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436B1 - 공심관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재 리이드 스크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심관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재 리이드 스크루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436B1
KR0149436B1 KR1019940023723A KR19940023723A KR0149436B1 KR 0149436 B1 KR0149436 B1 KR 0149436B1 KR 1019940023723 A KR1019940023723 A KR 1019940023723A KR 19940023723 A KR19940023723 A KR 19940023723A KR 0149436 B1 KR0149436 B1 KR 0149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ic tube
die
cavity
lead screw
res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079A (ko
Inventor
기요시 이시이
미즈호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오기노 고로
미네베아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고로, 미네베아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기노 고로
Publication of KR95000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344Moulding in or through a hole in the article, e.g. outsert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8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of preforms to be moulded, e.g. tablets, fibre reinforced preforms, extruded ribbons, tubes or profiles; Manip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preforms, e.g. support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0Completely encapsula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00Producing articles with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344Moulding in or through a hole in the article, e.g. outsert moulding
    • B29C2045/1436Moulding in or through a hole in the article, e.g. outsert moulding coating hollow articles having holes passing through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1/00Articles provided with screw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58Underc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10T29/49982Coating
    • Y10T29/49986Subsequent to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10T29/49993Filling of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에 있어서 수작업에 대한 필요성 감소, 생산성 향상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심관의 벽에 나선형의 배열로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구멍의 배열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나사봉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나사홈을 한정하는 캐버티가 구비된 글속 다이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캐버티에 공심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합성수지 재료가 공심관내의 한 흐름과 공심관의 외부 표면을 따르는 다른 흐름의 두 분리된 흐름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버티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주입하는 단계를 수반할 수 있는 방법 및 다이 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
나사봉은 공심관에 충전된 합성수지 재료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심관에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환상의 회전자가 리이드 스크루의 기저 단부상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자가 환상의 회전자에 작용하는 내압에 의해 생성된 인장웅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합성수지 재료가 환상의 회전자의 내부에 충전되기 전에, 환상의 회전자 둘레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로 먼저 충전된다.

Description

공심관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재 리이드 스크루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다음과 같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리치드 스크루의 측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Ⅱ 방향으로부터 관찰된 리이드 스크루의 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실시예로부터 조금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와 유사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실행되는 다이 조립체를 성형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의 단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의 실시예로부터 조금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6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며,
제8도는 회전자와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이드 스크루를 나타내는 제1도와 유사한 측면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화살표 ⅩⅠ방향으로부터 관찰된 리이드 스크루의 단면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의 선 X-X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8에서 10도까지에 도시된 리이드 스크루를 제조하는 다이 조립체를 성형하는데 필수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제6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며,
제12도는 제13도의 선 ⅩⅡ-ⅩⅡ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제13도는 제12도의 선 XⅢ-XⅢ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또한
제14도는 제6도의 실시예로부터 조금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3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이드 스크루 9,21 : 게이트
2 : 공심 관 10 : 내부 관통구
3 : 외부 원주 표면 13 : 발동 장치
4 : 나사봉 14 : 알루미늄 링
4a : 나사홈 15 : 돌출부
5 : 구멍 16 : 영구자석
6,19 : 하부 다이 17 : 회전자
7,20 : 상부 다이 18 : 방사상 리브
8 : 안내 핀 23 : 다이 조립체
24 : 다이 플레이트 26 : 삽입 부재
al,bl : 하부 캐버티 a2,a2 : 상부 캐버티
본 발명은 공심관을 가진 리이드 스크루, 상세하게는 나사봉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가 공심관에 굳게 부착되어 있는 리이드 스크루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리이드 스크루 제조용 다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공심관을 가지며 기저 단부에 전기 모터용 회전자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리이도 스크루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 및 이러한 리이드 스크루 제조용 다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리이드 스크루는 전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자기 혹은 광 헤드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방사상 방향으로 자기 혹은 광 헤드를 이동시키는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대량 데이타 저장 장치에 특히 적합하며,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리이드 스크루는 청동 및 스테인레스 스틸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금속 막대의 나사산을 가공하여 만들어졌다. 이러한 재료로 만들어진 리이드 스크루는 치수 정확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있으나, 관련된 여러가지 가공 단계 때문에 제조 비용이 비교적 비싸다. 게다가 리이드 스크루의 제조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으므로, 각 리이드 스크루의 생산 비용이 허용될 수 없을 정도로 비싸다. 몇몇 적용에서는, 금속 분말이 발생되지 않아야 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료의 이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합성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리이드 스크루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시도는 다음의 문제에 부닥쳤다.
합성수지 재료는 원하는 형태로 쉽게 성형될 수 있는 반면, 당 분야 종사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수축 및 크래킹의 경향이 있으며 , 또한 환경의 영향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뒤틀리고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재료는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리이드 스크루에서 필 요로하는 충분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제공할 수 없다.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금속관의 외부 벽 위에 필요한 나사산을 합성수지 재료로 성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리이드 스크루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 공심관과 나사산 사이의 분리를 완전히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강하게, 나사산과 금속관 사이를 부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 제안은 어떠한 상업적 성공도 이루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공심관의 벽에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봉과 위치상으로 부합된 부분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금속관에 구비된 구멍의 배열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구비된 캐버티(cavity)를 갖는 금속 다이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 금속관의 구멍의 배열이 나사홈과 위치상으로 부합되도록 금속 다이 조립체의 캐버티에 금속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수지 재료를 축 방향에 따라 금속관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을 이전에 제안했다(일본 공개 특허 평2-l13910호). 합성수지 재료가 관에 충전되고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와 캐버티의 나사홈에 충전된다. 따라서 공심관에 형성된 나사산은 공심관의 벽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공심관 내에 충전된 재료 부분과 연결되므로, 나사산은 공심관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이 일본 공개 특허에서 제안된 리이드 스크루 제조 방법은 합성수지 재료용 주입 게이트의 디자인에서 큰 어려움을 수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가 공심관에 구비된 구멍을 통하여 흐르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공심관에 합성수지를 주입해야 하며 , 따라서 각 성형 가공에 요구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다. 구멍의 수 및/또는 각 구멍의 지름을 증가시킴으로써 성형 가공을 빨리할 수 있지만, 이는 공심관의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이러한 리이드 스크루를 전기 모터에 연결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모터 회전자를 리이드 스크루와 일체로 합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회전자를 리이드 스크루와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회전자가 아철산염 및 다른 깨지기 쉬운 재료로 만들어진 환상의 영구자석 조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주입되는 합성수지 재료가 회전자상에 매우 큰 내압을 일으켜, 회전자가 그 압력하에서 깨지거나 혹은 손상될 수 있다.
이전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경제적으로, 신속하게 낮은 불량품 생산률로 수행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공심관 둘레에 나사봉을 성형함으로써 리이드 스크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높은 기계적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사용시 내구성이 큰 리이드 스크루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높은 치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리이드 스크루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경제적으로, 신속하게 성형 가공 동안 회전자 부재의 손상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저 단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는 환상의 회전자 부재를 가지는 리이드 스크루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목적은 편리하게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다이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공심관의벽에,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봉과 위치상 부합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공심관에 형성된 구멍의 배열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나사봉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는 캐버티가 구비된 다이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공심관의 구멍의 배열이 캐버티의 나사홈과 위치상으로 부합되도록
다이 조립체의 캐버티에 공심관을 배치하는 단계, 제1 흐름으로서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로, 제2 흐름으로서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과 캐버티의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로 축 방향에 따라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및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다이 조립체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 재료를 두개의 분리된 흐름으로 캐버티에 주입하면 캐버티 의 적당한 위치에서 상호 만나고, 합성수지가 빠르게 전 캐버티를 충전한다 나사붕이 공심관의 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에 충전된 합성수지 재료에 고착되기 때문에, 나사봉이 공심관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공심관은 금속 및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 또한 공심관은 리이드 스크루가 벤딩(bending) 및 다른 웅력에 견디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높은 치수 정확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특히, 두 흐름이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에서 상호 실질적으로 만나도록, 축 방향에 따라서 공심관의 내부 구멍으로 향해진 제1흐름과 축 방향에 따라서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을 따라 향해진 제2 흐름 사이에 합성수지 재료를 분배하는 방법에 의해서, 두 흐름 사이의 만나는 선이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에 포함되어, 나사봉에서 이러한 선이 나타나는 것을 피 할 수 있다 이러한 만남선은 외관상 명 백히 바람직스럽지 못하며 성형공정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는다면 취약 부위(weak spot)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만나는 선이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에 포함되면, 이는 외관상 숨겨질 뿐만 아니라 나사봉의 기계적 강도에 실질적인 형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나사봉이 합성수지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사용중에 어떠한 금속 분말도 생성되지 않을 것이며, 또한 좋츤 마찰 성질, 및 높은 내마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사봉의 인접한 부분 사이에 위치한 리이드 스크루의 부분은 공심관의 외부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리이드 스크루의 중량과 싸이즈를 주어진 기계적 강도에 대해 최소화 시킬 필요가 있을 때, 본 실시예가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나사봉의 인접한 부분 사이에 위치한 리이드 스크루의 부분을 합성수지 재료충으로 덮을 수 있다. 공심관에 대해 양호한 전기 절연성 및 부식 방지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 실시예가 바람직할 것이다.
리이드 스크루를 캐버티에서 빼려는 방향으로 축 라인 둘렉의 다이 조립체에 대하여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돌림으로써, 생성된 리이드 스크루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캐버티의 중앙 축 라인을 관통하는 길이방향 평면에 의해 나누어지지 않고 다이 부재에서 형성된 원주형 관통구에 의해 캐버티가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방법은,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봉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부분에 구멍이 구비된 공심관 주위에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를 이용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리이드 스크루를 성형하기 위한 다이 조립체는,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주형 캐버티를 한정하는 다이 부재, 캐버티에 공심관을 동축으로 위치시키는 수단,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안으로, 및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 안으로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게이트 수단, 및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다이 조립체를 여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리이드 스크루의 기저 단부는, 공심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배열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나사봉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는 제1 캐버티와 공심관의 기저 단부에 환상의 회전자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제2캐버티가 동축의 관계로 배열되고, 상호 연결되어 있는 다이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환상의 회전자와 공심관 사이에 한정된 갭으로 공심관의 기저 단부를 둘러싸도록 공심관을 제1 및 제2 캐버티에 배치하고 제2의 캐버티에 환상의 회 전자를 배치하는 단계, 및 제1 흐름으로서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로 축 방향에 따라 합성수지를 주입하고, 제2 흐름으로서 회전자의 외부 원주 표면과 상기 다이 조립체의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1 환상의 갭 및 공심관의 외부 표면과 회전자의 내부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2 환상의 갭내로 축 방향에 따라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하며, 제1 환상의 갭 내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이 제2 찬상의 갭 내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우세하도록 제2 환상의 갭 내로 흐르는 합성수지 재료의 제2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에 의해 환상의 회전자 부재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봉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부분에 구멍이 구비된 공심관 주위에 리이드 스크루를 성형하고, 리이드 스크루 기저 단부 위에 환상의 회전자 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다이 조립체를 이용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는, 제1 및 제2 캐버티가 상호 동축으로 및 상호 통하도록 배치되고,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주형의 제1캐버티, 및 공심관 위에 동축으로 고정된 회전자 부재를 수용하는 실질적으로 원주형의 제2 캐버티를 한정하는 다이 부재, 제1 및 제2 캐버티에 공심관을 동축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공심관 위에 고정된 회전자 부재를 제2 캐버티에 동축 방향으로 위치 시키기 위한 수단: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회전자 부재의 외부 표면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1 환상의 갭, 및 공심관의 외부 표면과 회전자 부재의 내부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2 환상의 갭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주입하며, 제1환상의 갭 내에 충전된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이 제2 환상의 갭 내에 충전된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우세하도록 상기 제2 갭 내에 충전된 상기 합성수지 재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 수단, 및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다이 조립체를 여는 수단을 포함한다.
회전자 부재는 보통 아철산염 같은 매우 깨지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진 환상의 영구자석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인장웅력을 받을 때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입되는 합성수지 재료는 공심 부재의 내부를 충전하기 전에 먼저 회전자 부재의 둘레에 외압을 가한다.
그러므로 회전자 부재는 내부 원주 표면에 작용하는 내압으로부터 어떠한 과도한 인장웅력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성형 가공중에 보통 손상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환상의 갭 사이에 합성수지 재료를 분배하는 것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게이트 수단은 축의 끝단으로부터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중앙 입구, 및 중앙 입구와 같은 축의 끝단으로부터 회전자와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1 환상의 갭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 충전하기 위하여 중앙 입구 둘레에 배열된 바깥 입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캐버티에는 제1 환상의 갭이 바깥 입구로부터 떨어진 제2 캐버티의 끝단에서 제2 환상의 갭과 통하는 연결 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게이트 수단은 함성수지 재료를 축의 끝 단으로부터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로 충전하는 중앙 입구, 및 제1 환상의 갭 내로 충전된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이 제2 환상의 갭 내로 충전된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우세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제1 및 제2 구멍을 각각 통하여 제1 및 제2 환상의 갭 내로 합성수지 재료의 일부를 도입하기 위하여 다이 부재에 한정된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제1도에서 3도까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리이드 스크루(1)을 개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4도는 리이드 스크루(1)의 부분과, 성형 다이 조립체(23)의 관현 부분을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리이드 스크루(1 )에는 공심관(2)가 구비되어 있으며 , 합성수지 재료가 공심관(2)의 외부와 공심관(2)의 내부 관통구(10)을 덮고 있다. 합성수지 재료는 사출성형에 적합하고, 또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한 어떠한 임의의 합성수지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리이드 스크루(1)은 일반적으로 평탄한 원주형의 표면(3)을 가지는 기저 단부(la), 및 나사산이 구비된 자유단부(1b)로 이루어 진다 이 때 나사산의 나사봉(4)는 기저 단부(la)의 외부 원주 표면(3)처럼 일반적인 원주 표면에 놓여 있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평탄한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심관(2)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저 단부(la)의 외부 원주 표면(3)치럼 스트립의 표면을 나선형으로 형성 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공심관(2)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들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의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공심관 모양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공심관은 또한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치수안정성을 제공하는 금속 및 다른 종류의 합금, 천연섬유, 합성섬유 및 세라믹 같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공심관 벽에는 나선 모양의 배열로 위치상 나사봉(4)에 대응하는 구멍(5)의 배열(5a)가 제공된다 구멍(5)의 수는 합성수지 재료의 성질 및 그 밖에 디자인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나, 나선체의 한 회전당 1 내지 4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5)는 공심관(2)의 외부상에 있는 합성수지 재료를 공심관(2)의 내부에 있는 합성수지 재료와 연결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리이드 스크루를 나타낸다.
제1도에서 4도까지에서 도시된 리이드 스크루에서 , 각각의 나사봉(4) 사이에 위치한 나사 루트(root)는 공심관(2)의 외부 원주 표면에 의해 직접 한정되었다. 다시 말해서 공심관(2)의 일부가 노출되었다. 그러나, 제5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사 루트는 또한 합성수지 재료(4b)의 충에 의해서 덮여있고, 따라서 공심관(2)의 외부 표면은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덮여있다 이 실시예는 보다 우수한전기 절연, 및 리이드 스크루가 암나사 부재와 맞물릴 때 소음의 감소와 같은 부가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제6도는 제1도부터 4도까지에서 도시된 리이드 스크루를 성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이 조립체(23)을 도시한다. 다이 조립체(23)은 다이 플레이트(24a)에 의해 지지된 상부 다이(7) 및 다이 플레이트(24)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다이(6)을 포함하는데, 상부 다이(7)과 하부 다이(6)은 수평 분할 라인 PL에 의해서 분리된다. 하부 다이(6)에는 리이드 스크루(1)의 자유단부(1b)를 성형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원주형 캐버티(al)이 구비되어 있으며, 캐버티(al)은 구멍의 배열(5a)와 위치상으로 관계된 나사봉(4)를 성형하기 위하여 나사홈(4a)를 포함한다. 상부 다이(7)에는, 리이드 스크루(1)의 기저 단부(la)를 성형하기 위하여 공심관(2)와 공조하여 실질적인 환상의 갭을 한정하는 실질적인 원주 캐버티(a2)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환상의 갭의 폭은 나사봉(4)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부 다이(7)과 하부 다이(6)이 조합될 때, 두개의 캐버티(al) 및(a2)는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호 통한다. 이렇게 하면, 공심관(2)의 하부 끝단이 하부 다이(6)의 하부 끝단에 구비된 안내핀(locating pin)(8a) 혹은 적당한 이젝터(ejector)에 의해 적당히 위치될 때까지, 또한 공심관(2)의 벽에 형성된 구멍의 배열(5a)가 하부 캐버티(al)의 나사홈(4a)와 위치상으로 일치되거나 혹은 조화될 때까지 공심관(2)의 자유단부가 하부 다이(6)의 하부 캐버티(al)으로 삽입된다. 공심관(2)의 기저 단부도 공심관(2)의 상부 끝단이 상부 안내핀(8b)에 의해 위치될 때까지 상부 다이(7)의 상부 캐버티(a2)에 마찬가지로 삽입된다. 게다가, 안내핀(8a)를 둘러싸고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8c)은 공심관(2)에 대해 위쪽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와 같이 공심관(2)는 동축 관계로 다이 조립체의 캐버티에 안전하게 위치된다.
제6도는 바로 이 시점에서, 또는 공심관(2)가 다이 조립체(23)의 캐버티에 삽입되고 다이 조립체가 폐쇄된 후의 다이 조립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
그런 다음, 합성수지 재료가 공심관(2)를 둘러싸고 있는 상부 캐버티(a2)의 상부 오픈 끝단에 위치한 게이트(9)로 투입되어, 게이트(9)를 통해 도입된 합성수지 재료가 상부 캐버티(a2)로 흘러 들어간 다음 하부 캐버티(al)으로 흘러 들어간다. 게이트(9)에는 중앙 입구(9a) 및 중앙 입구(9a)를 동축으로 둘러싸는 환상의 입구(9b)가 구비되어 있다. 환상의 입구(9b)로부터 주입되는 합성수지 재료가 공심관(2)의 외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동시에, 게이트(9)의 중앙 입구(9a)로부터 주입된 합성수지 재료가 공심관(2)의 내부 관통구(10)을 채운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가 게이트(9)의 두 입구(9a) 및(9b)로부터 두개의 다른 흐름으로서 도입될 때, 이 두개의 흐름은, 다이 조립체의 캐버티가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완전히 채워짐에 따라, 결국 상호 만날 것이다. 게이트(9)의 중앙 입구(9a)로부터의 흐름이 게이트(9)의 환상의 입구(9b)로부터의 흐름보다 우세하다면, 상기 두 흐름은 공심관(2)의 외부상의 하부 캐버티(al)에서 상호 만날 것이다. 역으로 게이트(9)의 환상의 입구(9b)로부터의 흐름이 게이트(9)의 중앙 입구(9a)로부터의 흐름보다 우세하다면, 상기 두 흐름은 공심관(2)의 내부에 있는 하부 캐버티(al)에서 상호 만날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든, 공심관(2)의 외부상의 합성수지 재료가 공심관(2)의 벽에 구비된 구멍(5)를 통해 공심관(2)의 내부에 있는 합성수지 재료와 일체로 결합되는 식으로 두 흐름이 상호 만날 것이다. 그러므로, 공심관(2)의 외부상에 형성된,나사봉(4)는 공심관(2) 내부의 합성수지 재료에 견고하게 고착되어. 공심관(2)에 튼튼하게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게이트(9)의 환상의 입구(9b)로부터 합성수지 재료의 흐름이 게이트(9)의 중앙 입구(9a)로부터의 흐름보다 우세해야 한다. 상기 두 흐름이 상호 만나는 지역은 취약한 부분이 될 수 있는, 또는 그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소 분할 라인 혹은 만나는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두 흐름이 공심관(2) 내에서 상호 만나도록 함으로써, 나사봉(4)에서 취약한 부분 혹은 분할 라인의 생성을 피할 수 있다.
합성수지 재료가 캐버티 내로 주입되어 원하는 리이드 스크루가 성형될 때, 상부 다이(7) 및 하부 다이(6)을 상호 분리하고,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1)을 다이 캐버티로부터 제거한다. 이 때, 리이드 스크루(1)의 기저 단부(la)을 로봇 팔 혹은 다른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붙잡은 다음, 리이드 스크루를 하부 다이(6)의 하부 캐버티(al)에서 빼내기 위하여 리이드 스크루(1)을 돌리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성형된 리인드 스크루(1 )을 제거한다. 리이드 스크루의 기저 단부를 당기는 대신, 리이드 스크루의 자유단을 위쪽으로 미는 방법에 의해 리이드 스크루(1)을 하부 다이(6)의 하부 캐버티(al)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적절한 발동 장치(13)을 이용하여, 기저 단부를 잡거나 혹은 자유단부를 미는 방법에 의해 리이드 스크루를 위쪽으로 들거나 밀면서, 하부 다이(6)을 적당하게 돌릴 수 있다.
나사봉(4)의 인접한 부분 사이의 공심관(2)의 외부 표면을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의 층으로 덮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나사홈(4a)의 인접한 부분 사이에 위치한 하부 캐버티(al)의 부분은 공심관(2)의 외부 원주 표면에 대해 갭을 한정하도록 치수가 맞추어져야 한다.
제7도는 다이 조립체(2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7도에서 제5도의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은 같은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캐버티(a2)의 상부 끝단에 있는 게이트(9)에는 합성수지 재료를 공심관(2)의 내부로 주사하기 위한 중앙 입구(9a)만이 구비되어 있다. 상부 다이(7)은 게이트(9)로부터 상부 캐버티(a2)의 하부 끝단까지 뻗어있는 통로(25)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주입된 합성수지의 일부는 통로(25)를 통해 들어가, 리이드 스크루(1)의 축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공심관(2)와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갭안을 채운다. 이 갭은 상부 캐버티(a2)와 하부 캐버티(al) 내로 뻗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료는 상부 다이(7) 및 하부 다이(6)의 두 캐버티(al) 및(a2) 내로 흐를 수 있다.
상기 두 실시예에서 두 흐름이 원하는 영역에서 만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구(구멍) 및/또는 통로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두 흐름 사이의 합성수지 재료의 분포가 적당히 선택되어야 한다.
각진 핀을 구비한 둘 혹은 그 이상의 부품으로 상부 다이(7)을 형성하고, 발동 장치(13)(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할지라도)에 기능적으로 결합된 이젝터를 발동시켜 , 나사봉(4)를 구비하여 형성된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1)를 다이 조립체로부터 자동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발동 장치(13)을 갖춘 하부 다이(6)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심관(2)의 벽에 형성된 구멍(5)의 지름은 합성수지 재료의 점도, 주입 압력 및 다이 조립체의 온도에 의존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공심관 지름의 1/10 내지 2/1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적절한 인덱싱 메카니즘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공심관을 회전 및 정지시키고 각 정지 기간 동안 공심된 위에 레이저 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셔터 메카니즘을 발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구멍의 배열(5a)를 스테인레스 스틸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축 라인을 따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심관을 돌리는 대신 축 방향으로 공심관을 움직이고, 구멍의 배열(5a)가 나선형의 배열로 형성되어 나사봉(4)와 대웅하도록, 다른 축 라인을 따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심관을 소정의 각만큼 회전하는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의 배열(5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심관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일 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공심관의 두께를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도에서 10도까지는 모터 회전자(17)이 일체로 구비된 리이드 스크루(1)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회전자(17)은 리이드 스크루(1)의 기저 단부 위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공심관(2)의 끝단 위에 고정되어 있는 알루미늄 등으로 만들어진 링(14) 및, 알루미늄 링(14)이 그 사이에 밀접한 상태로 삽입되도록 알루미늄 링(14)의 양측에 위치하며 공심관(2) 위에 추정되어 있는 한 쌍의 환상의 영구자석 부재(16)를 포함한다. 각각의 영구자석 부재(16)에는 공심관(2)에 대하여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벽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교번자극들내에서자화된다. 한 영구자석의 극을 다른 영구자석의 극으로부터 옵셋(offset)시킴으로써, 회전자(17)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 자극의 수를 중가 혹은 두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구 자석 부재(16)은 깨지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혹은 인장웅력에 대하여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아철산염 같은 영구자석 재료로 보통 만들어진다.
필요하다면 알루미늄 링(14)는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자(17)은 원주를 따라 교번자극 내에서 자화되는 하나의 단단한 환상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도에서 13도까지는 제8도에서 10도까지에 도시된 회전자가 구비된 리이드 스크루를 성형하기 위한 다이 조립체(23)를 도시한다
제11도에서, 제5도의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은 같은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다이 조립체(23)은 회전자(17)과 함께 리이드 스크루의 기저 단부(la)을 성형하기 위한 상부 다이(20), 및 나사봉(4)가 구비된 자유단부(Ib)를 성형하기 위한 하부 다이(19)를 포함한다. 하부 다이(19)에는 공심관(2)에 형성된 구멍의 배열(5a)에 상당하는 나사봉(4)를 성형하기 위하여 , 나사홈(4a)를 한정하는 캐버티(bl)이 구비되어 있다.
상부 다이(20)에는 회전자(17)의 외부 원주 표면에 인접하는 자유단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사상 리브(18)(제12도 및 13도)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캐버티(b2)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 캐버티(bl) 및 상부 캐버티(b2)는 상호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 다이(19) 및 상부 다이(20)이 결합될 때 상호 연결된다.
상부 다이(20)과 하부 다이(19)를 결합하기 전에, 회전자(17)이 고정된 공심관(2)의 기저 단부가 상부 다이(20)의 캐버티(b2)에 위치되는 동시에, 공심관(2)의 자유단부는 하부 다이(19)의 캐버티(bl)에 위치하여 , 공심관(2)에 형성된 구멍의 배열(5a)가 하부 캐버티(bl )의 나사홈(4a)와 위치상으로 일치되거나 부합된다 하부 다이(19)와 상부 다이(20)이 결합될 때 공심관(2)의 자유단은 안내핀(8a)혹은 이젝터에 의해서 위치되는 동시에, 공심관(2)의 상부 끝단은 안내핀(8b)에 의해 위치되며 공심관(2)의 한 끝단에 고정된 회전자(17)은 상부 캐버티(b2)의 방사상 리브(18)에 의해 외부 원주 표면에 지지된다. 제11도는 공심관(2) 및 캐버티에 위치된 회전자(17)을 구비한 다이 조립체를 도시하며, 합성수지 재료는 이미 주입되어 있다.
합성 수지 재료는 상부 캐버티(b2)의 상부 축 끝단에 구비된게이트(21)로부터 상부 캐버티(b2)로 주입된다. 게이트(21)은 공심관(2)의 내부와 통하는 중앙 입구(21a), 및 상부 캐버티(b2)의 각각의 관련 구역 내로 통하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외부 입구(21b)를 포함한다. 합성 수지는 재료는 두개의 흐름으로 분리되는데, 하나는 공심관(2)의 내부로 흐르며, 또한 다른 하나는 회전자(17)을 둘러싸는환상의 갭으로 흐른다. 제1 흐름은 공심관(2)의 내부 관통구(10)를 통해 축 방향으로 진행하며 , 또한 제2 흐름은 공심관(2)의 외부 표면을 따라 진행한다. 이 두 흐름은 공심관(2)의 내부 관통구(10) 내에서 흑은 공심관(2)의 외부에서 결국 상호 만난다. 이 때, 공심관(2)의 외부상에 나사봉(4)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는 구멍의 배열(5a)을 통해 공심관(2) 내부의 합성수지 재료에 굳게 고착되어, 공심관(2)에단단히 부착된다.
회전자(17)이 고정되어 있는 공심관(2)의 기저 단부에서, 게이트(21)의 외부 입구(21b)로부터 주입된 합성수지 재료는 초기에 방사상의 리브(18)에 의해 분리된 상부 캐버티(b2)의 각 구역을 충전하고, 결국회전자(17)을 둘러싼 상부 캐버티(b2)의 모든 구역을 완전히 충전한다.
그런 다음 합성수지 재료는 하부 캐버티(bl) 내에서 공심관(2) 둘레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로 흘러들어가며, 또한 상부 캐버티(b2)의 바닥 끝단에 위치된 삽입 부재(26)에 의해 각각 한정된 제1 구멍(26a) 및 제2 구멍(26b)을 통해, 상부 캐버티(b2)에 있는 회전자(17)과 공심관(2)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 안으로도 흘러들어간다. 제14도는 삽입부재(26)의 확대도이다 합성수지 재료가 회전자(17)의 영구자석 부재(16)의 내부를 채워 회전자 (17)에 내압을 가하기 이전에 회전자(17)을 둘러싼 상부 캐버티(b2) 내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로부터 회전자(17)이 외압을 받기 때문에, 영구자석 부재(16)은 어떠한 두드러진 내압도 받지 않으며 , 따라서 , 회전자(17)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구역 흑은 갭 내부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외압으로 인해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제15도는 다이 조립체(2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5도에서, 제11도에서의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은 같은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캐버티(b2)의 상부 끝단에 구비된 게이트(21 )에는, 합성수지 재료를 공심관(2)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중앙입구(21a)만이 구비되어 있다. 상부 다이(20)에는 게이트(21)에서부터 상부 캐버티(b2)의 하부 끝단까지 뻗어있는 통로(27)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된 합성수지의 일부는 통로(27)로 들어가서, 삽입 부재(26)의 제1 구멍(26a)을 통해 회전자(17)의 외부원주 표면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의 상부 캐버티(b2)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부를 충전하며, 또한 삽입 부재(26)의 제2구멍(26b)를 통해 공심관(2)의 외부 표면과 회전자(17)의 내부 원주 표면 사이의 상부 캐버티(b2)에 한정된 환상의 갭 뿐만 아니라 하부 캐버티(bl)에서 공심관(2)와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을 채운다.
공심관(2) 둘레의 환상 갭은 상부 캐버티(b2) 및 하부 캐버티(bl)내부로 뻗어 있으며, 또한 주입된 합성수지 재료는 공심관(2)의 외부 표면을 따라 상부 캐버티(b2)에서 위쪽 및 하부 캐버티(bl)에서 아래쪽으로 흐른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재료가 회전자(17)의 영구자석 부재(16)의 내부를 충전하여 회전자(17)에 내압을 가하기 이전에, 회전자(17)을 둘러싼 상부 캐버티(b2)의 부분을 충전하는 합성수지 재료로부터 회전자(17)이 외압을 받기 때문에, 영구자석 부재(16)은 어떠한 내압도 받지 않으며, 따라서 회전자(17)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의 한정된 구역 혹은 갭을 충전하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외압의 덕분에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나사봉(4)를 공심관(2)의 다른 끝단에 구비된 구멍의 배열(5a)와 상응하도록 성형하기 위하여 나사홈(4a)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나사봉(4)의 인접한 부분 사이에 위치한 공심관(2)의 외부 원주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하부 캐버티(bl)의 상기 기술된 구조 대신에, 다른 실시예로서 다음의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사봉(4)의 인접한 부분 사이에 위치한 공심관(2)의 외부 원주표면의 부분을 노출하지 않고 덮기 위하여, 상부 다이(20)과 하부 다이(19)를 결합하여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공심관의 일부를 노출하지 않고 회전자(17)이 일체로 구비된 리이드 스크루(1)을 성형할 수 있도록 나사봉(4)의 루트(root)에 다이 표면과 공심관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갭이 구비된 하부 다이(19)의 캐버티(bl)을형성 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의 다이 조립체는 성형 대상물이 성형 가공 동안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제조되지만, 필요하다면 성형 가공 동안 성형되는 대상물을 측면으로 혹은 경사진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캐버티를 나란히 배열하여 동시에 많은 리이드 스크루를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이 조립체는 결합된 다이 플레이트(24) 및(24a)에 의해 각각 유지되는 고정된 하부 다이(6)혹은(19) 및 이동 가능한 상부 다이(7) 혹은(20)을 포함하며, 게이트(9) 혹은(21)을 포함하는 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다이(7) 혹은(20) 및 하부 다이(6) 혹은(19)가 기능적으로 상호 공조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다이 조립체는 다이 온도 제어 장치 및 운전 메카니즘(13)과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상술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 잇점을 제공한다.
(a) 본 발명에 다른 리이드 스크루는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공심관으로 이루어진 공심 부재를 포함하고, 합성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나사봉이 금속관을 둘러싸며, 또한 나사봉이 공심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관 중앙 관통구에 충전된 합성수지 재료에 연결되기 때문에, 나사봉이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에 굳게 부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이드 스크루는 벤딩(bending)과 인장웅력에 견디는 능력면에서 개선되고, 또한 금속 막대 등을 가공하여만들어진 대조의 리이드 스크루보다 무게에서의 경량화, 마찰의 감소 및 전기 절연성을 개선시킨다.
(b) 합성수지 재료가 균일한 내압하에서 금속 다이의 나사홈 내부로 주입되고, 이렇게 형성된 나사봉이 나사홈을 따라 배열된 공심관의 벽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배열을 통하여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에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나사봉의 경사 표면 및 나사봉의 리이드가 매우 정확하게 가공될 수 있으며 , 또한 운동 방향의 전환시에 높은 수준의 신뢰성 및 정착성이 얻어질 수 있다.
(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합성수지 재료가 나사봉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의 부분을 노출하지 않고 덮기 때문에, 부식 방지 및 전기 절연 능력이 개선될 수 있으며 ,또한 소음 발생 방지 및 나사봉의 치수의 정확성 보장과 같은 잇점이얻어 질 수 있다.
(d)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전자 및 다이 조립체가 일체로 구비된 리이드 스크루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영구자석 부재 둘레에 한정된 캐버티가 합성수지 재료로 충전된 후에만, 합성수지 재료가 환상의 영구자석 부재 내에 한정된 갭을 충전하기 때문에, 성형 가공 동안 자석 부재의 파괴를 피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자와 공심관이 상호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다음 제조 방법이 간단해질 수 있으며 , 또한 다음 작업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향상된 생산 효율 및 감소된 제조 비용과 같은 여러가지 산업상의 잇점을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의 측면에서 기술되었다 할 지라도,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0)

  1.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금속, 합성섬유, 천연섬유 및 세라믹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만들어진 공심관의 벽에,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봉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 하는 단계, 상기 공심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배열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상기 나사봉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는 캐버티가 구비된 다이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공심관의 상기 구멍의 배열이 상기 캐버티의 상기 나사홈과 위치상으로 부합되도록 상기 다이 조립체의 상기 캐버티에 상기 공심관을 배치하는 단계, 합성수지 재료를 제1 흐름으로서 상기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로, 제2 흐름으로서 상기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과 상기 캐버티의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로 축 방향에 따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상기 다이 조립체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관의 상기 내부 관통구 내로 축 방향에 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1 흐름과 상기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으로 축 방향에 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2 흐름 사이의 합성수지 재료의 분포가, 제1 및 제2 흐름이 상기 공심관의 상기 내부 관통구내에서 실질적으로 상호 만나도록 하는 방법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은.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과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은 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에 대해 환상의 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상기 다이 조립체에서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리이드 스크루를 상기 캐버티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축 라인 둘레의 상기 다이 조립체에 대해 상기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6. 기저 단부에 회전자가 구비된 리이드 스크루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금속, 합성섬유, 천연섬유 및 세라믹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만들어진 공심관의 벽에,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봉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심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배열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상기 나사봉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는 제1 캐버티와 상기 공심관의 기저 단부에 환상의 회전자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제2 캐버티가 동측의 관계로 배열되고, 상호 연결되어 있는 다이 조립체를 준비하늘 단계 :상기 환상의 회전자와 상기 공심관 사이에 한정된 갭으로 상기 공심관의 기저 단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공심관을 제1및 제2 캐버티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캐버티에 상기 환상의 회전자를 배치하는 단계: 제1 흐름으로서 상기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로 축 방향에 따라 합성수지재료를 주입하고, 제2 흐름으로서 상기 회전자의 외부 원주 표면과 상기 다이 조립체의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1 환상의 갭 및 상기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과 상기 회전자의 내부 원주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2 환상의 갭 내로 축 방향에 따라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하며 , 제1 환상의 갭 내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이 제2 환상의 갭 내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보다 우세하도록 상기 제2 환상의 갭 내로 흐르는 상기 합성수지 재료의 제2흐름의 부분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상기 다이 조립체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 단부상에 회전자가 구비된 리이드 스크루의 성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내로 축 방향에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1 흐름과 상기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으로 축방향에 따라 진행되는 상기 제2 흐름 사이의 합성수지 재료의 분포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흐름이 상기 공심관의 상기 내부 관통구 내에서실질적으로 상호 만나도록 하는 방법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이 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은 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에 대해 환상의 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상기 다이 조립체에서 제거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리이드 스크루를 상기 캐버티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축 라인 둘레의 상기 다이 조립체에 대해 상기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11.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봉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부분에 구멍이 구비된 공심관 둘레에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 한 다이 조립체에 있어서,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원주형의 캐버티를 한정하는 다이 부재, 상기 공심관을 상기 캐버티에 동축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공심관의 내부 촌통구 내로, 및 상기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하기 위 한 게이트 수단: 및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 조립체를 여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 상기 게이트 수단이 합성수지 재료를 축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공심관의 상기 내부 관통구 내로 충전하기 위한 중앙 입구, 및 합성수지 재료를 상기 중앙 입구와 같은 축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로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입구 둘레에 배열된 외부 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 상기 게이트 수단이 합성수지 재료를 축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공심관의 상기 내부 관통구 내로 충전하기 위한 중앙 입구, 및 상기 캐버티의 축의 중간 지역으로 통하는 외부 입구로부터 상기 공심관의 외부 원주 표면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환상의 갭 내로 합성수지 재료의 일부를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 부재에 한정된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이 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과 실직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이 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에 대해 환상의 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 방법.
  16.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소정의 나사산의 나사홈과 위치상으로 부합하는 부분에 구멍이 구비된 공심관 둘레에 리이드 스크루를 성형하며, 또한 상기 리이드 스크루의 기저 단부상에 환상의 회전자 부재를 일체로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캐버티가 상호 동축 방향으로 배치 및 상호 통하도록 배치되고, 다이 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주형의 제1 캐버티, 및 상기 공심관 위에 동축으로 고정된 상기 회전자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원주형의 제2 캐버티를 한정하는 다이 부재; 상기 제1 및 제2 캐버티에 상기 공심관을 동축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수단; 상기 공심관 위에 고정된 상기 회전자부재를 상기 제2 캐버티에 동축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수단; 상기 공심관의 내부 관통구, 상기 회전자 부재의 외부 표면과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1 환상의 갭, 및 상기 공심관의 외부 표면과 상기 회전자 부재의 내부 표면 사이에 한정된 제2환상의 갭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 주입하며, 상기 제1 환상의 갭 내에 충전된 상기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이 상기 제2 환상의 갭 내에 충전된 상기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우세하도록 상기 제2 갭 내에 충전된 상기 합성수지 재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 수단; 및 성형된 리이드 스크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 조립체를 여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이 축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공심관의 상기 내부 관통구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 충전하는 중앙 입구, 및 상기 중앙 입구와 같은 축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자와 상기 맞은편 다이 표면 사이에 한정된 상기 제1 환상의 갭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중앙 입구 둘레에 배열된 외부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한상의 갭이 상기 외부 입구로부터 떨어진 상기 제2 캐버티의 끝단에서 상기 제2 환상의 갭과 통하도록 하는 연결통로가 상기 제2 캐버티에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이 축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공심관의 상기 내부 관통구 내로 합성수지 재료를 충전하기 위한 중앙 입구, 제1 및 제2 구멍을 통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환상의 갭 내로 상기 합성수지 재료의 일부를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 부재에 한정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멍이 상기 제1 환상의 갭 내로 충전되는 상기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이 상기 제2 환상의 갭 내로 충전되는 합성수지 재료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우세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이 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
  20. 상기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홈의 인접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다이 표면의 부분이 상기 공심관의 맞은편 외부 원주 표면에 대해 환상의 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스크루 성형을 위한 다이 조립체.
KR1019940023723A 1993-09-17 1994-09-16 공심관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재 리이드 스크루 제조방법 KR0149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65346 1993-09-17
JP5265346A JP2721298B2 (ja) 1993-09-17 1993-09-17 リードスクリューの成型方法およびリードスクリューとローターとの一体成型方法ならびに成型用金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79A KR950008079A (ko) 1995-04-17
KR0149436B1 true KR0149436B1 (ko) 1998-10-15

Family

ID=1741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723A KR0149436B1 (ko) 1993-09-17 1994-09-16 공심관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재 리이드 스크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533247A (ko)
EP (1) EP0647520B1 (ko)
JP (1) JP2721298B2 (ko)
KR (1) KR0149436B1 (ko)
CN (2) CN1054333C (ko)
CA (1) CA2132237C (ko)
DE (1) DE69411654T2 (ko)
TW (1) TW283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9416A (en) * 1990-12-24 1995-08-08 Xerox Corporation Composite shaft with integrally molded functional feature
US5809829A (en) * 1996-11-25 1998-09-22 Amada Mfg America Inc. Ball screw and work feeding device using same
JP3559175B2 (ja) * 1998-09-10 2004-08-25 株式会社モールド技術研究所 インサートパイプ成形品の製造方法
US6241619B1 (en) 1999-04-16 2001-06-05 Xerox Corporation Hollow shafts with gas assist molding
US6517440B2 (en) * 1999-04-16 2003-02-11 Xerox Corporation Plastic shafts with molded core and external feature
SE9903772D0 (sv) * 1999-10-18 1999-10-18 Svenska Rotor Maskiner Ab Polymerrotor och sätt att framställa polymerrotorer
US6503430B1 (en) * 2000-08-01 2003-01-07 Philip Downey Cold runner molding system
JP3548138B2 (ja) * 2001-07-11 2004-07-28 ミネベア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ェータ用のリードスクリュー
JP3776400B2 (ja) * 2002-12-24 2006-05-17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
JP2005168211A (ja) * 2003-12-03 2005-06-23 Minebea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
US7121823B2 (en) * 2004-08-24 2006-10-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ld assembly for forming a plastic article having a complicated shape
US20060151904A1 (en) * 2005-01-10 2006-07-13 Hayden John C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cutting tool
US20080041175A1 (en) * 2006-07-27 2008-02-21 Hiwin Technologies Corp. Screw Shaft having cushioning structure
CN101293383B (zh) * 2008-06-11 2010-06-09 宁波双林模具有限公司 塑料蜗杆成型模具
US7896599B2 (en) * 2008-08-21 2011-03-01 Douglas Stephen Hybrid composite-metal male fastener
US8105004B2 (en) * 2008-08-21 2012-01-31 Robert Stephen Hybrid composite-metal male fasteners
US20100202911A1 (en) * 2009-02-12 2010-08-12 Scroll Laboratories, Inc. Scroll-type positive displacement apparatus with plastic scrolls
KR101939397B1 (ko) * 2012-06-15 2019-0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크류 조인트를 가지는 전동기
CN105690667A (zh) * 2013-10-31 2016-06-22 郑州思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错位螺旋线式中空推进管的注塑模具
US10010948B1 (en) 2014-10-14 2018-07-03 Matthew W. Hayden Near-net shaped cutting tools and processes and devices for making the same
US9855675B1 (en) * 2016-09-20 2018-01-02 RELIGN Corporatio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CN107877778A (zh) * 2017-12-08 2018-04-06 蔡凡 一种陶瓷件上高精度结构的制备工艺及方法
JP7124570B2 (ja) * 2018-09-03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ータ
CN113146938B (zh) * 2021-05-07 2022-02-11 友信精密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可自动埋入铁件的注塑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8567A3 (en) * 1986-05-27 1989-12-06 Johannes Hermanus Britz Hand tool for percussive use
JPH0757500B2 (ja) * 1987-10-31 1995-06-21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プリフオーム口部成形金型へのピースインサート方法
JPH02113910A (ja) 1988-10-24 1990-04-26 Mold Gijutsu Kenkyusho:Kk リードスクリュー,パイプシヤフトおよびその成型方法ならびに成型用金型
JPH0675523B2 (ja) * 1988-12-16 1994-09-28 吉田工業株式会社 装身具の製造方法
US5439416A (en) * 1990-12-24 1995-08-08 Xerox Corporation Composite shaft with integrally molded functional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333C (zh) 2000-07-12
CN1097509C (zh) 2003-01-01
JP2721298B2 (ja) 1998-03-04
KR950008079A (ko) 1995-04-17
US5672365A (en) 1997-09-30
JPH08118371A (ja) 1996-05-14
CN1263818A (zh) 2000-08-23
DE69411654T2 (de) 1999-04-15
CA2132237C (en) 2000-05-23
CA2132237A1 (en) 1995-03-18
CN1111188A (zh) 1995-11-08
US5533247A (en) 1996-07-09
DE69411654D1 (de) 1998-08-20
TW283112B (ko) 1996-08-11
EP0647520B1 (en) 1998-07-15
EP0647520A1 (en) 199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436B1 (ko) 공심관을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재 리이드 스크루 제조방법
CN1038235C (zh) 注射模具
US20110169205A1 (en) Plastic Spr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4492556A (en) Unitary heated nozzle assembly
DE69637503T2 (de) Eingekapselte wandler mit hülse und komponentenausrichtung
US3905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molded articles
US4691079A (en) Screw-on wire connector
US569714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fusion coupler
KR20010041303A (ko) 안테나 유닛 제조방법과 제조장비, 안테나 유닛
US4641423A (en) Method of making electrically heated nozzles and nozzle systems
KR950000707Y1 (ko) 광파이버 커넥터
US62482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psulating a ring-shaped member
EA001743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фитингов, соединяемых с трубами электросваркой
US458180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bobbins for industrial use
JP2004358689A (ja) モータのロータ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4352855B2 (ja) 電磁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磁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放電灯装置と照明器具
JPS6243865B2 (ko)
KR200269511Y1 (ko) 금형장치의 게이트
EP435285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tors einer elektrischen antriebseinheit
JPH0552765B2 (ko)
JP2010154694A (ja) 整流子の製造方法及び整流子
JPH06290663A (ja) 碍子の成形金型及び成形方法
TH10889B (th) วิธีการสร้างสกรูตัวนำที่ทำขึ้นมาจากวัสดุที่เป็นเรซินสังเคราะห์โดยมีแกนกลางภายในเป็นท่อ
EP0504294A1 (en) Electrical commuta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2136218A (ja) 曲り管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ための射出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