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536B1 - 차량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536B1
KR0151536B1 KR1019950703503A KR19950073503A KR0151536B1 KR 0151536 B1 KR0151536 B1 KR 0151536B1 KR 1019950703503 A KR1019950703503 A KR 1019950703503A KR 19950073503 A KR19950073503 A KR 19950073503A KR 0151536 B1 KR0151536 B1 KR 015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e
predetermined time
timer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이소베
쓰게다카 이소베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이소베
가부시기가이샤 다쓰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이소베, 가부시기가이샤 다쓰미 filed Critical 히로시 이소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expressing greetings, gratitude or e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표시장치(100)는 주로 제어장치(20), 클립(30R), (30L) 및 전원플러그콘센트(40)로 이루어진다. 차량의 방향지시램프(LL, LR)를 점멸시키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온오프신호가 클립(30R 또는 30L)으로 부터 입력되고, 그 온오프신호의 계속기간이 계시(計時)된다. 여기서, 그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또한 2주기보다 짧은 판정기준시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신호의 계속기간이 상기 판정기준시보다 짧으면, 방향지시램프()가 소정시간만큼 동시에 점멸구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표시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 대하여 감사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차량용 표시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행차열에 끼어든 경우에, 후속차에게 감사의 표시의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예를 들면 차량주행중에 끼어들기에 의한 차선변경을 행한 경우, 끼어들게 해 준 차량의 운전자들에 대하여 감사의 어떤 표현을 하고 싶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 대하여 가볍게 손을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표현방법이나 차량에 기존의 표시기인 방향지시기 또는 헤드램프 등을 일정시간 점등하는 것과 같은 간접적인 표현방법 밖에 없는 것이 현실정이다.
[발명의 개시(開示)]
그런데, 전술한 감사 등의 표현은 운전에 집중할 필요성 때문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므로, 손을 들거나 차량에 있어서의 기존의 표시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감사등의 표현방법에서는, 운전에 집중할 수 없거나 본래의 운전조작에 없는 스위치류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거나 하여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 가령 상기 조작을 행하였다고 해도,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 대하여 이쪽의 의도가 전해졌는가 여부는 의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 대하여 감사 등의 의도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등시키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온오프신호를 검출하고, 소정시간내에 있어서 하나의 온오프신호만 검출된 경우에는, 소정시간만큼 표시기를 구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표시기는 차량의 방향지시램프로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방향지시램프는 소정시간만큼 점멸구동된다.
특히, 제어수단을 다음의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차량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에 동기(同期)하여 계시(計時)를 개시하고,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또한 2주기보다 짧은 제1의 소정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로서,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마다 계시를 리세트, 재스타트하여, 온오프신호가 계속하여 출력되고 있는 계속기간을 나타내는 계속 기간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타이머와, 계속기간신호가 나타내는 계속기간 개시시에 동기하여 계시를 리세트, 스타트하고, 제1의 타이머(23)의 제1의 소정시간보다 길고, 온오프신호의 2주기보다 짧은 제2의 소정시간을 계시하여 계속기간 개시후의 제2의 소정시간이 경과한 판정기준시를 나타내는 판정기준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타이머(24)와, 계속기간신호 및 판정기준신호를 입력하여, 판정기준시에 있어서, 계속기간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이다.
또, 제어수단의 다른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제어수단은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또한 2주기보다 짧은 시간을 소정시간으로서 하여 계시하는 동시에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에 동기하여 계시를 개시하고,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마다 계시를 리세트, 재스타트하여, 온오프신호가 계속하여 출력되고 있는 계속기간을 규정하는 타이머수단과, 타이머수단에 의한 계시중에 있어서의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를 검출하는 레벨천이검출수단과, 레벨천이검출수단에 의하여 레벨천이가 검출되지 않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하는 주기를 검출하는 주기검출수단을 설치하고, 타이머수단에 의하여 계시하는 소정시간을 주기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주기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온오프신호의 주기가 상이한 차량에 대해서도 자유로이 대응할 수 있다.
타이머수단에 의한 계시중에 있어서의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를 제1의 타이머는 차량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에 동기하여 계시를 개시한다. 또, 제1의 타이머는 상기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그 2주기보다 짧은 제1의 소정시간을 계시한다. 또, 제1의 타이머는 상기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마다 계시가 리세트, 재스타트된다. 그러므로, 소정의 주기로 온오프신호가 출력되어 그 레벨천이가 있으면, 제1의 타이머에 의한 계시의 개시시로부터의 기간이 차차로 갱신되어 계속기간으로서 인식하고, 제1의 타이머로부터는 그 계속기간에 대응한 계속기간신호가 출력된다.
제2의 타이머는 제1의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계속기간신호가 나타내는 계속기간개시시에 동기하여 계시를 리세트, 스타트한다. 또, 제2의 타이머는 상기 제1의 타이머의 상기 제1의 소정시간보다 길고, 상기 온오프신호의 2주기보다 짧은 제2의 소정시간을 계시한다. 그리고, 제2의 타이머로부터는 제1의 타이머에 있어서의 계속기간신호의 계속기간 개시후의 제2의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판정기준시로 하기 위한 판정기준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온오프신호가 1회이면 제1의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계속기간신호는 제1의 소정시간으로 된다. 이 경우에는, 제2의 타이머로부터의 판정기준신호의 쪽이 원래 제1의 소정시간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의 타이머에 의한 계속기간은 제2의 타이머에 의한 판정기준시에 종료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신호출력수단에 의하여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가 표시기에 출력된다.
다음에, 온오프신호가 2회이면 제1의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계속기간신호는 온오프신호의 1주기의 시간과 제1의 소정시간과를 가산한 것으로 된다. 이 때의 계속기간신호는 제1의 소정시간이 온오프신호의 1주기의 시간보다 길으므로 최소한 온오프신호의 2주기의 시간보다 길어진다. 그러면, 제1의 타이머에 의한 계속기간은 제2의 타이머에 의한 판정기준시에 종료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신호출력수단에 의하여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가 표시기에 출력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온오프신호가 3회 이상인 경우에도 표시신호는 표시기에 출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의 타이머에 의한 계속기간내에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온오프신호가 소정시간내에 있어서 1펄스만 존재하는가, 복수의 연속펄스로서 존재하는가가 판정된다. 그리고, 1펄스만의 경우에는, 표시기에 의한 감사의 신호가 출력된다. 또, 연속펄스의 경우에는 통상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방향지시램프는 점멸한다.
다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타이머수단은 상기 제1의 타이머수단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레벨천이검출수단에 의하여 타이머수단에 의한 계시중에 있어서의 상기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의 유무가 검출된다. 타이머수단에 의하여 계측되는 소정시간내에 새로운 온오프신호의 독입(讀入)이 없으면, 레벨천이검출수단에 의하여 온오프신호의 검출이 없다고 판정되어, 신호출력수단에 의하여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가 표시기에 출력된다. 한편, 타이머수단에 의하여 계측되는 소정시간내에 새로운 온오프신호가 독입되면, 레벨천이검출수단에 의하여 온오프신호의 검출이 있다고 판정되어, 신호출력수단에 의하여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가 표시기에 출력되지 않게 된다.
또, 다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제1의 타이머의 계측하는 제1의 소정시간, 제2의 타이머의 계측하는 제2의 소정시간, 타이머수단의 계측하는 소정시간이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온오프신호의 주기를 실제로 검출하여, 그 검출된 주기에 따라서 설정된다. 따라서, 차종에 따라서 온오프신호의 주기가 달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에서는, 표시기는 방향지시램프이고, 감사의 신호는 모든 방향지시램프가 소정시간만큼 동시에 점멸되므로서 행해진다. 이 경우에는 특별한 표시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2도는 이 실시예장치의 표시기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방향지시신호를 복수회 입력한 통상의 방향변환의 경우의 각 신호선에 있어서 신호상태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 방향지시신호를 1회 입력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표시장치가 작동하는 경우의 각 신호선에 있어서 신호상태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6도는 이 실시예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CPU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7도는 이 실시예장치에 있어서 방향지시신호를 복수회 입력하여 방향변환하는 경우를 설명한 타이밍차트이다.
제8도는 이 실시예장치에 있어서 방향지시신호를 1회 입력하여 표시기가 작동하는 경우를 설명한 타이밍차트이다.
제9도는 제3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10도는 제9도에 있어서 방향지시신호를 복수회 입력하여 방향변환하는 경우의 각 신호선에 있어서 신호상태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제11도는 제9도에 있어서 방향지시신호를 1회 입력하여 표시기가 작동하는 경우의 각 신호선에 있어서 신호상태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제12도, 제13도는 제4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차량용 표시장치(100)는 주로 표시기(10)와 클립(30R), (30L)과 전원플러그콘센트(40) 및 작동확인램프(50)로 이루어진다.
표시기(10)는 패널면(11)이 내측으로 부터 램프로 조사(照射)되거나, 패널면(11) 자체에 LED 등이 문자배열되어 있어 발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기(10)의 패널면(11)의 표현하고 싶은 필요문자 등이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로 부터 확인하기 쉽도록 예를 들면 차량의 리어윈도의 내측에 고설된다. 또, 표시기(10)에는, 후술의 제어장치(20)가 접속되어 있다.
클립(30R), (30L)은 차량의 좌우 어느 쪽의 방향지시램프 LR, LL를 점멸시키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온오프신호인 좌우 어느 쪽의 방향지시신호 SR, SL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선 LS의 선단에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트렁크내에 배선된 좌우 후방의 방향지시램프 LR, LL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씩 전후의 방향지시램프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전후의 방향지시램프는 동시에 점멸된다.
또, 전원플러그콘센트(40)는 차량의 도시하지 않은 시거렛라이터용의 소켓에 삽입되어, 제어장치(20)에 전원공급선 LD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작동확인램프(50)는 전원플러그콘센트(40)로부터 표시기(10)에의 전원공급선 LD의 도중에 배설되고, 표시기(10)의 표시가 실시되었는가를 그 램프(50)의 점등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작동확인램프(50)는 운전자들의 앞면패널로 방해로 되지 않아 확인하기 쉬운 장소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램프(50)의 중앙부분이 누름버튼스위치(51)로 되어 있다. 이 누름버튼스위치(51)를 누름으로써 차량용 표시장치(100)가 작동도중이라도 그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제2도는 제어장치(20)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차량의 도시하지 않은 방향지시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좌우 어느 쪽의 방향지시신호 SR, SL가 좌우의 방향지시램프 LR, LL에 출력된다. 그들 방향지시램프 LR, LL의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클립(30R), (30L)으로 부터 좌우 어느 쪽의 방향지시신호 SR, SL가 신호입력선 LS을 통하여 각각의 파형정형회로(21R), (21L)에 입력된다.
상기 파형정형회로(21R), (21L)에서 방향지시신호 SR, SL는 방형파(方形波)로 각각 파형정형된 후, OR회로(22)에 입력된다. 이 OR회로(22)로부터의 출력신호 A는 제1의 타이머(제1의 소정시간=약 1sec)를 구성하는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의 입력단자(T)에 입력된다. 그리고, 신호 A는 약 0.7sec 주기의 신호로 한다.
그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B는 후단(後段)의 제2의 타이머(제2의 소정시간=약 1.2sec)를 구성하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의 입력단자(T)에 입력된다. 또,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E는 후단의 판정수단을 달성하는 플립플롭회로(25)의 입력단자(D)에 입력된다.
상기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의 출력단자(Q)로부터는 출력신호 C가 출력되고, 그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D는 상기 플립플롭회로(25)의 클록입력단자(CK)에 입력된다. 그리고, 플립플롭회로(25)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F는 후단의 신호출력수단을 달성하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6)의 입력단자(T)에 입력되는 동시에 자체의 리세트입력단자(R)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6)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G는 표시회로(27)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20)는 구성되고, 표시회로(27)는 상기 신호 G가 입력되고 있는 시간만큼 패널면(11)에 의하여 표시를 실시한다.
상기 표시회로(27)를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측은 패널면(11)에 배설된 발광소자인 LED 및 전원플러그콘센트(40)를 통하여 차재(車載)배터리(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패널면(11)과 전원플러그콘센트(40)와의 사이에는 직렬로 작동확인램프(50) 및 누름버튼스위치(51)가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작동확인램프(50)의 점등에 의하여 표시기(10)의 표시의 확인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누름버튼스위치(51)를 누름으로써 차량용 표시장치(100)가 작동도중이라도 그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스위치(51)에는 상기 신호 G의 출력시간보다 긴 딜레이타이머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누름버튼스위치(51)를 일단 눌러서 표시회로(27)를 오프로 하면 동일 신호 G의 출력시간중에는 온으로 되지 않아 다시 표시되는 일은 없다.
먼저, 제3도를 참조하여 통상의 방향변환시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방향변환시에 있어서의 방향지시신호 SR또는 SL는 파형정형회로(21R), (21L)에 입력하고, OR회로(22)로부터 신호 A와 같이 약 0.7sec의 반복 4각형파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통상의 1회의 우회전동작에 있어서, 신호 A는 5회의 4각형파가 반복 출력되고 있다.
그러면,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로부터의 신호 B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신호 A의 약 0.7sec의 반복 4각형파의 상승마다 리세트, 재스타트된다. 그리고, 신호 B는 신호 A의 최후인 5회째의 4각형파의 상승 t2부터 약 1sec 후 t3에 하강한다. 즉, 신호 B는 약 3.8sec(=(0.7×4)+1)의 기간 H레벨로 되어, 계속기간신호로 된다.
한편,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로부터의 신호 E는 상기 신호 B의 반전상태로 된다.
또,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로부터의 신호 C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그 타이머시간인 약 1.2sec 후 t1에 하강한다. 즉, 신호 C는 약 1.2sec의 기간 H레벨로 되어, 판정기준신호로 된다.
한편,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로부터의 신호 D는 상기 신호 C의 반전상태로 된다.
그러면, 플립플롭회로(25)에 있어서, 신호 D는 약 1.2sec, 신호 E는 약 3.8sec의 기간 L레벨로 된다. 따라서, 클록입력단자(CK)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천이하는 시각(판정기준시) t1에 있어서, 입력단자(D)는 H레벨이므로, 플립플롭회로(25)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신호 F는 L레벨의 그대로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방향지시신호 SR가 2회 입력되고, 파형정형회로(21R)로부터의 신호 A가 2개의 4각형파로 된다. 그려면, 신호 B는 약 1.7sec(=0.7+1)의 기간 H레벨로 되고, 신호 C는 동일하게 약 1.2sec의 기간 H레벨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F는 H레벨로는 천이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의 방향지시신호 SR는 파형정형회로(21R)로부터 신호 A와 같이 1회의 4각형파가 출력된다.
그러면,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로부터의 신호 B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약 1sec 후 t1에 하강한다. 즉, 신호 B는 약 1sec의 기간 H레벨로 되어, 계속기간신호로 된다.
한편,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로부터의 신호 E는 상기 신호 B의 반전상태로 된다.
또,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로부터의 신호 C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그 타이머시간인 약 1.2sec 후 t2에 하강한다. 즉, 신호 C는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약 1.2sec의 기간 H레벨로 되어, 판정기준신호로 된다.
한편,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로부터의 신호 D는 상기 신호 C의 반전상태로 된다.
그러면, 플립플롭회로(25)에 있어서, 신호 D는 약 1.2sec, 신호 E는 약 1sec의 기간 H레벨로 된다. 따라서, 클록입력단자(CK)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천이하는 시각(판정기준시) t2에 있어서, 입력단자(D)는 이미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천이하고 있다. 플립플롭회로(25)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신호 F는 판정기준시 t2에 있어서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상승한다. 또, 상승과 동시에 플립플롭회로(25)는 리세트되므로, 신호 F는 일정폭의 펄스신호로 된다.
그러면,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6)로부터의 신호 G는 신호 F의 상승 t2과 동시에 상승하고,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sec 동안) 후에 하강한다. 즉, 이 소정의 시간만큼 표시회로(27)에 신호 G가 출력되어, 표시기(10)가 작동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의 핸들의 근방에 배설된 방향지시레버로부터의 방향지시신호를 겸용하므로, 그 신호입력을 위하여 특별히 스위치 등을 배설할 필요가 없다. 이 방향지시레버에 의한 입력은 방향변환할 때의 조작과 전혀 다른 것이 없고, 그 작동회수를 1회에 한정한다는 것 뿐이므로, 운전에 집중할 후 있어서 본래의 운전조작의 방해로 되는 것도 없다.
즉, 방향지시레버를 사용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표시기에 끼어들게 하여 준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 대한 감사인 예를 들면 고맙습니다라는 문자가 표시되므로서, 이쪽의 기분이 확실하게 전달된다. 이로써, 종래 거의 없었던 차량끼리의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시기(10)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지 패널면(11)을 갖도록 한 것 외에, 동물인형 등에 표시부를 배설하여, 그 표시부와 동시에 동물인형에게 인사를 하게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부가한 복합적인 작동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의 구성은 제1도와 같다.
본 장치의 제어장치는 컴퓨터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장치는 제1 실시예 장치에 대하여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온오프신호의 주기를 현실로 검출하여, 그 검출된 주기에 따라서 소정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5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어장치(20)는 인터페이스(321)와 CPU(322)와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한 ROM(323)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324)으로 이루어진다.
방향지시신호인 온오프신호는 인터페이스(321)를 통하여 CPU(322)에 입력된다. 또, CPU(32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인터페이스(321)를 통하여 표시기(10)에 출력되어, 이 출력신호에 따라서 표시기(10)가 작동된다.
RAM(342)내에는, 온오프신호의 신호주기를 기억하는 신호주기기억영역(3241), 온오프신호의 신호주기에 따라서 설정되는 소정시간을 기억하는 소정시간기억영역(32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주기기억영역(3241) 및 소정시간기억영역(3242)의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향지시신호의 입력마다 갱신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CPU(322)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제6도의 플로챠트에 따라서, 제7도 및 제8도의 타임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7도의 타임차트는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켜서 차량을 방향전환시키는 경우, 제8도의 타임차트는 감사의 신호를 출력하는 본 실시예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차량의 이그니션스위치가 온되면, 먼저 스텝(100)에서 초기설정이 실행된다.
다음에, 스텝(102)으로 이행하여, 온오프신호 X의 독입(레벨천이)이 있기까지 기다리고, 스텝(104)으로 이행하여, 타이머에 의한 계시(計時)를 개시한다(제7도에 나타낸 시각 t0).
다음에, 스텝(106)으로 이행하여, 온오프신호 X의 새로운 레벨천이가 있는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106)의 판정은 스텝(108)에 있어서의 소정시간 Ta이 경과하기까지 반복 실행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소정시간 Ta은 전술한 스텝(100)의 초기설정이고, 차량의 방향지시레버에 따라서 출력되는 방향지시신호의 최장시간인, 예를 들면 2sec에 미리 설정된다.
최초에, 제7도에 나타낸 방향지시램프가 점멸하여 차량의 방향전환이 행해지는 경우에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기 위한 온오프신호 X는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Ta이 종료하는 시각까지, 다음의 펄스의 입력이 있어서 새로운 레벨천이가 있으므로, 스텝(110)으로 이행한다.
스텝(110)에서는, 스텝(102)과 스텝(106)에서 독입된 온오프신호의 1주기 Tc가 타이머카운터에 의하여 산출되어, RAM(324)의 신호주기기억영역(3241)에 기억된다.
다음에, 스텝(112)으로 이행하여, 상기 초기설정치에 교체하여 스텝(110)에서 산출된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2주기보다 짧은 실제의 소정시간 Ta이 설정되어 RAM(324)의 소정시간기억영역(3242)에 기억된다.
여기서, 온오프신호의 주기 Tc와 소정시간 Ta과의 관계는 2TcTaTc이고, 예를 들면 Ta=Tc×1.5로 설정된다.
다음에, 스텝(114)으로 이행하여, 소정시간 Ta의 타이머를 리세트, 재스타트시킨 후 스텝(116)으로 이행하고, 전술한 스텝(106)과 마찬가지로 온오프신호 X의 새로운 레벨천이가 있는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116)에서 레벨천이가 있으면, 스텝(118)으로 이행하여, 스텝(112)에서 설정된 소정시간 Ta의 타이머의 리세트, 재스타트가 반복 실행된다(제7도에 나타낸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의 동안).
그리고, 스텝(120)에서 소정시간 Ta이 경과해도 온오프신호 X의 새로운 레벨천이가 없으면, 일련의 방향지시신호인 온오프신호 X가 종료하였다고 하여, 전술한 스텝(102)으로 이행하여, 다음의 온오프신호의 독입을 기다려서 동일한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상기 온오프신호 X에 따라서 제7도에 나타낸 시각 t0부터 시각 t2까지를 계속기간 Y으로 하고, 표시신호 Z가 이 계속기간 Y내에 출력되는 것이 금지된다.
다음에,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사의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X(102)에서, 온오프신호 X의 독입이 있기까지 기다리고, 스텝(104)으로 이행하여,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한다(제8도에 나타낸 시각 t0).
다음에 스텝(106)으로 이행하여, 온오프신호 X의 새로운 레벨천이가 있는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106)의 판정은 스텝(108)에 있어서의 소정시간 Ta이 경과하기까지 반복 실행된다.
이 온오프신호 X는 소정시간 Ta이 종료하는 시각 t1(=t0+Ta)까지 새로운 레벨천이가 없으므로, 스텝(122)으로 이행한다.
스텝(122)에서는, 표시기(10)에 표시신호 Z를 출력한 후, 전술한 스텝(102)으로 이행하여, 다음의 온오프신호의 독입을 기다려서 동일한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그리고, 이그니션스위치가 온한 후, 최초로 감사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방향지시레버의 1회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소정시간 Ta은 미리 설정된 예를 들면 2sec로 약간 길지만, 그 소정시간 Ta이 종료하면 마찬가지로 표시신호 Z가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 장치도 제1 실시예 장치와 동등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장치(100)의 제어장치(20)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실시예의 하드웨어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향지시램프를 점멸하는 온오프신호의 주기를 현실로 검출하여, 그 주기에 따라 소정시간의 설정을 행하고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향지시신호 SR, SL가 각각의 파형정형회로(210R), (210L)에 입력되어, 방형파로 각각 파형정형된 후, OR회로(220)에 입력된다. 이 OR회로(220)로부터의 출력신호 A는 타이머수단을 구성하는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의 입력단자(T) 및 온오프신호 A의 1주기 Tc를 계시하는 타이머회로(280)에 입력된다. 이 타이머회로(280)의 출력은 래치회로(290)를 통하여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 및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에 입력된다.
그리고, 타이머회로(280)는 출력신호 A가 1회뿐의 레벨천이라면 타이머시간이오버 플로한 시점에서 클리어된다. 이 경우에는, 래치회로(290)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값이 다시 채용된다.
상기 출력이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 및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의 저항 R1, R2, R3, R4에 직렬로 접속된 각 트랜지스터 Tr1, Tr2, Tr3, Tr4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그 트랜지스터를 온으로 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가 온으로 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저항과 콘덴서와의 조합에 의한 CR회로에 의하여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 및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의 시정수가 설정된다.
즉, 예를 들면 저항 R1을 100kΩ, 저항 R2을 (1/2) 100kΩ, 저항 R3을 (1/4) 100kΩ, 저항 R4을 (1/8) 100kΩ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래치회로(290)로부터의 출력을 (1, 1, 1, 1)로 하면, 모든 트랜지스터 Tr1, Tr2, Tr3, Tr4가 온으로 된다. 이 때의 합계저항은 병렬접속이므로 [1/{1+(1/2)+(1/4)+(1/8)}]100kΩ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저항과 콘덴서 C0의 용량에 의하여,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에서는 방향지시신호의 레벨천이하는 시간간격에 맞춘 시정수가 설정된다. 또, 상기 합계저항에 저항 R5을 가산한 저항과 콘덴서 C0의 용량에 의하여,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의 시정수보다 약간 긴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의 시정수가 설정된다.
상기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의 시정수가 소정시간 Ta으로 된다. 또,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의 시정수가 온오프신호의 계속판정을 위한 레벨천이를 검출하는 판정시간 Tj으로 된다. 그리고,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는 레벨천이검출수단을 구성한다.
또,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B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의 입력단자(T)에 입력된다. 또,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출력신호 E는 후단의 레벨천이수단을 달성하는 플립플롭회로(250)의 입력단자(D)에 입력된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는 구성되고, 상기 신호 G가 입력되고 있는 시간만큼 표시회로(270)의 트랜지스터가 온으로 되어 패널면(11)에서 표시가 실시된다.
다음에, 제10도를 참조하여 방향변환시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장치의 제어회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장치는 소정시간 Ta, Tj이 실제로 검출된 온오프신호 X의 주기 Tc에 따라서 설정되는 외는, 제1 실시예 장치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출력신호 A는 TC주기의 반복 4각형파이고,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로부터의 신호 B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시각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신호 A의 Tc주기의 반복 4각형파의 상승마다 리세트, 재스타트된다. 그리고, 신호 B는 신호 A의 최후인 5회째의 4각형파의 상승시각 t2부터 소정시간 Ta후의 시각 t3에 하강한다. 즉, 신호 B는 시각 t0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H레벨로 되어, 계속기간으로 된다. 한편, 신호 E는 상기 신호 B의 반전상태로 된다.
또,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로부터의 신호 C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시각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그 시정수로 설정된 시각 t1에 하강한다. 즉, 신호 C는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의 기간 H레벨로 되어,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를 검출하는 판정시간 Tj으로 된다. 그리고, TjTa이다. 한편, 신호 D는 상기 신호 C의 반전상태로 된다.
그러면, 플립플롭회로(250)에 있어서, 신호 D는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 신호 E는 시각 t0부터 시각 t3까지의 기간 L레벨로 된다. 따라서, 클록입력단자(CK)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천이하는 시각 t1에 있어서, 입력단자(D)는 L레벨이므로, 플립플롭회로(250)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신호 F는 L레벨의 그대로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방향지시신호 S가 2회 입력되고, 파형정형회로(210)로부터의 신호 A를 2개의 4각형파로 한다. 그러면, 신호 B는 시각 t0부터 (Tc+Ta)의 기간 H레벨로 되고, 신호 C는 동일하게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의 기간 H레벨이고, (Tc+Ta)Tj의 관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F는 H레벨로는 천이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의 방향지시신호 S는 파형정형회로(210)로부터 신호 A와 같이 1회의 4각형파가 출력된다.
그러면,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로부터의 신호 B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소정시간 Ta 후의 시각 t1에 하강한다. 즉, 신호 B는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의 기간 H레벨로 되어, 계속기간으로 된다.
한편, 리트리거블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30)로부터의 신호 E는 상기 신호 B의 반전상태로 된다.
또,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로부터의 신호 C는 신호 A의 최초의 상승 t0과 동시에 상승하고, 그 시정수로 설정된 시각 t2에 하강한다. 즉, 신호 C는 시각 t0부터 시각 t2까지의 기간 H레벨로 되어,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를 검출하는 판정시간 Tj으로 된다. 그리고, TjTa이다.
한편,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40)로부터의 신호 D는 신호 C의 반전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플립플롭회로(250)에 있어서, 신호 D는 시각 t0부터 시각 t2까지, 신호 E는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의 기간 L레벨로 된다. 따라서, 클록입력단자(CK)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천이하는 시각 t2에 있어서, 입력단자(D)의 전압은 이미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천이하고 있다. 플립플롭회로(250)의 출력단자(Q)로부터의 신호 F는 시각 t2에 있어서 L레벨로부터 H레벨로 상승한다. 또, 상승과 동시에 플립플롭회로(250)는 리세트되므로, 신호 F는 일정폭의 펄스신호로 된다.
그러면,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60)로부터의 신호 G는 신호 F의 상승시각 t2과 동시에 상승하고,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5sec동안) 후에 하강한다. 즉, 이 소정의 시간만큼 표시회로(270)에 신호 G가 출력되어, 표시기(10)가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 장치와 동일한 조작에 의하여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특별한 표시기(10)를 사용하지 않고, 후방의 방향지시램프 LL, LR와 전방의 도시하지 않은 방향지시램프를 동시에 점멸시키도록 한 것이다. 방향지시램프 LL, LR의 동시 점멸에 의하여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 감사의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12도는 제1 실시예의 장치, 제13도는 제3 실시예의 장치를 각각 그와 같이 개량한 것이다. 원숏 멀티바이브레이터(26), (260)로부터의 신호 G는 발진기(28), (31)에 입력하고 있다. 그리고, 발진기(28), (31)는 신호 G를 입력하고 있는 기간만큼 4각형파를 트랜지스터(29), (30), (32), (33)에 출력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29), (30), (32), (33)는 그 기간만큼 온오프를 반복하고, 방향지시램프 LL, LR는 배터리(60)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그리고, 전방의 좌우의 방향지시램프는 각각 후방의 방향지시램프 LL, LR와 병렬접속되어 있으므로, 4개의 방향지시램프에 동시에 단속전류가 공급되고, 4개의 방향지시램프는 소정시간만큼 동시에 점멸하게 된다. 이 신호에 의하여 후방의 다른 차량의 운전자는 전방의 운전자로부터 감사의 신호를 수취할 수 있다. 이 때, 방향지시램프 LL, LR는 1회 이상 반복 점멸하므로, 이 신호가 다음의 감사의 신호를 위한 기동신호로 되는 일은 없다.

Claims (5)

  1. 차량의 방향지시램프(LL, LR)를 점등시키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온오프신호(SR, SL)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0L, 30R, LS)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소정시간내에 있어서 하나의 온오프신호만 검출된 경우에는, 소정시간만큼 표시기(10, LL, LR)를 구동시키는 제어수단(20)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차량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에 동기(同期)하여 계시(計時)를 개시하고,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또한 2주기보다 짧은 제1의 소정시간을 계시하는 타이머로서, 상기 온오프신호의 상기 레벨천이시마다 계시를 리세트, 재스타트하여, 상기 온오프신호가 계속하여 출력되고 있는 계속기간을 나타내는 계속기간신호(B, E)를 출력하는 제1의 타이머(23)와, 상기 계속기간신호(B)가 나타내는 계속기간 개시시에 동기하여 계시를 리세트, 스타트하고, 상기 제1의 타이머의 상기 제1의 소정시간보다 길고, 상기 온오프신호의 2주기보다 짧은 제2의 소정시간을 계시하여 상기 계속기간 개시후의 상기 제2의 소정시간이 경과한 판정기준시를 나타내는 판정기준신호(D)를 출력하는 제2의 타이머(24)와, 상기 계속기간신호(E) 및 상기 판정기준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판정기준시에 있어서, 상기 계속기간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G)를 소정시간만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25, 26)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또한 2주기보다 짧은 시간을 소정시간으로 하여 계시하는 동시에 상기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에 동기하여 계시하고, 상기 온오프신호의 상기 레벨천이시마다 계시를 리세트, 재스타트하여, 상기 온오프신호가 계속하여 출력되고 있는 계속기간을 규정하는 타이머수단(322, 324, 230)과, 상기 타이머수단에 의한 계시중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신호의 상기 레벨천이를 검출하는 레벨천이검출수단(322, 324, 240)과, 상기 레벨천이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레벨천이가 검출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322, 250, 260)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차량의 방향지시램프를 점멸시키는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하는 주기를 검출하는 주기검출수단(322, 324, 280, 290)과, 상기 주기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온오프신호의 1주기보다 길고, 또한 2주기보다 짧은 시간을 소정시간으로 하여 계시하는 동시에 상기 온오프신호의 레벨천이시에 동기하여 계시를 개시하고, 상기 온오프신호의 상기 레벨천이시마다 계시를 리세트, 재스타트하여, 상기 온오프신호가 계속하여 출력되고 있는 계속기간을 규정하는 타이머수단(322, 324, 230)과, 상기 타이머수단에 의한 계시중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신호의 상기 레벨천이를 검출하는 레벨천이검출수단(322, 324, 240)과, 상기 레벨천이검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레벨천이가 검출되지 않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기를 구동하는 표시신호를 소정시간만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322, 250, 260)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장치.
  5. 제1항, 제2항, 제3항 도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차량의 방향지시램프(LL, LR)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시간만큼 모든 상기 방향지시램프를 동시에 점멸하는 상기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수단(28, 3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표시장치.
KR1019950703503A 1993-12-27 1993-12-27 차량용 표시장치 KR0151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3/001911 WO1995018027A1 (fr) 1993-12-27 1993-12-27 Centrale pour clignotants de ve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1536B1 true KR0151536B1 (ko) 1998-10-01

Family

ID=140707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503A KR960700918A (ko) 1993-12-27 1993-12-27 차량용 표시장치
KR1019950703503A KR0151536B1 (ko) 1993-12-27 1993-12-27 차량용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503A KR960700918A (ko) 1993-12-27 1993-12-27 차량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78986A (ko)
KR (2) KR960700918A (ko)
AU (1) AU5716994A (ko)
WO (1) WO1995018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685B1 (en) 1999-02-08 2001-06-05 Rick C. Bergman Voice operated interactive message display system for vehicles
US6154126A (en) * 1999-10-05 2000-11-28 Positive Driving Systems Llc Vehicle signaling system
GB0110836D0 (en) * 2001-05-03 2001-06-27 Armstrong Niel A Selectable flash sequence for a road vehicle ligh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828A (en) * 1980-07-18 1982-11-30 Hose Wanda H Automotive communication
US4631516A (en) * 1985-09-03 1986-12-23 Gerald Clinker Auxiliary vehicle warning system
JPS6382645A (ja) * 1986-09-27 1988-04-13 株式会社東芝 Mri装置の多同調型クロスダイオ−ド
JPS6382645U (ko) * 1986-11-20 1988-05-31
JPH0499146A (ja) * 1990-08-02 1992-03-31 Toshiba Corp 粉末焼結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99146U (ko) * 1991-01-23 1992-08-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918A (ko) 1996-02-24
US5578986A (en) 1996-11-26
WO1995018027A1 (fr) 1995-07-06
AU5716994A (en) 199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2544B2 (en) Multifunction timer device
KR0151536B1 (ko) 차량용 표시장치
US6043740A (en) Vehicle signalling apparatus
US4566803A (en) Power source off delay timer with liquid crystal display
JP2547191B2 (ja) 方向指示ランプ制御装置
KR100390181B1 (ko) 신호등의 주 제어기와는 별도로 신호등의 신호 변화만을 인식하여 보행자와 운전자에 신호등 동작의 남은 시간을 표시해주는 제어기
JPH0616086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9081423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JPH0747377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4105928A (en) Sequential control circuit capable of sequencing through a number of stable states in a predetermined order
JP2579357B2 (ja) リモコン信号送受信システム
JPS6336840Y2 (ko)
JP2548778Y2 (ja) ワイパーの制御回路
JP2511710Y2 (ja) リヤメッセ―ジボ―ドの制御回路
JPS6118637Y2 (ko)
CN109031928B (zh) 一种红外遥控多组模式设置的数字显示闹钟
JP3185092B2 (ja) アラーム時計
JPH0522876Y2 (ko)
KR100474135B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장치 및 방법
KR930001094B1 (ko) 자동차의주행정보표시방법및그장치
KR200212286Y1 (ko) 보행자 및 주행차량 신호등의 남은 시간 경광 표시등
KR960006620Y1 (ko) 작동시간제어 기능을 갖는 전기 스탠드
KR200319110Y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장치
JP2000220119A (ja) 道路用の警報装置と、それを使用する警報システム
JP3043051U (ja) 多機能靴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