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961B1 - 차량 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961B1
KR101237961B1 KR1020070005669A KR20070005669A KR101237961B1 KR 101237961 B1 KR101237961 B1 KR 101237961B1 KR 1020070005669 A KR1020070005669 A KR 1020070005669A KR 20070005669 A KR20070005669 A KR 20070005669A KR 101237961 B1 KR101237961 B1 KR 10123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stopper
coil spring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222A (ko
Inventor
박상우
최영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F41H7/04Armou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차의 후방문을 상하로 원활히 개폐하기 위하여, 제1 단이 차량의 좌우측 중 일측 고정부에 결합되며, 제2 단에 제1 이동 도르래가 연결된 유체 실린더; 상기 유체 실린더의 제2 단이 신장될 때 차량의 고정부에 하단이 힌지 연결된 차량의 문을 상승시켜 닫도록, 제1 단이 차량의 일측 고정부에 고정된 브래킷에 결합되며, 제2 단이 적어도 상기 제1 이동 도르래에 걸린 후 상기 차량의 문에 연결되는 체인 및 와이어 케이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차량의 타측 고정부에 결합된 가이드 브래킷을 관통하며, 제1 단에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제2 단에는 제2 이동 도르래가 연결된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를 감싸며,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유체 실린더의 제2 단이 신장될 때 상기 차량의 문을 상승시켜 닫도록, 제1 단이 차량의 타측 고정부에 고정된 브래킷에 결합되며, 제2 단이 적어도 상기 제2 이동 도르래에 걸린 후 차량의 문에 연결되는 체인 및 케이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문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vehicle}
도 1a는 장갑차 후방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종래의 차량 후방문 개폐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b는 장갑차 후방문이 열린 상태에서의 종래의 차량 후방문 개폐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 후방문에 걸리는 자중 모멘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차량 후방문에 걸리는 자중 모멘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의 일측에 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차량의 타측에 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소정 각도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소정 각도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소정 각도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차체 13: 유체 실린더
14: 제1 이동 도르래 15, 25: 제1 고정 도르래
16, 26: 제2 고정 도르래
18: 제1 고정 브래킷 20: 후방문
21: 가이드 브래킷 22: 가이드 바
22a: 스톱퍼 24: 제2 이동 도르래
본 발명은 차량 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열리고 닫히는 장갑차의 후방문을 작동하는 유체 실린더에 걸리는 부하의 변동을 줄여 차량 문이 원활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후방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종래의 장갑차 후방문의 개폐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며, 도 1b는 후방문이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의 종래의 장갑차 후방문의 개폐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장갑차의 후방문(2)은 그 하단이 차량의 구조물(1)과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후방문(2)의 상단이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열리고 닫힌다.
종래의 장갑차 후방문(2)의 개폐장치는 동력원으로서 유압 실린더(3)를 사용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에 유압이 가해져서 로드(3a)가 신장하면 체인(7)은 이동 풀리(4), 제1 고정 풀리(5), 제2 고정 풀리(6)를 거쳐 후방문(2)을 잡아당긴다. 따라서 장갑차의 후방문(2)은 자중 모멘트를 이기고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에 가해졌던 유압이 해제되면 후방문(2)의 자중에 의해 후방문(2)이 아래로 회동하여 체인(7)을 잡아당기고, 체인(7)은 제2 고정 풀리(6), 제1 고정 풀리(5), 이동 풀리(4)를 거쳐 유압 실린더의 로드(3a)를 수축시킨다.
장갑차의 후방문(2)이 완전히 닫힌 상태(도 1a 참고)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도 1b 참고)로 이동할 때, 유압 실린더의 로드(3a)에는 체인(7)에 의하여 축하중이 걸리게 된다. 즉, 각 상태에서의 후방문(2)의 자중 모멘트는 체인(7)을 통하여 유압 실린더(3)에 걸리는 축하중으로 변환된다. 이때, 축하중은 자중 모멘트에는 비례하고, 체인의 팔 길이에 반비례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후방문(2)의 자중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후방문(2)의 무게 중심에서 자중에 의한 힘(Fc)은 후방문(2)에 수직 방향인 수직 분력(FcV)와 후방문(2)에 수평 방향인 수평 분력(FcH)로 분력된다. 이때 후방문(2)의 중 모멘트는 FcV*r이 된다. 도 2b를 참고하면, 후방문(2)의 무게 중심에서 자중에 의한 힘(Fo)은 후방문(2)에 수직 방향인 수직 분력(FoV)과 후방문(2)에 수평 방향인 수평 분력(FoH)으로 분력된다. 이때 후방문(2)의 자중 모멘트는 FoV*r이 된다.
후방문(2)이 닫힌 상태에서 후방문(2)에 걸리는 자중 모멘트와 후방문(2)이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 후방문(2)에 걸리는 자중 모멘트를 비교하여 보면, 후방문(2)이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의 자중 모멘트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방문(2)이 수평하게 열린 상태에서의 자중 모멘트가 최대이다.
한편, 후방문(2)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체인의 팔 길이는 도 1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rC이고, 후방문(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체인의 팔 길이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이다. 즉,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체인의 팔 길이가 훨씬 짧다.
후방문(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후방문(2)의 자중 모멘트가 더 크고 체인의 팔 길이도 더 짧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3)에 걸리는 축하중은 후방문(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훨씬 더 크게 된다. 종래의 장갑차 후방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후방문(2)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3)에 걸리는 축하중은 약 9.3배나 된다.
장갑차의 후방문(2)이 열릴 때 유압 실린더(3)는 부하로 작용하는데, 유압 실린더(3)에 걸리는 축하중의 변화가 크면 부하의 변동이 커지므로 후방문(2)의 상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방문(2)의 개방 초기에 유압 실린더(3)에 걸리는 축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후방문(2)의 초기 개방 속도가 느리고, 개방 후기의 지면접촉 위치에서는 축하중이 상대적으로 많이 크므로 속도가 너무 빨라져 지면과 접촉시 충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장갑차 후방문의 상단이 자중에 의해서 아랫쪽으로 열릴 때 유체 실린더에 걸리는 축하중의 변화를 작게 하여 유체 실린더에 걸리는 부하의 변동을 감소시키고, 초기 개방속도를 증가시켜 후방문의 상하 개폐를 원활하게 하는 차량 문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단이 차량의 좌우측 중 일측 고정부에 결합되며, 제2 단에 제1 이동 도르래가 연결된 유체 실린더; 상기 유체 실린더의 제2 단이 신장될 때 차량의 고정부에 하단이 힌지 연결된 차량의 문을 상승시켜 닫도록, 제1 단이 차량의 일측 고정부에 고정된 브래킷에 결합되며, 제2 단이 적어도 상기 제1 이동 도르래에 걸린 후 상기 차량의 문에 연결되는 체인 및 와이어 케이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차량의 타측 고정부에 결합된 가이드 브래킷을 관통하며, 제1 단에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제2 단에는 제2 이동 도르래가 연결된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를 감싸며,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유체 실린더의 제2 단이 신장될 때 상기 차량의 문을 상승시켜 닫도록, 제1 단이 차량의 타측 고정부에 고정된 브래킷에 결합되며, 제2 단이 적어도 상기 제2 이동 도르래에 걸린 후 차량의 문에 연결되는 체인 및 케이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스톱퍼가 상기 제2 이동 도르래보다 상기 차량의 문에서 멀리 있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각 단은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각각 접하며, 자유 상태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문이 열리기 시작할 때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이 문을 열리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문의 초기 개방 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문이 완전히 열리는 시점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이 문을 닫히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문의 과도한 자중 모멘트를 상쇄시킴으로써 지면과의 접촉시 충격을 줄이고, 유체 실린더에 걸리는 축하중 변화율을 감소시켜 원활한 개폐를 이룰 수 있다.
이와 달리, 자유 상태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길며,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 단만 상기 가이드 브래킷이나 스톱퍼에 접촉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또한, 문이 완전히 열리는 시점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이 문을 닫히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문의 과도한 자중 모멘트를 상쇄시킴으로써 지면과의 접촉시 충격을 줄이고, 유체 실린더에 걸리는 축하중 변화율을 감소시켜 원활한 개폐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이동 도르래가 상기 스톱퍼보다 상기 차량의 문에서 멀리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각 단은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각각 접하며, 자유 상태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고,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문이 열리기 시작할 때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이 문을 열리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문의 초기 개방 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문이 완전히 열리는 시점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이 문을 닫히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문의 과도한 자중 모멘트를 상쇄시킴으로써 지면과의 접촉시 충격을 줄이고, 유체 실린더에 걸리는 축하중 변화율을 감소시켜 원활한 개폐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의 좌우측 중 일 측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측의 차량 문 개폐장치는 종래의 차량 문 개폐장치와 동일하다. 즉, 유체 실린더(13), 제1 이동 도르래(14), 제1 고정 도르래(15), 제2 고정 도르래(16), 제1 체인(17)을 구비한다.
유체 실린더(13)의 제1 단은 차량의 고정부, 예를 들면 차체에 고정된다. 유체 실린더(13)의 제2 단은 로드(rod)로서, 그 끝에 제1 이동 도르래(14)가 연결되어 있다. 유체 실린더(13)의 제1 단측 즉, 후방 측에는 제1 고정 도르래(15)와 제2 고정 도르래(1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체인(17)의 일단은 차량의 고정부에 고정된 제1 고정 브래킷(18)에 연결되며, 제1 체인(17)은 제1 이동 도르래(14), 제1 고정 도르래(15) 및 제2 고정 도르래(16)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그 타단이 차량의 후방문(20)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이때, 제1 체인(17) 대신에 제1 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체인(17)은 제1 와이어 케이블에 대하여 회전 반경이 짧기 때문에 작은 직경의 도르래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체 실린더(13)에 유압 또는 공압이 가해져서 로드(13a)가 신장하면, 제1 체인(17)은 제1 이동 도르래(14), 제1 고정 도르래(15), 제2 고정 도르래(16)를 거쳐 후방문(20)을 잡아당긴다. 따라서 장갑차의 후방문(20)은 자중 모멘트를 이기고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유체 실린더(13)에 가해졌던 유압 또는 공압이 해제되면 후방문(20)의 자중에 의해 후방문(20)이 아래로 회동하여 제1 체인(17)을 잡아당기고, 제1 체인(17)은 제2 고정 도르래(16), 제1 고정 도르래(15), 제1 이동 도르래(14)를 거쳐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를 수축시킨다.
유체 실린더(13)는 차량 문 개폐장치의 동력원으로서,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유체 실린더(13)로서 어느 것을 사용할지는 작동하고자 하는 문(20)의 중량, 설치 공간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며, 장갑차의 후방문(20)에는 유체 실린더(13)로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의 타측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량 문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는 가이드 브래킷(21), 가이드 바(22), 스톱퍼(22a), 코일 스프링(23), 제2 이동 도르래(24), 제1 고정 도르래(25), 제2 고정 도르래(26), 제2 체인(27)을 구비한다. 이때, 제2 체인(27) 대신에 제2 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이드 브래킷(21)은 차량의 고정부, 예를 들면 차체(10)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브래킷(21)의 내부에는 중공(cavity)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을 관통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 바(22)가 중공 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 바(22)의 제1 단에는 스톱퍼(22a)가 장착되고, 제2 단에는 제2 이동 도르래(24)가 장착된다. 스톱퍼(22a)는 제2 이동 도르래(24)보다 차량의 문에서 멀리 있도록 배치된다.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에는 가이드 바(22)를 감싸도록 코일 스프링(23)이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은 각각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에 접하도록 고정되며,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축방향 길이는 차량의 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차량의 문(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길다. 제2 체인(27)의 일단은 차량의 고정부에 고정된 제2 고정 브래킷(28)에 결합되고, 제2 체인(27)은 제2 이동 도르래(24), 제1 고정 도르래(25) 및 제2 고정 도르래(26)를 순차적으로 거쳐 차량의 문(20)에 고정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차량 문 개폐장치에서 문(20)의 개방 각도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가이드 바(22)가 차량 문(20)에서 먼쪽으로 최대로 이동하여 있고,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은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에 고정되므로 코일 스프링(23)은 자유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더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복원력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에는 수축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그로 인하여 가이드 바(22)에 고정된 스톱퍼(22a)와 제2 이동 도르래(24)에는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은 후방문(20)을 아래쪽으로 열리게 하는 모멘트(Mk1)를 생성한다.
한편, 차량의 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문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문(20)을 개방하기 위하여 유체 실린더(13)에 가해졌던 유압 또는 공압이 해제되면 문(20)의 자중에 의하여 유체 실린더(13)의 로드(13a)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이 로드(13a)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복원력은 개방 초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자중 모멘트(Mm1)를 증가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개방 초기의 개방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5b는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와 동일하게 될 때의 배치를 보여준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23)은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문(20)의 자중 모멘트(Mm2)에 어떠한 힘을 부가하지 않는다.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 및 탄성 계수에 따라서 자중 모멘트에 부가되는 힘의 작용이 만료되는 시점 및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23)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자중 모멘트에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이 오랫동안 작용하며, 탄성 계수가 커질수록 자중 모멘트에 부가되는 복원력의 크기가 증대된다.
도 5b의 상태에서 문(20)이 더 개방되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0)이 완전히 열리기까지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3)이 압축된 상태이므로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에는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를 늘리는 방향으로 복원력(탄성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이드 바(22)와 제2 이동 도르래(24)에는 좌측, 즉 도 3에 도시된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유체 실린더(13)의 로드(13a)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의 코일 스프링(23)의 탄성력은 차량의 문(20)을 닫도록 작용하는 모멘트(Mk2)를 생성한다. 따라서 지면 접촉 시점에서의 과도한 자중 모멘트(Mm3)로 인한 문(20)의 개방 속도를 줄이고, 문(20)과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발생한 탄성력이 문(20)의 개방 초기에는 자중 모멘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문(20)의 개방 후기에는 자중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므로 문(20)이 개방되는 시기 동안 유체 실린더(13)에 걸리는 축하중의 변동이 감소된다. 따라서 차량 문(20)의 상하 개폐 동작이 원활해진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축방향 길이가 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가이드 브래킷(21)과 스톱퍼(22a) 사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문(20)의 개방 초기에는 자중 모멘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23)의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문(20)의 개방 속도를 증가시키지는 못하지만, 문(20)이 많이 열려 자중 모멘트가 과도하게 커져서 문(20)과 지면과의 접촉 충격을 줄이고, 유체 실린더(13)에 걸리는 축하중의 변동률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차량 문 개폐장치의 다른 변형예에서의 문(20)의 개방 각도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는 차량의 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차량의 문(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길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23)의 일단은 가이드 브래킷(21)이 고정되고, 타단은 스톱퍼(22a)에 접촉하지 않고 자유 상태로 놓여져 있다.
먼저, 도 6a와 같이 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문(20)이 열리기 시작할 때에는 제2 체인(27)에 연결된 제2 이동 도르래(24)가 우측, 즉 차량의 문(20)쪽으로 이동하므로 가이드 바(22)와 스톱퍼(22a)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톱퍼(22a)는 코일 스프링(23)을 압축하지 않으므로 코일 스프링(23)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도 발생하지 않고, 그 결과 자중 모멘트(Mm1)에 어떠한 힘도 부가되지 않는다.
문(20)이 조금 더 개방되어 도 6b와 같이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도, 코일 스프링(23)은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문(20)의 자중 모멘트(Mm2)에 어떠한 힘을 부가하지 않는다.
도 6b의 상태에서 문(20)이 더 개방되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0)이 완전히 열리기까지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3)이 압축된 상태이므로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에는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를 늘리는 방향으로 복원력(탄성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이드 바(22)와 제2 이동 도르래(24)에는 좌측, 즉 도 3에 도시된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 힘은 문(20)을 닫히게 하는 모멘트(Mk1)를 발생시킨다.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의 코일 스프링(23)의 탄성력은 차량의 문(20)을 닫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지면 접촉 시점에서의 과도한 자중 모멘트(Mm3)로 인한 개방 속도를 줄이고, 문(20)과 지면과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 및 탄성 계수에 따라서 자중 모멘트에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가해지는 시점 및 상기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23)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자중 모멘트를 줄이는 방향으로의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이 오랫동안 작용하며, 탄성 계수가 커질수록 자중 모멘트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의 크기가 증대된다.
이와 같이, 문(20)의 개방 초기에는 순수하게 자중 모멘트(Mm1)에 의하여 문(20)이 개방되고, 문(20)의 개방 후기에는 자중 모멘트(Mm3)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문(20)의 개방 속도가 감소된다. 그러므로 문(20)이 개방되는 시기 동안 유체 실린더(13)에 걸리는 축하중의 변동이 감소된다. 따라서 차량 문(20)의 상하 개폐 동작이 원활해진다.
도 6a에는 코일 스프링(23)의 일단이 가이드 브래킷(21)에 접촉하는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코일 스프링(23) 의 일단이 스톱퍼(22a)에만 접촉하는 경우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의 문(20)의 개방 각도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이동 도르래(24)가 스톱퍼(22a)보다 차량의 문(20)에서 멀리 있도록 배치되며,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는 차량의 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고, 차량의 문(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으며,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은 각각 가이드 브래킷(21)과 스톱퍼(22a)에 접촉하도록 고정된다.
먼저, 도 7a와 같이 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가이드 바(22)가 차량 문(20)에서 먼쪽으로 최대로 이동해 있고,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은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에 고정되므로 코일 스프링(23)은 자유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더 줄어든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복원력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에는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를 늘리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그로 인하여 가이드 바(22)에 고정된 스톱퍼(22a)와 제2 이동 도르래(24)는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즉, 문(20)을 개방하기 위하여 차량의 타 측에 설치된 유체 실린더(13)에 가해졌던 유압 또는 공압이 해제되어 문(20)의 자중에 의하여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 또한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문(20)을 열리게 하는 모멘트(Mk1)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은 개방 초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자중 모멘트(Mm1)를 증가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개방 초기의 개방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7b는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와 동일하게 될 때의 배치를 보여준다. 코일 스프링(23)은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문(20)의 자중 모멘트(Mm2)에 어떠한 힘을 부가하지 않는다. 자유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23)의 길이 및 탄성 계수에 따라서 자중 모멘트에 부가되는 힘의 작용이 만료되는 시점 및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23)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자중 모멘트에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이 오랫동안 작용하며, 탄성 계수가 커질수록 자중 모멘트에 부가되는 복원력의 크기가 증대된다.
도 7b의 상태에서 문(20)이 더 개방되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0)이 완전히 열리기까지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3)이 신장된 상태이므로 코일 스프링(23)의 양단에는 스톱퍼(22a)와 가이드 브래킷(2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줄이는 방향으로 복원력(탄성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이드 바(22)와 제2 이동 도르래(24)에는 좌측, 즉 차량의 타 측에 있는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유체 실린더의 로드(13a)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의 코일 스프링(23)의 탄성력은 차량의 문(20)을 닫도록 작용하는 모멘트(Mk3)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지면 접촉 시점에서의 과도한 자중 모멘트(Mm3)로 인한 개방 속도를 줄이고, 문(20)과 지면과의 접촉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발생한 탄성력이 문(20)의 개방 초기에는 자중 모멘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문(20)의 개방 후기에는 자중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므로 문(20)이 개방되는 시기 동안 유체 실린더(13)에 걸리는 축하중의 변동이 감소된다. 이것은 유체 실린더(13)에 걸리는 부하의 변동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량 문(20)의 상하 개폐 동작이 원활해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차량의 문 개폐장치는 장갑차의 후방문(20)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기의 문, 비행기의 화물칸 문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문 개폐장치는 차량의 좌우측 중 일 측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이 문의 개방 초기에는 문의 자중 모멘트를 증가시키도록 작용하며, 문의 개방 후기에는 문의 자중 모멘트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문의 초기 개방 속도를 증가시켜 문을 신속하게 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문이 완전히 열려서 지면과 접촉할 때의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문과 지면과의 접촉 충격을 감소시키고, 실린더에 걸리는 축하중의 변화를 감소시켜 문의 상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 단이 차량의 좌우측 중 일측 고정부에 결합되며, 제2 단에 제1 이동 도르래가 연결된 유체 실린더;
    제1 단이 상기 차량의 일측 고정부에 고정된 제1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며, 제2 단이 적어도 상기 제1 이동 도르래에 걸린 후 상기 차량의 문에 연결되는 제1 체인 또는 제1 와이어 케이블;
    상기 차량의 좌우측 중 타측 고정부에 설치된 가이드 브래킷을 관통하며, 제1 단에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제2 단에는 제2 이동 도르래가 연결된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를 감싸며,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 및
    제1 단이 상기 차량의 타측 고정부에 고정된 제2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며, 제2 단이 적어도 상기 제2 이동 도르래에 걸린 후 상기 차량의 문에 연결되는 제2 체인 또는 제2 와이어 케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장갑차이며, 상기 문은 상기 장갑차의 후방문인 차량 문 개폐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스톱퍼가 상기 제2 이동 도르래보다 상기 차량의 문에서 멀리 있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각 단은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각각 접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 항에 있어서,
    자유 상태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긴 차량의 문 개폐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 항에 있어서,
    자유 상태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차량의 문 개폐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 항에 있어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 항에 있어서,
    자유 상태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길며,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 단만 상기 스톱퍼에 접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도르래가 상기 스톱퍼보다 상기 차량의 문에서 멀리 있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각 단은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각각 접하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 항에 있어서,
    자유 상태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고, 상기 차량의 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스톱퍼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차량의 문 개폐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이고, 상기 유체 실린더에 유압이 가해지면 상기 유체 실린더의 제2 단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유체 실린더에 유압이 해제되면 상기 차량 문의 자중에 의해 상기 차량 문의 상단이 아래로 회전하여 열리는 차량의 문 개폐장치.
KR1020070005669A 2007-01-18 2007-01-18 차량 문 개폐장치 KR10123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669A KR101237961B1 (ko) 2007-01-18 2007-01-18 차량 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669A KR101237961B1 (ko) 2007-01-18 2007-01-18 차량 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222A KR20080068222A (ko) 2008-07-23
KR101237961B1 true KR101237961B1 (ko) 2013-02-27

Family

ID=3982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669A KR101237961B1 (ko) 2007-01-18 2007-01-18 차량 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644A (zh) * 2015-12-30 2017-07-07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伸缩机构以及包括该伸缩机构的设备
CN113811108B (zh) * 2020-06-11 2023-03-21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机箱门铰链结构及机箱门开闭方法
KR102233406B1 (ko) * 2021-01-28 2021-03-30 일성보산업(주) 수평 구조의 유압식 가동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470A (ja) 1999-08-31 2001-03-13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JP2001132327A (ja) 1999-10-29 2001-05-15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20020050342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카고스크린 연동구조
WO2005108732A2 (en) 2004-05-04 2005-11-17 Albany International Corp. High load operation of an industrial roll do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470A (ja) 1999-08-31 2001-03-13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JP2001132327A (ja) 1999-10-29 2001-05-15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20020050342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카고스크린 연동구조
WO2005108732A2 (en) 2004-05-04 2005-11-17 Albany International Corp. High load operation of an industrial roll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222A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8116C (en) Device for prevention of door opening during roll-over
US7073846B2 (en) Bonnet lift with actuator fitted with a hook latching system
JP6552522B2 (ja) 自動車の閉鎖部材用のばね駆動装置
JP2015074441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装置
KR101237961B1 (ko) 차량 문 개폐장치
JP6717472B2 (ja) 車両ルーフ用カバーを備えた装置
JPWO2013031553A1 (ja) 車両用ドア装置
US11192753B2 (en) Remote triggering device, governor assembly and elevator
CN111377333A (zh) 电梯轿厢停驻制动器
KR101491316B1 (ko) 차량용 액티브후드 구동 장치
KR101713912B1 (ko) 차량 차단기
CN209872091U (zh) 一种电梯门系统
KR101228318B1 (ko) 차량 문 개폐장치
KR100387882B1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구조
KR100527142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JP644483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7464961B2 (ja) 制動装置、片方向制動装置、双方向制動装置、片方向制動ユニット、双方向制動ユニット、片方向制動ユニット付き引戸、双方向制動ユニット付き引戸
KR0154057B1 (ko) 자동차의 미닫이형 도어 개폐 내구 시험기
WO2019003344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エレベータドアのリンク
JPH11117599A (ja) 昇降折戸装置
KR20090116411A (ko) 핸드 브레이크 장치
KR102020884B1 (ko) 보행자 보호용 후드힌지장치
KR100380470B1 (ko) 자동차 후드의 에어가이드 작동장치
KR101336519B1 (ko) 건설장비 운전석의 전면 슬라이딩 창 개폐보조장치
KR101091677B1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