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057B1 -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057B1
KR0154057B1 KR1019950036015A KR19950036015A KR0154057B1 KR 0154057 B1 KR0154057 B1 KR 0154057B1 KR 1019950036015 A KR1019950036015 A KR 1019950036015A KR 19950036015 A KR19950036015 A KR 19950036015A KR 0154057 B1 KR0154057 B1 KR 015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opening
vehicle
op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268A (ko
Inventor
한영일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36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057B1/ko
Publication of KR97002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차 개발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의 개구 시험을 실시하여 문제점의 조기 발견과 조기 개선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 승합차 등의 미닫이형 도어의 내구력 시험을 위하여 공압과 전기 전자적으로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벨트를 고정 설치하여 당겨서 잠금을 해지하는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에 의한 아웃사이드 핸들의 개구 조작 시험과 차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당겨 개구 조작 시험하는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에 의해 잠금이 해지되면 동시에 도어를 일방향으로 푸쉬하여 개구 조작 시험하는 도어 열림 장치와; 상기 도어 열림 장치가 점차적으로 증속 작동할 때 도어의 열리려는 관성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리턴되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닫힘 방지장치와; 상기 도어 닫힘 방지장치의 후퇴후 도어가 닫히도록 푸쉬하는 도어 닫음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의 아웃사이드 핸들의 개구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의 도어 개구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의 도어 닫음장치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차 개발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의 개구 시험을 실시하여 문제점의 조기 발견과 조기 개선을 통해서 제품의 신뢰성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승합차 등에 채용된 미닫이형 도어의 개폐 내구력 시험은 에어실린더 3개를 도어에 용접 등으로 장착한 후 내구력을 시험하기 때문에 시험장치 설치 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반복된 시험시 부착 부분에 무리한 힘이 걸려 도어의 내구성 시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함과 아울러 시험기간이 길어 조기 개선을 취할 수 없어 제품의 신차 개발 업무에 차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도어의 내구력 시험시 시험치를 저장하지 못하므로서 각 상황에 맞는 내구력 시험이 통상으로 행하여짐에 따라 제품의 개선점을 쉽게 발견할 수 없어 이를 극복하지 못하여 반복된 문제에 부딪치게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신차 개발에 따른 미닫이형 도어의 개구 시험을 실시하여 문제점의 조기 발견과 조기 개선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합차 등의 미닫이형 도어의 내구력 시험을 위하여 공압과 전기 전자적으로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벨트를 고정 설치하여 당겨서 잠금을 해지하는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에 의한 아웃사이드 핸들의 개구조작시험과 차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당겨 개구조작 시험하는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에 의해 잠금이 해지되면 동시에 도어를 일방향으로 푸쉬하여 개구 조작 시험하는 도어 열음장치와; 상기 도어 열음장치가 점차적으로 증속 작동하여 열리는 도어가 부딪혀 발생하는 관성력으로 리턴되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닫힘 방지장치와; 상기 도어 닫힘 방지장치의 후퇴후 도어가 닫히도록 푸쉬하는 도어 닫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는 바퀴를 장착하여 장소 이동후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 고정부재와, 이동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받침대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받침대에 설치되어 벨트로 아웃사이드 핸들이 당기도록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이동 고정부재는 하부에 이동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후 고정 볼트로 고정되도록 형성한 고정 브라켓트와, 이 고정 브라켓트를 양측에 형성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승강부재는 지지 플레이트에 보강판으로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로 기립 설치된지지 프레임과, 이 지지 프레임의 거치되어 승강조정너트에 의해 승강이 조정되면서 받침대를 형성한 나선 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구동부재는 나선 축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 상에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에 작동하는 서어보 모타와, 이 서어보 모타에 연결된 구동벨트로 구동되어 장착된 벨트를 풀어 주거나 감아 주도록 설치된 회전 롤러부와, 이 회전 롤러부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려질 때 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는 차내에 설치되어 인사이드 핸들을 소정의 각도 상에서 당기도록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와, 이 고정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피스톤이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도록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도어 열음장치는 아웃사이드 핸들이나 인사이드 핸들에 의해 록킹 상태가 해지됨과 동시에 외측으로 밀려나 돌출될 때 푸쉬하도록 시험 위치에 바퀴로 이동후 고정되도록 하는 부동 브라켓트와, 이 부동 브라켓트 상에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정부재와, 이 조정부재에 의해 승강 조정되므로서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여 도어를 일정 간격 내에서 밀게 되는 푸쉬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조정부재는 하부의 부동 브라켓트에 설치된 하판과, 이 하판상에 형성되어 중심에 조정 핸들로 작동하는 승강 조정축과, 이 승강 조정축의 양측에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승강 조정축과 가이드축이 푸쉬 구동부재가 설치된 지지판에 일체이 되면서 승강시 지지되도록 한 조정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구동부재는 승강 조정축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판에 설치되어 전자 제어장치로 제어되어 작동하는 푸쉬 서어보 모타와, 이 푸쉬 서어보 모타에 의해 전,후진하여 도어를 밀게 되는 푸쉬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도어 닫힘 방지장치는 도어 열림 장치에 의해 도어가 열림후 충격에 의해 리턴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이 차단부재를 형성하여 피스톤을 전자 제어장치의제어에 의해 전진 작동시키는 차단 에어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도어 닫음장치는 도어 닫힘 방지장치에 의해 정지된 도어를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밀도록 소정의 위치에 바퀴로 이동후 고정되도록 한 장착 부재와, 이 장착부재가 설치된 하단 프레인 상에 기립 형성되어 중심에 승강 핸들로 승강 조정되게 승강축과 안내축으로 형성 설치된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도어를 닫도록 푸쉬하는 닫음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닫음 부재는 정지 상태의 도어 끝단을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공압으로 미는 닫음 에어 실린더와, 이 닫힘 에어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후진을 안내하도록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바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를 지칭한다.
상기한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1)(이하, 내구 시험기)는 아웃사이더 핸들 개구장치(10)와,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35), 그리고 도어 열음장치(40), 도어 닫힘 방지장치(55), 도어 닫음장치(60)와, 이 구성부품을 공압과 전지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8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아웃사이더 핸들 개구장치(10)는 승합차(11)등의 미닫이형 도어(12)의 내구력 시험을 위하여 공압과 전기 전자적으로 전자제어장치(80)에 의해 제어되어 아웃사이드 핸들(13)에 벨트(14)를 고정설치하여 도어(12)의 록킹 상태를 당겨서 해지한다.
상기한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10)는 이동 고정부재(15)와, 승강부재(16), 그리고 구동부재(17)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이동 고정부재(15)는 바퀴(18)를 장착하여 장소 이동후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이동 고정부재(15)는 고정 브라켓트(19)와, 지지 플레이트(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이동 고정부재(15)의 고정 브라켓트(19)는 하부에 이동 바퀴(18)가 설치되어 이동후 고정 볼트(31)로 고정된다.
상기한 이동 고정부재(15)의지지 플레이트(20)는 고정 브라켓트(19)를 양측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승강부재(16)는 이동 고정부재(15)에 설치되어 받침대(21)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한 승강부재(16)는지지 플레이트(20)에 보강판(22)으로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로 기립 설치된지지 프레임(23)과, 이지지 프레임(23)에 거치되어 승강 조정 너트(24)에 의해 승강이 조정되면서 받침대(21)를 형성한 나선 축부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구동부재(17)는 승강부재(16)의 받침대(21)에 설치되어 벨트(14)로 아웃사이드 핸들(13)을 당기도록 한다.
상기한 구동부재(17)는 나선 축부재(25)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21)상에 전자제어장치(80)의 제어에 작동하는 서어보 모타(26)와, 이 서어보 모타(26)에 연결된 구동 벨트(27)로 구동되어 장착된 벨트(28)를 풀어 주거나 감아 주도록 설치된 회전 롤러부(29)와, 이 회전 롤러부(29)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려질 때 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35)는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1)에 의한 아웃사이드 핸들(13)의 개구 조작 시험과 차내에서 인사이드 핸들(36)을 당겨 개구를 조작 시험하는 기기이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35)는 인사이드 핸들(36)을 소정의 각도 상에서 당기도록 차내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37)와, 이 고정 플레이트(3)상에 설치되어 피스톤(38)의 전,후진이 전자제어장치(80)로 제어되는 에어 실린더 부재(39)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도어 열음장치(40)는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10)와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35)에 의해 잠금이 해지되면 외측으로 밀려나오게 되는데, 이때 동시에 전자제어장치(80)의 제어에 의해 도어(12)를 일방향으로 푸쉬하는 개구 조작 시험기기이다.
상기한 도어 열음장치(40)는 부동 브라켓트(41), 조정부재(42), 그리고 푸쉬 구동부재(43)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부동 브라켓트(41)는 시험 위치에 바퀴(44)로 이동후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조정부재(42)는 부동 브라켓트(41)상에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조정부재(42)는 하부의 부동 브라켓트(41)에 설치된 하판(45)과, 이 하판(45)상에 형성되어 중심에 조정 핸들(46)로 작동하는 승강 조정축(47)과, 이 승강 조정축(47)의 양측에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축(48)과, 상기 승강 조정축(47)과 가이드축(48)이 푸쉬 구동부재(43)가 설치된 지지판(49)에 일체되면서 승강시 지지되도록 한 조정 프레임(50)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도어 열음장치(40)의 푸쉬 구동부재(43)은 조정부재(42)에 의해 승강 조정되므로서 전자제어장치980)에 의해 작동하여 도어(12)를 일정 간격내에서 밀게 되는 동작을 한다.
상기한 푸쉬 구동부재(43)는 승강 조정축(47)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판(49)에 설치되어 전자제어장치(80)로 제어되어 작동하는 푸쉬 서어보 모타(51)와, 이 푸쉬 서어보 모타(51)에 의해 전,후진하여 도어(12)를 밀게 되는 푸쉬로드(52)와, 이 푸쉬로드(52) 속도를 가감시켜 주는 가감장치(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55)는 도어 열음장치(40)가 점차적으로 증속 작동하여 열리는 도어(12)가 도어 스토퍼에 충돌하여 관성력으로 리턴되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기이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55)는 도어 열음장치(4)에 의해 도어(12)가 열린후 도어 스토퍼에 부딛친 충격에 의해 리턴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56)와, 이 차단부재(56)를 형성하여 피스톤(57)을 전자제어장치(80)의 제지에 의해 전진 작동시키는 찻단 에어 실린더 부재(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도어 닫음장치(60)는 도어 닫힘 방지장치(55)의 후퇴후 도어(12)가 닫히도록 푸쉬하는 기기이다.
상기한 도어 닫음장치(60)는 도어 닫힘 방지장치(55)에 의해 정지된 도어(12)를 전자제어장치(80)의 제어에 의해 밀도록 소정의 위치에 바퀴(61)로 이동후 장착 부재(6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도어 닫음장치(60)는 장착 부재(62)에 의해 설치된 하단 프레임(63)상에 기립 형성되어 중심에 승강 핸들(64)로 승강 조정되게 승강축(65)과 안내축(66)으로 형성 설치된 승강부재(67)와, 이 승강부재(67)의 상측에 형성된 설치 플레이트(68)에 설치되어 도어(12)를 닫도록 푸쉬하는 닫음 부재(69)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닫음 부재(69)는 정지 상태의 도어(12)끝단을 전자제어장치(8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공압으로 미는 닫음 에어 실린더(70)와, 이 닫음 에어실린더(7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 후진을 안내하도록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바아(71)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승합차(11)등의 미닫이형 도어(12)를 채용하고 있는 도어(12)의 개폐 내구력을 시험하기 위한 기기이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의 동작은 각각의 기기가 순서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저장된 소정의 전자제어장치(8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구 시험기(1)를 도어(12)의 시험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한 후 먼저 아웃사이더 핸들(13)의 조작에 의한 내구력 시험을 설명하면, 아웃사이더 핸들 개구장치(10)가 아웃사이드 핸들(13)에 연결된 벨트(28)가 구동하는 서어보 모타(26)에 의해 당기면 록킹 상태가 풀리면서 도어(12)는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도어 열음장치(40)의 푸쉬 서어보 모타(51)가 작동하여 푸쉬로드(52)로 도어(12)를 밀게 된다.
상기한 도어 열음장치(40)로 열린 도어(12)는 타측의 도어 스토퍼에 부딪치게 되면서 리턴 되는데, 이때 도어 닫힘 방지장치(55)의 차단 에어실린더 부재(58)에 의해 전진한 피스톤(57)선단의 차단부재(56)에 걸려 도어(12)는 닫힘이 방지된다.
상기한 도어(12)의 닫힘이 방지된 후 도어 닫힘 방지장치(55)의 차단부재(56)는 후퇴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도어(12)가 정지하게 되면 도어 닫음장치(60)가 동작하여 닫음 에어 실린더 부재(70)의 피스톤(P)이 전진하여 도어(12)를 밀어 닫는다.
그리고 상기한 닫음 에어 실린더 부재(70)의 피스톤은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바아(71)에 의해 전, 후진이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더 핸들(13)의 조작에 의한 도어(12)의 내구력 시험의 한 방법이 있고, 인사이드 핸들(36)의 조작에 따른 내구력 시험 방법이 있는데, 상기 아웃사이더 핸들 개구장치(10)의 개구 동작 대신에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35)로 개폐하는 조작만 다르고 다른 시험 동작은 동일하다.
상기한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35)는 인사이드 핸들(36)을 소정의 각도상에서 당기도록 차내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37)와, 이 고정 플레이트(37)상에 설치되어 피스톤(38)의 전,후진이 전자제어장치(80)로 제어되는 에어 실린더 부재(39)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의 속도 및 감김량의 조정이 가능하고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을 벨트로 하기 때문에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되므로서 부하가 걸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어 열음장치는 속도 및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하여 시험의 정밀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모든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서 시험중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시험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승합차의 등의 미닫이형 도어의 내구력 시험을 위하여 공압과 전기 전자적으로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아웃사이드 도어에 벨트를 고정 설치하여 당겨서 잠금을 해지하는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에 의한 아웃사이드 핸들의 개구조작 시험과 차내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당겨 개구 조작 시험하는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와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에 의해 잠금이 해지되면 동시에 도어를 일방향으로 푸쉬하여 개구 조작 시험하는 도어 열음장치와; 상기 도어 여음장치가 점차적으로 증속 작동하여 열리는 도어가 부딪혀 발생하는 관성력으로 리턴되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닫힘 방지장치와; 상기 도어 닫힘 방지장치의 후퇴후 도어가 닫히도록 푸쉬하는 도어 닫음당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핸들 개구장치는 바퀴를 장착하여 장소 이동후 고정되도록 하는 이동 고정부재와, 이동 고정부재에 설치되어 받침대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받침대에 설치되어 벨트로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기로독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 고정부재는 하부에 이동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후 고정 볼트로 고정되도록 형성한 고정 브라켓트와, 이 고정 브라켓트를 양측에 형성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4. 제2항에 있어서, 승강부재는지지 플레이트 보강판으로 지지되어 소정의 높이로 기립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이지지 프레임 거치되어 승강 조정 너트에 의해 승강이 조정되면서 받침대를 형성한 나선 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5. 제2항에 있어서, 구동부재는 나선 축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 상에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에 작동하는 서어보 모타와, 이 서어보 모타에 연결된 구동 벨트로 구동되어 장착된 벨트를 풀어주거나 감아주도록 설치된 회전 롤러부와, 이 회전 롤러부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려질 때 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6. 제1항에 있어서, 인사이드 핸들 개구장치는 차내에 설치되어 인사이드 핸들을 소정의 각도 상에서 당기도록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와, 이 고정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피스톤이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도록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7. 제1항에 있어서, 도어 열음장치는 아웃사이드 핸들이나 인사이드 핸들에 의해 록킹 상태가 해지됨과 동시에 외측으로 밀려나 돌출될 때 푸쉬하도록 시험 위치에 바퀴로 이동후 고정되도록 하는 부동 브라켓트와, 이 부동 브라켓트 상에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정부재와, 이 조정부재에 의해 승강 조정되므로서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하여 도어를 일정 간격 내에서 밀게 되는 푸쉬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8. 제7항에 있어서, 조정부재는 하부의 부동 브라켓트에 설치된 하판과, 이 하판상에 형성되어 중심에 조정 핸들로 작동하는 승강 조정축과, 이 승강 조정축의 양측에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승강 조정축과 가이드축이 푸쉬 구동부재가 설치된 지지판에 일체되면서 승강시 지지되도록 한 조정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9. 제7항에 있어서, 구동부재는 승강 조정축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판에 설치되어 전자 제어장치로 제어되어 작동하는 푸쉬 서어보 모타와, 이 푸쉬 서어보 모타에 의해 전,후진하여 도어를 밀게 되는 푸쉬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10. 제1항에 있어서, 도어 닫힘 방지장치는 도어 열림 장치에 의해 도어가 열린후 충격에 의해 리턴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이 차단부재를 형성하여 피스톤을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전진 작동시키는 차단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11. 제1항에 있어서, 도어 닫음장치는 도어 닫힘 방지장치에 의해 정지된 도어를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밀도록 소정의 위치에 바퀴로 이동후 고정되도록 한 장착 부재, 이 장착 부재 설치된 하단 프레임 상에 기립 형성되어 중심에 승강 핸들로 승강 조정되게 승강축과 안내축으로 형성 설치된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도어를 닫도록 푸쉬하는 닫음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닫음 부재는 정지 상태의 도어 끝단을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공압으로 미는 닫음 에어 실린더, 이 닫힘 에어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후진을 안내하도록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 바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KR1019950036015A 1995-10-18 1995-10-18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KR015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015A KR0154057B1 (ko) 1995-10-18 1995-10-18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015A KR0154057B1 (ko) 1995-10-18 1995-10-18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268A KR970022268A (ko) 1997-05-28
KR0154057B1 true KR0154057B1 (ko) 1998-12-01

Family

ID=1943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015A KR0154057B1 (ko) 1995-10-18 1995-10-18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37B1 (ko) * 2007-09-20 2009-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래치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683B1 (ko) * 1997-08-30 2004-07-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도어의래치부강성시험용지그
CN108106823A (zh) * 2016-11-25 2018-06-0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滑移门内开关耐久试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537B1 (ko) * 2007-09-20 2009-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래치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268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12449A (en) Device for operating a sliding door
JP2003262247A (ja) 車両の動力式リフトゲートのための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0154057B1 (ko)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KR970022267A (ko) 자동차의 회전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US20070120377A1 (en) Device for reversibly preventing closure of an overhead door
CN111272440B (zh) 滑移门耐久性试验设备及试验方法
WO2003064208A1 (en) Ramp assembly having a lift and lock mechanism
EP1288040B1 (en) Roto-translating door for motor vehicles
KR0182106B1 (ko) 승용 및 소형 상용차의 테일게이트의 개폐내구 시험기
KR101237961B1 (ko) 차량 문 개폐장치
KR10042004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JP2504275B2 (ja) エレベ―タの扉装置
JP3948875B2 (ja) 落下防止装置
GB2317201A (en) Linkage for up-and-over automatic door lock mechanism
KR100391615B1 (ko) 차량용 도어 록킹장치
KR100495379B1 (ko) 레이저 가공기의 테이블 인아웃장치
JPH11139734A (ja) エレベータの縦開きドアの安全装置
AU2006289647A1 (en) Gat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US3910384A (en) Power operator for elevator shaft doors
JPS63184533A (ja) 荷受台昇降装置を備えた荷役車輌
JP2005016138A (ja) 可動体の駆動装置
US20040047093A1 (en) Control method of sliding a vehicle door by a powered sliding device
CN114112418A (zh) 一种车门开闭实验系统
KR970002453Y1 (ko)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차량보호장치
JPH07138988A (ja) 作業車輌運転室の窓自動開閉制御装置および窓開放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