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463B1 - 저온고 - Google Patents

저온고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463B1
KR0150463B1 KR1019900012413A KR900012413A KR0150463B1 KR 0150463 B1 KR0150463 B1 KR 0150463B1 KR 1019900012413 A KR1019900012413 A KR 1019900012413A KR 900012413 A KR900012413 A KR 900012413A KR 0150463 B1 KR0150463 B1 KR 015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rticle
low temperature
cooling
fr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012A (ko
Inventor
요시아끼 다까노
고이찌 사또
Original Assignee
이우에 사또시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사또시,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사또시
Publication of KR91000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온고
제1도는 본 발명의 저온물품 수송시스템의 기본패턴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저온물품 수송시스템의 구체적인 패턴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저온고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동결실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저온고의 운전제어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 저장수단 S : 저온물품 수송시스템
SK : 집하수단 T : 의뢰주
U : 인수주 V : 수송수단
1 : 저온고 7 : 동결실
8 : 사양선택실 10 : 냉각장치
11A : 증발기용 송풍장치 11B : 순환용 송풍장치
12B : 축냉제 52 : 선택부
53 : 온도제어장치
본 발명은 의뢰주로부터의 물품을 집하장으로부터 운반차에 탑재하여 냉각시키면서 인수주에 수송하는 저온물품 수송시스템에 이용되는 저온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각물품을 수송하는데에 있어서,
① 냉동 또는 냉장고를 가진 운반차(이하, 냉동차라 칭한다)를 사용하여 창고에서 냉각된 물품을 냉동차에 적재하여 목적지까지 수송하며, 냉동차로부터 물품을 내려서 창고에 격납하는 방법과,
② 냉각장치를 가진 스테이션의 물품을 수납하여 운반차에 적재하역이 가능한 단열콘테이너와, 스테이션에서 콘테이너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제1의 냉각장치와, 운반차 위에서 콘테이너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제2의 냉각장치를 준비하고 물품의 반송을 행하는 방법(일본국 특개소 63-169464호 공보)이 있다.
상기 ①의 기술에 있어서는 냉동차중에 수납된 냉각물품은 전체 동일한 온도영역에서의 온도관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상이한 온도영역에서의 냉각보존을 행하여 가면서 수송하기 위하여는 냉각온도를 상이하게 한 복수의 냉동차가 필요하게 되어 한 대의 냉동차로 운반을 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상기 ②의 기술에 있어서는 단열 콘테이너를 운반차에 적재하역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스테이션에는 콘테이너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가 필요하며, 냉각에 있어 콘테이너와 냉각장치의 연결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준비작업에 수고가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이한 온도 영역에서 냉각시킨 물품을 한 대의 운반차로서 수송함과 동시에 스테이션에 있어서의 냉각작업을 간이화 한 저온물품 수송시스템의 저온고로, 안정되고 저렴한 가격의 수송료로서 물품을 수송하기 위해 축냉제를 사용하여 저온고를 냉각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뢰주로부터 저온으로 냉각시켜야 할 물품 또는 이미 저온으로 냉각된 물품을 집하하는 집하수단과, 집하된 물품을 저온으로 유지하게 저온영역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물품을 상기 저온영역으로 저장한채로 수송하는 수송수단과, 저온으로 유지된 물품을 인수주에 배달하는 배달수단으로 이루어진 저온물품수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저온고에 있어서, 상기 저온고는 동결실에 배치된 축냉제를 증발기 및 송풍장치로써 동결시키는 냉각장치과, 물품이 저장되며 상기 축냉제의 융해 잠열로써 냉각된 공기가 공기순환용 송풍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사양선택실과, 상기 물품의 온도를 물품이 동결하는 온도영역과 물품이 동결하지 않는 온도영역의 어떤 것의 온도영역으로 유지함에 적당한 송풍량을 얻기위하여 순환용 송풍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온도제어장치와, 상기 저장실의 냉각 온도를 물품이 동결하는 온도영역 또는 물품이 동결하지 않는 온도영역으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한 저온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저온물품수송시스템에 의한 작용에 있어서는 저장수단의 냉각장치에 의하여 물품의 저온저장을 행하는 것이며, 이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른 수단의 냉각장치를 불필요하게 된다.
또, 이 저장수단에 있어서는 한 대로 냉동·냉장·빙온의 각 온도영역에서의 저온저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선택부에 의하여 온도영역의 선택을 행하는 것으로 순환용 송풍장치의 단위시간당의 송풍량을 제어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물품을 의뢰주로부터 냉각시키면서 인수주까지 수송하는 저온물품 수송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고 칭한다.)의 유통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 수송시스템(S)는 물품을 인수주(U)에 수송하는 측, 즉 의뢰주(T)와, 의뢰주(T)로부터의 의뢰를 받은 물품을 인수주(U)까지 수송하는 수송수단(V)과를 구비한 것으로 제1도에 그 기본패턴을, 제2도에 실제에 적용한 구체적인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저온으로 냉각시켜야 할 물품 또는 이미 저온으로 냉각된 물품이 의뢰주(T)로부터 직접 혹은 취급점(TA)을 경유하여 집하수단으로써의 집하장(SK)에 집하되며, 다시 수송선(輸送先) 및 저장온도마다 구분되어서 물품을 저온영역에 저장하는 저장수단(R)으로서의 저온고에 수납된다.
그리고, 이 저온고(1)이 수송수단(V)에 실려서 인수주(U)에 수송·배달된다(이 경우 수송수단이 배달수단을 겸한다.).
또한, 수송수단(V)에 의하여 일단 목적지에 가까운 다른 집하장(SH)에 도달한 후에 이 집하장(SH)로부터 배달수단에 옮겨실어서 인수주(U)에게 배달되는 경우도 있다.
또, 저온고(1)은 집하장(SK)에 있어서, 전원에 접속되어 냉각장치에 의하여 수납한 축냉제를 동결시켜 가면서 사양선택실의 냉각을 행하던가 또는 동결시킨 축냉제를 수납하든가 하여 이 축냉제를 수송중의 냉각원으로 이루는 것이다.
다음에 저온고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은 저온고로서의 냉장고로서, 트럭등의 수송수단(V)에 탑재되어 물품의 냉각을 행하면서 수송을 행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코올드 로울복스라고 호칭되는 냉장고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냉장고(1)은 그 저부에 이동용의 바퀴(2)를 구비하고, 일측면에 개방구(3)을 형성한 단열상자(4)와, 개방구(3)을 개폐자유롭게 폐쇄하는 단열문(5)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칸막이판(6)으로 구분되는 동결실(7) 및 저온영역에 상당하는 사양선택실로서의 사양선택실(8)을 배치하고 있다.
동결실(7)에는 냉각장치로서의 증발기(10), 복수의 송풍장치(11) 및 축냉제(12B)를 수납하는 축냉제 수납부로서의 물품수납부(12)를 배치하고 있으며, 송풍장치(11)로서는 본예에서는 교류전원(30)으로 구동되는 2개의 증발기용 송풍장치(11A)와, 직류전원으로서의 교류-직류변환기(35)또는 (50)으로 구동되는 하나의 고내공기 순환용 송풍장치(11B)로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송풍장치(11A),(11B)의 송풍량을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또, 동결실(7)의 한쪽벽 즉, 상부벽(13)에 따라서 일단을 물품수납부(12)의 바람아랫측으로 개방시키고 타단을 증발기(10)의 바람윗측으로 개방시킨 덕트(14)를 설치하며 뒤에 설명하는 냉기순환로(Q)와 병렬인 우회로(P)를 형성하고 있다.
15는 칸막이판(6)에 있어서의 물품수납부(12)의 바람아랫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분출구, 16은 고내 공기순환용 송풍장치(11B)에 대응시켜서 칸막이판(6)에 형성한 흡입구이다.
그리고, 물품수납부(12)의 축냉제(12B)를 통과한 냉기를 분출구(15)로부터 사양선택실(8)내에 인도하며 흡입구(16)으로부터 물품수납부(12)에 귀환시키는 냉기순환로(Q)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고내공기 순환용 송풍장치(11B)의 증발기측의 부분에는 증발기(10)을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흡입구(16)으로부터 흡입한 사양선택실(8)의 공기를 증발기측으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획판(17)이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송풍장치(11A),(11B)의 송풍공기용량을 동일하게 한 것에서 고내 순환용 송풍장치(11B)가 흡입구(16)으로부터 흡입하는 공기량과 덕트(14)를 경유하여 증발기(10)의 공기 입구측에 인도되는 공기량이 대략 1대 2의 비율로 되며, 후자 즉 냉기 우회로(P)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많게할 수 있다.
18은 물품수납부(12)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의 물품출입구를 개폐자유롭게 폐쇄하는 투명재료로 이루어진 내부 문이다.
20은 압축기, 응축기, 응축기용 송풍장치 등을 수납하는 기계실이다.
다음에 저온고의 운전제어장치(K)에 대하여 제7도를 기초로하여 설명한다.
L은 교류회로부, M은 직류회로부이며, 30은 3상교류전원, 34는 전원라인 (31)∼(33)에 접속되는 압축기 구동모우터이다.
35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뒤에 설명하는 축전지(50)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을 얻는 충전기로서의 교류 - 직류변환기, 36은 제1 릴레이코일, 37은 증발기용 송풍장치(11A)의 교류팬모우터, 38은 응축기용 송풍장치의 교류팬 모우터, 39, 40은 마그네트코일(52C)의 제1 개폐기 및 제2 개폐기이다.
41은 물품수납부(12)내의 온도를 검지하며, 검지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 구동모우터(34)의 운전·정지를 제어하고 동결실(7)에 있어서의 물품수납부(12)를 제1의 온도로서의 냉동온도(예로 -10℃ 이하)로 간직하는 제1제어부로서의 동결실 온도제어부이며(한편이 -25℃, 다른편이 -5℃의 동결온도이며, 전자를 냉동용축냉제, 후자를 빙온냉장용 축냉제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결온도가 상이한 2종류의 축냉제중 어느 한편을 물품수납실(12)내의 수납시키는 것으로 하여 선택한 축냉제의 동결온도에 맞춰서 물품수납부(12)내의 온도를 복수의 온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42는 냉동용 축냉제를 동결시키기 위하여, 이 축냉제의 동결온도(-25℃)보다 10℃ 낮은온도(-35℃)로 물품수납부(12)내를 제어한 제 1 써머스탯, 43은 빙온냉장용 축냉제를 동결시키기 위하여 물품수납부(12)내를 이축냉제의 동결온도(-5℃)보다 10℃낮은온도(-15℃)로 제어하는 제2써머스탯, 44는 제1써머스탯(42)에 직렬 접속되어 뒤에 설명하는 제2릴레이코일(60)의 개폐기, 45, 46은 서로 병렬접속되어 제2 써머스탯(43)에 직렬 접속되는 개폐기인 것으로, 각각 뒤에 설명하는 제3 릴레이코일(61), 제4릴레이코일(62)에 대응한다.
직류회로부(M)은 교류-직류변환기(35)의 출력측에 접속되고 있으며, 50은 제1 릴레이코일(36)의 개폐기(51)을 통해서 교류-직류변환기(35)에 접속되고 직류전원으로서의 충방전이 가능한 축전지이다.
52는 사양선택실(8)의 내부온도를 저장물이 동결하는 온도, 즉 냉동온도(예로 -10℃이하)·0℃ 이하인 것으로 저장물의 동결직전 까지의 온도 즉 빙온온도(-5℃∼0℃정도)·냉장온도(1℃∼10℃ 정도)중의 임의의 온도로 택일선택하는 온도설정부로서의 조작부이며, 이 조작부(52)에 의한 선택 상태에 의거하며 사양선택실(8)내의 적소에 배치한 온도제어장치로서의 사양선택실 온도제어부(53)을 동작시켜서 고내순환용 송풍장치(11B)의 운전·정지를 제어하여 단위 시간당의 송풍량을 제어한다.
57은 직류팬모우터, 58은 직류팬모우터(57)의 회전수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58)은 동일방향에 동일 회전수로 팬모우터(57)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한다.
사양선택실온도 제어부(53)로서는, 사양선택실(8)내를 제1의 온도에 대응시킨 냉동온도 예로 -15℃로 유지하는 냉동용 써머스탯(54)·제1의 온도보다 높은 제2의 온도로서의 빙온온도 예로 0℃로 유지하는 빙온용 써머스탯(55)·제2의 온도보다 높은 제3의 온도로서의 냉장온도 예로 5℃로 유지하는 냉장용 써머스탯(56)의 3개를 준비하며, 조작부(52)에 의한 선택조작으로 어느 1개의 써머스탯을 선택하여 순환용 송풍장치(11B) 상세하게는 송풍량을 제어시켜 사양선택실(8)을 선택에 따른 온도로 유지한다.
59는 사양선택실 온도제어부(53)을 고내순환용 송풍장치(11B)와의 직렬회로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릴레이군이며, 60은 냉동용 써머스탯(54)에 대응시킨 제2 릴레이코일, 61은 빙온용 써머스탯(55)에 대응시킨 제3 릴레이코일, 62는 냉장용 써머스탯(56)에 대응시킨 제4 릴레이이다.
또, 본예에서는 각 온도제어부(41),(53)을 써머스탯으로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냉동실(7) 및 사양선택실(8)의 각각에 써미스터를 배치하여, 각 써미스터로부터 검지신호와 조작부(52)에 의한 설정온도(상세하게는 냉동·냉장·빙온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서 압축기 구동모우터(34) 및 고내순환용 송풍장치(11B)의 운전·정지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기초하여 동결실(7) 및 사양선택실(8)의 냉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양 실(7),(8)의 내부가 비 냉각의 상태로 있는 것으로 한다.
물품수납부(12)내에 냉동용 축냉제를 수납하여 조작부(52)에 의하여 냉동온도를 선택하였다 하면, 이 선택조작에 의하여 냉동용 써머스탯(54)가 선택된다.
그리고, 냉각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누르거나 또는 전원플러그를 소켓(다같이 도시하지 않음)에 꽃아 넣으면, 제1 릴레이코일(36)에 통전되어 개폐기(51)이 닫혀져서 축전지(50)의 충전 및 순환용 송풍장치(11B) 및 제2 릴레이코일(60)에의 통전이 행해지는 동시에 마그네트코일(52C)에 통전되어서 압축기 구동모우터(34), 교류팬모우터(37),(38)에 통전되어서 각각이 운전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물품수납부(12)의 내부는 증발기(10)을 경유하여 냉각된 공기로 서서히 냉각되어 축냉제(12B)를 동결하여 간다.
또, 사양선택실(8)내는 순환용 송풍장치(11B)의 운전에 의하여 축냉제(12B)의 융해 잠열로써 서서히 냉각되어 간다.
이때, 물품수납부(12)의 축냉제(12B)의 바람 아랫측까지 인도된 냉기는 분출구(15)로부터 사양선택실(8)에 들어가 흡입구(16)으로부터 재차 물품수납실(12)에 귀환하는 경로, 즉 냉기순환로(Q)를 흐르는 것[이하, 냉기흐름(가)라고 칭한다]와, 덕트(14)를 통해서 증발기(10)의 바람윗측에 귀환하여 증발기(10)으로 냉각되어서 물품수납실(12)에 귀환하는 경로, 즉 냉기 우회로(P)를 흐르는 것(이하 냉기흐름(갸)라고 칭한다)로 분류된다.
더구나, 이 분류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냉기흐름(갸)의 공기량이 많게, 또한 축냉제(12B)를 경유한 후 대부분 열교환 되지 않는 대로 냉기를 직접증발기(10)에 도입할 수 있어, 증발기(10)에 귀환하는 공기의 온도 상승을 제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증발기(10)의 열교환 능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더구나 보다 저온의 냉기로서 축냉제(12B)에 내뿜을수 있어 축냉제(12B)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강재대류식의 것 보다도 축냉제 동결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써머스탯(54)의 개방동작온도(본예에서는 -16℃로 설정)이하로 되면, 그 접점이 열려서 순환용 송풍장치(11B)가 정지하여 고내의 냉기 강제 대류를 정지시킨다.
사양선택실(8) 내부의 냉각강제 대류가 정지하는 것으로 사양선택실(8)내부의 강제냉각은 행하여지지 않게 되어 점차로 온도 상승하여 간다.
그리고, 써머스탯(54)의 복귀동작온도(본예에서는 -14℃)이상으로 되면 써머스탯(54)의 접점이 닫이며 고내순환용 송풍장치(11B)가 재차 운전을 개시하며, 사용선택실(8)의 강제 대류에 의한 냉각을 행한다.
이하,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사양선택실(8)을 냉동온도로 유지한다.
또한, 조작부(52)에 의하여 빙온온도 또는 냉장온도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에 있어서의 냉동온도 및 냉동용을 「빙온온도 및 빙온용」 또는「냉장온도 및 냉장용」으로 치환하여 동작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냉동빙온냉장이라는 온도관계로 되는 것에서 각 써머스탯의 동작온도가 상이한 것이므로 송풍장치(11B)를 정지시킬 때까지 시간이 짧게되어 결과적으로 송풍량이 적게 된다.
한편, 물품수납부(12)의 출구측으로부터 덕트(14)를 경유하여 증발기(10)의 공기입구측에 냉기를 인도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 덕트(14)는 냉기의 우회 통로로서 작용하며 물품수납부(12) 의 냉각을 촉진시키고 있다.
특히, (가)에 의한 냉기유량을 (갸)에 의한 냉기흐름량보다 많게 하고 있기 때문에, 물품수납부(12)의 냉각은 촉진된다.
또한, (가)에 의한 냉기는 사양선택실(8)을 경유하는 일 없이 증발기(10)에 귀환되기 때문에 (갸)에 의한 냉기보다도 낮은 상대온도로써 귀환하고 있으며 증발기 (10)에의 단위시간당의 서리 부착량이 감소하여 서리제거 회수의 감소를 도모 할 수 있다.
또, 물품수납부(12)가 서서히 냉각되어서 제1 써머스탯(42)의 열림 동작온도(본 예에서는 -36℃로 설정) 이하로 되면, 그 접점이 열려 압축기 구동 모우터(34)가 정지하여 동결실(7)이 냉각을 정지시켜서 동결실(7)의 과냉각을 방지 하고 있다.
단, 증발기용 송풍장치(11A)는 교류팬모우터(37)에 통전되고 있기 때문에 운전을 계속하고 있다.
냉각의 정지에 수반하여 물품수납실(12)내가 서서히 온도 상승하여 제1 써머스탯(42)의 복귀 온도(본 예에서는 -34℃로 설정)이하로 되면 그 접점이 폐쇄하여 재차 압축기가 구동하여 동결실(7)의 냉각을 행한다.
이하,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물품수납실(12)내의 냉동용 축냉제의 동결온도 보다 낮은 온도(본예에서는 -35℃)로 유지한다.
또한, 물품수납실(12)내에 빙온냉장용 축냉제를 수납하여 조작부(52)에 의하여 빙온온도 또는 냉장온도를 선택한 경우에는 동결실에 있어 상술한 동작에 있어서의 제1 써머스탯을 제2 써머스탯에 치환한 동작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양선택실(8)의 내부를 냉동·빙온·냉장의 3온도 영역의 어떤것의 온도영역으로 유지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①냉동과 빙온, ②빙온과 냉장, ③냉동과 냉장이라는 2온도 영역의 조합으로 하여 어느 한편의 온도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도 무관하다.
이 경우, 본 예에 나타낸 바와같은 3온도 영역 대응이 아니라 2온도 영역대응이라는 저온고로 될 수 있으며, 온도제어장치외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생략을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저온고에 설치한 냉각장치에 의하여 축냉제의 동결을 행하는 동시에 축냉제의 융해 잠열로서 사용선택실의 냉각을 행하며, 더구나 선택부에서 선택된 온도영역에 따라서 순환용 송풍장치의 송풍량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어 한 대의 저온고를 복수의 온도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복수의 온도영역이라는 것은 상술한 바와같이 물품이 동결하는 온도 영역과, 물품이 동결하지 않는 온도영역인 것으로 후자의 온도영역은 빙온과 냉장이 온도영역을 구별되고 있다.
또, 저온고에 전원을 접속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냉각장치를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저온물품 수송시스템의 저장수단 이외의 다른 수단에는 냉각장치의 설치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순환용 송풍장치로 고내부 강제 대류방식으로 하고 있는 것에서 고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되며 사양선택실 내부를 빙온온도영역으로 유지할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시킬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저온물품 수송시스템에 의하면 저장수단에 설치한 냉각장치에 의하여 물품의 저온 저장을 행하는 것이며,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수단에서의 냉각장치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이 저장수단으로서 사양선택실 내부를 물품이 동결하는 온도영역과 물품이 동결하지 않은 온도영역의 어느 온도영역으로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저온고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서 선택온도가 상이한 복수의 저온고를 수송수단에 싣는 것으로, 저장온도가 상이한 물품의 동시수송을 행할수 있다.
더구나, 각각의 저온고는 수송중 순환용 송풍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냉각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에 비하여 그 소요전력을 적게할수 있으며 자연 대류기에 비하여 그 내부 온도의 균일화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1)

  1. 의뢰주(T)로부터 저온으로 냉각시켜야 할 물품 또는 이미 저온으로 냉각된 물품을 집하하는 집하수단(SK)과, 집하된 물품을 저온으로 유지하게 저온영역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R)과, 물품을 상기 저온영역으로 저장한채로 수송하는 수송수단(V)과, 저온으로 유지된 물품을 인수주(U)에 배달하는 배달수단으로 이루어진 저온물품수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저온고에 있어서, 상기 저온고(1)은, 동결실(7)에 배치된 축냉제(12B)를 증발기 및 송풍장치(11A)로써 동결시키는 냉각장치(10)과, 물품이 저장되며 상기 축냉제(12B)의 융해 잠열로서 냉각된 공기가 공기순환용 송풍장치(11B)에 의해 순환되는 사양선택실(8)과, 상기 물품의 온도를 물품이 동결하는 온도영역과 물품이 동결하지 않는 온도영역의 어떤 것의 온도영역으로 유지함에 적당한 송풍량을 얻기 위하여 순환용 송풍장치(11B)의 운전을 제어하는 온도제어장치(53)과, 상기 저장실(8)의 냉각온도를 물품이 동결하는 온도영역 또는 물품이 동결하지 않는 온도 영역으로 선택하는 선택부(5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고.
KR1019900012413A 1989-08-11 1990-08-11 저온고 KR015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8061 1989-08-11
JP1208061A JP2889600B2 (ja) 1989-08-11 1989-08-11 低温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12A KR910005012A (ko) 1991-03-29
KR0150463B1 true KR0150463B1 (ko) 1998-11-02

Family

ID=1654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413A KR0150463B1 (ko) 1989-08-11 1990-08-11 저온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29450A (ko)
JP (1) JP2889600B2 (ko)
KR (1) KR01504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0661B1 (fr) * 1991-08-30 1993-11-05 Patrick Bonzi Container de distribution de produits frais.
US5269149A (en) * 1992-04-14 1993-12-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long range transcontinental and transoceanic transport of fresh chilled meat
US5291746A (en) * 1993-03-10 1994-03-08 Abbott Derwood C Container for storag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medical waste
GB2324852A (en) * 1997-02-06 1998-11-04 Ind Design Consultancy Limite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during distribution
FR2772691B1 (fr) * 1997-12-23 2000-05-05 Felix Georges Dahan Dispositif de transport du fret
US6427455B1 (en) * 1998-03-19 2002-08-06 Light Shoki Kabushiki Kaisha Cooling device and its cooling method
WO2000037866A1 (fr) * 1998-12-21 2000-06-29 Daikin Industries, Ltd. Armoire refrigeree isolee
GB2354061B (en) 1999-09-13 2001-08-08 Ian David Wood Cold-storage appliance
WO2001066382A1 (en) * 2000-03-09 2001-09-13 Carlsen Europa A/S A method of distributing cooled or frozen goods to customers by means of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 vehicle for such use
DE20006009U1 (de) * 2000-03-31 2000-11-23 Hoelter Heinz Transportable Kühlboxsysemtechnik
AU2001286110A1 (en) * 2000-09-13 2002-03-26 Applied Design And Engineering Limited Freight handling and storage
US6378319B1 (en) 2000-10-27 2002-04-30 The Mani Brothers Multi-compartment multi-climate delivery vehicle
FR2821032B1 (fr) * 2001-02-21 2003-05-16 Jacques Oury Dispositif pour utiliser, en tous lieux carrossables, un conteneur frigorifique et/ou calorifique, en service permanent, autonome et mobile
US7159415B2 (en) * 2001-03-13 2007-01-09 Applied Design And Engineering Limited Drawer storage
DE10321646A1 (de) * 2002-06-03 2004-07-15 Rubitherm Gmbh Verfahren zur Wärme- und Kälteversorgung eines Raumes und Gebäude mit einer Mehrzahl mit einer Mehrzahl von Räumen
US20070065269A1 (en) * 2003-02-07 2007-03-22 Tatsuhiko Aoki Pallet for coiled carrying article, loading structure for loading coiled carrying article on pallet, stacking structure for stacking carrying article loading palle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ontaining structure for containing stacked coiled carrying article loading pallets into transport receptacle and transport method therefor, and coiled carrying article transport method
US7451614B2 (en) * 2004-04-01 2008-11-18 Perlick Corporation Refrigera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U2005263201B2 (en) * 2004-07-22 2009-08-27 Era (Environmental Refrigeration Alternatives) Pty Ltd Refrigeration system
US7600392B2 (en) * 2004-07-22 2009-10-13 ERA (Environmental Refigeration Alternatives) Pty Ltd Refrigeration system
DE102006022510B4 (de) * 2006-05-12 2008-11-06 El Din Wael Nour Segmentierbarer Seefracht-Container
US7703835B2 (en) * 2006-08-11 2010-04-27 Weeda Dewey J Secondary door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ES2402711T3 (es) * 2008-08-01 2013-05-08 Thermo King Corporation Sistema de control de múltiples temperaturas
US20110067852A1 (en) * 2009-09-21 2011-03-24 David Scott Farrar Temperature controlled cargo containers
US10752434B2 (en) * 2009-09-21 2020-08-25 Sonoca Development, Inc. Temperature controlled cargo containers
ITUD20090217A1 (it) * 2009-11-25 2011-05-26 West Aircon S A S Attrezzatura per il contenimento di materiale refrigerato
GB2493155A (en) * 2011-07-25 2013-01-30 Donnelly Group Ltd Refrigeration module for converting a vehicle into a refrigerated vehicle
KR102292586B1 (ko) * 2015-01-23 2021-08-23 가부시끼 가이샤 쥬온 보냉고
JP7073667B2 (ja) * 2017-10-20 2022-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解凍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EP3990845B1 (en) * 2019-06-26 2024-04-17 Carrier Corporation Transportation refrigeration unit with adaptive defrost
JP6985751B2 (ja) * 2019-12-27 2021-12-22 A・M・T・A合同会社 冷却装置
CN112984899A (zh) * 2021-02-28 2021-06-18 天津大学 一种蓄能型可移动式太阳能预冷微型库
KR20230071837A (ko) * 2021-11-15 2023-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물류 배송차량의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9401A (en) * 1976-08-10 1981-03-31 The Southwall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storing heat for the heating and cooling of buildings
US4258696A (en) * 1978-04-05 1981-03-31 Johnson Controls, Inc. Passive thermal energy phase change storage apparatus
US4402188A (en) * 1979-07-11 1983-09-06 Skala Stephen F Nested thermal reservoirs with heat pumping therebetween
US4637222A (en) * 1984-06-08 1987-01-20 Nippondenso Co., Ltd. Refrigerator for vehicle
JPH0781770B2 (ja) * 1987-01-08 1995-09-06 サンデン株式会社 断熱コンテナ
US4831837A (en) * 1987-01-08 1989-05-23 Sanden Corporation Transporting system for refrigerated merchandise
US4712387A (en) * 1987-04-03 1987-12-15 James Timothy W Cold plate refrigeration method and apparatus
DE3812739C1 (ko) * 1988-04-16 1989-07-06 Deutsche Lufthansa Ag, 5000 Koeln, De
JPH02143074A (ja) * 1988-11-25 1990-06-01 Matsushita Refrig Co Ltd 蓄冷型保冷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89600B2 (ja) 1999-05-10
JPH0370962A (ja) 1991-03-26
KR910005012A (ko) 1991-03-29
US5029450A (en) 199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463B1 (ko) 저온고
EP1236960B1 (en) Preservation apparatus particularly for perishable products at a preset temperature
WO1988002705A1 (en) Refrigeration of multi-compartmented spaces such as multi-compartment vehicles
US5065592A (en) Cold box
JPH102649A (ja) 車載用保冷庫
JPH03158681A (ja) 低温庫
KR960012741B1 (ko) 저온고의 온도제어장치
JPH0391676A (ja) 低温庫
JP2002162148A (ja) 蓄冷式保冷庫
JPH02143074A (ja) 蓄冷型保冷庫
JPH1191433A (ja) 冷凍バン型車
JPH0375468A (ja) 蓄冷型保冷庫
JPH0391677A (ja) 低温庫
KR100942801B1 (ko) 축냉 팩 대차
JPH0452478A (ja) 蓄冷型保冷庫
JPH03160287A (ja) 低温庫の運転制御方法
JP2023158276A (ja) 蓄冷式保冷庫
JPH04143571A (ja) 蓄冷型保冷庫
JP3190381B2 (ja) 蓄冷型保冷庫
JPH0752545Y2 (ja) 蓄冷式冷凍ユニット付きコンテナ
JPH0136068Y2 (ko)
JPH05215454A (ja) 低温庫
JP2001116430A (ja) 蓄冷型保冷庫
JPH0452479A (ja) 蓄冷型保冷庫
JP2001355953A (ja) 保冷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