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914B1 -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914B1
KR0151914B1 KR1019950053179A KR19950053179A KR0151914B1 KR 0151914 B1 KR0151914 B1 KR 0151914B1 KR 1019950053179 A KR1019950053179 A KR 1019950053179A KR 19950053179 A KR19950053179 A KR 19950053179A KR 0151914 B1 KR0151914 B1 KR 0151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tocol
processor
memory
data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정식
유재호
김상중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5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914B1/ko

Links

Landscapes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에서 프로토콜 변환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타 처리시간을 줄이도록 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로세서 A(21)가 전송해야 할 데이타가 있으면 데이타 처리부(22)에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하여 할당된 메모리(27)에 데이타를 저장하게 하는 제1단계; 프로토콜 처리부(23)가 상기 메모리(27)에 저장된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여 프로토콜 A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2단계;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 프로토콜 처리부(26)에서 메모리(27) 시작위치를 수신한 프로세서 B(24)가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여 프로토콜 B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데이타 처리 과정을 줄여 보다 많은 데이타의 효과적인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일반적인 통신장치에서의 프로토콜 변환에서 일어나는 속도 저하를 해결하여 고속통신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프로토콜 변환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변환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공통 데이타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변환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프로세서 A 24 : 프로세서 B
22,25 : 데이타 처리부 23,26 : 프로토콜 처리부
27 : 메모리
본 발명은 프로토콜 변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통신 장치에서 프로토콜 변환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타 처리시간을 줄이도록 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통신장치의 프로토콜 변환방법에서는 프로토콜마다 각각의 데이타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을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타의 복사 과정이 필요하므로 속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방법을 고속 통신 장치에서 사용할 때는 단일 메모리를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단일 메모리 내에서의 데이타 복사 과정 때문에 고속통신에는 적절하지 않다.
제1도는 일반적인 프로토콜 변환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프로토콜 A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A(11)의 데이타 처리부(12)에서는 메모리(17)를 할당받아 데이타(18)를 저장하며, 프로토콜 처리부(13)에 메모리(17)의 위치를 알려준다.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13)는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18)에 프로토콜 A의 헤더를 붙여 프로토콜 A 데이타를 생성한 후, 프로토콜 B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B(14)에게 프로토콜 A 데이타의 메모리 위치를 알려준다. 프로세서 B(14)의 데이타 처리부(15)에서 메모리를 할당받아 프로토콜 A 데이타로부터 데이타 부분만을 복사한 후, 프로토콜 처리부(16)에서 프로토콜 B의 헤더를 붙임으로써 프로토콜을 변환시킨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프로토콜 변환시 단일 메모리를 사용한다 할지라도 단일 메모리내에서 데이타의 복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또 그만큼의 메모리를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방식은 통신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결국 고 속의 통신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프로토콜마다 각각의 구조를 가지므로 프로토콜 변환시 메모리 내에서 데이타의 복사과정이 필요하여 통신성능에 영향을 미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타 처리 시간을 줄임으로써 속도를 향상시키고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토콜 A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A와, 상기 프로세서 A에 연결된 데이타 처리부 및 프로토콜 처리부와, 프로토콜 B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B와, 상기 프로세서 B에 연결된 데이타 처리부 및 프로토콜 처리부와, 메모리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장치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변환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 A가 전송해야 할 데이타가 있으면 데이타 처리부에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하여 할당된 메모리에 데이타를 저장하게 하는 제1단계; 프로토콜 처리부가 상기 데이타 처리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여 프로토콜 A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2단계;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메모리 시작위치를 수신한 프로세서 B가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여 프로토콜 B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프로토콜 A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A(21)의 데이타 처리부(22)에서는 메모리(27)를 할당받아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저장하며, 프로토콜 처리부(23)에 메모리(27)의 위치를 알려준다.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23)는 메모리(2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에 프로토콜 A의 헤더를 붙여 프로토콜 A 데이타를 생성한 후, 프로토콜 B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B(24)에게 넘긴다.
상기 프로세서 B(24)의 데이타 처리부(25)는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세이타가 저장된 위치를 확인하면 프로토콜 처리부(26)가 그 앞에 자신의 헤더인 프로토콜 B 헤더를 덮어씌워 프로토콜 B 데이타로 변환한다.
다시 말하면, 프로토콜들이 각각의 데이타 구조를 가지도, 공통의 데이타 구조를 사용하여 프로토콜 헤더만을 변경하도록 하고 메모리 내에서의 데이타 복사과정을 제거하므로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3도는 제2도의 공통 데이타 구조도로서, 메모리(27)내에 오프셋(offset) 필드와 프로토콜 A 헤더 필드 및 데이타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토콜 A 헤더 필드는 프로토콜 B 헤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토콜 A에서 프로토콜 B로의 프로토콜 변환시에는 데이타만이 전달되어야 한다. 이 때, 필요한 데이타를 복사 과정없이 교환하려면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될 데이타가 저장된 곳은 고정시켜 두고,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offset)에 데이타가 저장된 위치를 넣어 변환시키려고 하는 프로토콜 B의 프로세서 B(24)에게 넘긴다. 이 프로세서 B(24)는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offset)으로 데이타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데이타 앞에 자신의 프로토콜 B 헤더를 붙일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변환 처리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A(21)가 전송해야 할 데이타가 있으면(401), 프로세서 A가 구동되어(402), 데이타 처리부(22)로 하여금 공통 데이타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27)를 할당 받고(403), 상기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에 데이타가 저장된 위치를 써 넣어 데이타를 저장하게 한다(404).
상기 데이타 처리부(22)가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offset)을 이용하여 데이타의 저장 위치를 프로토콜 처리부(23)에게 알려주면(405),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23)는 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의 시작 위치를 수신하여(406),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고(407), 데이타의 앞에 프로토콜 A의 헤더를 붙여 프로토콜 A 데이타를 생성한다(408).
이 때,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409), 프로토콜 처리부(26)에서 메모리 시작 위치를 프로세서 B(24)에게 전달하여(410), 공통 데이타 구조의 위치를 알리면 프로세서 B(24)가 구동되고(411), 상기 프로세서 B(24)는 데이타 처리부(25)에 의해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offset)으로부터 전송 데이타가 저장된 위치를 파악한다(412).
프로토콜 처리부(26)는 프로토콜 B의 데이타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타 앞에 헤더를 붙여 프로토콜 B 데이타를 생성한 후(413), 프로토콜 B 데이타를 전송한다(414).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은 데이타 처리 과정을 줄여 보다 많은 데이타의 효과적인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속 통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통신장치에서의 프로토콜 변환에서 일어나는 속도 저하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고속통신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Claims (5)

  1. 프로토콜 A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A(21)와, 상기 프로세서 A(21)에 연결된 데이타 처리부(22) 및 프로토콜 처리부(23)와, 프로토콜 B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B(24)와, 상기 프로세서 B(24)에 연결된 데이타 처리부(25) 및 프로토콜 처리부(26)와, 메모리(27)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장치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변환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 A(21)가 전송해야 할 데이타가 있으면 데이타 처리부(22)에서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하여 할당된 메모리(27)에 데이타를 저장하게 하는 제1단계; 프로토콜 처리부(23)가 상기 데이타 처리부(22)를 통해 상기 메모리(27)에 저장된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여 프로토콜 A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2단계; 및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 프로토콜 처리부(26)에서 메모리(27) 시작위치를 수신한 프로세서 B(24)가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여 프로토콜 B 데이타를 생성하게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구조는, 메모리(27)내에 오프셋(offset) 필드와 프로토콜 A 헤더 필드 및 데이타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토콜 A 헤더 필드는 프로토콜 B 헤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프로세서 A(21)가 전송해야 할 데이타가 있으면 프로세서 A(21)가 구동되는 제4단계; 데이타 처리부(22)가 공통 데이타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27)를 할당받는 제5단계; 및 상기 메모리(27)에 데이타를 저장하되,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 필드에 데이타가 저장된 위치를 써 넣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타 처리부(22)가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offset)을 이용하여 데이타의 저장 위치를 프로토콜 처리부(23)에게 알리는 제4단계;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23)가 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의 시작 위치를 수신하여 전송 데이타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데이타의 앞에 프로토콜 A의 헤더를 붙여 프로토콜 A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 프로토콜 처리부(26)에서 메모리 시작 위치를 프로세서 B(24)에게 전달하여 공통 데이타 구조의 위치를 알리면 프로세서 B(24)가 구동되는 제4단계; 상기 프로세서 B(24)가 데이타 처리부(25)에 의해 공통 데이타 구조의 오프셋(offset) 필드로 부터 전송 데이타가 저장된 위치를 파악하는 제5단계; 및 프로토콜 처리부(26)가 프로토콜 B의 데이타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타 앞에 헤더를 붙여 프로토콜 B 데이타를 생성하고 프로토콜 B 데이타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KR1019950053179A 1995-12-21 1995-12-21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KR0151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179A KR0151914B1 (ko) 1995-12-21 1995-12-21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179A KR0151914B1 (ko) 1995-12-21 1995-12-21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1914B1 true KR0151914B1 (ko) 1998-11-02

Family

ID=1944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179A KR0151914B1 (ko) 1995-12-21 1995-12-21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716A (ko) * 1998-09-04 2000-04-06 윤종용 무선 데이터 통신 처리 장치의 속도 적응 처리부와 보드메신저 처리부 사이의 인터페이스 방법
US10159018B2 (en) 2015-08-21 2018-12-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Data processing method for accommodating legacy network service in 4G or next generation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716A (ko) * 1998-09-04 2000-04-06 윤종용 무선 데이터 통신 처리 장치의 속도 적응 처리부와 보드메신저 처리부 사이의 인터페이스 방법
US10159018B2 (en) 2015-08-21 2018-12-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Data processing method for accommodating legacy network service in 4G or next generation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703766A (ko) 호스트 지시 조합을 구비하는 장치(a device with host indication combination)
US20060236001A1 (en)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EP1033657B1 (en) Packet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manager means for managing packet labels
KR0151914B1 (ko) 공통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방법
US6496487B2 (en) Efficient full duplex simultaneous message transfer
WO2022127448A1 (zh) 消息传输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6731395B1 (en) Network printer with watch dog timer
KR100259345B1 (ko) 직병렬데이터전송을위한적응가능한인터페이스회로
JPH04108242A (ja) 通信制御装置のデータ転送方式
JP3222697B2 (ja) 印字データ送信方法
JPS634216B2 (ko)
KR0154617B1 (ko) 단일 메모리를 사용하는 고속 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981334A (ja) 情報処理装置並びに情報処理装置のデータ転送方法
KR100211046B1 (ko) 교환기 시험환경에서 사용자와 칠(chill) 프로세스 간의 통신 방법
JPH11328102A (ja) バ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バス制御方法
JPS5824254A (ja) パケツトバツフアフリ−方式
KR19990079650A (ko) 두 프로세서 간 데이터 통신시 패킷을 사용한 가변길이 데이터처리방법
JP3269293B2 (ja) 出力制御装置
JPH04331535A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
KR19990018119A (ko) 비동기 시리얼 통신 방식에 따른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방법
JPH04936A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JPH0758762A (ja) データ転送方式
JP2001005742A (ja) データ転送方式
JPH1153131A (ja) 印刷装置
KR19990051717A (ko) 병렬처리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메시지의 송 수신 시간단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