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350B1 -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350B1
KR0152350B1 KR1019950026970A KR19950026970A KR0152350B1 KR 0152350 B1 KR0152350 B1 KR 0152350B1 KR 1019950026970 A KR1019950026970 A KR 1019950026970A KR 19950026970 A KR19950026970 A KR 19950026970A KR 0152350 B1 KR0152350 B1 KR 015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diting
key
edito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128A (ko
Inventor
한병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350B1/ko
Publication of KR97001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95Matching the image with the size of the copy material, e.g. by calculating the magnification or selecting the adequate copy material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털 복사기의 화상편집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모니터상에서 화상을 편집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원고를 이미지 에디터화면의 편집기에서 에디터 영역을 지정한 뒤 상기 지정한 영역에 대해서 화상편집을 하여 출력한다.
4. 발명이 중요한 용도
디지털 복사기의 화상편집

Description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디지털 복사기의 조작판넬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디지털 복사기에서 화상편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편집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유저화면의 일례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에디터화면의 일례도.
제7도는 제6도에서의 화상을 편집한 나타내는 일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털 복사기 110 : 스캐너
120 : 페이지 메모리 130 : 프린팅부
200 : 화상편집 제어장치 210 : 모니터
220 : 인터페이스 230 : 이미지 에디터
240 : 메모리 25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털 복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상에서 화상을 편집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디지털 복사기는 화상편집을 위한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조작판넬을 가지고 있다. 상기 조작판넬에 대한 설명은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049,933호에 나타나 있다. 상기 조작판텔의 편집부(510)는 좌표센서를 가지고 있으며, 마그네틱 펜과 같은 특정수단을 가지고 좌표를 지정하거나 좌표값을 찾을 수 있다. 화상 데이타를 편집하고 복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편집부(510) 위에 원고를 고정시키고 난 뒤, 상기 마그네틱 펜으로 상기 원고에 편집하고자 하는 좌표를 설정한 후 마스킹이나 트리밍과 같은 화상편집을 한다. 예를 들어 제2도에 화상편집기능중 화상데이타를 마스킹하는 편집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원고를 상기 편집기(510)에 고정시키고 상기 마그네틱펜을 이용하여 마스킹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제2도의 (2a)에서 좌상귀(A)와 우하귀(B)의 2점을 선택한다. 이후 원고를 편집하여 상기 제2도의 (2b)와 같은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그런데 영역설정에 있어서 마그네틱 펜과 같은 특정한 장치로 단순히 점을 찍어서 영역을 결정하므로 정교한 영역설정이 이루어 지지 않으며, 원고를 편집기에서 스캐너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상에서 화상을 편집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스캐닝 데이타로 출력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저장하는 페이지 메모리수단과; 이미지 데이타키와 마스킹키와 이미지 완료키와 복사키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키들의 입력에 대응하는 여러가지 편집기능을 가지고 있는 화상편집수단과;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 편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소정 편집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화상편집에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여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화면으로 출력한 화면출력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편집방법이 스캐너를 통하여 화상편집할 원고를 스캐닝하여 그래픽 유저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그래픽 유저화면에서 이미지 에디터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에디터 화면을 출력한 뒤 상기 원고를 상기 이미지 에디터 화면에 나타내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에디터 화면에서 소정 화상 편집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원고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원고를 복사하거나 또는 소정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스캐너(110)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스캐닝 데이타로 출력하고, 페이지 메모리(120)는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저장한다.
이미지 에디터(230)는 이미지 데이타키와 마스킹키와 이미지 완료키와 복사키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키들의 입력에 대응하는 여러가지 편집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240)는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 편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50)는 상기 소정 편집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화상편집에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220)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고, 모니터(210)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여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편집방법을 나타내는 일례의 흐름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유저화면의 일례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에디터화면의 일례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서의 편집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제3도 - 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편집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30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스캐너(110)에 화상편집할 원고가 있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편집할 원고가 있는 것으로 검사되면 3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스캐너(110)가 상기 편집할 원고를 스캐닝하여 발생한 스캐닝데이타를 페이지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것을 제어한 뒤 3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모니터(210)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그래픽 유저화면을 출력한 뒤 3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3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이미지 에디터(230)에 이미지 에디터키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이미지 에디터키다 입력된 것으로 검사되면 34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40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에디터(230)는 상기 이미지 에디터키에 의해 발생되는 이미지 에디터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에디터화면을 상기 모니터(210)에 출력한 뒤 3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5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이미지 에디터화면의 편집기에 상기 스캐닝 된 원고를 출력한 뒤 36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6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편집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원고의 에디터영역을 지정받은 후 370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370과정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이미지 에디터 화면에 마스킹키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마스킹키가 입력된 것으로 검사되면 38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8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편집기에서 나타나 있는 원고의 에디터 영역을 마스킹한 뒤 39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9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이미지 에디터 완료키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이미지 에디터 완료키가 입력된 것으로 검사되면 4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이미지 에디터 화면을 상기 그래픽 유저화면으로 전환한 뒤 4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복사키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사하여 복사키가 입력된 것으로 검사되면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상기 마스킹한 원고를 프린팅부(130)를 통하여 복사한 후 4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30단계에서 제어부(250)는 그래픽 유저종료키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종료키가 입력된 것으로 검사되면 상기 원고의 화상편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상에서 편집한 화상을 그대로 프린팅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디지털 복사기의 화상편집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스캐닝하여 스캐닝 데이타로 출력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저장하는 페이지 메모리수단과; 이미지 데이타키와 마스킹키와 이미지 완료키와 복사키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키들의 입력에 대응하는 여러가지 편집기능을 가지고 있는 화상편집수단과;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 편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소정 편집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화상편집에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여 상기 스캐닝 데이타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사기의 화상편집장치.
  2. 디지털 복사기의 화상편집장치의 화상편집방법에 있어서, 스캐너를 통하여 화상편집할 원고를 스캐닝하여 그래픽 유저화면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그래픽 유저화면에서 이미지 에디터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 에디터 화면을 출력한 뒤 상기 원고를 상기 이미지 에디터 화면에 나타내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에디터 화면에서 소정 화상 편집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원고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원고를 복사하거나 또는 소정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편집방법.
KR1019950026970A 1995-08-28 1995-08-28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KR015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970A KR0152350B1 (ko) 1995-08-28 1995-08-28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970A KR0152350B1 (ko) 1995-08-28 1995-08-28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28A KR970011128A (ko) 1997-03-27
KR0152350B1 true KR0152350B1 (ko) 1998-12-15

Family

ID=1942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970A KR0152350B1 (ko) 1995-08-28 1995-08-28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372B1 (ko) * 1999-07-10 2006-04-11 조인호 원고내용 기록 및 재생수단이 마련된 디지털 복사기
US7558511B2 (en) 2004-05-12 2009-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editing function, and multi functional peripheral using the scann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333A (ko) * 2001-12-10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편집 기능을 갖는 데이타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데이타편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372B1 (ko) * 1999-07-10 2006-04-11 조인호 원고내용 기록 및 재생수단이 마련된 디지털 복사기
US7558511B2 (en) 2004-05-12 2009-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editing function, and multi functional peripheral using the scan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28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707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71187B2 (ja) 画像記録装置
JPH02307795A (ja) Icカード
KR0152350B1 (ko) 디지털 복사기에서의 화상편집장치 및 그 방법
US4947444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051907A (ja) 画像形成装置
JP2661031B2 (ja) 画像編集装置
JP2771563B2 (ja) 画像レイアウト装置
JP2502301B2 (ja) 複写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装置
KR100263044B1 (ko) 화상 처리 장치에서 패턴 정보 설정 방법
JPH0648517Y2 (ja) 複写機
JPS6299769A (ja) アナログ複写機の画像編集入力装置
JPS6212279A (ja) 原稿読取装置
JP2710635B2 (ja) 画像読取装置
JP2597586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30047333A (ko) 편집 기능을 갖는 데이타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데이타편집방법
JP2972224B2 (ja) 文書処理方法
JPH0550572A (ja) 画像装飾編集方法および画像装飾編集処理装置
JPH06164892A (ja) 編集機能を備えた複写機
JPH09319885A (ja) 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S59112761A (ja) 書画読取編集方式
JPH0440553A (ja) 文書処理装置
JPH03282589A (ja) 文書作成装置
JPH04181381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H0991398A (ja) イメー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