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257B1 -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 Google Patents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257B1
KR0156257B1 KR1019910004122A KR910004122A KR0156257B1 KR 0156257 B1 KR0156257 B1 KR 0156257B1 KR 1019910004122 A KR1019910004122 A KR 1019910004122A KR 910004122 A KR910004122 A KR 910004122A KR 0156257 B1 KR0156257 B1 KR 015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lamp
filament
halogen incandescent
incand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알 슈타틀러
롤란트 슈타르크
미하엘 브링크호프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그뤼람펜 엠 베 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그뤼람펜 엠 베 하 filed Critical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18Mountings or supports for the incandescent body
    • H01K1/24Mounts for lamps with connections at opposite ends, e.g. for tubular lamp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관형 할로겐 백열램프(1)에 나선형 또는 고리형의 종래 필라멘트 홀더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유리 리브수단(9)이 제공되고, 관형 할로겐 백열램프(1)가 유리전구(2)의 재료로부터 변형된다. 필라멘트(6)는 리브 절반 사이에 핀치 유지된다

Description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제1a도 및 제1b도는 서로에 대하여 90° 회전된 관형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의 제1실시예의 두 측면도.
제2도 내지 제7도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더블엔드의 할로겐 백열램프 2 : 세장형 원통전구
3 : 배기 및 충전팁 4,5 : 핀치 밀봉
6 : 필라멘트 7 : 단선코일의 종단부분
8 : 세라믹 베이스 9a, 9b : 크로스 리브
10' : 이중코일 부분 11 : 솔리드 플러그
본 발명은 램프축을 정하는 투명재료의 용접 밀봉된 관형전구, 로겐화물 첨가제를 갖는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충전제, 두 개의 단부를 갖는 축정렬의 필라멘트, 필라멘트의 두 단부에 접속된 전류공급 리드 시스템을 가지며, 회로전압 공급으로 동작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런 형태의 할로겐 램프는 독일 연방공화국 실용신안 제 83 25 715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는 확장된 축방향 광방출 필라멘트를 갖고 있다. 이 램프가 수평으로 작동된다면, 그 길이로 인해 필라멘트는 완전히 휘어 확장된 관형전구의 내벽에 닿는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나선형 또는 고리형 필라멘트 지지 와이어가 제공되어 전구의 내벽에 맞물리고 필라멘트를 지지하여 그 길이를 조정한다. 전구벽은 필라멘트용 와이어 홀더를 유지하도록 작은 홈으로 형성된다. 필라멘트 고정 와이어 나선과 그러한 관형 전구의 조립체는 복잡하고 비싸며, 특히 나선이 고정돌기에 채워질때 선택된 위치에서 외부 전구를 누름으로써 내부적으로 형성된다. 표준 관형램프에 있어서, 약 4개의 홀더가 요구되는데, 이는 재료 및 조립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홀더를 가진 필라멘트의 제조는 복잡하고 비싸다.
예를 들어 변형과 같은 필라멘트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필라멘트는 서로 분리되어야 하고, 그리고 나서 홀더 고리가 그에 사용되어야 하고, 따로따로 취급하여 조립되어야 한다. 이리하여, 램프의 다른 제조는 비경제적이며, 쉽게 자동화될 수 없다.
본 발명은 긴 수명을 가지며, 쉽고 저렴하게 만들어지며, 특히 자동기계에서 제조될 수 있는 더블엔드형 할로겐 싸이클 백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라멘트가 적어도 하나의 리브수단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알맞는 위치에 고정되며, 전구의 재료로부터 변형되고 전구의 벽의 두 개의 일정한 간격을 둔 영역 사이에 연장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를 이하의 청구항에서 볼 수 있다.
관형램프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홀더의 모양을 좀더 단순화하고, 자동기계의 사용에 맞도록 시도되야 한다. 매우 광범위한 기술의 상태는 수많은 노력이 이 기술분야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결정적 돌파구를 제공한다. 단순히 홀더의 모양을 변경시키는 대신에, 홀더를 모두 필요없게하는 것이다. 그것들이 가진 기능은 이제 전구벽의 재료로부터 만들어진 유리 리브(grass rib)에 인계된다.
놀랍게도, 전구재료 그 자체로 형성된 유리의 리브 또는 튜브는 큰 온도 저항을 갖는다. 이에 대한 이유는 본 기술이 전구재료로 만들어진 유리 리브의 변형을 막는, 외부로의 열전도 및 외부로부터의 추가적인 냉각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리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예를 들어, 고체 막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만들기가 어렵고 리브냉각 관점에서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리브는 속이 비어 있다. 이것은 열전도 표면이 증가되기 때문에 냉각을 개선시킨다.
기본적으로, 리브의 지지효과에 대한 두 개의 방법이 가능하다. 첫 번째 방법은, 예를 들어, 유리 리브 상으로 실처럼 늘어져 있는 제2의 필라멘트코일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의 제2감김의 피치는 리브의 영역 내에서 선택되고 높게 되어 리브의 외경과 매칭된다. 바람직하게, 필라멘트는 유리 리브의 영역에서 코어 핀(core pin)에 의하여 단락되어 온도가 실제로 낮아지게 된다.
두 번째 방법에서, 관형 리브는 필라멘트의 일부가 리브의 절반 사이에서 핀치가 유지되는 위치에 필라멘트를 고정시킨다. 그러한 밀접한 접속에서, 열은 특히 필라멘트의 위치로부터 잘 전도되어, 전구가 검게 되는 것을 막고 유리 리브의 불투명화를 막는다. 필라멘트의 핀치가 유지된 필라멘트 부분은 백열광을 내거나 발광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밝게 조명되지 않는다. 수정유리가 사용될 때, 임계 온도는 약 800° ∼ 900℃이고, 경화 유리가 사용되면, 유리 리브의 온도가 60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주로, 저전력 정격의 램프, 예를 들어 75W까지의 램프로, 필라멘트는 단일코일이거나 또는 이중코일 일수 있는 연속적으로 감겨진 필라멘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는 관형리브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적당히 보유될 수 있다. 더 높은 전력 정격의 램프, 예를 들어, 75W이상의 램프로, 유리 리브 사이에 보유된 필라멘트 부분은, 바람직하게, 백열 또는 발광의 감긴 코일 부분 사이의 단일코일 또는 풀린 비발광(또는, 오히려, 밝게 조명되지 않는)연결구역이다. 200W이상의 전력 정격을 갖는 높은 정격 전력의 램프가 사용될 때 단일코일 부분 사이에 코일이 감겨지지 않은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믿을만한 선택은 단일코일의 연결부에서 짧은 코어핀의 사용이다.
당업자는 즉시 알겠지만, 비발광 연결부는 발광부분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된 전력밀도와 온도부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가 연결부의 알맞는 위치에서 보존된다. 열부하의 문제의 우수한 해결은 별도로 하고, 전기 및 광도 측정 값의 분포가 낮은 레벨로 유지된다.
이 기술은 필라멘트에 극히 단순화된 지지를 제공하고 만들기가 매우 쉽다. 게다가, 유리 리브의 직경은 램프전구 내의 할로겐 싸이클이 매우 약화 될 정도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리 리브의 직경은 알맞는 위치에서 보존될 영역에서 필라멘트의 외경보다 적어도 30% 더 크다.
램프가 수평위치에서 작동된다면, 알맞는 위치에 개개의 필라멘트부를 고정시켜 종래의 고정 또는 지지 기능을 인계하는 여러 관형 횡축 리브가 사용될 때 이상적인 동작이 얻어질 수 있다.
관형 유리 리브가 깔대기 모양으로 전구의 외부를 향하여 확장되어 변화 영역에서 전구가 파괴되거나 폭발하는 것에 저항할 능력을 감소시킬 전구의 벽으로 얇은 점 또는 감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벽두께는 본질적으로 균일하다. 전형적으로, 리브의 내경은 0.5㎜ 내지 2.0㎜이며, 깔대기 모양의 끝에서, 이 크기의 2배 내지 4배로 확장된다.
램프의 제조에서, 바람직하게 리브는 전구의 끝이 핀치 밀봉된 후에, 그러나 가스가 전구에 충전되기 전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전구는 버너에 의하여 장래의 리브의 영역에서 가열되고 유연하게 된 전구부분에 대한 맞은편 방향으로부터 맞물린 펀치(punch)에 의해서 변형된다. 이 기술은 변형된 리브에 의하여 알맞는 위치에 정해진 후에 필라멘트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다는 실질적인 잇점을 갖는다.
각 리브는 벽으로부터 눌러지며, 속이 비고 본질적으로 깔대기 모양의 유리의 핑거(fingers of glass)를 제공하도록 전구를 변형시키는 원추형의 집중 둥근 막대로서 두 개의 펀치를 형성시킴으로써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유리의 핑거는 램프축으로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맞물린다.(또는 램프축에 가까운). 전구의 벽과 만나는 외부에서의 깔대기 직경과 램프축 쪽으로 좁아지는 정도는 전구의 벽에서 가열된 지대의 크기에 따른다. 램프축 근방에서 유리 리브 직경의 절대값은 펀치 엘리먼트의 크기에 따른다. 두 개의 유리의 핑거사이의 접합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엔드 플러그(end plug)가 형성되어 있다. 핀치 밀봉기술의 경우에, 필라멘트는 정확히 두 개의 유리의 핑거사이에 있으며 엔드 플러그의 형성에 의하여 알맞는 위치에 정해진다.
리브는 필수적으로 곧은 원추형 표면으로 깔대기 모양으로 발산할 필요는 없다. 리브의 벽은 볼록하게 휘어지거나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 버블(bubble)형태 또는 오목한 굴곡을 갖는 벽의 형성은 또한 펀치나 힘을 사용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구 진공 튜브 또는 스팁(stub)의 끝은 아직 잘라내지지 않아야 하고 충전재는 아직 삽입되지 않았다. 오히려, 밀리바아 영역에서 진공을 일으키도록 스팀에 대하여 진공이 놓이고 동시에 전구의 벽은, 예를 들어, 가스버너에 의해서 맞은편 측으로부터 점 위치에서 가열된다. 이 기술은 특히, 예를 들어, 6㎜이하의 작은 직경의 전구, 예를 들어, 5㎜이상의 긴 연결부분을 갖는 필라멘트 및, 보통 110V의 회로전압에 특히 적합하다. 이 기술의 잇점은 유리의 벽이 진공의 영향하에 함께 있게 되어, 유리 또는 리브에 의하여 필라멘트를 부드럽게 죄게 된다는 것이다. 유리를 함께 누르는 펀치의 기계적 힘에 의한 필라멘트의 변형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물론, 펀치의 적용은 전구의 진공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두 개 방법의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은 충격과 진동이 저항하며 작은 수의 부품만으로 간단한 구조에 알맞는 약 2000시간의 긴 수명의 할로겐 싸이클 백열 램프를 제공한다. 관형램프 전구의 직경은 종래 펌프에 대하여 약 20%까지 감소될 수 있다. 부수적 효과로서, 보다 작은 전구 체적에 의하여, 충전 재료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램프는 80V 내지 250V사이 영역의 회로 전압에 직접 접촉하는데 적합하다. 전형적인 전력 정격은 50W에서 2000W까지이다. 이러한 램프들은, 예를 들어, 투광 조명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일반 조명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실예에 의하여 더 자세히 설명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220V에 직접 접촉하는데 알맞는 일반 조명용으로 정격 전력이 150W인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를 도시한다. 이는 약 7㎜의 내부직경을 가진 수정 유리의 확장된 원통전구(2)를 갖는다. 전반적인 램프의 길이는 약 105㎜이다. 중앙영역에 배기 및 충전팁(3)이 형성된다. 두 개의 전구 종단(bulb end)은 핀치 밀봉(pinch seal)(4,5)에 의하여 밀봉된다. 전구는 80%의 크립톤, 20%의 질소 및 0.005% CBrCLF2의 할로겐화물 첨가제의 불활성 가스혼합물로 채워진다.
필라멘트(6)핀치밀봉 단부(4,5)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코일이 감긴 필라멘트로, 전구의 거의 전체 내부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직경은 약0.053㎜이다. 2차 권선의 외부직경은 0.58㎜이다.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자가 세라믹베이스(8)쪽으로 연장되는 핀치밀봉(4,5)내에서, 공지의 핀치밀봉 기술에 따라 단선코일 단부부분(7)은 필라멘트(6)를 몰리브덴 박에 연결시킨다.
다른 구성에서, 예를 들어 150W에 적당한 것과 비슷한 램프는 단부부분(7)이 풀리거나 곧은 단선의 필라멘트(6)를 갖는다. 제1a도 및 제1b도에서, 필라멘트의 모양은 똑같다.
금속 와이어로 만들어진 종래의 필라멘트 홀더 대신에, 4개의 지지리브(9)는 필라멘트의 중간 길이를 지지한다. 지지 리브는 횡으로 램프 축에 연장된다. 이것은 일렬로 놓여지고 필라멘트(6)를 똑같은 길이의 유사한 구역(10)으로 다시 나눈다. 이러한 구역은 짧고, 이리하여 사용중에 처지지 않는다. 크로스 리브(cross rib)(9)는 전구의 재료와 똑같은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은 전구의 벽(2')의 두 개 맞은편 영역 사이에, 램프의 중앙축 쪽으로 연장된다.
크로스리브(9)는 일반적으로 깔대기 모양이며, 대칭적으로 놓여진다.
벽(2')에서 시작하여, 이것은 전구의 내부쪽으로 부드럽고 연속적으로 집중된다. 그러므로, 이것은 얇은 벽의 구역과 얇은 스포트(spot)또는 영역이 피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내부축에 인접하여, 관형 크로스리브(9)는 약 1.2㎜의 직경을 가지며, 외부로 최소 직경의 2배 내지 4배까지 벽(2')을 향하여 확장된다. 솔리드 플러그(11)는 속이찬 또는 단단한 실린더로 생각될 수 있는 리브의 터미날 종단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 속이찬 또는 단단한 실린더의 높이는 대략 직경에 대응한다. 필라멘트(6)의 짧은 부분(12)은 핀치가 유도되거나 마주보는 플러그 사이에 밀봉되어 필라멘트를 알맞는 장소에 유지시킨다.
리브(9)의 수는 램프의 전력정격, 필라멘트의 길이, 처짐에 대한 안정성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횡 또는 크로스리브는 짧고 저전력의 램프에 충분할 수 있다. 4개 이상의 크로스리브는 고전력램프, 예를 들어 6개 또는 그 이상의 램프에 바람직할 수 있다.
크로스리브의 수가, 예를 들어 4개 이상으로 증가된다면, 단일 평면(제2도)에 있는것 보다 램프 오프세트의 벽에서 90°씩 교대로 연장하는 크로스리브(9a, 9b)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램프축에 대하여 제1크로스리브로 부터 45°의 각도로 회전된 크로스리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렇게하여 제3 크로스시브가 제1 크로스리브로부터 90°로 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할로겐 싸이클 프로세스가 좀처럼 약화되지 않고 방사선 방출 특성과 같은 광학 성질이 거의 균일하게 남아 있게 된다는 잇점이 있다.
제3도는 100W램프에 사용된 필라멘트(6')의 보존 상세도이다. 필라멘트(6')는 단일 코일인 연결부분(13)에 의하여 연결된 이중 코일부분(10')을 가진다. 필라멘트(6')는 본질적으로 깔대기 모양인 리브(9)의 솔리드 플러그(11) 내에 적당히 유지된다. 리브(9)는 연결부분(13)과 일렬로 또는 그 레벨로 정해진다. 특히, 이 구성은 2차 권선의 비교적 큰 외경의 필라멘트에 바람직한데, 이는 핀치 밀봉에서 녹아 밀봉될 때 감겨진 코일의 필라멘트가 찌그러지고 비틀리거나 풀리는 경향을 갖기 때문이다. 이 특별한 배열은 약 200W까지의 전력정격을 갖는 램프에 적당하다. 여기에서, 감겨진 코일의 필라멘트의 온도는 높기 때문에 유리 내의 응력과 가능한 불투명화가 일어날 수 있고, 더욱이, 전구가 검게 될 수 있다.
제4a도는 또 다른 구조를 기술하는데, 여기에서 리브(14)는 그 길이의 실제부분에 대해 실제적으로 일정한 직경의 관형 엘레멘트로서 형성되어, 트럼펫 벨 또는 음향 벨(15)의 모양으로 전구(2)의 벽(2')에 가깝게 밖으로 돌출된다. 빛을 방출할 필라멘트부분은 감겨진 코일이거나 이중코일이고, 연결부분(13)은 단선코일이며 그 안에 삽입된 몰리브덴의 코어핀(18)을 갖는다. 크로스리브(14)의 종단들은 서로 닿지 안고, 그 안에 유리로 채워지지 않은 공간이 있는데, 이는 공간이 필라멘트의 연결부분(13)에 의해서 점유된다.
제4b도는 제4a도에 대한 변경을 도시한다. 리브(14)의 두 개의 절반은 단선코일의 연결부분(13)을 보존하고, 그 절반들은 함께 용융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봉합되거나 연결되어, 램프의 축에서 공동 봉합 또는 접합(19)은 각각의 종단부분 사이에 또는 리브(14)의 절반의 플러그(11) 사이에 남아있게 된다. 유리 리브(14)에 의하여 형성된 깔대기는 연속적으로, 그러나 비선형적으로 전구 벽을 향하여 밖으로 돌출된다. 이 이상적인 깔대기 형태의 리브 모양은 외벽의 영역을 1차 가열시키고, 똑같은 열의 양을 계속 공급하는 동안 전구벽에 막대 형태의 펀치(20)를 도입시킴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런 방법은 유리 리브의 균일한 벽두께를 만든다. 다른 형태의 리브는 펀치의 도입 속도 및/또는 열공급, 열공급의 정도 및 펀치가 도입되는 힘에서 적당한 변화를 요구한다.
제5도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는 필라멘트 감김의 피치가 높다. 필라멘트(6)는 연속적으로 감겨져 있다. 개개 필라멘트의 권선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인벨로프(6)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깔대기 모양의 유리 리브(15)는 전구의 벽(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나 기울어져 있고 예각으로 램프의 각을 교차하여 높은 피치로 감긴 필라멘트(6)의 1회가 유리 리브(15)주위에 이어져 있다. 유리 리브(15)는 연속적인 공동의 실린더로서 또는 도시된 대로 중앙플러그(11)로 형성된다. 축에 인접한 플러그(11)의 외부직경은 거의 대략적으로 필라멘트의 단일권선의 간격과 매칭된다.
리브가 램프축과 형성되는 각은,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의 피치각과 같은데, 이는 필라멘트의 고정을 확실히 하며, 더욱이, 리브의 직경이 비교적 크도록 한다. 일반적 원칙에서, 리브는 램프의 축에 횡으로 위치될 수 있고, 필라멘트는 감겨져 있어 리브의 영역에서 리브의 주위에 감을 특별히 넓은 부분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제6도)에서, 연속적으로 감겨진 필라멘트는 수평작동 위치에 대하여 필라멘트(17a, 17b)의 상부(16a, 16c) 및 하부(16b, 16d)에 교대로 있게 되는 유리 리브(16)에 의하여 보존된다. 이 배열은 필라멘트가 권선 또는 그의 감음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연결부분은 고려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짧은 코어와이어(18)가 필라멘트(17a)의 코일 내에 놓이거나 남겨질 수 있다. 크로스 리브는 관형이거나 깔대기 모양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브(16a, 16b)의 직경이 선택되어 비교적 좁을(도면 왼쪽 참조)수 있는 각각의 필라멘트부분(17a)의 피치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 다른 방법은, 리브(16c, 16d)의 직경은 크기가 정해져 필라멘트부분(17b)의 피치보다 실질적으로 적을 수 있어, 각각의 유리 리브 부분은 필라멘트의 단일 감음에 의하여 제공된 공간에 알맞을 수 있다. 이 구조는 필라멘트가 높은 피치를 가질 때 특히 적당하다.
지지리브는 좁을 필요는 없다. 제7도는 예를 들어, 110V램프(25)의 적당한 실시예를 보여 주는데,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버블 형태(bubble-shaped)인 지지리브(26)를 갖는다. 지지리브(26)의 두 개의 절반부분 또는 절반 구역은 오목하게 휘어지고 보통 감긴 코일이거나 이중코일인 필라멘트(28)의 단일코일 부분(27)을 결합시킨다. 필라멘트의 부분(27)과 리브(26)의 길이 방향 결합 정도는 약 7㎜정도일 수 있다.
다른 수정이 없다면 피치, 권선, 감음 등과 같은 용어는 항상 감긴 코일 권선의 2차 코일 또는 각각 단일코일 권선만이 사용된다면 단일코일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형램프는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110V의 회로전압에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할로겐 싸이클 램프에 특히 적합하다. 충전은 공지의 성분 이외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르곤은 불활성 가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CH2Br2의 0.05%가 할로겐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화 유리는 전구재료로서 적당하고, 필라멘트는 핀치시일로 직접 밀봉된 공지의 많은 전류에 의하여 외부 접촉 핀에 연결되어 있다.
원형의 크로스구역 대신에, 유리튜브는 타원형의 크로스 구역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그 타원형의 더 큰 절반 축(half-axis)은 더 나은 고정효과를 위하여 램프축에 놓여 있다. 펀치들은 제조를 위하여 요구된 외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반 조명용으로 회로전압에 직접 접속하기 위해 30W정격까지의 낮은 정격 전력 및 저 가격의 할로겐 사이클 백열램프를 제공한다.

Claims (14)

  1. - 램프축을 정하는 투명재료의 용접 밀봉된 관형전구(2), - 할로겐화물 첨가제를 갖는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충전제, - 두 개의 단부(7)를 갖는 축 정렬의 필라멘트, - 필라멘트의 두 단부에 접속된 전류공급 리드 시스템을 가지며, 회로전압 공급으로 동작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1)에 있어서, 필라멘트가 적어도 하나의 리브수단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알맞는 위치에 고정되며, 전구의 재료로부터 변형되고 전구의 벽의 두 개의 일정한 간격을 둔 영역 사이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리브수단(9)이 램프의 축에 횡으로 연장되어 램프의 축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리브수단(16)이 램프의 축에 횡으로 배열되고 램프의 축의 한쪽(16a, 16c)과 다른 한쪽(16b, 16d)에 교대로 배열되어, 필라멘트(17a, 17b)는 리브수단(16)에 의하여 지지되어 기계적으로 알맞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리브수단(9)이 한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리브수단(9a, 9b)이 직각으로 놓여진 두 개의 평면에 교대로 놓이고 램프의 축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6, 6')가 리브수단(9)에 의하여 핀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리브수단(9, 14, 15, 17)이 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리브수단이 깔대기형태 또는 버블형태의 구조로 전구의 벽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6, 17)가 연속적으로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6')가 연결부분(13)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둔 다수의 부분(10')으로 나누어지고, 필라멘트부분(10')이 이중코일이고 연결부분(13)이 단일코일이거나 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리브수단(9, 14)이 연결부분(13)의 영역에서 필라멘트(6')를 지지하여 알맞는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12. 제1항에 있어서, 리브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알맞는 위치에 고정되는 위치에서 필라멘트에 리브의 더 효율적인 냉각을 얻기 위하여 코어 와이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13. 제1항의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구의 맞은편 쪽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두 개의 막대형태 펀치 엘리먼트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열 연화된 전구벽 부분을 변형시키고 두 개의 마주보게 놓여진 버너로 램프 전구를 가열시킴으로써, 전구내에 필라멘트를 삽입시키고 전구 단부의 핀치 밀봉다음에 관형 리브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항의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기튜브를 통하여 램프전구가 진공되는 동안 램프전구를 두 개의 마주보게 놓여진 버너로 가열시킴으로써, 전구내에 필라멘트를 삽입시키고 전구 단부의 핀치 밀봉 다음에 관형 리브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10004122A 1990-03-15 1991-03-15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KR0156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008365A DE4008365A1 (de) 1990-03-15 1990-03-15 Zweiseitig gequetschte halogengluehlampe
DEP4008365.9 1990-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6257B1 true KR0156257B1 (ko) 1998-11-16

Family

ID=640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122A KR0156257B1 (ko) 1990-03-15 1991-03-15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46458B1 (ko)
JP (1) JP2569227B2 (ko)
KR (1) KR0156257B1 (ko)
AT (1) ATE130124T1 (ko)
DE (2) DE4008365A1 (ko)
ES (1) ES2079424T3 (ko)
HK (1) HK1000357A1 (ko)
HU (1) HU2071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180B1 (ko) * 2008-03-27 2012-01-04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필라멘트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6359B1 (en) * 1993-03-19 1996-07-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incandescent lamp
DE19528686A1 (de) * 1995-08-03 1997-02-0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alogenglühlampe
DE10319468A1 (de) * 2003-04-29 2004-11-25 Heraeus Noblelight Gmbh Infrarotstrahler
DE102005019829A1 (de) * 2005-04-28 2006-11-02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mit Halternoppen für den Leuchtkörper
DE102005045644A1 (de) * 2005-09-23 2007-03-2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lektrische Lampe mit Haltenoppen für den Leuchtkörper
DE202009008919U1 (de) 2009-06-29 2009-09-10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logenglühlampe
DE102009048126A1 (de) 2009-10-02 2011-04-07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ntladungslamp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2963A (en) * 1930-10-15 1936-06-02 Westinghouse Lamp Co Ultraviolet lamp
US3237045A (en) * 1962-03-16 1966-02-22 Gen Electric Bent end electric lamp having lead wires anchored at ends of bend and provided with expansion portion
US3983441A (en) * 1975-07-03 1976-09-28 Xerox Corporation Multiple pinch incandescent lamp
DE8325715U1 (de) * 1983-09-07 1985-02-21 Radium-Elektrizitäts-Gesellschaft mbH, 5272 Wipperfürth Zweiseitig gesockelte gluehlam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180B1 (ko) * 2008-03-27 2012-01-04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필라멘트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00357A1 (en) 1998-03-06
ATE130124T1 (de) 1995-11-15
EP0446458B1 (de) 1995-11-08
DE59009859D1 (de) 1995-12-14
JPH06283145A (ja) 1994-10-07
HU910851D0 (en) 1991-09-30
HU207176B (en) 1993-03-01
EP0446458A3 (en) 1992-03-04
DE4008365A1 (de) 1991-09-26
EP0446458A2 (de) 1991-09-18
ES2079424T3 (es) 1996-01-16
JP2569227B2 (ja) 1997-01-08
HUT57473A (en)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134A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particularly for operation from power network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EP2156463B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outer envel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lamp
US4603278A (en) Electric lamp with insulating base
KR0156004B1 (ko)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US4319162A (en) Fluorescent lamp having a convoluted tubular envelope of compact tridimensional configuration
KR0156257B1 (ko) 더블엔드형 할로겐 백열램프
US5686794A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with filament positioning arrangement
US3497753A (en) Incandescent lamp
EP0364831B1 (en) Electric incand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4742268A (en) High color rendering calcium-containing metal halide lamp
US4288239A (en) Method of making a convoluted tubular envelope for a compact electric discharge lamp
US6639364B1 (en) Halogen incandescent capsule having filament leg clamped in press seal
US7633227B2 (en) Discharge lamp with lamp base structure
EP1102309B1 (en) Incandescent lamp
US5367220A (en) Electric lamp with a holding frame for a lamp filament
US8460045B2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enhanced dimming characteristcs
US3486065A (en) Means for centralizing an incandescible coil about the longitudinal lamp axis
US4626735A (en) Incandescent lamp having two lead-in conductors sealed within one end and including expansion means
EP1238408A1 (en) Fluor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91146B2 (en) Halogen incandescent lamp
KR100479389B1 (ko) 카본사 램프 히터
JPH04220942A (ja) 片側を封着したハロゲンランプ
GB2305585A (en) Heat source
US20020171360A1 (en) Compact high-voltage electric light-bulb
JP2019200936A (ja) 白熱電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