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805B1 -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805B1
KR0151805B1 KR1019930032033A KR930032033A KR0151805B1 KR 0151805 B1 KR0151805 B1 KR 0151805B1 KR 1019930032033 A KR1019930032033 A KR 1019930032033A KR 930032033 A KR930032033 A KR 930032033A KR 0151805 B1 KR0151805 B1 KR 015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prockets
right sensor
vehic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52A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3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805B1/ko
Publication of KR95001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electr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8Automatic calibration of motor-driven means for adjusting headlamps, i.e. when switching on the headlamps, not during mounting at fac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2Road surface or travel path
    • B60Q2300/322Road curv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샤프트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1,2스프로킷과, 제1,2스프로킷과 각각 이 맞물림 되는 제3,4스프로킷이 마련되며 내측면에 접점이 형성된 좌,우 센서판과, 좌,우 센서판 사이에 개재되고 그 양측면에 좌,우 센서판의 접점과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감지센서가 그 양측면에 각각 교호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고정원판과, 감지센서와 접점의 접촉에 따라 구동되어 그 회전축의 워웜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일측에 마련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콘트롤 릴레이와, 전조등을 지지하는 브라켓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며 모터의 회전축의 워웜과 이 맞물림되어 브라켓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워웜휠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차량이 곡선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그 회전방향과 동방향으로 전조등이 조사각도가 가변화 되므로서 결과적으로 안정된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주므로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고급승용차 뿐만 아니라 전차종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다른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a)(b)(c)는 좌,우 센서판과 고정원판을 발체하여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티어링 샤프트 20,30,42,52 : 제1,2,3,4스프로킷
40,50 : 좌,우 센서판 41,51 : 접점
60 : 고정원판 61 : 감지센서
70 : 워웜 80 : 브라켓
90 : 워웜 휠 100 : 콘트롤 릴레이
M : 모터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조등의 조사방향으로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등화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등화장치로는 조명용, 표시용, 신호용, 경고용 등화장치가 있는 바, 특히 조명용 등화장치로는,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등이 있다.
이때 특히 전조등은, 야간에 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조명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조등은 야간에 운전자에게 충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주므로서 안전한 운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전조등은 곡선도로를 주행함에 있어 제구실을 즉, 충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차량이 곡선도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전조등의 조사방향은 전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조등은 차체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곡선도로상의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주지 못하므로서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특히 산악길등 급커브를 이루고 있는 지역에서 더욱 심각하게 대두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중앙제어장치(ECU)를 통해 차량의 회전정도를 감지하여 전조등의 조사방향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중앙제어장치를 통해 차량의 회전정도를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주로 고급 승용차에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곡선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차량이 곡선도로를 따라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전조등의 조사방향이 가변적으로 변화되므로서 충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에 의해 감싸여진 채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1,2스프로킷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제1,2스프로킷과 각각 이 맞물림 되는 제3,4스프로킷이 그 중심내면에 마련되며 서로 대응되는 내측면에 접점이 형성된 좌,우 센서판과, 상기 좌,우 센서판 사이에 개재되고 그 양측면에 좌,우 센서판의 접점과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는 감지센서가 그 양측면에 각각 교호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되는 고정원판과, 상기 고정원판의 감지센서와 좌,우 센서판의 접촉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그 회전축의 워웜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마련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콘트롤 릴레이와, 전조등을 지지하는 브라켓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모터 회전축의 워웜과 이 맞물림되어 브라켓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워웜휠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을 회전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전조등의 조사각도가 변화되므로서 즉, 차량의 회전방향으로 전조등의 조사방향이 변화되므로서 결과적으로 안정된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제2도는 (a)(b)(c)는 좌,우 센서판과 고정원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는, 스티어링 컬럼(11)에 의해 감싸여진 채 스티어링 휠(12)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외측면에는 소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1,2스프로킷(20,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스티어링 샤프트(10)에는 서로 대응되는 내측면에 각각 접점(41,51)이 형성된 좌,우 센서판(40,50)이 축 지지되는 바, 이 좌,우 센서판(40,50)의 중심 내면에는 전술한 제1,2스프로킷(20,30)과 각각 이 맞물림 되는 제3,4스프로킷(42,52)이 형성된다.
한편, 좌,우 센서판(40,50) 사이에는 그 양측면에 좌,우 센서판(40,50)이 접점(41,51)의 접점(41,51)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는 감지센서(61)가 각각 교호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고정원판(60)이 개재되는 바, 이 고정원판(60)은 스티어링 샤프트(10)를 감싸고 있는 스티어링 컬럼(11)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원판(60)은 스티어링 휠(1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전술한 고정원판(60)의 감지센서(61)와 좌,우 센서판(40,50)의 접점(41,51)의 선택적인 접촉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M)가 구비되는 바, 이 모터(M)의 회전축에는 워엄(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워엄(70)은 전조등(미도시)을 감싸고 있는 브라켓(8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워웜휠(90)과 이 맞물림된다.
한편, 전술한 모터(M)의 일측에는 모터(M)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콘트롤 릴레이(100)가 위치되는 바, 이 콘트롤 릴레이(100)를 통해서는 예컨대 좌,우 센서판(40,50)의 접점(41,51)과 고정원판(60)의 감지센서(61)의 접촉에 따라 즉, 어느 하나의 접점(41.51)과 감지센서(61) 중 어느 하나가 접촉함에 따라 모터(M)가 0.5도씩 회전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에 의하면, 먼저 자동차가 좌로 굽은 곡선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는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12)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스티어링 샤프트(10)과 동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에 의해서는 스티어링 샤프트(10)의 외측면에 마련된 스프로킷(20,30)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 즉, 좌측으로 방향성을 갖는 제1스프로킷(20)과 이에 이맞물림된 좌측 센서판(40)의 제3스프로킷(42)이 이 맞물림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2스프로킷(30)과 이에 이맞물림된 제4스프로킷(52)은 우방향성을 갖고 있는 것이어서, 서로 헛돌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1,3스프로킷(20,42)이 이맞물림되어 회전하게 되면, 좌측 센서판(40)의 접점(41)이 고정원판(60)의 일측면에 다수 마련된 감지센서(61)와 순차적으로 접촉되게 되고 동시에 콘트롤 릴레이(100)를 통해 모터(M)를 접점(41)과 감지센서(61)의 접촉갯수에 따라 0.5도씩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워웜(70)과 워웜 휠(90)을 좌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조등을 감싸고 있는 브라켓(80)을 좌측으로 이송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전조등은 차량의 회전 방향과 동방향으로 그 조사방향이 가변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이 우로굽은 곡선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좌로굽은 곡선도로를 주행하는 것과 반대로 제2스프로킷(30)과 제4스프로킷(52)이 이맞물림되어 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이하의 동작은 동일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곡선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그 회전방향과 동방향으로 전조등의 조사각도가 가변화되므로서 결과적으로 안정된 가시거리를 확보하여 주므로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고급승용차 뿐만 아니라 전차종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스티어링 컬럼에 의해 감싸여진 채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이의 외측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1,2스프로킷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제1,2스프로킷과 각각 이 맞물림되는 제3,4스프로킷이 그 중심내면에 마련되며 서로 대응되는 내측면에 접점이 형성된 좌,우 센서판과, 상기 좌,우 센서판 사이에 개재되고 그 양측면에 좌,우 센서판의 접점과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는 감지센서가 그 양측면에 각각 교호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되는 고정원판과, 상기 고정원판의 감지센서와 좌,우 센서판의 접촉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그 회전축의 워웜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마련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콘트롤 릴레이와, 전조등을 지지하는 브라켓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워웜과 이 맞물림되어 브라켓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워웜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KR1019930032033A 1993-12-31 1993-12-31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KR015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33A KR0151805B1 (ko) 1993-12-31 1993-12-31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033A KR0151805B1 (ko) 1993-12-31 1993-12-31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52A KR950017452A (ko) 1995-07-20
KR0151805B1 true KR0151805B1 (ko) 1998-10-01

Family

ID=1937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2033A KR0151805B1 (ko) 1993-12-31 1993-12-31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8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52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5199B2 (ja) 可変配光ヘッドランプ装置
KR100486003B1 (ko) 차량용헤드램프장치
JP3747738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H07186820A (ja)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KR980008783A (ko) 자동차 후진시의 코너링 보조장치와 그 작동방법
KR0151805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도 가변장치
JPH082316A (ja) 自動車用前照灯照射方向自動制御機構
JPH0574493B2 (ko)
JP2865545B2 (ja)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JPH0314743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KR100273795B1 (ko) 방향전환에 따른 시트 각도변환장치
KR102311637B1 (ko) 자동차 후미등
KR19980036210U (ko) 자동차 전조등 빔 레벨링 제어장치
KR100228105B1 (ko) 가변 리플렉터가 장착된 차량용 헤드램프
KR19980045704A (ko) 자동차의 조향방향에 따른 헤드램프의 점등장치
Dsouza et al. Adaptive headlight system
KR19990019793A (ko)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23444A (ko) 자동차의 좌우조향용 보조라이트
KR970074254A (ko) 자동차의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12797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자동조절장치
KR960039700A (ko) 가변이 용이한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구동장치
JP2004063088A (ja) 乗り物用前照灯
KR950024923A (ko) 자동차 전조등 구동장치 및 방법
KR19980039423U (ko) 전조등 조사각 조절장치
KR20040009276A (ko) 보조램프를 가지는 리플렉터 구동형 배광 가변 전조등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