액체저장공간(10)으로부터 직접 유체송출구로 흐르도록 액체저장공간(10)과 직접 연통하고 있다.
상부밸브헤드(63)는 나사에 의해서 링크(6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링크(65)는 너트(68)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잠금되어 있다. 상부밸브헤드(63)의 하부축부분상에는 하부밸브헤드(64)가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관(69)은 상부밸브헤드(63)와 하부밸브헤드(64) 사이에 제공되어 있어서 상부밸브헤드(63) 및 하부밸브헤드(64)를 특정거리로 서로 이격시키기 때문에 밸브헤드(63,64)의 정밀한 공차가 요구되지 않고 대응밸브시트(66,67) 상에 양쪽 밸브헤드(63,64)의 정확한 설치를 확보한다.
제14a도 내지 제14c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69)은 각도(θ1)로 형성된 폭이 좁은 원뿔형태로 형성된 외주하부끝(69a)을 가지고 있다.
이 하부끝(69a)은 하부밸브헤드(64)의 상부끝에서 리세스(64a)와 정합하고 있으며 이 리세스(64a)는 각도(θ2)로 형성된 원뿔형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부밸브헤드(64)는 상부밸브헤드(63)의 하부축 부분상에 나사결합 되어서 하부밸브헤드(64)내의 리세스(64a)의 원뿔형 표면은 하부끝(69a)을 내부로 변형하도록 연결관(69)의 하부끝(69a)에 가해진다. 연결관(69)과 하브밸브헤드(64) 사이의 이런 배열상태는 부재간에 밀봉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밸브(6)를 통한 누출을 방지한다.
링크(65)의 상부끝은 드레인밸브축(7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 드레인밸브축(71)의 상부끝은 축(72)에 의해서 플로트아암(34)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축(72)은 플로트(3)가 제2도에 도시된 최하부 위치에 있을 때 축(35)의 약간 기울어진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고, 플로트(3)가 제3도에 도시된 최상부 위치에 왔을 때 축(35)의 거의 인접한 아래에 있다. 상부 및 하부밸브헤드(63과 64)는 플로트(39)의 상승으로 아래로 향하여 이동하여 액체저장공간(10)을 액체송출구(17)와 연통하고, 플로트(3)의 하향이동으로 위로 항하여 이동해서 액체송출구(17)를 폐쇄한다.
다음에 펌프(1)의 본 실시예의 작동은 증기가 동작유체로서 사용되는 일련의 작동과정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먼저, 펌프(1)의 외부배관은 동작유체입구(11)측상에서 고압증기원에 연결되어 있고 동작유체송출구(13)측상에서 증기순환배관에 연결되어 있다.
액체입구(16)는 액체저장공간(10)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체크밸브(도시안됨)를 경유하여 증기사용장치와 같은 부하에 연결되어 있다.
액체송출구(17)는 액체저장공간(10)과 따로 개방되어 있는 체크밸브(도시안됨)를 경유하여 보일러같은 액체가 펌핑되는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응축액이 본 발명의 펌프와 트랩결합체의 액체저장공간(10)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플로트(3)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위치에 있다.
이 때 전환밸브(4)안의 동작유체급송밸브(20)는 폐쇄되는 반면에 배출밸브는 개방된다.
밸브(6)가 폐쇄위치에 있기 때문에 액체송출구(17)를 통하여 액체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응축액이 증기사용장치와 같은 부하안에서 생성될 때 응축액은 액체입구(16)를 통하여 펌프(1)로 흘러내려서 액체저장공간(10)안에 축적된다.
플로트(3)가 액체저장공간(10)안에서 응축액의 축적으로 상승할 때 플로트아암(34)은 축(3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레인밸브축(71)에 연결된 축(72)은 아래로 향하여 이동하고 그리고 상부 및 하부밸브헤드(63과 64)는 드레인밸브축(71)과 링크(65)의 이동을 통하여 아래로 향하여 이동해서 밸브(6)를 개방한다.
이것은 액체저장공간(10)과 액체송출구(17) 사이에서 연통하도록 한다.
플로트(3) 위치와 부력은 액체저장공간(10)안의 액체수준이 상부밸브헤드(63)의 수준 이상일 때 밸브(6)가 개방하지 않도록 선택되기 때문에 밸브(6)에서 액체 밀봉을 확보한다. 더구나, 플로트아암(34)과 드레인밸브축(71)의 구성은 플로트(3)의 초기상승이 밸브(6)를 신속하게 개방되게 할 것이고, 반대로 밸브(6)는 플로트가 최하위에 도달할 때만 신속하게 폐쇄되도록 할 것이다.
스냅기구(5) 상에서 주아암(51)은 플로트아암(34)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된 축(40)의 하향이동과의 연동을 통하여 제1축(3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축(58)은 제1축(37)과 제3축(59)을 정렬하도록 우측으로 이동하여 코일스프링(54)을 가압한다. 그리고 나서, 플로트(3)의 추가의 상승으로 제2축(58)은 제1축(37)과 제3축(59)과의 정렬상태의 위치를 지나서 우측으로 이동하여서 코일스프링(54)은 가압된 상태로부터 갑자기 뻗어서 원상태로 복원하여 축(37)을 중심으로 한 제1 아암(52)의 시계방향 회전이 좌측으로 제3 축(59)을 스냅식으로 끼우도록 한다.
그 결과 제1 아암(52)의 축(60)에 연결된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8)는 위로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동작유체급송밸브(20)를 개방하고 동작유체배출밸브(21)를 폐쇄한다.
동작유체입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압증기는 용기(2) 내로 유도된다.
용기압력은 액체저장공간(10) 안에서 응축액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증기압력으로 응축액을 액체송출구(17)의 밖으로 체크밸브(도시안됨)를 경유하여 외부보일러 또는 폐열회수시스템으로 가압한다.
응축액의 송출로 응축물 저장공간(10)안의 수위는 강하하여 플로트(3)를 낮춘다. 플로트아암(34)은 축(3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드레인밸브축(71)에 연결된 축(72)을 위로 향하여 이동시킨다. 드레인밸브축(71)의 상향이동은 링크(65)를 경유하여 위로 향하여 상부 및 하부밸브헤드(63과 64)를 이동시켜서 밸브(6)를 폐쇄한다. 완전개방위치로부터 완전폐쇄위치로의 밸브(6)의 작업공정에 있어서 축(72)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35)의 약간 아래에서 기울어져 있는 위치로 이동하므로 밸브(6)가 완전폐쇄위치로 점차 도달하면 이것은 밸브를 폐쇄하는 쪽으로 점차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플로트(3)가 제2도에서 도시된 수준으로부터 강하할 때 밸브(6)는 하향이동의 초기 기간동안 완전개방위치에 근접해 있으므로 응축액이 급송되도록 한다.
스냅기구(5)측상에서 주아암(51)은 플로트아암(34)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된 축(40)의 상향이동과 연동하여 제1 축(37)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축(58)은 제1 축(37)과 제3 축(59)과의 정렬상태로 좌측으로 이동해서 코일스프링(54)을 가압한다. 플로트(3)의 추가의 하향이동으로 제2 축(58)은 제1 축(37)과 제3 축(59)과의 정렬상태의 위치를 지나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나서 코일스프링(54)은 갑자기 뻗어 가압상태로부터 원상태로 복원하며 제1 아암(52)의 축(60)에 연결된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8)를 아래로 향하여 스냅식으로 끼우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제1 아암(52)을 구동한다. 따라서, 동작유체급송밸브(20)는 폐쇄되는 반면에 동작유체배출밸브(21)는 개방된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스프링(54)은 주아암(51)상의 제2 축(58)과 제1 아암(52)상의제3 축(59)상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코일스프링(54)이 주아암(51)상의 제1 축(37)과 주아암(51)상의 제1 축(37)과 이격되어 있는 제2 축(58)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된 살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작동부재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부재 번호로 나타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펌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스냅기구(5)는 주아암(51), 제1 아암(52), 제2 아암(73), 코일압축스프링(54), 스프링브래킷부재(55) 및 스프링브래킷부재(56)를 포함하고 있다.
주아암(51)은 정면에서 볼 때 각각이 L자 형태인 2개의 평행한 판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주아암(51)의 각진부위는 제1 축(37)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아암(51)의 하부 끝상에는 제2 축(58)이 제1 축(37)과 평행하게 장착되어져 있다.
제2 축(58)은 주아암(51)에 형성된 기다란 구멍 또는 슬롯(74)을 따라 제1 축(37)의 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다. 코일압축스프링(54)은 제1 축(37)상에 지지된 스프링브래킷부재(55)와 제2 축(58)상에 지지된 스프링브래킷부재(56)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아암(52)은 제1 아암(52)의 각진부위에서 제1 축(37)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52)의 하부끝상에는 제3 축(59)이 제1 및 제2 축 (37과 58)과 평행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3 축(59)과 제2 축(58) 사이에는 제2 아암(73)이 장착되어 있다. 제2 아암(73)은 제2 및 제3 축(58과 59)상에 회전가능하게 있는 2개의 평행한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축(37)과 제3 축(59) 사이의 거리는 제1 축(37)과 제2 축(58)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아암(51)의 회전으로 작동하는 제2 축(58)은 기다란 구멍(74)을 따라 제1 축(37)을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에 제1 축(37) 및 제3 축(59)과 정렬되어져 있으므로 코일스프링(54)을 가압한다. 그러므로 코일스프링(54)은 제1 축의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의 방향으로만 변형하도록 축선방향으로 가압된다.
코일스프링(54)은 구부러져 있지 않고 항상 직선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54)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코일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한다.
다음에 제1 아암(52)상의 제3 축(59)과 제1 아암(52)상의 제3 축(59)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4축(75)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54)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 펌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스냅기구(5)는 주아암(51), 제1 아암(52), 제2 아암(73), 코일압축스프링(54), 스프링브래킷 부재(55) 및 스프링브래킷부재(56)를 포함하고 있다.
주아암(51)의 각진부위는 축(37)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아암(51)의 하부 끝에는 제1 축(37)과 평행인 제2 축(58)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아암(52)은 제1 아암(52)의 각진부위에서 제1 축(37)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52)의 중간부분에는 제1 및 제2 축(37과 58)과 평행한 제3 축(59)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아암(52)의 하부끝에는 제1, 제2 및 제3 축(37,58 및 59)과 평행한 제4 축(75)이 설치되어 있다. 제3 축(59)은 제1 아암(52)안에 형성된 기다란 구멍(76)을 따라 제4 축(75)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제3축(59)과 제2축(58) 사이에는 제2 아암(73)이 피벗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4 축(75)상에 지지된 스프링브래킷부재(55)와 제3축(59) 상에 지지된 스프링브래킷 부재(56) 사이에는 코일압축스프링(54)이 장착되어 있다.
제1축(37)과 제3축(59) 사이의 거리는 제1축(37)과 제2축(58)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축(59)이 기다란 구멍(76)을 따라 제4축(75)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아암(51)의 회전과 연동 작동하는 제2축(58)이 제1축(37) 및 제3축(59)과 일직선으로 될 때 압축코일스프링(54)에 의해서 변형된다는 것은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코일스프링(54)은 제4축(75)의 방향으로만, 다시 말하면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신장 및 수축의 방향으로 변형되어 있다.
이 이동은 확실하게 코일스프링(54)이 구부러짐의 결과로서 손상 또는 파손되지 않게 한다.
다음의 실시예에는 크랭크아암(77)에 의해서 제1 아암(52)상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3축(59)과 제3축(59)으로부터 이격된 제1 아암(52)상의 제4축(75)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54)이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펌프의 단면도이다.
스냅기구(5)는 주아암(51), 제1 아암(52), 제2 아암(73), 크랭크아암(77), 코일압축스프링(54), 스프링브래킷 부재(55) 및 스프링브래킷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주아암(51)의 각진부위는 제1축(37)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아암(51)의 하부 끝상에는 제1축(37)과 평행한 제2축(58)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아암(73)의 상부끝은 제2축(58) 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축(59)은 제2 아암(73)의 하부끝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3축(59)은 제1 및 제2축(37과 58)과 평행하다.
제1 아암(52)은 제1 아암(52)의 각진부위에서 제1축(37)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52)의 하부끝상에는 제4 축(75)이, 제1, 제2 및 제3축(37, 58 및 59)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코일압축스프링(54)은 제4축(75)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스프링브래킷부재(55)와 제3 축(59)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스프링브래킷부재(56)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아암(52)의 중간부위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상에는 제1축, 제2축, 제3축 및 제4축(37,53,59 및 75)과 평행한 제5축(78)이 설치되어 있다. 제5축(78)과 제3축(59) 사이에는 크랭크아암(77)이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아암(77)은 서로 대면하고 있는 2개의 평행한 판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제3축과 제5축(59 와 78)이 연결된 지점에서 회전 가능하다.
제1축(37)과 제3축(59) 사이의 거리는 제1축(37)과 제2축(58)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축(59)은 제5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제4축(7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축(58)이 제1축(37) 및 제3축(59)과 일직선이 될 때 주아암(51)의 회전에 의해서 코일스프링(54)은 가압된다.
스냅식으로 끼워질 때 크랭크아암(77)에 의해서 지지된 코일스프링(54)은 횡면 구부러짐 또는 진동을 받지 않으므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로트(3)는 플로트아암(34)을 통하여 주아암(51)에 연결 되어 있다. 다음에, 플로트(3)가 주아암(51)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는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8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다른 스냅기구부위의 단면도이고, 제9도는 b-b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제8도의 스냅기구에 있어서, 주아암(51)은 제1 축(37)을 통하여 브래킷(38)상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38)은 용기상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38)은 위에서 볼 때 제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L자형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2개의 판은 축(43)과 제1 축(37)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축(43)은 또한 제1 아암(52)에 대한 정지부로서 역할을 한다.
스냅기구(5)는 주아암(51), 제1 아암(52), 코일압축스프링(54), 스프링브래킷 부재(55) 및 스프링브래킷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주아암(51)은 제9도에 도시된 U자 형태로 다시 말하면 서로가 대면하는 2개의 평행한 판으로 판을 구부러트림으로써 형성된다. 주아암(51)의 구부러진 부분에서 플로트(3)는 볼트(82)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플로트(3)는 제1축(37)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한다.
주아암(51)의 우측끝(제8도에서)은 우측 아래로 회전하고 우측 끝상에는 제1축(37)과 평행한 제2축(58)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브래킷부재(55)는 제2축(58)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아암(52)은 제1 아암(52)의 각진부위에서 제1축(37)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52)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행한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은 역 L자 형태이다. 제1 아암(52)의 하부끝상에는 제1 및 제2축(37과 58)과 평행한 제3 축(59)이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브래킷부재(56)는 제3 축(59)상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브래킷부재(55와 56) 사이에는 코일압축스프링(54)이 장착되어 있다. 더구나, 제1 아암(52)의 상부 중간부분상에는 축(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에 밸브스핀들 작동로드(28)의 하부 끝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냅기구(5)의 작동은 플로트(3)의 상하향 이동에 의해서 작동되는 주아암(51)과 제1 아암(52)의 회전방향으로만이 상술된 실시예와 다르므로 상세한 작동 과정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로트(3)는 주아암(51)에 볼트(82)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프로트(3)와 주아암(51)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수단은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에서 채택되는 다른 스냅기구부위의 단면도이고, 제11도는 제10도의 주아암에 연결된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스냅기구(5)는 주아암(51), 제1 아암(52), 코일압축스프링(54), 스프링브래킷 부재(55) 및 스프링브래킷부재(56)를 포함하고 있다.
주아암(51)은 서로 대면하고 있는 2개의 평행한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판의 좌측끝(제10도에서) 상에는 축(83)이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에 용접에 의해서 플로트(3)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연결부재(84)는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84)는 전방 끝에서 로드 끝의 양측면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직사각형 돌출부(85)를 가지고 있는 둥근로드가 있다. 돌출부(85)는 주아암(51)의 2개의 판사이에 삽입되어 축(83)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84)의 어깨부의 전방끝면(86)은 주아암(51)의 정합끝측면상에서 상부 및 하부면(87과 88)과 접촉하며 특정위치를 지나서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부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로트(3)는 용기안의 액체수준의 변화에 따라 주아암(51)에 의해서 지지된 축(83)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한다.
주아암(51)은 또한, 프로트(3)가 특정크기로 이동되어진 후 플로트(3)의 상하 동작으로 제1 축(37)을 중심으로 위아래 요동하여서 연결부재(84)의 어깨부위의 전방끝면(86)은 주아암(51)의 상부면(87) 또는 하부면(88)과 접촉한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면(86)이 면(87,88) 중의 하나와 접촉하도록 플로트(3)의 특정크기에 의한 이동 후 주아암(51)은 플로트(3)의 추가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전환밸브는 주아암(51)과 플로트(3) 사이에서 연결부위를 연장하지 않는 2개의 특정 상부 및 하부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다.
플로트(3)와 주아암(51)이 느슨하게 연결된 다른 구조는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에서 채택되는 다른 스냅기구부위의 단면동이다.
주아암(51)은 좌측끝부분(제12도에서)에서 용접에 의해서 플로트(3)에 확실하게 부착된 짧은 파이트(88)에 삽입되고 서로 대면하고 있는 2개의 평행한 판을 포함하고 있다.
주아암(51)과 짧은 파이프(88)는 축(87)에 의해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용기 안의 액체수준의 변화에 따라 주아암(51)상에 지지된 축(87)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한다. 주아암(51)은 짧은 파이프(88)의 전방끝이 주아암(51)과 접촉할 때까지 플로트(3)가 특정크기로 이동되어진 후 제1 축(37)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한다.
제10도 내지 제12도의 실시예는 용기 내에서 플로트(3)에 대하여 더 큰 이동범위를 허용하기 때문에 플로트아암에 견고하게 부착된 플로트를 갖추고 있는 유사하게 조립된 장치보다 용기의 보다 완전한 충전 및 완전한 배수를 허용하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제10도 내지 제12도의 실시예의 배열상태가 핀(83) 또는 (87)을 중심으로 한 플로트(3)의 피벗 각도에 대응하는 플로트(3)의 추가의 동작범위와 피벗(37)을 중심으로한 플로트 아암(51)의 동작범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추가의 피벗 각도는 플포트아암(51)의 동작범위의 상부 및 하부끝 양쪽에 포함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전환밸브는 주아암(51)과 플로트(3) 사이에서 연결부위를 연장하지 않는 2개의 특정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을 것이다.
다른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실행할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다.

Claims (26)

  1. 동작유체입구, 동작유체출구, 액체입구 및 액체송출구로 이루어진 용기; 동작유체출구밸브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개방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유체출구밸브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폐쇄하는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동작유체출구밸브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동작유체출구밸브; 상기 동작유체입구밸브와 상기 동작유체출구밸브에 연결 가능한 동작유체밸브작동링크; 플로트; 상기 플로트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 안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주아암; 상기 용기안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동작유체밸브 작동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아암 ; 및 제2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피벗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주아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3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피벗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아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피벗축선과 상기 제3 피벗축선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피벗축선과 상기 제2 피벗축선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탄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플로트아암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플로트는 상기 플로트아암상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아암은 상기 용기 안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주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송출구에서 상기 플로트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2개의 밸브요소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액체송출구는 2개의 밸브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밸브의 각각은 상기 밸브시트의 하나와 맞물림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액체송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플로트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밸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에 의해서 상기 플로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송출구에서 상기 플로트아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밸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에 의해서 상기 플로트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벗연결부는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벗연결부는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벗연결부는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아암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크랭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상기 주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아암은 상부 및 하부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플로트는 상기 주아암을 중심으로 한 상기 플로트의 피벗선회에 의해서 상기 상부 또는 상기 하부면을 접촉하고 있는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에 연결된 축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주아암은 슬롯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슬롯 안에서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요소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에 연결된 축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아암은 슬롯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슬롯 안에서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요소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15. 제1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피벗선회하고 있는 주아암; 피벗선회하고 있는 제1 아암; 및 제2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피벗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주아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3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피벗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아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피벗축선과 상기 제3 피벗축선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피벗축선과 상기 제2 피벗축선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탄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센터스냅링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센터스냅링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벗연결부는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센터스냅링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벗연결부는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센터스냅링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벗연결부는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아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탄성요소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크랭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센터스냅링크.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에 연결된 축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주아암은 슬롯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슬롯 안에서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요소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센터스냅링크.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에 연결된 축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아암은 슬롯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축은 상기 슬롯 안에서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요소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센터스냅링크.
  22. 동작유체입구, 동작유체출구, 액체입구 및 액체송출구로 이루어진 용기; 동작유체출구밸브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개방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유체출구밸브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폐쇄하며 밸브헤드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로드와 밸브헤드가 상기 용기의 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용기로의 접근 및 제거 가능한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동작유체입구밸브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동작유체출구밸브; 상기 동작유체입구밸브와 상기 동작유체출구밸브에 연결가능하며 상기 밸브헤드와 밸브로드는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헤드와 밸브로드가 상기 용기의 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한 동작유체밸브작동링크; 플로트; 및 상기 동작유체밸브 작동링크에 상기 플로트를 연결하고 있는 스냅오버링크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23. 동작유체입구, 동작유체출구, 액체입구 및 액체송출구로 이루어진 용기; 동작유체출구밸브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개방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유체출구밸브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폐쇄하는 상기 동작유체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동작유체입구밸브와 상기 동작유체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동작유체출구밸브; 상기 동작유체입구밸브와 상기 동작유체출구밸브에 연결가능한 동작유체밸브작동링크; 플로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 안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주아암; 상기 주아암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플로트; 상기 용기 안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1 아암; 및 제2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피벗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주아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3 피벗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피벗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아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탄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아암은 상부 및 하부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플로트는 상기 주아암을 중심으로 한 상기 플로트의 피벗선회에 의해서 상기 상부 또는 상기 하부면을 접촉하고 있는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직사각형 돌출부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표면은 상기 직사각형 돌출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짧은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표면은 상기 짧은 파이프의 전방 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KR1019950035491A 1994-10-14 1995-10-14 펌프 및 오버센터 스냅링크 KR0157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576294A JP3360232B2 (ja) 1994-10-14 1994-10-14 液体圧送装置
JP94-275762 1994-10-14
JP30687194A JP3273347B2 (ja) 1994-11-15 1994-11-15 液体圧送装置
JP94-306871 1994-11-15
JP33394494A JP3364701B2 (ja) 1994-12-15 1994-12-15 液体圧送装置
JP94-333944 1994-12-15
JP94-333946 1994-12-15
JP33394694A JP3364702B2 (ja) 1994-12-15 1994-12-15 液体圧送装置
JP33394794A JP3364703B2 (ja) 1994-12-15 1994-12-15 液体圧送装置
JP94-333947 1994-12-15
JP95-84669 1995-03-15
JP08466995A JP3316722B2 (ja) 1995-03-15 1995-03-15 液体圧送装置
JP11368295A JP3341200B2 (ja) 1995-04-14 1995-04-14 液体圧送装置
JP95-113682 1995-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649A KR960014649A (ko) 1996-05-22
KR0157722B1 true KR0157722B1 (ko) 1999-03-20

Family

ID=2756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491A KR0157722B1 (ko) 1994-10-14 1995-10-14 펌프 및 오버센터 스냅링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5655888A (ko)
EP (1) EP0709607B1 (ko)
KR (1) KR0157722B1 (ko)
CN (1) CN1069956C (ko)
AU (2) AU681540B2 (ko)
BR (1) BR9504388A (ko)
CA (1) CA2160629C (ko)
DE (1) DE69529875T2 (ko)
DK (1) DK0709607T3 (ko)
ES (1) ES219488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888A (en) * 1994-10-14 1997-08-12 Tlv Co., Ltd. Pump and combination pump and trap with snap-over mechanism and double-seal outlet valve
US5934881A (en) * 1995-10-13 1999-08-10 Tlv Co., Ltd. Snap action float valve assembly with reversible plate spring for liquid feeding device
JPH1061886A (ja) * 1996-08-13 1998-03-06 Tlv Co Ltd 液体圧送装置
JP3331391B2 (ja) * 1996-08-13 2002-10-07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液体圧送装置
AU709740B2 (en) * 1997-06-13 1999-09-02 Tlv Co., Ltd. Liquid forced-feed apparatus
AU9276998A (en) * 1997-09-12 1999-04-05 Jozsef Bereznai Balance float controlled valve assembly
GB2329451B (en) * 1997-09-23 2002-01-02 Spirax Sarco Ltd Float operated devices
US6099260A (en) * 1998-06-17 2000-08-08 Armstrong International, Inc. Pump trap assembly having multiple pivot axes
AUPP622398A0 (en) * 1998-09-29 1998-10-22 Beattie, David Dowley Inlet valve for cisterns
JP2000121508A (ja) 1998-10-15 2000-04-28 Tlv Co Ltd 電源を内蔵する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6536777B2 (en) 1999-03-31 2003-03-25 Lam Research Corporation Sealing techniques suitable for different geometries and constrained spaces
GB2354056B (en) * 1999-09-07 2001-08-01 Spirax Sarco Ltd Float operated devices
AUPR171700A0 (en) * 2000-11-27 2000-12-21 Aquarose Pty Ltd Float valve
US6602056B1 (en) 2001-06-29 2003-08-05 Armstrong International, Inc. Steam driven pump
US6599096B1 (en) 2001-07-17 2003-07-29 Armstrong International, Inc. Steam driven pump
US7235655B2 (en) * 2002-03-22 2007-06-26 Pharmacia & Upjohn Company Processes to prepare eplerenone
US6808370B1 (en) 2002-08-08 2004-10-26 Spirax Sarco, Inc. Gas pressure driven tank fluid pump having float and snap-acting rotary valve
US7048513B2 (en) * 2002-12-13 2006-05-23 Spirax Sarco, Inc. Gas pressure driven fluid pump having compression spring pivot mechanism and damping system
US8057192B2 (en) * 2005-04-25 2011-11-15 Spence Engineering Company, Inc. Cyclic condensate pump having a three-way valve
US7491035B2 (en) * 2005-04-25 2009-02-17 Spence Engineering Company, Inc. Cyclic condensate pump having a three-way valve
CN100373091C (zh) * 2005-07-15 2008-03-05 洪有福 一种平衡双阀座杠杆浮球式蒸汽疏水阀
JP5047656B2 (ja) * 2007-03-15 2012-10-1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液体圧送装置
JP5047654B2 (ja) * 2007-03-15 2012-10-1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液体圧送装置
JP4762960B2 (ja) * 2007-09-03 2011-08-3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ループアンテナ及びループアンテナの製造方法
US20090293226A1 (en) * 2008-05-30 2009-12-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pring hook wear bushing and linkage assembly including the spring hook wear bushing
JP2013137286A (ja) * 2011-12-28 2013-07-11 Advantest Corp 電子部品試験装置
JP5940338B2 (ja) * 2012-03-28 2016-06-29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復水回収装置
US9121398B1 (en) * 2015-03-30 2015-09-01 Abdullah M. S. Al-Nesafi Float-operated pump switch
USD787636S1 (en) * 2015-04-02 2017-05-23 Tlv Co., Ltd. Liquid pressure-feeding machine
US9982602B2 (en) * 2015-04-15 2018-05-2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hut off valves and components thereof for ecology fuel return systems
CN104912767B (zh) * 2015-05-07 2017-03-1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气压液位液泵
PT3519749T (pt) * 2016-09-28 2021-10-15 Forbes Marshall Private Ltd Disposição para remover condensado de um permutador de calor
US10544872B2 (en) 2017-08-07 2020-01-28 Iball Instruments Llc Liquid capture valve
JP6574538B2 (ja) * 2017-09-25 2019-09-11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液体圧送装置の状態判別装置および液体圧送装置
JP6649528B2 (ja) * 2017-09-25 2020-02-19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液体圧送装置の劣化判定装置および液体圧送装置
CN109386639A (zh) * 2018-12-10 2019-02-26 泛亚气体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双排水阀系统
CN111120991A (zh) * 2020-01-14 2020-05-08 广西壮族自治区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工业锅炉冷凝水回流报警和联锁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1286E (en) * 1939-12-05 Control means
US1293789A (en) * 1918-04-08 1919-02-11 Webb Jay Valve mechanism for vacuum feed devices.
US1446902A (en) * 1921-05-18 1923-02-27 Jacobsen Jacob Vacuum feeding device
US1561159A (en) * 1921-08-12 1925-11-10 Hurst James Liquid-level-maintaining device
US1549566A (en) * 1923-05-11 1925-08-11 Bain James Garfield Trap
US1699464A (en) * 1926-07-17 1929-01-15 Kieley & Mueller Return trap
US2606543A (en) * 1948-04-20 1952-08-12 Trico Products Corp Fuel system
DE1125246B (de) * 1958-08-27 1962-03-08 Gerdts Gustav F Kg Schnellschlussventil
US3242873A (en) * 1963-05-13 1966-03-29 Paul H Smith Automatic bilge pump
US3402614A (en) * 1967-08-04 1968-09-24 Rem Insulating Systems Ltd Snap action toggle assemblies
US5141405A (en) * 1991-11-20 1992-08-25 Francart Jr Armand Leak proof, preloaded, high-biasing force float-operated over-center valve actuating mechanism
US5401142A (en) * 1992-02-14 1995-03-28 Tlv Co., Ltd. Condensate discharging device
US5230361A (en) * 1992-11-17 1993-07-27 Spirax Sarco, Inc. Snap action toggle valve actuator assembly
US5445501A (en) * 1993-03-17 1995-08-29 Tlv Co., Ltd. Snap action float valve assembly for liquid feeding device
US5366349B1 (en) * 1993-06-25 1999-10-12 Gestra Inc Automatic liquid pump with vapor flow prevention flow outlet valve
US5655888A (en) * 1994-10-14 1997-08-12 Tlv Co., Ltd. Pump and combination pump and trap with snap-over mechanism and double-seal outlet valve
GB2302916B (en) * 1995-07-03 1997-09-10 Spirax Sarco Ltd Pressure powered pumps
US5938409A (en) * 1996-06-04 1999-08-17 Spirax Sarco, Inc. Gas powered fluid pump with exhaust assist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709607T3 (da) 2003-06-30
US6244828B1 (en) 2001-06-12
ES2194886T3 (es) 2003-12-01
EP0709607A2 (en) 1996-05-01
AU1622397A (en) 1997-07-17
AU681540B2 (en) 1997-08-28
AU3300095A (en) 1996-05-09
US5655888A (en) 1997-08-12
KR960014649A (ko) 1996-05-22
AU683200B2 (en) 1997-10-30
CN1069956C (zh) 2001-08-22
BR9504388A (pt) 1997-05-27
CN1126280A (zh) 1996-07-10
DE69529875T2 (de) 2003-12-04
CA2160629C (en) 2001-02-20
DE69529875D1 (de) 2003-04-17
CA2160629A1 (en) 1996-04-15
EP0709607A3 (en) 1997-10-01
EP0709607B1 (en) 2003-03-12
US5755560A (en) 199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722B1 (ko) 펌프 및 오버센터 스냅링크
KR100412627B1 (ko) 액체강제공급장치
AU709740B2 (en) Liquid forced-feed apparatus
JP3360232B2 (ja) 液体圧送装置
JP5047656B2 (ja) 液体圧送装置
EP1265013B1 (en) Pump and over-center snap link
JP2000002399A (ja) 液体圧送装置
JP5047655B2 (ja) 液体圧送装置
JP5047654B2 (ja) 液体圧送装置
JP3247979B2 (ja) 複座弁
JP5052924B2 (ja) 液体圧送装置
JP3476245B2 (ja) 液体圧送装置
JP3247978B2 (ja) 複座弁
JP3850472B2 (ja) 液体圧送装置
JP2852483B2 (ja) 液体圧送装置
JPH08145294A (ja) 液体圧送装置
JPH10122490A (ja) 液体圧送装置
AU725027B2 (en) Liquid forced-feed apparatus
JP3414536B2 (ja) 液体圧送装置
JPH08145291A (ja) 液体圧送装置
JP3530614B2 (ja) 液体圧送装置
JPH09280492A (ja) 液体圧送装置
AU3678099A (en) Liquid forced-feed apparatus
JPH10288298A (ja) 液体圧送装置
JPH10288299A (ja) 液体圧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