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202B1 - 램프 - Google Patents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202B1
KR100989202B1 KR1020080071431A KR20080071431A KR100989202B1 KR 100989202 B1 KR100989202 B1 KR 100989202B1 KR 1020080071431 A KR1020080071431 A KR 1020080071431A KR 20080071431 A KR20080071431 A KR 20080071431A KR 100989202 B1 KR100989202 B1 KR 10098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bulb
support
lamp
encap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536A (ko
Inventor
최성호
정재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202B1/ko
Priority to US12/920,926 priority patent/US8796910B2/en
Priority to EP09800578.8A priority patent/EP2306494B1/en
Priority to PCT/KR2009/004115 priority patent/WO2010011097A2/ko
Publication of KR2010001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02Incandescent bodies
    • H01K1/16Electric connection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02Incandescent bodies
    • H01K1/04Incandescent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K1/06Carbon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02Incandescent bodies
    • H01K1/04Incandescent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K1/10Bodies of metal or carbon combined with other sub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18Mountings or supports for the incandescent body
    • H01K1/20Mountings or supports for the incandescent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지지부 및 지지부와 봉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접촉방지부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봉지부의 양전극부를 연결하는 필라멘트가 상기 지지부에 걸리는 구성이 포함되어,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필라멘트가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램프, 필라멘트, 접촉방지부

Description

램프{A lamp}
본 발명은 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방출하는램프에 관한 것이다.
램프는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방출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빛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형성되는 벌브와, 전기가 공급되면 빛을 방출하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벌브의 내부공간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벌브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설치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램프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필라멘트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지점에서만 고정이 되고, 그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벌브의 내부공간에서 쉽게 요동될 수 있다. 따라서, 램프에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단선된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의 일측과 타측이 접촉됨으로써 합선이 되게 되면, 합선되는 부분이 과열되어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합선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있다. 즉, 램프의 수명이 일정하게 보장될 수 없고, 사용자의 부상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이 가해질 때 필라멘트가 단선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라멘트의 일측과 타측이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일실시예는, 일단에 봉지부가 구비되는 벌브; 상기 벌브의 내부에 봉입되고, 상기 봉지부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필라멘트; 상기 필라멘트가 걸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필라멘트의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봉지부에 고정되는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 또는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일단에 봉지부가 구비되는 벌브; 상기 벌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 상기 봉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접촉방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감긴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상기 접촉방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접촉방지부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봉지부에 고정되는 필라멘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방지부는, 상기 봉지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 또는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선형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 의하면, 램프에 충격이 가해질 때, 필라멘트가 단선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라멘트의 합선이 방지되므로, 램프의 수명이 일정하게 보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벌브의 내부에 벌브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되므로, 램프에 충격이 가해질 때, 벌브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에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벌브(12)와 봉지부(13)가 포함된다. 상기 벌브(12)는 대략 상면에 돌기가 있는 원통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13)는, 상기 벌브(12)의 하방으로 납작한 판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먼저, 상기 봉지부(13)에는 2개의 전극부(131,132)와 2개의 리드바(133,134)가 수용된다. 상기 2개의 전극부(131,132)는 상기 봉지부(13)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봉지부(13)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2개의 전극부(131,132) 중 어느 하나를 제1전극부(131)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전극부(132)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리드바(133,134)의 일단부는, 상기 2개의 전극 부(131,132)와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봉지부(13)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2개의 리드바(133,134)도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부(131)와 연결되는 리드바를 제1리드바(133)라고 칭하고, 상기 제2전극부(132)와 연결되는 리드바를 제2리드바(134)라고 칭한다.
한편, 상기 벌브(12)의 내부공간에는 지지부(14), 접촉방지부(15) 및 필라멘트(16)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지지부(14)는 대략 둥근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14)의 중심부에는 상기 필라멘트(16)의 중앙부가 안착되는 홈(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4)는, 상기 봉지부(13)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부(14)의 양단부가 상기 벌브(12)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4)는 상기 필라멘트(16)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방지부(15)도 대략 둥근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14)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방지부(15)는, 상기 봉지부(13)와 상기 지지부(14)의 사이에 해당하고, 상기 봉지부(13)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접촉방지부(15)의 양단부가 상기 벌브(12)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접촉방지부(15)는 상기 필라멘트(16)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접촉방지부(15)는 상기 지지부(14)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16)의 양단부는 상기 제1전극부(131) 및 제2전극부(13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필라멘트(16)의 중앙부는 상기 지지부(14)의 중심 부에 형성되는 홈(142)에 걸린다. 상기 필라멘트(16) 상에서, 상기 홈(142)에 걸리는 부분을 걸림부(163)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13)와 상기 지지부(14)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필라멘트(16)는 나선형이다. 이때, 상기 필라멘트(16) 상에서 나선형인 부분은 2개가 있는데, 상기 2개의 나선형인 부분 중 상기 제1전극부(131)에 연결되는 부분을 제1나선부(161)라고 칭하고, 상기 제2전극부(132)에 연결되는 부분을 제2나선부(162)라고 칭한다. 여기서, 상기 제1나선부(161)와 제2나선부(162)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14) 및 접촉방지부(15)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램프(1)를 떨어뜨리는 경우와 같이, 램프(1)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필라멘트(16)에도 충격이 전달된다. 이때에도, 상기 필라멘트(16)의 양단부 및 걸림부(163)는, 상기 제1전극부(131), 제2전극부(132) 및 지지부(1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동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상기 필라멘트(16)와 상기 지지부(14)는 상기 걸림부(163)에 해당하는 만큼의 길이에 걸쳐 서로 선접촉되므로, 충격시 걸리는 장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이 더욱 분산되게 된다. 즉, 상기 필라멘트(16) 상에서 상기 지지부(14)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의 길이가 더욱 길어지므로, 램프(1)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16)가 단선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가 상기 접촉방지부(15) 방향으로 요동되어 변형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의 변형량이 크면 클수록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와 상기 접촉방지부(15)가 접촉하는 길이가 더욱 길어지므로, 충격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16)가 단선되는 현상이 더욱 방지된다.
한편, 이와는 다른 관점에서, 상기 필라멘트(16)에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램프(1)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라멘트(16)에 충격이 전달된다.
이때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4)에 상기 걸림부(163)가 걸려 고정되므로,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는, 적어도 상기 지지부(14)의 직경과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 사이의 평균거리는 더욱 멀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가, 램프(1)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요동하여, 서로 접촉됨으로써 합선이 발생되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 사이에는, 상기 접촉방지부(15)가 설치되므로,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나선부(161) 및 제2나선부(162)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합선이 발생되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지지부(14) 및 접촉방지부(15)의 양단부가 상기 벌브(12)를 관통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벌브(12)의 구조가 상기 지지부(14) 및 접촉방지부(15)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벌브(12)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지지부(14) 및 접촉방지부(15)를 통해 분산되므로, 상기 벌브(12) 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지지부(24) 및 접촉방지부(25)가 놓이는 방향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지지부(24) 및 접촉방지부(25)는, 필라멘트(26)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을 직교되게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때에도 상기 지지부(24) 및 접촉방지부(25)는 서로 평행하다.
한편, 상기 필라멘트(26)가 걸리는 홈(242)은, 상기 지지부(24)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필라멘트(26)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26)는 가상의 동일평면상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방지부(25)가 상기 필라멘트(26)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을 직교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필라멘트(26) 상의 제1나선부(261) 및 제2나선부(262)는, 상기 접촉방지부(25)와 이격되게 된다. 다만, 상기 필라멘트(26)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가 더욱 좁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나선부(261) 및 제2나선부(262)가 상기 접촉방지부(25)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기 접촉방지부(25)와 접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24)가 상기 필라멘트(26)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을 직교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제1나선부(261) 및 제2나선부(262) 사이의 평균거리가, 제1실시예에 비해서도 더욱 멀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램프(2)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26)가 단선되거나, 합선되는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부(14,24) 및 접촉방지부(15,25)가 둥근 막대 형상이지만, 상기 지지부(14,24) 및 접촉방지부(15,25)의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4,24) 및 접촉방지부(15,25)가 서로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는 한, 필라멘트(16,26)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을 직교가 아닌 소정의 각도로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Claims (13)

  1. 일단에 봉지부가 구비되는 벌브;
    상기 벌브의 내부에 봉입되고, 상기 봉지부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필라멘트;
    상기 필라멘트가 걸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필라멘트의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봉지부에 고정되는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 또는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벌브와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는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필라멘트의 중앙부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는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필라멘트가 선접촉하는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지부는 상기 벌브와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는 램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지부는, 상기 봉지부에 고정되는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 또는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램프.
  8. 일단에 봉지부가 구비되는 벌브;
    상기 벌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
    상기 봉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벌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접촉방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감긴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상기 접촉방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접촉방지부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봉지부에 고정되는 필라멘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방지부는, 상기 봉지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 또는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선형으로 형성되는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부 또는 접촉방지부의 길이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봉지부에 고정되는 램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벌브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벌브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벌브의 내면에 그 양단부가 고정되는 램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지부는, 상기 벌브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램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봉지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필라멘트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 또는 기설정된 각도로 교차되는 선형으로 형성되는 램프.
  13. 삭제
KR1020080071431A 2008-07-23 2008-07-23 램프 KR10098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31A KR100989202B1 (ko) 2008-07-23 2008-07-23 램프
US12/920,926 US8796910B2 (en) 2008-07-23 2009-07-23 Halogen lamp comprising bulb and structure to prevent filament parts from contracting each other
EP09800578.8A EP2306494B1 (en) 2008-07-23 2009-07-23 Halogen lamp
PCT/KR2009/004115 WO2010011097A2 (ko) 2008-07-23 2009-07-23 할로겐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31A KR100989202B1 (ko) 2008-07-23 2008-07-23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36A KR20100010536A (ko) 2010-02-02
KR100989202B1 true KR100989202B1 (ko) 2010-10-20

Family

ID=4208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431A KR100989202B1 (ko) 2008-07-23 2008-07-23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2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003B1 (ko) * 1990-03-15 1998-11-16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 램프
KR20060092632A (ko)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003B1 (ko) * 1990-03-15 1998-11-16 볼프강 베메를, 타실로 다우너 싱글엔드형 할로겐 백열 램프
KR20060092632A (ko)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536A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4564B2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JP5682586B2 (ja) 発光装置
KR100989202B1 (ko) 램프
JP5557027B2 (ja) 電子素子内蔵コネクタ
JP6479707B2 (ja) 電子部品用ヒューズ、並びに、ヒューズ付き電子部品モジュール
US4099153A (en) Gas evolving clamp for current limiting fuse
US8796910B2 (en) Halogen lamp comprising bulb and structure to prevent filament parts from contracting each other
KR20160060030A (ko) 할로겐 램프
KR20090031280A (ko) 표면 실장형 전류 퓨즈
EP3136456B1 (en) Light emitting device
JP4741923B2 (ja) 赤外線電球及び加熱装置
JP2007059082A (ja) ヒューズ
KR100989261B1 (ko) 할로겐램프
KR200491303Y1 (ko) 퓨즈
KR20150097462A (ko) 할로겐 램프
US1508302A (en) Incandescent lamp
US2900475A (en) Electric fuse
CN101203936B (zh) 卤素白炽灯及制造此种灯的方法
KR102386956B1 (ko)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개방 점검장치
US3699491A (en) Fuse having vibration damping means for protecting the fuse link thereof
KR200441583Y1 (ko) 퓨즈 삽입용 단자
KR102008938B1 (ko) 회전방지용 아이쇄클 조립체
KR20100016939A (ko) 단자연결 조립체
US6462472B1 (en) Fixing structure for safety fuse of Christmas lamp
JP2016162684A (ja) 直管形ランプの口金、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