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377B1 -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377B1
KR0157377B1 KR1019960005250A KR19960005250A KR0157377B1 KR 0157377 B1 KR0157377 B1 KR 0157377B1 KR 1019960005250 A KR1019960005250 A KR 1019960005250A KR 19960005250 A KR19960005250 A KR 19960005250A KR 0157377 B1 KR0157377 B1 KR 015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sistance
diol
chain
elastic fib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104A (ko
Inventor
임대우
이흥우
기영철
연원희
임태환
한영화
김영길
Original Assignee
박홍기
주식회사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기, 주식회사새한 filed Critical 박홍기
Priority to KR101996000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377B1/ko
Publication of KR97006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377B1/ko

Links

Landscapes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균 분자량 1,000∼3,000의 폴리에테르 디올(A-1)과 수평균 분자량 500∼3,000의 폴리카보네이트계 디올(A-2)을 혼합시킨 장쇄 디올(A)과 제3급 아미노기를 최소한 1개 가지는 아미노기 2∼7개, 탄소 3∼12개의 폴리올(B)을 과잉의 유기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과 예비중합하여 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 시킨 후 쇄성장제인 디아민 화합물(D)을 예비중합물의 0.5∼0.98몰 사용하고 쇄정지제인 모노아민(E)을 전체 아민 사용량의 1∼30몰% 되도록 첨가하여 중합을 완료한 후 상기 중합체 용액에 내열성 향상첨가제를 0.01∼1중량% 첨가하고, 해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방족금속염 화합물을 폴리머 고형분에 대하여 0.01∼1중량%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 탄성섬유의 해사장력 측정평가를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관 2 : 탄성섬유
3 : 피그네일가이드 7 : 스트레인게이지
8 : 기록계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고유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는 탄성과 탄성회복력이 우수함으로써 스타킹이나 여성용 속옷류 및 신축성 직물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수영복으로의 용도도 계속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내열성이 약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등 타소재와 혼방하여 사용시 130℃ 정도의 고온염색이 불가능하여 염색이 어려우므로 용도에 제한이 따르고 있다.
또한 스판덱스 필라멘트는 일반 직물용 필라멘트와 비교할때 점착성을 가지므로, 필라멘트 서로간 및 그 표면이 점착성을 가지며, 특히 보빈에 감겨 있을때와 다른 패키지로 다시 풀어낼때 점착효과는 현저하다. 해사장력이 높아지면 나일론등과의 커버링공정이나, 환편물의 재편공정에서 사절이나, 장력불균일로 인한 형상불량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열성과 해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해사성 개선을 위해 이제까지 알려진 공지된 기술로서는 미합중국특허 USP 3039885호에서 유제내에 분산시킨 금속염 비누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경우 금속염 비누는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아연, 카드뮴, 알루미늄이며 지방산은 탄소원자 8∼22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USP 3296063에서는 폴리아밀실록산/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유제를 스판덱스 필라멘트에 부여하는데 이러한 유제용액에 마그네슘스테아린산, 아연스테아린산등을 혼합, 분산시켜 해사성을 얻게 된다.
한편, 일본특개 소59-26573호에서는 치오히드록시산의 금속화합물을 방사이전의 임의의 공정에서 중합체에 첨가하여 방사시의 주행성 및 해사성을 증진시키고, 또한 특개 소60-239519호에서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유제중에 함유시키고, 금속비누염을 병용함으로써 해사성 및 주행마찰 특성을 증진시키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특개 소56-107010호에서는 지방산 금속염을 사용하고, 특개 평5-5277호에서는 폴리유기실록산을 탄성섬유용 유제로 사용하여 해사성을 증진시키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내열설 향상첨가제를 투입하거나, 고분자 디올화합물의 일부를 저분자량의 디올화합물로 대체함으로써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저분자량 디올 화합물로는 주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과잉의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후, 1,2-프로필렌디아민과 디에틸렌아민으로 쇄성장시킨 폴리머를 방사하여 제조한 탄성사를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처리하여 탄성회복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일본 공개 특허공보 특개평4-74457 호에 의해 공지된 바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탄성사의 가열처리 공정이 추가됨으로써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열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고유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탄성섬유의 해사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테르디올(A-1), 폴리카보네이트디올(A-2)을 혼합시킨 장쇄디올(A)과 제3급 아미노기를 최소한 1개 가지는 아미노기수 2∼7개, 탄소수 3∼12개의 폴리올(B)을 과잉의 디이소시아네이트(C)와 예비중합하고 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디아민혼합물(D)을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쇄성장시켜 방사에 적당한 점도를 갖게 한 후 모노아민 화합물(E)을 사용하여 말단을 봉쇄하고 해사성 향상 첨가제(F) 및 내열성향상 첨가제(G)를 첨가함으로써 해사성과 내열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우레탄탄성섬유는 소프트세그먼트 역할을 하는 장쇄디올(A) 성분으로써 폴리에테르디올(A-1)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디올(A-2)을 몰비(A-2/A-1) 0.2∼10특히 0.5∼7이 되도록 혼합하고, 제3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올(B)을 장쇄디올(A)과의 몰비(A/B)가 5∼50 특히 12∼35가 되도록 혼합한 후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23∼2.7몰과 예비중합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적당량 혼합하여 예비중합물 용액을 제조한 후 디아민 화합물을 예비중합물의 0.50∼0.98몰 사용하여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쇄성장시켜 방사에 알맞는 점도인 500∼3,800 포이즈를 얻는다. 이후 모노아민 화합물을 전체아민 사용량의 1∼30몰% 사용하여 쇄정지를 시킨 후 점도안정제를 사용하여 방사에 적당한 점도를 유지시킨 다음, 상기 중합체 용액에 내열성 향상첨가제0.01∼1중량% 첨가하고, 해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방족 금속염 화합물을 폴리며 고형분에 대하여 0.01∼1중량% 첨가하여 해사성을 증진시킨다.
폴리에테르 디올(A-1)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분자량은 1,000∼3,000 특히 1,500∼2,500의 범위가 적합하다. 폴리카보네이트디올(A2)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 등의 글리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디아릴카보네이트, 디알킬카보네이트, 포스겐 등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합성된 분자량 500∼3,000 특히 1,000∼2,200의 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폴리에테르디올(A-1)과 폴리카보네이트디올(A2)의 분자량 및 몰비를 벗어나면 탄성사의 고유한 물성인 강, 신도 및 내열성 등에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우수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제3급의 아미노기를 최소한 1개 이상 가지는 아미노기수 2∼7개, 탄소수 3∼12개의 폴리올(B)을 사용하여 양말단 이외의 위치에 측쇄로서 제3급의 아미노기를 도입시킴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아 결합에 의한 망상구조를 가지게 되어 강고한 결합이 형성되며 이로인해 내열성과 탄성회복력을 향상시키고, 중합물의 점도안정성을 향상시켜 방사에 적당한 점도를 유지시킨다.
상기 제3급 아미노기를 가지는 폴리올(B) 성분으로는 R-NH2(R:CnH2n+1,n=1∼30)로 표시된 제1급 아민류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등을 2∼55몰 부가시켜 만든 디올류 및 이들의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아민, 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이소부탄아민등의 제1급 아민류에 에틸렌옥사이드를 2몰 부가시켜 얻은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이소프로필디에탄올아민 등의 N-알킬디에탄올아민과 라우릴아민, 스테아링아민, 올레일아민 등에 에틸렌옥사이드를 20∼55몰 부가시킨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아민과 같은 알킬아민류에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등을 부가시킨 디올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쇄디올(A)과 제3급 아미노기를 가지는 폴리올(B)과의 몰비는 A/B=5∼50 특히 12∼35가 적당하며 5보다 적을 경우에는 용제에 잘 용해되지 않아 방사에 문제가 되며 50을 초과하면 내열성 및 탄성회복력등의 향상정도가 미미하다. 쇄성장제인 아민 화합물과 결합하여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의 역할을 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로서는 파라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토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토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르-2,1-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르페닐렌-2, 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시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4,4'-디페닐이소프로필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화합물이 있는데 디올 화합물과의 반응성과 탄성체의 물성을 고려시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가장 좋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의 사용량은 장쇄 디올(A)과 제3급 아미노기를 가지는 폴리올(B)을 혼합한 화합물(A+B)에 대하여 C/(A+B) = 1.23∼2.7몰이 적당하며 1.23몰 보다 적을 경우에는 중합물의 신도는 우수하는 강도가 저하되고 탄성회복력이 부족하고 2.7몰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강도와 탄성회복율은 우수하나 신도가 불량하여 탄성중합체로서의 고유한 물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장쇄 디올(A)과 폴리올(B),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이 결합된 예비중합물은 디아민화합물에 의해 쇄성장 되며 일정한 분자량으로 쇄성장 시킨 후 모노아민으로 쇄정지를 시킴으로서 적당한 분자량의 중합물을 얻을 수 있다. 예비중합물을 쇄성장시키는 디아민화합물(D)로서는 메틸아미노비스프로필아민, 2,5-디메틸피페라진, 1,2-프로필렌디아민, 2,3-부틸렌디아민, 메타자이렌디아민, 파라자이렌디아민, 2-메틸피페라진, 에틸렌디아민, 에탄올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메틸-2,4-디아민벤젠, 1,2-사이클로헥산디아민, 1,3-사이클로헥산디아민, 1,4-사이클로헥산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파라페닐렌디아민 등의 화합물이 사용되며 이의 사용범위는 예비중합물에 대해 0.5∼0.98몰로써 이 범위를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쇄성장 화합물중 중합물의 점도안정성과 방사후 탄성사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선형의 아민과 환형의 아민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선형의 디아민(D-1)과 환형의 디아민(D-2)의 사용몰비(D-1)/(D-2)는 2∼18의 범위가 적당하며 (D-1)/(D-2)의 몰비가 2보다 적을 경우는 저분자량의 폴리머가 생성되므로 강도, 신도, 탄성회복율등 기계적인 물성의 저하를 초래하면 (D-1)/(D-2)의 몰비가 18을 초과할 경우는 반응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서 부반응물이 다량으로 발생되어 폴리머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내열성도 저하된다.
쇄성장된 예비중합물의 말단을 봉쇄시키는 쇄정지제인 모노아민계 화합물(E)로서는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프로필 아민, 이소프로필 아민, 디이소프로필 아민, 2-에틸헥실 아민, 디(2-에틸엑실)아민, 부틸 아민 등의 화합물이 있는데 상기 쇄성장 디아민 화합물과의 반응성을 고려시 이소프로필 아민이 쇄정지 효과가 우수하여 중합물의 분자량을 적정하게 유지시키며 2차적인 부반응을 억제하여 중합물의 안정성을 부여한다. 이소프로필 아민의 사용량은 전체 아민 사용량의 1∼30%(몰%)가 적당하며, 1%미만에서는 쇄정지 효과가 불량하여 중합물의 점도가 급상승하고 점도의 경시변화도 심하여 점도가 계속 상승함으로서 방사에 부적절하고 30%초과시에는 중합물의 쇄성장을 방해하여 적정 분자량의 중합물로 성장되지 않아서 방사에 적당한 점도를 얻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중합물의 물리적인 물성인 강도, 신도, 탄성회복율이 불량하다.
중합물의 고형분을 조절하므로써 방사성을 좋게 하기 위한 용제로서는 디메틸아세트 아미드, 다메틸포름 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포름 아미드, 디메틸니트로소아민, 디메틸 프로피온 아미드, 메톡시디메틸아세트 아미드,N-메틸피로리딘 디메틸 설폭시드, 테트라메틸렌 설폰 등의 화합물이 있는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가 중합물과의 상용성, 방사성, 용제회수성면에서 유리하다. 용제의 사용량은 중합물의 고형분이 15∼43% 되게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15% 미만 또는 43%을 초과하면 방사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는 내열성 향상을 위해 하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아민 결합을 가진 인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식중, R1,R2,R3,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10인 알킬기 또는 아릴기 이고, R5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벤젠링이다.
아민결합을 가진 인화합물로서는 포스포릴디메틸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페놀디페닐 포스페이트, 2-디에틸아미노에탄올디메틸 포스페이트, 2-에틸프로필 아미노페놀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2-디부틸아미노페놀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가 사용 가능하다.
아민결합을 가진 인하합물의 사용량은 최종 폴리머의 고형분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기는 0.05∼0.5중량%가 좋으며, 0.01중량% 미만의 경우 내열성의 개선을 보장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량의 안정제 첨가로 인하여 방사시 폴리머 물성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지방산 금속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금속성분은 칼슘, 마그네슘, 리튬이고 지방산은 탄소원자수 10∼22의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이루어진 지방산금속염 화합물이며, 가장 좋기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가 좋다. 이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중합체 용액에 기타 첨가제와 함께 투입하여 방사하는 방법과 방사된 실의 유제 피니싱(finishing)과정에 유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된 지방산 금속염은 디메틸아세트아미드용액내에서 고형분 농도가 10∼30중량%가 되도록 조절한 다음 0.1∼1.0마이크로미터 보다 작은 입경이 되도록 갈아서(MILLING) 사용한다. 입자분포도에 있어서 가장 좋기로는 1.0 마이크로 미터보다 큰 입자가 전체입자의 0.1% 미만이고, 0.3마이크로 미터보다 작은 입자가 전체입자의 95%를 초과하여야 한다. 1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가 과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방사시 사절, 연소가스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중합체 용액에 기타 첨가제와 함께 투입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을 기준하여 0.01∼1중량% 더욱 좋기로는 0.1∼0.6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중합체 용액을 통상의 건식방사법을 이용하여 방사후 70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제조후 각종 물성을 측정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 나타난 인장강도, 신도 및 탄성회복율은 KSK 0219에 준하고 내열성은 탄성사를 130℃의 열풍건조기에서 60분간 처리후 강도 유지율 및 색상변화(Gray scale ; ISO international standard)로 평가하였다.
해사장력은 보빈으로부터 분당 12미터의 속도로 사를 해사하기 위해 필요한 사장력으로 정의한다. 통상 해사성은 방사공정으로부터 얻어진 스판덱스 필라멘트의 보빈을 1개월 경과한 시점에서 측정하게 된다. 해사장력은 제1도에 보는 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이하의 수순에 따라 측정한다. 지관(1)에 권취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2)는 피그네일(PIGNAIL) 가이드(3), 장력계롤(4) 및 롤(5)를 통한 후 롤(6)에 권취한다. 장력계 롤에는 스트레인 게이지(7)이 접속되고 측정된 사의 장력이 기록계(8)에 기록된다. 권취한 롤(6)은 분당 12미터의 속도로 구동한다. 사를 이 속도로 보빈에서 해사시킬 때에 사에 걸리는 장력으로 해사성을 평가한다.
보빈의 규격은 지름이 73mm이고 풀보빈이 된 상태의 경우 보빈 표면으로부터 필라멘트는 30mm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보빈에 감겨있는 필라멘트가 보빈 표면으로부터 약 3mm남았을때 부터 측정을 시작하여 4분동안 진행하여 얻어진 해사장력치를 평균하여 나타낸다.
[실시예 1]
1,4-부탄디올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의 축합반응에 의해 합성된 분자량2,000의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 디올 1몰, 분자량이 1,8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몰, N-이소프로필 디에탄올아민 0.1몰을 82℃에서 감압하에 교반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50℃에서 미리 가열된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2몰을 첨가하여 질소가스 분위기하에서 80℃에서 60분간 중합하여 예비중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예비 중합물을 디메틸 아세트아미드에 용해시켜 용액의 온도를 5℃까지 냉각후 쇄성장제로서 선형 아민인 에틸렌 디아민 1몰과 1,2-프로필렌 디아민 0.8몰 및 환형 아민인 메타자이렌 디아민 0.2몰과 1,4-사이클로헥산 디아민 0.1몰을 디메틸 아세트 아미드에 15%농도로 용해시킨 쇄성장제 용액을 예비중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여 점도가 3,200포이즈인 중합물을 얻었다.
이 중합물에 이소프로필 아민 0.2몰을 디메틸 아세트 아미드에 15%농도로 용해시킨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점도가 3,200 포이즈인 종합물을 얻었다. 종합완료후 내열성 향상 첨가제인 포스포릴디메틸에탄올 아민을 디메틸아세트 아미드에 10%의 농도로 용해시킨 용해액을 내열성 첨가제가 최종 폴리머 고형분의 0.2중량%되게 첨가하였고, 동시에 해사성 향상 첨가제로서 선택된 마그네슘 스테아린산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20% 농도로 혼합하여 통상의 볼밀을 이용하여 입경이 1㎛이상인 입자가 전체입자의 0.1%이하이고, 0.3㎛이하인 입자가 전체입자의 95%이상이 되도록 밀링하여 이 용해액을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화합물이 최종 폴리머 고형분의 0.5중량%되도록 첨가하여 최종중합물의 고형분을 30%로 조정하였다. 이때의 점도는 2,800 포이즈(45℃에서)이다. 이 중합물을 통상의 건식방사법을 이용하여 방사후 4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제3급 아미노기를 가지는 N-이소프로필 디에탄올 아민을 사용하지 않고, 동시에 내열성 향상 첨가제인 포스포릴디메틸에탄올 아민을 사용하지 않은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내열성향상 첨가제인 포스포릴디메틸에탄올 아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3]
해사성 향상 첨가제인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4]
내열성 향상첨가제인 포스포릴디메에탄올 아민과 해사성 향상 첨가제인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Claims (5)

  1. 수평균 분자량 1,000∼3,000의 폴리에테르 디올(A-1)과 수평균 분자량 500∼3,000의 폴리카보네이트계 디올(A-2)을 혼합시킨 장쇄 디올(A)과 제3급 아미노기를 최소한 1개 가지는 아미노기 2∼7개, 탄소 3∼12개의 폴리올(B)을 과잉의 유기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과 예비중합하여 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후 쇄성장제인 디아민 화합물(D)을 예비중합물의 0.5∼0.98몰 사용하고 쇄정지제인 모노아민(E)을 전체 아민 사용량의 1∼30몰% 되도록 첨가하여 중합을 완료한 후 상기 중합체 용액에 내열성 향상첨가제를 0.01∼1중량% 첨가하고, 해사성을 향상시키기위한 지방족금속염 화합물을 폴리머 고형분에 대하여 0.01∼1중량%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쇄디올(A)중 폴리에테르 디올(A-1)과 폴리카보네이트 디올(A-2)의 사용몰비가 (A-2)/(A-1) = 0.2∼10 및 장쇄디올(A)과 폴리올(B)의 몰비가 A/B=5∼50, NCO/OH의 몰비가 C/(A+B) = 1.23∼2.7의 범위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내열성향상 첨가제로서 하기 일반식(1)로 표현되는 아민결합을 가진 인화합물을 최종 폴리머 고형분에 대하여 0.01∼1중량% 범위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상기 식중,R1,R2,R3,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10인 알킬기 또는 아릴기 이고, R5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벤젠링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해사성 향상 첨가제로서 탄소원자수 10∼22의 포화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금속염 중 금속성분이 칼슘, 마그네슘, 리튬 중에서 선택되어 이루어진 지방산금속염 화합물을 최종 포리머 고형분을 기준하여 0.01∼1중량% 범위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지방산금속염의 입자분포도를 1.0㎛이상의 입자가 전체입자의 0.1%미만이고, 0.3㎛보다 작은 입자가 전체입자의 95%를 초과하도록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19960005250A 1996-02-29 1996-02-29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015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250A KR0157377B1 (ko) 1996-02-29 1996-02-29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250A KR0157377B1 (ko) 1996-02-29 1996-02-29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104A KR970062104A (ko) 1997-09-12
KR0157377B1 true KR0157377B1 (ko) 1998-12-01

Family

ID=1945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250A KR0157377B1 (ko) 1996-02-29 1996-02-29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765B1 (ko) * 2006-12-28 2013-12-06 주식회사 효성 탄성사의 해사 시에 사절을 방지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765B1 (ko) * 2006-12-28 2013-12-06 주식회사 효성 탄성사의 해사 시에 사절을 방지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104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3647A (en) Fiber from polyether-based spandex
MXPA05013978A (es) Spandex con baja temperatura de termofijacion y materiales para su produccion.
US6780958B2 (en) Spandex compositions
EP0343985A2 (en) Spandex fiber with copolymer soft segment
US5981686A (en) Spandex made with 1,3-diaminopentane
KR0157377B1 (ko) 해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JP3015232B2 (ja) 共重合ポリエーテルをベースとした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JP4343367B2 (ja) 耐熱性に優れた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
KR0131833B1 (ko)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JP3826375B2 (ja) ポリウレタン糸およびその製法
KR100200425B1 (ko)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0200424B1 (ko)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US5288779A (en) Polyurethaneurea solutions and spandex therefrom
KR0139357B1 (ko)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0580418B1 (ko) 1,3-디아미노펜탄을 사슬 연장제로서 사용하여 제조한스판덱스-섬유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KR19980068287A (ko) 고분자량 에폭시 수지의 제조방법
KR0150690B1 (ko) 산화방지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940011541B1 (ko) 염색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제조방법
JP4600798B2 (ja) サニタリー用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58266B2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0799B2 (ja) サニタリー用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45400B1 (ko) 염색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0168733B1 (ko)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970010728B1 (ko) 점도안정성과 탄성회복력이 우수한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JP2004332126A (ja) エーテル変性シリコーンを含有する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