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003B1 -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 램프 - Google Patents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 램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003B1
KR0156003B1 KR1019910004121A KR910004121A KR0156003B1 KR 0156003 B1 KR0156003 B1 KR 0156003B1 KR 1019910004121 A KR1019910004121 A KR 1019910004121A KR 910004121 A KR910004121 A KR 910004121A KR 0156003 B1 KR0156003 B1 KR 015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bulb
incandescent lamp
halogen incand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트 슈타르크
카알 슈타틀러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피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그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피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그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18Mountings or supports for the incandescent body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필라멘트(6)의 두개 발광각부(8)가 서로 닿지 않도록, 횡으로 필라멘트(6)의 평면에 연장되고 전구(2)의 재료로부터 변형된 적어도 하나의 유리튜브(24)가 U 형으로 구부러진 필라멘트 각부(8)를 갖는 싱글엔드의 할로겐 백열 램프(1)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제1a도는 고전압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의 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램프의 측면도.
제1c도는 제1a도의 램프의 단면도.
제2a도는 또다른 고전압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 실시예의 정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측면도.
제3a도는 고전압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의 제 3 실시예의 정면도.
제3b도는 제 3a도의 평면도.
제4도는 외부전구를 갖는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 2 : 원통형 전구
3 : 도옴(dome) 4 : 가스펌핑팁
5 : 핀치밀봉 6 : 필라멘트
7 : 필라멘트의 베이스부분 8 : 발광각부
9 : 프레임 10,11 : 각부
13 : 크로스피스 15 : 후크
16 : 루트(root) 17 : 후크의 팁
18 : 자유단(free end) 19 : 리드연장선
20 : 밀봉포일 21 : 접촉핀
22 : 분리벽
본 발명은 램프축을 정하는 투명재료의 용접밀봉된 전구, 할로겐화물 첨가제를 갖는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충전제, 램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두 개의 발광 아암을 가지며 핀치밀봉에서 떨어진 전구의 단부에 인접하여 접속된 필라멘트, 필라멘트에 접속된 전류공급 리드 시스템, 핀치밀봉에서 떨어진 전구의 단부에 인접하여 필라멘트를 알맞게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가지며, 회로전원으로 동작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런 형태의 할로겐 램프는 유럽 특허출원 제 0 173 995 호에 기술되어 있다.
회로전원에 직접 사용되도록 설계될 때, 이런 형태의 램프는 비교적 높은 저항을 갖는 필라멘트를 요구하기 때문에 길이도 충분해야 한다. 이러한 길이를 얻기 위하여 필라멘트는 두 개의 발광아암으로 굽혀져 필라멘트의 일반형은 대략 역 V형 또는 역 U형이다. 작동에 있어서, 상기 유럽 특허출원의 설계의 개념은 두 개의 실질적 이익을 갖는다. 램프튼 충격과 진동에 매우 민감하다. 램프가 빛을 내는 동안 충격을 받는다면, 필라멘트의 두 개의 아암이 서로 닿을 수 있고, 그곳을 통해 계속해서 흐르는 전류를 가지는 필라멘트 부분은 과부하로 인하여 탈 수 있다. 이는 필라멘트의 길이의 일부(보통, 절반)에만 회로 과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이다.
램프가 수평위치에서 작동된다면, 열에 의한 처짐(약 10%의 처짐) 때문에 필라멘트는 전구벽의 내부에 닿을 수 있는데, 이는 아암의 자유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이다. 이것은 램프의 전구를 검게 만들거나 불투명하게 만들고, 램프의 수명을 줄인다.
독일연방공화국 실용신안 제 19 52 467 호는 특히 사진용에 적합한 할로겐 백열램프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U형 필라멘트용 홀더를 가지고 있으며, 저기부에서 떨어진 단부에서 그안에 용융된 필라멘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크를 가진 유리막대 또는 유리튜브에 의하여 형성된다. 전문가가 알 수 있는 것처럼, 필라멘트 자체는 짧기 때문에 충격 또는 진동때에 서로에 대한 필라멘트 부분의 결합 위험은 존재하지 않는다. 유리튜브 또는 유리막대가 핀치밀봉전에 전구내로 삽입되고, 위치가 정해져 그 부분이 핀치밀봉내에 있게 되고, 필라멘트로부터 각각의 공급리드에 결합된다. 얼핏보면, 그러한 구조는 일반용 할로겐 백열램프에 적당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발광용의 할로겐 백열램프에 놓여진 요건들은 사진램프의 것과 실질적으로 다르고, 특히 수명과 정격 전력에 대하여 다르다. 사진램프에 있어서, 필라멘트의 안정성은 보통 더 큰 필라멘트 와이어의 직경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할로겐 백열램프내에 있는 우리막대 또는 유리튜브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의 요구된 수명동안 검게 되는 경향을 갖는데, 이는 약 2000시간 정도일 때 생긴다. 더욱이, 높은 온도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될 때 막대 또는 튜브가 불투명하게 된다. 검게 되거나 불투명하게 되는 것은 간접적으로 램프고장을 앞당긴다. 약 50시간의 수명을 갖는 사진램프에서, 이러한 효과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긴 수명을 가지며, 쉽고 저렴하게 제조되고, 충격과 진동에 매우 민감하지 않은 싱글엔드형 할로겐 사이클 백열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구재료로부터 변형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수단이 필라멘트의 발광아암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막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의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놀랍게도 종래기술과 달리, 전구재료 그 자체로 만들어지는 리브 또는 튜브는 훨신 더 큰 온도저항을 갖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이유는 이 기술이 외부로부터 부가적 냉각이 제공된다는 것인데, 이는 전구재료로 만들어진 유리리브의 악화를 막는다.
가장 간단한 것에서, 유리리브는 램프축에서 간단한 분리수단, 예를 들어 분리벽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냉각은 특히 효율이 적은데, 이는 분리벽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리브를 램프축에 가로지르는 속이 빈 엘리멘트의 형태로 만드는 것은 개선된 냉각의 잇점을 갖는데, 이는 열전도 표면이 열을 리브에 가하는 필라멘트 부분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싱글엔드형 램프가 수평으로 놓여진다면, 바람직하게 이것은 필라멘트의 각부를 통과하는 평면이 수직이라기 보다는 수평으로 정해진다. 예를 들어 길이가 약 10㎜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은 발광 백열아암을 갖는 램프는 그 권선내에서 자기안정(self-stabilizing)될 수 있다. 그러한 필라멘트는 보통, 예를 들어 110V 회로의 램프와 함께 사용된다.
회로전압이 220V이고, 필라멘트의 아암이, 예를 들어 약 15㎜ 정도로 더 길어진다면,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관형리브가 사용되는데, 이는 각각의 백열 아암을 알맞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이리하여 잘 알려진 중간고정 또는 지지기능을 떠맡는다. 즉, 각 필라멘트 각부에 있어서, 필라멘트의 각 부분에 대해 상기 하나의 리브가 적당하다.
그 이상의 수단에 의해서 검게 만드는 문제가 제거될 수 있다. 필라멘트의 발광 이중코일 아암은 한 그룹의(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발광의 백열 부분 사이에서 다시 나뉘어진다. 비발광부분 또는 오히려 밝게 발광하지 않는 부분은 필라멘트의 연결구역을 형성시킨다. 필리멘트의 연결구역은 필라멘트의 발광 이중코일 부분보다 적은 전력밀도를 갖는다. 횡리브에서 필라멘트 연결구역의 핀치밀봉에 의해서, 필라멘트와 유리의 밀접한 접촉이 생겨 전구의 표면으로의 우수한 열전도를 돕는다. 따라서, 횡리브상의 온도부하는 실제적으로 더 낮고, 유리리브를 검게 하고 불투명하게 하는 것이 예방된다.
관형리브는 충전제에서 할로겐 사이클이 악화되지 않는다는 잇점을 갖는다.
전형적인 관형리브는 깔대기 모양으로 전구의 외부쪽으로 확장된다. 램프의 축에 가까운 좁은 튜브로부터 그 이상의 외부확장까지의 이러한 점차적인 확장은 전구의 벽으로의 변환영역에서 얇은 점 또는 장소의 형성을 막는데, 이는 분쇄 또는 폭발에 저항하도록 전구의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벽두께는 본질적으로 균일하게 남는다. 램프의 제조에서, 바람직하게 구획은 충전제가 램프에 충전되기 전에, 그리고 전구가 핀치밀봉된 후에 형성된다. 그리고나서 전구는 버너에 의해서 장래 리브의 영역에서 가열되고, 부드럽게 된 전구부분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는 펀치에 의하여 변형된다. 특히, 크로스 피스가 없는 램프가 사용될 때, 이 기술은 일단 변형된 리브에 의하여 알맞은 위치에 정해진 후에 필라멘트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는 실제적인 잇점을 갖는다. 리브는 두 개의 유리의 핑거(fingers of galss)를 형성시킴으로써 쉽게 만들어지고, 두 개의 막대형 펀치에 의해서 전구의 벽으로부터 눌러지는데, 이 명세서에서 유리의 핑거는 여기에서 리브라고 말해진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유리의 핑거는 램프의 축에 형성된 플러그로 서로에 닿는다. 분리벽은 입구(jaw)를 몰드핀칭(mold pinching)시키고, 가열하고, 마운트(mount)의 핀치밀봉 동안에 몰드핀칭 입구로 가스를 불어 넣음으로써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특히 충격과 진동에 큰 저항력이 있고, 적은 수의 부품(수정 브릿지를 사용하지 않고)의 간단한 구조에 적합한 일반 할로겐 백열조명을 위한 장시간(2000시간)의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에 알맞다. 종래기술의 램프에 비해 램프의 길이는 약 7㎜정도 감소되고, 튜브의 직경은 약 2-4㎜정도 감소되어, 보다 작은 전구체적에 의하여 충전량이 감소될 수 있다.
램프는 특히 80V 내지 250V 사이의 영역에서 회로전압에 직접 접속에 적합하다. 전형적인 전력 정격은 15W 내지 500W이다. 일반 할로겐 백열조명에 있어서, 램프는 외부전구에 의하여 둘러싸여 질 수 있다. 전구는 콤팩트하기 때문에, 전구는 또한 예를 들어, PAR 램프에서 리플렉터, 이 색성 리플렉터(dichroic reflector)등을 갖는 램프에 적합하고, 요구된대로 나사 또는 핀 베이스(pin base)로 기초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할로겐 백열램프용 필라멘트는 역 U형으로 굽혀져 있으나, 역 V형 필라멘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여러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 1a도 내지 제 1c도는 220V 전원에 직접 접속하기에 적합한 75W 정격 전력을 갖는 일반적 할로겐, 백열조명을 위한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1)을 도시한다. 램프는 약 12.5㎜의 외부직경, 10.5㎜(0.8m의 오차로)의 내부직경 및 약 35㎜의 전체적 길이를 갖는 수정유리의 본질적 원통형 전구(2)를 가진다. 전구(2)의 한 단부는 보통의 가스펌핑팁(4)을 갖는 도옴(dome)(3)이 있다. 핀치밀봉(5)은 전구를 폐쇄시킨다. 전구는 1.65㎤의 체적을 가지며, 0.005% CBrCIF2 의 할로겐화물 첨가제와 함께 80% 크립톤 및 20% 질소의 표준 불활성 가스의 혼합물로 충전되어 있다.
필라멘트(6)는 이중코일 필라멘트이고, 본질적으로 전구의 전 내부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필라멘트의 베이스부분(7)은 U 형태로 굽어져 있으며, 램프의 축에 횡으로 연장되고, 램프의 도옴(3)에 인접하여 있다. 필라멘트의 두 개의 각부(8)는 백열 또는 발광부분을 형성한다. 이것은 길이가 약 15㎜이다. 각부(8)는 핀치밀봉(5)쪽으로 약간 갈라져 나온다. 필라멘트(6)는 지지프레임(9)에 의하여 고정된다. 프레임(9)은 평면으로 굽혀지는데, 이는 또한 램프의 축을 포함하여, 크로스피스(13)가 두 개의 각부(10,11) 사이에 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는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전구의 내벽(12)에 대하여 마주보게 놓여져 있다.
크로스피스(13)는 전구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있다. 프레임의 두 개의 각부(10,11)는 길이가 길지 않다. 제 1 각부(10)는 제 2 각부(11)보다 길다. 예를 들어, 각부(10)는 약 21㎜의 길이를 갖는데 반해 각부(11)는 오직 길이가 약 8㎜이다. 각부(10)는 핀치밀봉(5)으로 약 0.8㎜ 깊이로 연장되고, 그 안에 묻혀 있다. 간단히 말해, 도옴(3) 아래에 곧은 각부(10)는 크로스피스(13)를 형성하도록 굽어져 있다. 크로스피스(13)는 완만한 기복을 가지며, 정면을 바라보고, 루트부분(16)과 함께 3개의 위로 향한 활모양이며, 만곡형의 영역(14,15)을 형성하는데, 이는 그 사이에 필라멘트(6)를 지지한다. 제 1 및 제 3 부분(14)은 본질적으로 반원형태로 굽혀진다. 중간 범프(bump)는 후크(15)를 형성하기 위하여 날카롭게 굽혀진다. 후크는 축방향으로 프레임의 평면에 대하여 약간 오프세트된다. 후크의 팁(17)은 전구의 도옴(13) 아래에서 끝낸다. 필라멘트의 베이스부분(7)은 후크내로 채워져 베이스부분(7)의 단부가 루트(16)와 맞물려져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분(7)의 영역은 후크(15)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정면도에서, 크로스피스는 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제 3의 범프(14)는 제 2의 각부(11)와 병합되고, 제 2의 각부의 자유단(free end, 18)은 커트 에지로 남겨져서, 계속하여 커팅버(cutting burr)를 갖는다.
프레임은 스프링 장력에 의하여 전구에 보존된다. 전구에 설치되기 전에 두 개의 필수적 반원형 영역(14)은 외부로 연장된다. 필라멘트(6)의 두 개 발광각부(8)는 리드연장선(19)에 접속되는데, 이는 짧고, 예를 들어 단선코일이며, 적당한 밀봉코일(20)에 용접되어 있다. 필라멘트(6)는 프레임 및 핀치밀봉에서 연결리드(19)의 보존력에 의하여 장력을 받거나 뻗쳐 있다. 현재의 지지리드(19)는, 예를 들어 약 6㎜의 길이를 가지며, 예를 들어 전구 속으로 1-2㎜의 짧은 거리정도 연장된다. 이것은 코어핀 등의 제거를 허용하는데, 이는 필라멘트의 안정에 사용된다. 접촉핀 또는 연결(21)은 잘 알려진대로 밀봉포일(20)에 용접되고 핀치밀봉(5)의 외부로 연장된다.
분리벽(22)은 필라멘트 및 핀치밀봉(5)의 부분(7) 사이에 램프의 축을 따라 두 개의 필라멘트 각부(8)의 길이만큰 길이방향으로 전구속으로 연장된다. 전구의 원통형 벽(2)과 분리벽(22) 사이의 변화는 전구의 필수적으로 균질한 벽두께에 대비하기 위하여 외부로 부풀어 오른 영역(23)에 의하여 형성된다. 분리벽(22)은 약 1㎜의 폭, 약 1㎜의 두께 및 약 10㎜의 축 길이를 갖는다.
제 2a도 및 제 2b도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필라멘트의 각부 사이의 분리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으로서 형성되는 것보다는 오히려 두 개의 깔대기형 유리튜브(24)에 의하여 형성되어, 전구(2)의 중심에서 램프의 축 쪽으로 전구벽(2)의 원주로부터 연장된다. 유리튜브(24)는 축 근방에서 약 1.2㎜의 내부직경을 가지며, 깔대기(25)의 형태로 전구의 벽을 향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축에 가까운 직경에 대한 직경의 2배 내지 4배 사이로 확장된다. 플러그(26)는 튜브(24)의 단부에 남겨질 수 있다. 필라멘트(6')는 역 U형으로 굽혀진다. 두 개의 발광 각부(8)는 단선코일의 연결부분(27)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두 개의 이중 코일 부분(8a,8b)으로 분리된다. 베이스부분(7')는 단선코일이거나 이중코일로 되어 있다. 연결부분(27)은 대략 길이가 약 5㎜인 발광부분(8a,8b)중 하나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는다. 이것은 약 1.5㎜ 정도 유리리브(24)로부터 떨어져 있고, 충격이나 진동하에서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작용 및 필라멘트의 처짐때에 두 개의 각부(8)가 서로 닿을 때만 유리리브에 닿을 수 있다. 이리하여 그 부분에서 유리가 검게 되는 것에 대한 문제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다.
제 2b도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에서, 램프의 구조는 제 2 실시예의 것에 대응된다. 단일의 중앙 유리리브를 갖는 대신에, 두 개의 유리리브(24')가 제공되는데, 이는 대략 각부(8')의 발광부분(8a,8b) 사이의 연결부분(27)의 레벨에서 횡으로 램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속이 빈 관형의 유리리브(24')는 엔드플러그(26')의 필리멘트부분(27)의 영역에서 끝난다. 필라멘트의 연결부분(27)이 유리리브(24') 사이에서 핀치밀봉되거나 핀치보존되어 두 개의 발광 각부(8')가 알맞게 고정되고, 필라멘트 아암의 자유길이는 필라멘트(6)의 길이에 대하여 반쯤 감소된다. 따라서, 리브는 잘 알려진 필라멘트 지지의 기능을 갖는다. 두 개의 절반에 의하여 형성된 리브(24') 사이의 접합(32)이 엔드플러그(26')의 영역에서 보여질 수 있다.
필라멘트 각각 하나에 대한 두 개의 분리된 내부 연장리브를 사용하는 대신에, 각각의 폭을 갖는 핀치밀봉 및 타원형의 단명의 단일리브는 필라멘트 각부의 보존을 의하여 전구의 레벨의 약 절반에 사용되어 상단 및 하단 램프 사이에 작은 연결덕트(duct)만이 절반 남는다.
특히 긴 발광 각부를 갖는 램프에 사용되는 또다른 실시예에서, 램프축(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까지 횡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유리튜브 대신에, 램프축 서로위에 위치되고 램프축까지 횡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유리튜브가 사용된다. 발광 각부는 각각 3개의 부분으로 불활되는데, 이는 유리튜브의 레벨에서 연결 부분에 의하여 떨어져 있다.
제 3 실시예와 비슷하게, 또다른 실시예는 4개의 유리튜브를 사용한다. 두 개의 튜브는 발광 각부를 따라 연결부분 위의 레벨에 각각 정해진다. 발광 각부는 각각 3개의 발광부분을 갖도록 세분된다.
또다른 실시예(제 4도)에서, 상기에 기술된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1)는 외부전구(30)에 설치된다. 이엽핀(bipartitie pin)일 수 있는 단자핀(21)은 마운트(28), 예를 들어 플레어 마운트에서 핀치밀봉되는데, 이는 차례로 진공된 외부전구(30)의 목부(29)에 녹아들어간다. 외부전구는 버섯모양의, 또는 예를 들어 창모양의 구성을 가지며, 나사 베이스(31)를 갖는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110V 전원으로 작동되는 할로겐 백열램프에 알맞다. 두 개의 필라멘트 아암은 아직 세분될 수 있다. 충전제는 다른 공지된 부품으로 구성되어, 예를 들면 CH2Br2가 할로겐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W의 저전력 램프에 있어서, 견고한 유리는 전구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필라멘트는 핀치밀봉에서 용융된 공지의 고체성 전류 공급 와이어를 통하여 외부단자핀에 접속된다. 경화 유리중의 유리내에 응력에 대한 임계온도가 약 600℃ 임에 따라, 필라멘트가 유리와 접촉되는 영역에서 필라멘트를 단락시키는 코어 와이어의 사용과 같은 부가적 냉각조치가 추천된다. 제 2a도에 기술된 분리리브(24)는 전구가 경화 유리로 만들어 진다면 적어도 3㎜ 정도 필라멘트에서 떨어져야 한다.
15W 정도의 저소비 전력을 갖는 전력회로에 직접 접속시키기 위해 램프가 경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반 할로겐, 조명용으로 특히 관심이 높다.
마지막으로, 제 3 실시예와 비슷한 구조에서, 필라멘트는 오직 하나의 곧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축에 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리 튜브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발광 필라멘트부분 사이의 하나 또는 그 시앙의 연결부분에서 적당히 필라멘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런 종류의 구조는 긴 필라멘트를 갖는 싱글엔드형 램프 또는 관형라인 할로겐 싸이클 백열램프에 적당하다. 이는 특히 경화 유리의 전구를 가진 100W 전력 정격의 램프에 적당하다.
유리리브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필라멘트 축의 방향으로 정렬된 세로 축으로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 필라멘트 아암의 길이는, 전형적으로 10-15㎜ 사이이다.
도면에서 기술된 프레임 구조는 유리리브를 사용하지 않은 백열램프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프레임구조가 유럽 특허 제 0 173 995 호에 기술된 것보다 실직적으로 잇점을 갖는다. 프레임구조만의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U형으로 굽어진 더 짧은 필라멘트로 잇점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이전의 프레임구조는 다음의 결함을 갖는다.
프레임의 각부가 거의 길이가 같다면, 이는 지그(jig)에 있는 램프에 삽입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기울어지기 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이것은 핀치밀봉을 방해하며, 특히 이 특허출원에서 기술된대로 핀치밀봉에서 굽어진 종단부분은 핀치밀봉을 어렵게 하는데, 이는 각부가 외부로 뻗치려는 경향을 갖기 때문이다. 핀치밀봉 동안에 유리는 가열되어 연화되며, 프레임 각부의 스프링 장력은 연화 유리가 외부로 벗어나게 하려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핀치밀봉의 제조시에 높은 불량률을 일으키거나 램프가스의 빽빽함을 방해하는 균열의 형성을 일으킨다.
이외에, 필라멘트에 이어 붙이는 것이 어렵다. 이어 붙이는 작업은 자동적으로 실행되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배기 스텁내의 필라멘트의 상단부분의 지지는 실질적으로 충전가스의 펌핑, 플러슁(flushing), 및 도입을 방해한다. 더구나, 필라멘트는 베이스부분의 영역에서 풀린 연결부분을 요구하며, 지지 와이어내의 루프를 통하여 이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 특허공보에서 기술된 램프의 구조는 V로 구부러진 엘리먼트의 사용만을 허용하는데, 이는 V 각부의 집중 단부에서 단락회로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을 사용하는 할로겐 램프는 신뢰성 있게 밀봉된 전구를 가지는 동안 쉽고 저렵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핀치밀봉속으로 녹아들어가지 않는 각부의 길이가 쉽게 램프전구의 길이와 매칭될 수 있는 잇점을 갖고 있어 하나의 단일 프레임이 여러 형태의 전구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는 완전히 자동화될 수 있으며, 램프의 내부구조는 실제로 간단화 될 수 있다. 더 짧은 각부에 커팅버(cutting burr)를 남김으로써 전구내로의 도입시에 와이어 프레임의 자기고정이 얻어진다. 따라서, 고정 와이어 다음 백열 필라멘트의 위치가 정확히 결정되어, 프레임 다음 필라멘트가 기울어질 수 없다. 필라멘트는 장력조건에서 유지되고, 필요하다면 재장력을 받을 수 있다. 짧은 쪽의 각부는 기껏해야 긴 쪽 각부 길이의 절반이다. 놀랍게도, 비대칭적인 각부의 구조는 기울어지거나 기울때의 어려움을 제거하고 프레임으로 비틀림이나 기울어짐을 도입시키지 않는데, 이는 순수하게 이론적인 생각으로부터 기대될 수 있다. 실제에서는 약 3:1의 두 각부의 길이 관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프레임의 기울어짐은 짧은 쪽 각부의 길이가 실제로 감소될 때 일어날 수 있다. 각부는 곧고, 그 길이을 통하여 전구의 내벽을 속박시킨다. 더욱이, 이 구조는 핀치밀봉상에 어느 장력부하를 놓지 않는데, 이는 남아 있는 외부로 향해진 스프링력이 좀처럼 그에 대하여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프레임의 탄력에 의한 대부분의 스프링력은 전구의 전체 내벽을 따라 힘을 분배하여 실제적으로 램프의 빽빽함을 증가시킴으로써 수명을 증가시킨다. 짧아진 각부는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광의 그늘이 감소되는 부가적 잇점을 갖는다.
중앙 후크에 의하여 결정되는 후크형 구조는 필라멘트를 프레임으로 채워 간단히 하여 이어 붙이는 작업을 제거시키고, 그리하여 필라멘트 배치구조나 프레임이 쉽게 자동화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후크의 팁은 전구의 도옴(dome)에 대하여 결합되는데, 이는 필라멘트의 정확한 위치 정함 및 삽입 깊이를 제어하는 접촉부 정지(abutment stop)를 쉽게 결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중앙 돌출부의 루트 사이에 있는 필라멘트 부분의 단락은 신중하게 허용되어 필라멘트의 두 개의 높은 백열부분이 떨어져 퍼지고, V형의 필라멘트 배열에서보다 훨씬 더 떨어져서 마주보는 각부 사시의 단락 위험, 그리하여 필라멘트의 수명 감소 또는 즉각적으로 타버리는 것이 피해질 수 있다.

Claims (11)

  1. - 램프축을 정하는 투명재료의 용접 밀봉된 전구(2),
    -할로겐화물 첨가제를 갖는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충전제,
    -램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두 개의 발광 아암을 가지며 핀치밀봉에서 떨어진 전구의 단부에 인접하여 접속된 필라멘트(6),
    -필라멘트(6)에 접속된 전류공급 리드 시스템,
    -핀치밀봉에서 떨어진 전구의 단부에 인접하여 필라멘트(6)를 알맞게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9)을 가지며, 회로전원으로 동작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1)에 있어서, 전구재료로부터 변형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수단(22,24,24')은 필라멘트의 발광아암(8,8')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막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6)가 U형 또는 V형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3.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 아암(8')은 밝게 빛나지 않는 연결부분(27)에 의하여 떨어진 적어도 두 개의 부분(8a,8b)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수단이 필라멘트의 두 개 아암 사이에 분리수단으로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형 리브수단(24')은 필라멘트의 두 개의 아암(8')의 레벨에서 횡으로 램프축에 연장되고, 상기 아암을 맞물리게 하여 직접적 지지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리브수단(24')은 필라멘트의 연결부분(27)을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관형 리브수단(24')은 플러그(26')에 의해 그 중간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9)은 수정의 안정 크로스피스 없이 필라멘트(6)를 알맞는 위치에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9. 제4항에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튜브(24,24')는 깔대기처럼 전구벽을 향하여 밖으로 돌출하여 관형 돌출부의 최소직경의 약 2배 내지 4배 사이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램프가 외부전구(30) 또는 리플렉터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11. 제4항 또는 제5항의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관형 리브수단은 전구에 필라멘트가 삽입되고 전구의 핀치밀봉이 된 후, 두 개의 마주보게 놓여진 버너로 램프전구를 가열시키고 전구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두 개의 막대형 펀치 엘리먼트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열된 연화 전구벽부분을 변경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10004121A 1990-03-15 1991-03-15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 램프 KR0156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0083373 1990-03-15
DE40083349 1990-03-15
DE19904008334 DE4008334A1 (de) 1990-03-15 1990-03-15 Einseitig gequetschte halogengluehlam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6003B1 true KR0156003B1 (ko) 1998-11-16

Family

ID=640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121A KR0156003B1 (ko) 1990-03-15 1991-03-15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56003B1 (ko)
DE (1) DE400833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97A3 (ko) * 2008-07-23 201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KR100989261B1 (ko) * 2008-07-24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KR100989202B1 (ko) * 2008-07-23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램프
KR101014469B1 (ko) * 2008-07-24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KR101048562B1 (ko) * 2008-07-24 2011-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9928A1 (de) * 1997-03-11 1998-09-1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alogenglühlampe und Fass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97A3 (ko) * 2008-07-23 201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KR100989202B1 (ko) * 2008-07-23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램프
US8796910B2 (en) 2008-07-23 2014-08-05 Lg Electronics, Inc. Halogen lamp comprising bulb and structure to prevent filament parts from contracting each other
KR100989261B1 (ko) * 2008-07-24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KR101014469B1 (ko) * 2008-07-24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KR101048562B1 (ko) * 2008-07-24 2011-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08334A1 (de) 199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134A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particularly for operation from power network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KR0156004B1 (ko)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US3441772A (en) Filament mount structure for electric lamps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20048299A (ko) 고압 가스 방전 램프, 그 제조 방법 및 조명 장치
US4823049A (en) Vehicle lamp having a molded lamp cap with integral current-supply conductors and dipping cap
JPH1040879A (ja) ハロゲン電球
KR0156003B1 (ko)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 램프
US3445713A (en) Halogen cycle incandescent lamp
US4918356A (en) Electric incand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3441774A (en) Halogen-cycle incandescent lamp with planar filament
EP0484116B1 (en) Metal halide lamp
KR101160595B1 (ko) 고압 가스 방전 램프
US5367220A (en) Electric lamp with a holding frame for a lamp filament
JP2000030664A (ja) 蛍光ランプ、この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蛍光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KR0156257B1 (ko)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JP2593588B2 (ja) 片側を封着したハロゲンランプ
KR20000062901A (ko) 장수명 금속 할라이드 램프
US6774563B2 (en) Support for a lamp capsule and end-of-life device, lamp including such capsule, and method of coupling lamp capsule and end-of-life device to such support
KR20010023487A (ko) 고압 기체 방전 램프
US3968396A (en) Self ballasted lamp including a fuseable device
KR20010023389A (ko) 고압 가스 방전 램프
US3483609A (en) Incandescent lamp manufacture
KR102317224B1 (ko) 전구 스템
US6667573B2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JPH07192696A (ja) 管球、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