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524B1 - 차창용 댐 고무 및 접착된 창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창용 댐 고무 및 접착된 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524B1
KR0154524B1 KR1019890020047A KR890020047A KR0154524B1 KR 0154524 B1 KR0154524 B1 KR 0154524B1 KR 1019890020047 A KR1019890020047 A KR 1019890020047A KR 890020047 A KR890020047 A KR 890020047A KR 0154524 B1 KR0154524 B1 KR 015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rubber
dam
support frame
compress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964A (ko
Inventor
야스히로 구로다
히데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마이 고로
Publication of KR90001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창용 댐 고무 및 접착된 창 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의 댐 고무의 투시도이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댐 고무의 적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발포층의 적층물을 포함하며, 간격 변화(gap variation)에의 적응성, 코너링성(adaptability to corners), 통기성 등이 우수하고, 차체에 창유리를 장착 및 고정시키는 경우, 스페이서로서 기능하는 차창용 댐 고무(dam rubber)에 관한 것이다.
차체 플랜지(flange)와 같은 지지틀에 창유리를 접착고정시키는 경우, 창유리에 댐 고무를 설치하고 지지틀에 접착고정시켜 접착제의 누출을 방지한다.
댐 고무의 경우, 비압축성 스페이서를 갖는 신축성 댐 고무의 적층물에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참조 : JP-B 제59-153615호(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JP-B는 심사된 일본국 특허공보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적층물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불량하여 불필요할 정도로 두꺼워져서 다른 부분의 변형(예 : 지지틀과 성형품 간의 간격 형성)을 야기시키며, 이는 접착 불량, 성형품의 비고착 및 누수를 초래한다. 또한, 이 적층물은 굴곡성이 불량하여 불량한 코너링성을 나타내므로써 코너 부분에서의 조작이 복잡하고, 접착제 도포시 배기성이 불량하여 공기 합입부(air entrapment)를 형성하기 쉽고, 따라서 접착제의 경화를 지연시키거나 공기가 혼입되어 누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을 보완한 댐 고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효과는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내압축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연속 기포 발포층의 적층물을 포함하고, 스페이서 기능을 하는 차창용 댐 고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지지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지지틀에 장착된 창유리 및 그 사이에 압축된 상태의 차창용 댐 고무(여기서 댐 고무는 내압축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연속 기포 발포층의 적층물을 포함하고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를 포함하는 접착된 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댐 고무를 구성하는, 내압축이 상이한 층을 포함하는 적층물은 내압축성이 낮은 발포층의 고압축 특성으로 인해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의 간격의 상당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적층물은 내압축성이 높은 기타 발포층의 저압축 특성으로 인해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의 간격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적층물은 일정한 두께의 연속상 스페이서-기능부(즉, 내압축성이 큰 발포층)를 갖기 때문에, 스페이서의 불균일한 분포로 인해 발생하는 접착불량을 방지하며, 각각의 창에 대한 스페이서의 배치 위치를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서 조립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추가로, 댐 고무는 창유리의 하중을 분산시켜 응력집중을 방지함으로써, 압축성으로 인한 완충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연속 기포 구조물은 굴곡성이 크고 댐 고무에 대한 통기성이 커서 접착제를 원활하게 경화시키며 접착제를 도포할 때 배기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차창용 댐 고무는 내압축성이 상이한 발포층들의 적층물을 포함하며 각각의 발포층은 연속 기포 발포 구조물을 갖는다. 연속 기포 발포 구조물 중의 연속 기포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용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용적% 이상이다. 적층물의 발포층의 수는 2개 이상의 층으로서 댐 고무가 장착되는 창의 크기 또는 기타 요인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보통 승용차인 경우, 2층 구조물이면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제1도는 2층 구조물의 예를 나타낸다. (1)은 내압축성이 낮은 연속 기포 구조물을 가진 발포층(내압축성이 낮은 발포층)이고, (2)는 내압축성이 높은 연속 기포 구조물을 가진 발포층(내압축성이 높은 발포층)이며, (3)은 창유리 또는 지지틀 위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고, (4)는 접착 전에 접착층을 보호하는 박리분리층(separator)이다. 제1도는 단지 댐 고무의 한 면 위에만 접착층이 제공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박리분리층에 의해 보호된 접착층이 댐 고무의 양면에 제공되어 창과 지지틀을 모두 접착시킬 수 있다. 창과 지지틀을 모두 접착시키면, 접착제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적층물의 발포층들 각각에 대한 내압축성은 댐 고무가 장착되는 창의 크기 또는 기타 요인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적층물이 3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층들에 대한 내압축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 내압축성이 동일한 다수의 층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발포층들의 상하관계는 제한되지 않는다.
보통 승용차의 경우, 25% 편차의 압축 하중에 대한 내압축성이 낮은 발포층의 내압축성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g/㎠이다. 25% 편차의 압축 하중에 대한 내압축성이 높은 발포층의 내압축성은 바람직하게는 압축성이 낮은 층의 것보다 30g/㎠ 이상 더 높으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g/㎠이다. 내압축성이 상이한 3개 이상의 발포층을 사용하는 경우, 발포층에 대한 내압축성은 내압축성이 낮거나 높은 발포층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범위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발포층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내압축성이 높은 발포층의 전체 두께는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확실히 하기 위해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에 설정된 간격의 80 내지 100%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내압축성이 낮은 발포층의 전체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댐 고무를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에 설정된 간격에 적용할 경우 70 내지 80%의 압축변형도를 제공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에 간격이 더 클 경우, 압축변형도는 30 내지 40%가 되며, 간격이 더 작을 경우, 압축변형도는 85 내지 95%가 되고, 따라서 층들이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이 채워진다. 내압축성이 낮은 발포층들의 전체 두께는 일반적으로 1 내지 3mm이고, 내압축성이 높은 발포층들의 전체 두께는 일반적으로 3 내지 6mm이다.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의 댐 고무가 비틀리지 않고 원활하게 적용되는 것과 같은 취급상의 견지에서 볼 때, 내압축성이 높은 발포층의 전체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층들의 전체 두께의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이다.
본 발명의 차창용 댐 고무의 단면 형태는 일반적으로 장방형이지만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차창용 댐 고무는, 예를 들면, 전술한 비율의 연속 기포를 가지며 내압축성이 상이한 연속 기포 구조물의 고무 발포 제품(예 :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 공중합체, 클로로프렌 등) 및/또는 플라스틱 발포제품(예 :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을 접착 및 적층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적층화는, 예를 들면, 댐 고무의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수행한다. 접착층은, 예를 들면, 박리분리층 위에 접착제(예 : 아크릴 접착제,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접착제 등)를 산포하고 이를 전술한 적층물 위에 접착시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25% 편차의 압축 하중에 대한 내압축성이 약 100g/㎠이고 두께가 3mm인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내압축성이 낮은 연속 기포 발포층 ; 25% 편차의 압축 하중에 대한 내압축성이 230g/㎠이고 두께가 6mm인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내압축성이 높은 연속 기포 발포층 ; 및 한 면 위의 아프릴 접착제 층으로 이루어진, 폭이 5mm이고 두께가 9mm인 차창용 댐 고무를 제조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통 승용차의 경우, 댐 고무는 변부로부터 7mm 폭으로 접착제대(51)를 설치하여 아크릴 접착제 층을 통해 전면 유리(5)의 주위에 접착시킨다. 우레탄형 접착제를 접착제대(51) 위에 산포하고 전면 유리를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틀(7) 위에 장착한다.
상술한 댐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는 통상적인 댐 고무를 사용할 경우의 경화시간의 1/3인 6시간 이내에 경화되며 공기 함입이나 또는 샤워시험(shower test)에 있어서 누수가 관찰되지 않는다. 장착고정후, 전면 유리와 지지틀 사이의 간격의 정확도는 설정치 6.2mm에 대해 6.2±0.2mm의 범위내였다. 6.2mm로 압축된 두께 9mm의 전술한 댐 고무는 통기량이 10cc/cm3.sec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댐 고무(6)를 전면 유리(5)에 접착하는 경우, 코너 부분에서 박리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만족스러운 코너링성을 나타낸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창용 댐 고무(6)는 부풀지 않고 압축될 수 있어서 전면 유리(5)의 시야가 감소되지 않는다. 접착제용 접착면(8)은 접착제를 과량 피복할 필요가 없고 주변부를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성형품(9)은 만족스럽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창용 댐 고무는 내압축성이 상이한 연속 기포 발포층들의 적층구조로 인해 압축성, 굴곡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댐 고무는 창유리와 지지틀 사이의 간격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크고 성형품을 충분히 장착시키기 위해 두께가 균일한 만족스러운 스페이서 기능을 나타낸다. 댐 고무는 굴곡성이 충분하고 양호한 코너링성을 나타내므로, 코너 부분에서의 작업을 촉진시킨다. 접착제는 통기성이 크기 때문에 원활하게 경화되어 높은 작업효율을 제공한다. 공기가 함입되기 어렵기 때문에 접착불량은 일어나지 않고, 소량의 접착제로 필요한 접착면을 확보할 수 있어서 시야가 확대된 차창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창유리의 하중을 분산시켜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 충분한 완충 특성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7)

  1. 내압축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연속 기포 발포층들의 적층물을 포함하고, 스페이서로서 기능하는 차창용 댐 고무.
  2. 제1항에 있어서, 내압축성이 낮은 제1연속 기포 발포층과 내압축성이 높은 제2 연속 기포 발포층의 25% 편차의 압축 하중에 대한 내압축성의 차이가 30g/㎠ 이상인 댐 고무.
  3. 제2항에 있어서, 내압축성이 낮은 제1연속 기포 발포층의 25% 편차의 압축 하중에 대한 내압축성이 약 10 내지 300g/㎠인 댐 고무.
  4. 제2항에 있어서, 내압축성이 높은 제2연속 기포 발포층의 25% 편차의 압축 하중에 대한 내압축성이 약 40 내지 800g/㎠인 댐 고무.
  5. 제항 있어서, 내압축성이 높은 제2연속 기포 발포층의 두께가 층들의 전체 두께의 50% 이상인 댐 고무.
  6. 제1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적층물의 적어도 한 면에 설치되어 있는 댐 고무.
  7. 지지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지지틀에 장착시킨 창유리 및 지지틀과 창유리 사이에 압축된 형태의 차창용 댐 고무(여기서, 댐 고무는 스페이서로 기능하며 내압축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연속 기포 발포층들의 적층물을 포함한다)를 포함하는 접착된 창 구조물.
KR1019890020047A 1989-04-14 1989-12-29 차창용 댐 고무 및 접착된 창 구조물 KR0154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6029A JPH02274615A (ja) 1989-04-14 1989-04-14 車窓用ダムラバー
JP89-96029 1989-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964A KR900015964A (ko) 1990-11-12
KR0154524B1 true KR0154524B1 (ko) 1998-10-15

Family

ID=1415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047A KR0154524B1 (ko) 1989-04-14 1989-12-29 차창용 댐 고무 및 접착된 창 구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67290A (ko)
EP (1) EP0392090B1 (ko)
JP (1) JPH02274615A (ko)
KR (1) KR0154524B1 (ko)
DE (1) DE6891694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671B1 (ko) * 1999-03-31 2006-05-15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다층 실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135A (en) * 1993-12-27 1996-02-06 Ford Motor Company Anti-squeak spacer and stop for automotive fixed glass
US6316099B1 (en) 1999-03-31 2001-1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ed sealant
DE19962057C2 (de) * 1999-12-22 2002-12-12 Hymer Ag Einbauabdichtung von Bauteilen an Fahrzeugen, insbesondere an Wohnmobilen und Wohnwagen
AUPR730601A0 (en) * 2001-08-28 2001-09-20 Boss Rubber Technologies Pty Ltd Resilient product
KR101155187B1 (ko) 2004-06-18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회로 연결장치
US20060008625A1 (en) * 2004-07-12 2006-01-12 Guardian Industries Corp. Vehicle window unit with foam based seal and correspon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1277A (en) * 1963-12-06 1966-03-22 Gen Motors Corp Window mounting
US3413389A (en) * 1965-07-21 1968-11-26 Rubber Mills Pty Ltd S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ealing strip
US3357137A (en) * 1965-08-02 1967-12-12 Goodrich Co B F Weather strip
US3434903A (en) * 1966-02-07 1969-03-25 Tremco Mfg Co Method of producing a pressure sensitive sealing strip
US3416833A (en) * 1967-06-27 1968-12-17 Gen Motors Corp Windshield mounting
US4393560A (en) * 1980-06-28 1983-07-19 Kabushiki Kaisha Togo Seisakusho Clip for retaining a windshield molding in an automobile
AU560798B2 (en) * 1981-10-12 1987-04-16 Bridgestone Australia Ltd. Vehicle door seal
DE3486392T2 (de) * 1983-03-31 1996-02-01 Ver Glaswerke Gmbh Klebemontage von Scheiben in eine Öffung, insbesondere von Windschutzscheiben für Kraftfahrzeuge, zur erleichterten Demontage.
DE3612923C2 (de) * 1986-04-17 1995-08-17 Opel Adam Ag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Zierleiste an einer einklebbaren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US4712341A (en) * 1986-08-14 1987-12-15 Ford Motor Company Modular window assembly cl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671B1 (ko) * 1999-03-31 2006-05-15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다층 실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2090B1 (en) 1994-07-20
US5067290A (en) 1991-11-26
DE68916943D1 (de) 1994-08-25
KR900015964A (ko) 1990-11-12
EP0392090A2 (en) 1990-10-17
EP0392090A3 (en) 1991-06-12
DE68916943T2 (de) 1994-11-03
JPH02274615A (ja) 199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108A (en) Enclosed interlayer plastic laminated window
US4933227A (en) Aircraft windshield
US4054477A (en) Method for forming a contoured insulated honeycomb core panel and panel produced
JPH02215880A (ja) 積層透明体
GB2374893B (en) An anchoring profile, a frame assembly and a method for securing a pane against impact
US10639980B2 (en) Window glass with seal member
KR0154524B1 (ko) 차창용 댐 고무 및 접착된 창 구조물
US4550986A (en) Layered mirrors including a compressible layer and a polyurethane skin
JPH0324557B2 (ko)
EP0869057A3 (en) Sound absorbing aircraft transparenc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60134174A (ko) 파편 보호 요소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밀폐 장치
JP2001100216A (ja) ガスケット
US4902879A (en) Aircraft bilayer appendage
JP2021525188A (ja) 複合ガラスペイン
JP2007039994A (ja) 合わせ板状部材の支持構造及び支持方法
JPH0428533A (ja) 表示板一体成型法
EP0287692A1 (en) Enclosed interlayer plastic laminated window
US2403061A (en) Window construction
JP2501206Y2 (ja) 車両用複層ガラス窓の取付構造
JPS645146B2 (ko)
KR20040041155A (ko) 탄성 물품
JP2006232228A (ja) 合わせガラスの取り付け構造
EP1473418A3 (de) Dichtungsband
JPH0731817A (ja) エアフィルタ用ガスケット
CN213680517U (zh) 一种防水封箱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