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045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045B1
KR0150045B1 KR1019940027724A KR19940027724A KR0150045B1 KR 0150045 B1 KR0150045 B1 KR 0150045B1 KR 1019940027724 A KR1019940027724 A KR 1019940027724A KR 19940027724 A KR19940027724 A KR 19940027724A KR 0150045 B1 KR0150045 B1 KR 015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mmand value
speed
torque command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야마다
마사노리 다와다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045B1/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중에 속도검출기가 고장난 경우, 장난, 먼지막힘등이라고 착오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고장이라고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 구동용의 전동기가 소정치 A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던 상태에서 곡선(14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순시에 회전속도가 영으로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소정시간 t 계속하면, 속도검출기의 고장이라고 판정한다.
곡선(14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경우는 승객의 장난등의 인적행위, 도어의 문턱의 먼지막힘이라고 판단하여, 속도검출기의 고장이라고는 판단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 2를 표시하는 동작파형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1을 표시하는 동작플로차트.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 2를 표시하는 동작플로차트.
제4도는 이 발명 및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를 표시하는 블록선도.
제5도는 제4도에 의한 통상 도어를 닫을 때의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전동기 5 : 속도검출기
11 : 속도지령치 12B, 12C : 토크지령치
13 : 토크제한치 14A~14C : 회전속도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폐제어하는 장치, 특히 그 고장의 오검출방지에 관한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제4도는 블록선도, 제5도는 통상 도어를 닫을 때의 동작 파형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1)은 전원, (2)는 전원(1)에 접속되어 게이트 신호발생회로(3)에 의해 구동되는 파워회로, (4)는 파워회로(2)에 접속되어 도어를 구동하는 전동기, (5)는 전동기(4)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펄스를 출력하는 속도검출기, (6)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반, (7)은 도어 제어장치이며, CPU(7A), ROM(7B), RAM(7C), 펄스카운트유닛(7D), 입출력포트(7E) 및 PWM(펄스폭 변조)유닛(7F)를 가지고 있다.
또한, 펄스카운트유닛(7D)는 속도검출기(5)에, 입출력포트(7E)는 엘리베이터 제어반(6)에, PWM유닛(7F)는 게이트 신호발생회로(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제어반(6)에서 도어를 여는 지령 또는 도어를 닫는 지령이 발생하면, 입출력포트(7E)에 입력되고, 이 지령에 대응하여 ROM(7B)에서 제5도(a)에 표시하는 속도지령치(11)가 CPU(7A)에 입력된다.
이 속도지령치(11)은, 속도검출기(5)로부터의 펄스출력을 펄스카운트유닛(7D)에 의해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치를 CPU(7A)에 입력하여 도어의 위치를 연산하며, 그 위치에 상당하는 값을 ROM(7B)로부터 판독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CPU(7A)는 판독한 속도지령치(11)에 기준하여, 전동기(4)의 회전에 필요하게 되는 제5도(b)에 표시하는 토크지령치(12A)를 연산한다.
이 토크지령치(12A)는, 제5도(b)에 표시하는 토크제한치(13)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연산된 토크지령치(12A)는 PWM유닛(7F)로 보내져서, 여기서 게이트 신호로 변환되어, 게이트 신호발생회로(3)에 송출된다.
게이트 신호발생회로(3)는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여 파워회로(2)를 구동하여 전동기(4)를 회전시킨다.
전동기(4)가 회전하면, 속도검출기(5)도 회전하고, 그 출력이 카운트되며, 그 카운트치를 기준하여 CPU(7A)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위치 및 제5도(a)에 표시하는 전동기(4)의 회전속도(14A)를 연산하고, 전동기(4)의 회전속도(14A)가 속도지령치(11)에 추종하도록 속도제어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에서는 속도검출기(5)의 고장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예컨데 일본국 특개평 3-13487 호 공보에서는, 속도지령치(11)가 설정치 이상이고, 또한 전동기(4)의 회전속도(14A)가 영인 상태로 소정시간 계속하며, 또 도어의 감속개시 위치스위치의 동작상황에 의해 속도검출기(5)의 고장을 판단하여 고장신호를 발생한 후에, 전동기(4)의 인가전압이 영이 되도록 제어하여, 도어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에서는, 속도지령치(11)이 설정치이상이고, 전동기(4)의 회전속도(14A)가 영인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한 때 속도검출기(5)의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도어를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속도지령치(11)이 설정치이상 출력되어 있어도 실제의 도어개폐력이 약한 경우에는 장난등의 인적행위, 도어의 문턱이 먼지막힘등에 의해 도어가 정지되어 전동기(4)의 회전속도(14A)가 영으로 되는 일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속도검출기(5)의 고장이라고 오검출되어, 도어를 정지시켜서 엘리베이터를 기동불능하게 함으로써, 운전효율을 악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게 된 것으로, 속도검출기의 고장을 오검출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고장검출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1의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는, 도어를 개폐구동하는 전동기가 소정치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던 상태에서 순시에 회전속도가 영으로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한 때 동작하는 고장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제2의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는, 도어를 개폐구동하는 전동기로의 토크지령치의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고, 또한 그 토크지령치가 소정의 토크제한치 이상으로 되며, 또한 그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한 때 동작하는 고장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제3의 발명에 관계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는, 제1 및 제2의 발명에 있어서, 고장판정수단이 동작하면 회전속도를 속도지령치에 추종시키는 제어를 중지하고, 소정의 토크지령치에 의해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강제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있어서는, 전동기가 소정치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던 상태에서 순시에 회전속도가 영으로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일정시간 계속한 때,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토크지령치의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고, 또한 그 토크지령치가 소정의 토크제한치 이상으로 되며, 또 그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한 때, 고장으로 판정하도록 하였기에 때문에 도어를 열기 시작할 때나 도어를 닫기시작할 때 승객의 장난, 먼지막힘등으로 도어가 구속되어도 속도검출기의 고장이라고 오검출되는 일은 없다.
또, 제3의 발명에 있어서는, 속도검출기의 고장이라고 판정되면 속도피드백제어를 중지하고 소정의 토크지령치에 의해 전동기를 구동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어는 강제적으로 개폐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제1도 및 제2도는 이 발명의 제1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제1도는 동작파형도, 제2도는 동작플로차트이며, 종래 장치와 같은 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한다.
또 제4도는 실시예 1에 공용한다.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 개폐동작중에 제1도(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기(4)의 회전속도(14A)가 속도검출기(5)에 의해 펄스화되어 펄스카운트유닛(7D)에 보내진다.
펄스카운트유닛(7D)는 펄스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치를 CPU(7A)로 보낸다.
CPU(7A)에서는 현재의 도어의 상황이 전동기(4)의 회전속도(14A)가 소정치 이상의 상태에서 순시에 영으로 되고 이것이 일정시간 계속 하였는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이들의 조건에 적합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속도검출기(5)의 고장이라고 판정하여 고장신호를 발생한다.
다음에, 상기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차트의 프로그램은 ROM(7B)에 기억되어 있다.
우선, 스텝 S1에서 전회의 회전속도를 V1에, 전전회의 회전속도를 V2에 유지시키고, 금회의 회전속도를 V로 한다.
다음에 스텝 S2에서 금회의 회전속도 V가 영인지를 판단하여, 영이면 스텝 S3으로, 그 이외이면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검출카운터 t가 영인지, 즉 타임카운트중인지를 판단하여 카운트중이면 스텝 S5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스텝 S1에서 유지시켜둔 전전회의 회전속도 V2가 소정치 A(장난, 먼지막힘등에 의해 순시에 회전속도가 영으로 되지 않는 속도)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소정치 A이상이면 스텝 S5로 진행하고 소정치 A보다도 적으면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즉 제1도(a)의 회전속도(14B)와 같이, 시각 Y에서 순시에 영으로 된 경우는 이상으로 판단하여, 스텝 S5에서 검출카운터 t에 1을 더하고, 제1도(a)의 회전속도(14C)와 같이 순시에 영으로 되지 않았을 경우는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스텝 S6에서 검출카운터 t를 리세트한다.
스텝 S5에서 카운트업하면 스텝 S7에서 검출카운터 t가 소정회수 n에 같은지, 즉 이상검출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경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S8에서 고장플라그를 세트하고, 고장신호를 출력하여 전동기(4)를 정지시킨다.
또 스텝 S6에서 검출카운터를 클리어한 후나, 스텝 S7에서 일정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매회 스텝 S9에서 고장플라그를 리세트한다.
[실시예 2]
제3도는 이 발명의 제2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동작 플로차트이며, 제2도와 같은 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제1도 및 제4도는 실시예 2에도 공용한다.
도어 개폐동작중에 CPU(7A)에서는 ROM(7B)로부터 판독한 속도지령치(11)에 기준하여 제5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기(4)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지령치(12A)를 산출한다.
산출된 토크지령치(12A)의 변화량이 갑자기 크게 되고, 제1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지령치(12B)가 토크제한치(13)이상으로 되어 이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하였다고 판단하면, 속도검출기(5)의 고장이라고 보고, 고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플로차트의 프로그램은 ROM(7B)에 기억되어 있다.
스텝 S11에서 전회의 토크지령치를 T1에, 전전회의 토크지령치를 T2에 유지시키고 금회의 토크지령치를 T로 한다.
다음에, 스텝 S12에서 금회의 토크지령치 T가 토크제한치 L이상인지를 판단하여 토크제한치 L이상이면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토크제한치 L보다 적으면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검출카운터 t가 영인지, 즉 타임카운트중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카운트중이면 스텝 S5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갑자기 토크지령치가 큰 값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금회의 토크지령치 T와 전전회의 토크지령치 T2와의 차를 χ에 넣고 스텝 S15에서 차 χ가 소정토크변화량 M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소정토크변화량 M이상이면 스텝 S5로 소정토크변화량 M미만이면 스텝 S6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1도(b)의 (12C)는 장난 또는 먼지막힘때의 토크지령치, M는 속도검출기(5) 고장시의 토크변화량, N은 장난 또는 먼지막힘때의 토크변화량을 표시한다.
이하의 스텝 S5~S9는 제1도와 같으며, 이상검출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S8에서 고장플라그가 세트되고, 고장신호를 출력하여 전동기(4)를 정지시킨다.
또한, 스텝 S14에서 구하는 차는, 금회의 토크지령치 T와 전회의 토크지령치 T1과의 차이를 구하여도 된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 속도검출기(5)의 고장을 검출한 때, 현재의 도어의 속도, 위치 다함께 정상치가 아니기 때문에 CPU(7A)는 그때까지 실시하고 있던 속도피드백제어를 중지하고 소정의 토크지령치로 전동기(4)를 구동하는 것이다.
즉, 고장검출시의 소정의 토크지령치(도시하지 않음)을 ROM(7B)로부터 판독하고, 그 토크지령치에 의해 전동기(4)를 구동하여 도어를 개폐시킨다.
소정의 토크지령치는 미리 ROM(7B)에 기억되어 있고, 속도검출기(5)가 정상이 아니기 때문에 속도지령치(11)를 발생시켜도 정확한 제어가 기대될 수 없을 때, 도어개폐시에 사람이 끼어도 지장이 없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동작을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속도검출기(5)가 고장을 일으켜 CPU(7A)가 고장판단처리하면, 고장플라그가 세트된다.
CPU(7A)는 고장플라그를 검출하여 고장직전까지 실시하고 있던 속도피드백처리를 중지하고, 고장검출시 처리로 변경한다.
고장검출시 처리에서는 우선 고장검출시용 토크지령치를 ROM(7B)로부터 판독한다.
CPU(7A)는 판독한 토크지령치를 기준으로 전동기(4)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지령치를 PWM유닛(7F)에 의해 게이트 신호발생회로(3)로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신호로 변환되고 게이트 신호발생회로(3)의 출력에 의해 파워회로(2)가 구동되어서 전동기(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고장검출용 토크지령치에 의한 도어 개폐동작은 통상의 도어 개폐동작과 비교하여 도어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이상이 발견되기 쉽고, 보수 점검에 편리하며 수리가 될 때까지 이와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의 발명에서는, 전동기가 소정치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던 상태에서 순시에 회전속도가 영으로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한 때, 제2의 발명에서는, 토크지령치의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고 또한 그 토크지령치가 소정의 토크제한치 이상으로 되며, 또 그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한 때, 고장이라고 판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도어를 열기 시작할 때나 도어를 닫기 시작할 때 승객의 장난, 먼지막힘등으로 도어가 구속되어도 속도검출기의 고장이라고 오검출되는 일 없이 속도검출기의 고장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3의 발명에서는 고장이라고 판정되면 속도피드백제어를 중지하고, 소정의 토크지령치에 의해 전동기를 구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도어는 강제적으로 개폐되고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일 없이 운전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어를 개폐구동하는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기준한 속도지령치를 발생시켜 상기 회전속도를 상기 속도지령치에 추종하도록 토크지령치를 출력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가 소정치 이상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던 상태에서 순시에 상기 회전속도가 영으로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한 때 동작하는 고장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2. 도어를 개폐구동하는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기준한 속도지령치를 발생시켜, 상기 회전속도를 상기 속도지령치에 추종하도록 토크지령치를 출력하여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의 개폐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크지령치의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고, 또한 그 토크지령치가 소정의 토크제한치 이상으로 되며, 또 그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한 때 동작하는 고장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장판정수단이 동작하면 회전속도를 속도지령치에 추종시키는 제어를 중지하고, 소정의 토크지령치에 의해 전동기를 구동하는 강제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KR1019940027724A 1993-11-15 1994-10-27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KR0150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378793A JP3336702B2 (ja) 1993-11-15 1993-11-15 エレベーター扉の開閉制御装置
JP93-283787 1993-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0045B1 true KR0150045B1 (ko) 1998-10-15

Family

ID=1767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724A KR0150045B1 (ko) 1993-11-15 1994-10-27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36702B2 (ko)
KR (1) KR0150045B1 (ko)
CN (1) CN109058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1711A (ja) * 2009-09-01 2011-03-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07416626B (zh) * 2017-07-19 2019-06-04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检测破坏轿门行为的方法、门控板、主控板及系统
CN108584588B (zh) * 2017-12-31 2019-12-24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大规模流数据的电梯门故障检测方法
CN108715386B (zh) * 2018-07-18 2021-02-19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梯门运行振动检测系统、运行调整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487B2 (ja) * 1991-04-19 2000-02-28 日新電機株式会社 故障点標定方法
JP2575559B2 (ja) * 1991-11-28 1997-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37967A (ja) 1995-05-30
CN1110245A (zh) 1995-10-18
CN1090587C (zh) 2002-09-11
JP3336702B2 (ja) 200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6176B1 (en) Method for electronic control and adjustment of the movement of electrically actuated units
JP3882062B2 (ja) 回動的据え付け部分の位置、回転方向そして回転速度、或はその何れかを検出する方法
US20150059247A1 (en) Door control device
JP2013035625A (ja)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ドア制御方法
KR0150045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제어장치
EP0563192B1 (en) Monitoring apparatus
KR940005949B1 (ko)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제어장치
JP3578568B2 (ja) 車両用パワーウィンドゥ制御装置
JP3315372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3206327B2 (ja)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ゥ装置
KR940008974B1 (ko) 엘리베이터출입문의 제어장치
JP4015721B2 (ja)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JP2954471B2 (ja) 開閉体の開閉制御方法
JPH0921273A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JP3056934B2 (ja) 開閉体の開閉制御方法
JPH0529458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57555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H0780665B2 (ja) エレベーターの扉制御装置
JP3925118B2 (ja) 電動開閉器の開閉方法及び電動開閉装置
JP3192479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JPH08319760A (ja) パワーウィンド制御装置
JPH0310209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H07101652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JP2005298191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JPH04250286A (ja) 電動ガラスルーバー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