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012B1 - 병렬로 동작하는 다목적 상관기를 이용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 Google Patents

병렬로 동작하는 다목적 상관기를 이용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012B1
KR0147012B1 KR1019940039771A KR19940039771A KR0147012B1 KR 0147012 B1 KR0147012 B1 KR 0147012B1 KR 1019940039771 A KR1019940039771 A KR 1019940039771A KR 19940039771 A KR19940039771 A KR 19940039771A KR 0147012 B1 KR0147012 B1 KR 014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orrelators
signal
pilot
corre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326A (ko
Inventor
도모야 가꾸
숀 오리간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5002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8Parallel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5Synchronisation aspects using a code tracking loop, e.g. a delay-lock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Correla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에 있어서, 다중 상관기는 확산 데이타 신호 및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시키기위해 제공된다. 동기 포착 모드동안, 파일럿 복조기들은 상관기들에 각각 접속되며, 후속 추적 모드 동안, 데이타 복조기들은 상관기들에 접속되는데, 이들 상관기들의 출력은 가산기에 의해 결합되어 리시버의 출력을 발생시킨다. 다른 위상 위치의 역 확산 코드가 발생되어 각 상관기들에 공급된다. 동기 포착 모드 동안, 각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가 연속적으로 시프트되어 높은 상관 값이 파일럿 복조기의 출력으로부터 결정된다. 추적 모드 동안,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가 상기 높은 상관값에 따라 세트된다.

Description

병렬로 동작하는 다목적 상관기를 이용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텍트럼 리시버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각 상관기의 회로도.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각각 동기 포착, 추적 및 갱신 모드 동안의 제1도의 프로세서의 블록도.
제4도는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의 각 파일럿 복조기의 회로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의 각 데이타 복조기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제6a도, 제6b도 및 제6c도는 각각 동기 포착, 추적 및 갱신 모드 동안의 제1도의 위상 시프트 제어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A/D 변환기 12 : 데이타 프로세서
13 : 위상 시프트 제어기
14 : 채널 디코더 20i, 20q : 숭산기
21i, 21q : 스위치 30 : 모드 제어기
33 : 스위치 34 : 가산기
40i, 40q : 적분기 45i, 45q : 지연 회로
46i, 46q : 이동 평균 회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코드 분할 다원 접속) 리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레이 페이딩(Rayleigh fading) 및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해 전송된 신호가 상당히 영향을 받는 셀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의 동기 포착 및 추적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에 다른 다원 접속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잠재 능력으로 인해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코드 분할 다원 접속) 통신 시스템이 상업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디에스/시디엠에이(DS/CDMA) 시스템의 셀-사이트 스테이션에서는, 셀사이트에 할당된 직교 의사-난수열(orthogonal pseudo-randam number(PN) sequences) 및 확산 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에 할당되는 직교 월쉬 코드(orthogonal Walsh codes)와 승산되어 데이타 심볼(data symbol)이 확산된다. 이동국에 동기 포착 및 추적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타 심볼 시퀀스에 파일럿 신호가 중첩된다. 이동국에서는, 수신된 시퀀스와 로컬 시퀀스 간의 상관이 취해질 때마다 소정의 양만큼 로컬 PN 시퀀스의 위상 타이밍을 시프트하고 상관 계수가 몇몇의 기준값을 초과할 때 로컬 시퀀스에 대한 올바른 위상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 슬라이딩 상관 기술(sliding correlation technique)을 이용한다. 이러한 위상 시프트는 소정의 윈도우(window) 간격으로 행해진다. 일단 동기화가 확립되면, 위상차가 모니터되어 칩 간격의 1/2 내로 유지된다. 전송동안에는 다양한 랜드 구조(land structures)로부터 신호의 반사가 발생되어, 상호 간섭에 의해 복잡한 정재파 패턴이 발생된다 결국, 신호의 전파 경로가 대략 레일레이 분포의 전계 강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로써, 신호에 소위 레일레이 페이딩(Rayleigh fading)의 현상이 나타나고, 이동국에서의 신호의 포락선 및 그의 위상이 극단적으로 변동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하에서 슬라이딩 상관 기술은 신호 레벨이 빠르게 변동하는 신호 레벨에 응답하여 신속하게 동기를 취하는 데는 이상적이지 못하다. 또한, 강한 반사성 신호 또는 인접한 셀 사이트로부터의 상위 레벨의 신호의 도착으로 인해서 이동체의 위상 타이밍을 갱신할 필요성이 종종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종래의 시스템은 상관 회로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이전의 심볼을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강한 신호의 도달에 대응하여 즉시 상관 회로를 새로운 위상 타이밍으로 세트한다. 새로운 위상 타이밍에 이전의 심볼을 사용하면 타이밍의 불연속이 발생하고 과도한 상관(over-correlation) 또는 부족 상관(under-correlation)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신호 레벨의 변동 하에서도 빠르게 동기화를 할 수 있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관 처리의 위상 타이밍을 갱신할 때 연속적인 전이를 보장할 수 있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는 확산 데이타 신호 및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하기 위한 복수의 상관기, 복수의 파일럿 복조기, 복수의 데이타 복조기 및 가산기를 포함한다. 데이타 복조기 및 가산기는 레이크 리시버(RAKE receiver)를 구성한다. 동기 포착 모드동안, 파일럿 복조기는 상관기에 각각 접속되고, 후속 추적 모드동안, 데이타 복조기는 가산기에 의해 RAKE 리시버에 대한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복조된 데이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관기에 접속된다. 다른 위상 위치의 복수의 역 확산 코드가 발생되어 각 상관기에 공급되므로 상관기들이 확산 데이타 및 파일럿 신호 중 하나를 역 확산시킨다.
동기 포착 모드동안, 각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는 연속적으로 시프트되며, 높은 상관 값이 파일럿 복조기의 출력으로부터 결정된다. 추적 모드 동안,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는 높은 상관값에 따라 설정된다. 다수의 상관기가 동기 포착 모드동안 병렬로 동작되기 때문에 가능한 위상 위치 범위를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실제로, 데이타 복조기는 다중 경로 페이딩채널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제공된다.
역 확산 코드는, 동기 포착 모드동안에는 모든 상관기가 입력되는 파일럿 신호에 대한 상관만을 제공하고, 추적 모드 동안에는 상관기들의 절반이 데이타 신호에 대한 상관을 제공하고, 나머지 상관기가 파일럿 신호에 대한 상관을 제공하도록 발생된다.
역 확산 코드는 셀 사이트 영역만을 식별하는 의사-난수(노이즈) 열 및 통신채널을 식별하는 월쉬 코드를 포함한다. 월쉬 코드가 올-제로 코드(all-zero code)로 세트될 때 이 코드가 제공되는 상관기는 파일럿 신호를 가진 상관을 제공하도록 세트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다른 위상 위치의 제 2 역 확산 코드는 추적 모드동안 양호한 위상 위치를 계속해서 탐색하도록 상관기들 중 특정한 하나에 공급된다. 제 2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는 동기 포착 모드에서 이전에 설정된 것의 부근으로 시프트되며 높은 상관값이 파일럿 복조기 중 하나로부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새롭게 결정된다. 이전에 설정된 위상 위치는 갱신 모드 동안 새로운 높은 상관값에 따라 갱신된다.
새로운 위상 위치가 결정되고 이전의 위상 위치가 갱신되게 될 때 완만한 전이를 보장하기 위해 제 2 데이타 복조기가 제공된다. 이 데이타 복조기는 특정한 상관기가 새로운 위상 위치로 세트될 때에 특정한 상관기의 출력에 접속된다. 제 2 데이타 복조기를 특정한 상관기에 접속함에 따라서, 이전의 심볼을 새로운 심볼로 대체할 수 있도록 램프-업(ramp-up) 시간이 도입되며, 램프-업 시간 직후, 다른 데이타 복조기의 출력이 순차적으로 소정의 간격동안 가산기로부터 분리되고, 그 대신에 제 2 데이타 복조기의 출력이 소정의 간격동안 가산기에 접속된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제 1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DS/CDMA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의 수신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셀-사이트 스테이션에서는 기저대역 다운 링크(셀-대-이동체) 신호가 채널 인코더에 의해 무선 전송에 최적화되는 공지의 코드된 형태로 초기에 인코드된다. 인코드된 신호의 심볼은, 심볼속도보다 더 빠른 칩속도로, 이동국이 현재 위치해 있는 서비스 영역에 통상 할당되는 PN(의사 - 난수) 확산 시퀀스 PNi 및 PNq로 확산되며, 또한 다운링크 채널에 독점적으로 할당되는 직교 월쉬 코드로 확산된다. 올-제로 또는 1들의 열 일수 있는 파일럿 신호는 동일한 칩 속도로 직교 월쉬 올-제로 코드를 가진 동일한 PN 시퀀스 PNi 및 PNq로 확산된다. 확산 스펙트럼 다운링크 신호의 동위상(in-phase) 및 역상 성분(90°의 위상차가 있음)은 직교 무전-주파수 캐리어 상에서 변조되어 증폭되어 전송되는 1 신호 및 Q 신호를 발생하도록 확산 스펙트럼 파일럿 신호의 대응 성분과 결합된 다.
셀 사이트로부터의 확산 스펙트럼 신호는 이동국에 의해 수신되어, 무선 주파수 증폭 및 복조 단(stage)을 포함하는 구상(quadrature) 복조기(10)에 공급된다.
직교 로컬 캐리어를 이용하여 복조기(10)는 초기 i 및 q 신호를 회복한다. A/D변환기(11)에 의해 아날로그 대 디지탈 변환된 후 디지탈 i 및 q 신호가 동일한 구성의 상관기(CR1내지 CR8)에 병렬로 공급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관기들 CRk각각(K=1, 2, ··, 8)은 승산기(20i)로부터 동상 출력 ik= 1 × PNik및 승산기(20q)로부터 직교 출력 신호 qk= Q × PNqk를 발생시키기 위해 A/D 변환기(11)로부터의 1 및 Q 디지탈 신호와 의사-난 역확산 시퀀스 PNi(k)및 PNq(k)를 승산하기 위한 한쌍의 승산기(20i, 20q)를 포함한다. PN 시퀀스 PNik및 PNqk는 스위칭 신호를 만들어내는 배타적 -OR 게이트(30)에 대한 2개의 입력이다. 승산기(20i)의 출력신호(qk) 및 승산기(20q)의 출력 신호(qk)는 스위치(21i) 및 (21q)에 대한 입력들이다. 스위칭 신호가 바이너리 1이면, 승산기(21i)의 출력은 신호(1dk)로서 스위치(21i)의 출력에 나타난다. 스위칭 신호가 바이너리 제로(0)이며, 신호 1dk는 승산기(21Q)의 출력과 동일하다. 유사하게, 승산기(20q)의 출력은 스위칭신호가 1일 때 신호 Qdk로서 스위칭(21q)의 출력에서 나타난다. 이와 반대로, 승산기(20i)의 출력은 Qdk로서 나타난다. 상관기들(CRk)은 월쉬 코드(Wk)를 가진 신호(1dk및 Qdk)를 역 확산시키기 위한 한쌍의 승산기(23i, 23q)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관기 CR1내지 CR8에 공급되는 모든 월쉬 코드는 리시버가 동기 포착 모드에 있을 때 올-제로 월쉬 코드로 되고, 이들 코드의 몇몇은 리시버가 추적 모드에 있을 때 월쉬 코드와 다른 월쉬 코드 번호를 구별하도록 변경된다. 파일럿 신호가 올-제로 월쉬 코드를 가진 송신기에 확산되어 있기 때문에 승산기(23i, 23q)의 출력은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역 확산 파일럿 신호의 동위상 성분 및 역상 성분을 나타내고, 추적모드 동안 역 확산 데이타 신호의 동위상 및 역상 성분을 나타낸다. 승산기(23i, 23q)의 각 출력은 동위상 및 역상 파일럿 또는 데이타 심볼(1k, Qk)을 발생시키도록 심볼 간격에 걸쳐 적분된다.
다시 제 1 도에서, 각 상관기(CR)로부터의 직교 출력 신호는 기술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경우에 데이타 프로세서(12)로 공급되어 상관 합 신호(S1-S8)로서 위상 시프트 제어기(13)에 인가된다. 동기 포착 모드 동안, 파일럿 심볼은 모든 상관기의 출력으로부터 복조되어 위상 시프트 제어기에 인가된다. 추적 모드 동안, 데이타 심볼은 상관기들(CR1내지 CR6)의 출력으로부터 복조되어 이들 신호의 합이 채널 디코더(14)에 공급되지만, 파일럿 신호는 상관기들(CR7, CR8)의 출력으로부터 복조되어 신호(S7, S8)로서 위상 시프트 제어기에 인가되고 바이너리 제로(0)들은 신호(S1 내지 S6)으로서 위상 시프트 제어기에 공급된다. CDMA 리시버는 추적 모드 동안 얻어지는 위상 타이밍이 사용되는 갱신모드로 들어가서 추적 모드 동안 파일럿 심볼을 발생하도록 사용되온 상관기들(CR7, CR8)에 인가된 PN 시퀀스의 위상 타이밍을 갱신한다. 이러한 갱신모드에서는, 모든 상관의 출력이 서로 가합되는 데이타 심볼을 회복하도록 사용되며 채널 디코더(14)에 인가된다.
신호(S1∼S8)에 응답하여, 위상 시프트 제어기(13)가 위상 위칭 신호(Pl∼P8) 및 월쉬 코드 번호(Nl∼N8)을 발생시킨다.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위상 시프트 제어기가 8개의 다른 위상 위치 신호의 시퀀스를 발생시키고, 이들 시퀀스를 각각 시퀀스(Pl∼P8)로서 PN 시퀀스 발생기(PG1∼PG8) 및 월쉬 코드 발생기(WG1∼WG8)에 동시에 공급하며, 모든 월쉬 코드 발생기에 제로(0) 월쉬 코드 번호(ω0)를 공급한다.
이러한 포착 모드 동안, 위상 시프트 제어기는 PN 시퀀스의 모든 범위(0 내지 216비트의 시프트에 대응)를 통해 연속적인 위상 시프트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상관 합 신호(S1 내지 S8)를 통해 탐색하여, 가장 높은 3개의 값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위상 위치(Δθ1내지Δθ3)를 식별한다.
추적 모드 동안, 이들 위상 위치 신호는 각 쌍의 PN 발생기가 동일 위상 위치에서 구동되도록 신호 Pl 내지 P6로서 PN 발생기(PG1내지 PG6)에 인가된다.
이어서 PN 발생기(PG7및 PG8)는 Δθ1내지 Δθ3의 부근에 위치되는 위상 위치에서 신호(P7, P8)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신호(P7, P8)로부터 최적의 위상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도록 계속해서 탐색한다. 동시에, 월쉬 코드 번호 ω1, ω3및 ω5는 위상 위치 Δθ1, Δθ2및 Δθ3각각에 대응하는 월쉬 코드 발생기(WG1, WG3, WG5)에 각각 공급되고, 제로 코드 번호(ω0)는 월쉬 코드 발생기(WG2, WG4) 및
(WG6내지 WG8)에 공급된다. 결국, 추적 모드 동안, 상관기들 CRk(k=1, 3 및 4)의 출력은 직교 데이타 심볼이 되고, 상관기들 CRk+1의 출력은 직교 파일롯 심볼이 된다.
갱신모드 동안, 위상 위치 신호(Δθ1내지 Δθ3)는 신호(P7, P8)로 표시된 최적 위상 위치로 각각 갱신된다.
위상 위치 신호(Pl∼P8)에 의해 PN 발생기(PG1-PG8) 각각은 각 상관기(CR1∼CR8)와 결합시키기 위해 PN 시퀀스(PNil, PNql, PNi2, PNq2, ··, PNi8, PNq8)의 쌍을 발생시킨다. 각 월쉬 코드 발생기(WGk)는 신호P(k)의 위상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상관기(CRk)와 결합시키기 위한 월쉬 코드를 발생시키기 위해 위상 위치 신호(P(k)) 및 대응하는 코드 번호(N(k))를 사용한다.
제 3A 도, 제 3B 도 및 제 3C 도는 각각 동기 포착, 추적 및 갱신모드 동안의 데이타 프로세서(12)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다. 제 3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는 3개의 스위치 그룹(31-i, 32-i 및 33-j)(i=1∼4, j=1∼3)을 포함한다. 이들 모든 스위치는 모드 제어기(22)로부터 공급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상관기(CR1내지 CR8)의 출력은 대응하는 스위치(31-1, 31-2, 31-3) 및 (31-4)를 통해 파일럿 복조기(PD1, PD2), (PD3, PD4), (PD5, PD6) 그리고 (PD7, PD8)의 쌍 또는 데이타 복조기(DD1, DD2, DD3, 및 DD4)에 쌍으로 접속된다. 각 쌍의 파일럿 복조기의 출력은 위상 시프트 제어기(13)에 대한 상기 쌍에 대응하는 스위치(32)를 통해 상관 합 신호(S1 및 S2)로서 공급되고, 상기 쌍과 결합되는 데이타 복조기의 출력은 신호 ri로서 대응하는 스위치(33)를 통해 가산기(34)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관기(CR3, CR4)의 출력은, 예를 들면 스위치(31-2)를 통해 파일럿 복조기(PD3, PD4) 또는
데이타 복조기(DD2)에 결합되고, 이들 파일럿 복조기의 출력은 스위치(32-2)를 통해 상관 합 신호(S3, S4)로서 위상 시프트 제어기(13)와 결합되며, 데이타 복조기(DD2)
의 출력은 스위치(33-2)를 통해 신호(r2)로서 가산기(34)에 결합된다.
모드 제어기(30)는 위상 시프트 제어기(13)에 모드 표시 신호를 공급하고, 동작 모드를 다음 동작 모드로 변경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킴에 의해 위상 시프트 제어기(13)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한다.
동기 포착 모드 동안, 모드 제어기(30)은 직교 출력 신호(1k및 Qk)(k=1, 2,··, 8)가 위상 시프트 제어기(13)에 상관 합 신호(S1 내지 S8)를 공급하도록 대응하는 파일럿 복조기(PDk)에 결합되도록 모든 스위치를 세트하며, 가산기(34)에 대한 모든 입력은 제로로 세트된다.
추적 모드(제 3B 도)동안, 상관기(CR1∼CR6)의 출력은 스위치(33-1, 33-2, 33-3)클 통해 가산기(34)에 접속되는 출력 신호 rl, r2, r3를 발생하는 대응하는 데이타 복조기(DD1∼DD3)로 스위치된다. 스위치(32-1, 32-2, 32-3)는 신호(S1 내지 S6)의 출력 레벨을 제로(0)로 세트하도록 바이너리 제로(0) 위치로 스위치된다 한편
상관기(CR7, CR8)의 출력은 상관 합 신호(S7, S8)를 발생시키도록 파일럿 복조기(PD7, PD8)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갱신 모드 동안(제 3C 도), 모든 상관기의 출력은 출력 신호 r1∼r4를 발생시키도록 대응하는 데이타 복조기에 쌍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33-1, 33-2, 33-3)는 램프 업(ramp-up)시간 직후의 짧은 주기 동안 가산기(34)에 의해 신호 r1, r2 및 r3 중 2개의 신호를 r4와 결합시키도록 제어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파일럿 복조기는 한쌍의 적분기(40i, 40q), 한쌍의 제곱 회로(41i, 41q) 및 가산기(42)를 포함한다. 상관기(CRk)로부터 동 위상 및 직교 신호(1k, Qk)는 제곱 회로(41i, 41q)에 의해 각각 제곱되는 직교합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m심볼 주기 동안 적분기 (40i, 40q)에 의해 각각 합산된다. 합 및 제곱된 신호는 상관기(CRk)의 상관 합 신호(Sk)를 발생시키기 위해 가산기(42)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제 5A 도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데이타 복조기(DDj)(j=1, 2,··,4)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각 데이타 복조기(DDj)는 한쌍의 승산기(43i, 43q) 및 가산기(44)를 포함한다. 승산기(43i)는 상관기(CRk)의 출력 신호(1k)와 상관기(CRk+1)의 출력 신호(1k+1)간의 상관을 취하고, 승산기(43q)는 출력 신호(Qk)와 출력 신호(Qk+1)간의 상관을 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적 모드 동안, 출력 신호(1k, Qk)는 직교 데이타 심볼이고, 출력 신호(1k+1, Qk+1)는 직교 파일럿 심볼이다. 따라서, 승산기(43)에서의 대응하는 직교 성분의 파일럿 심볼과 각 동위상 또는 역상 성분의 데이타 심볼을 승산함에 의해 데이타 심볼이 1-Q 평면의 기준 축에 대해 회전되며 파일럿 심볼의 크기만큼 가중된다. 승산기(43i, 43q)의 출력은 출력 신호 rj를 발생시키기 위해 가산기(44)에 의해 함께 가합된다. 가산기(44)의 출력은 송신기의 채널 인코더의 프로세스와 역으로 프로세되는 채널 디코더(14)에 공급된다.
파일럿 신호의 크기는 통상 데이타 신호의 크기보다 훨씬 크며 이들 신호간의 위상차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출력 신호(ri)를 얻기 위해 데이타 신호 벡터는 각 데이타 신호 성분과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 성분의 복소 공역을 승산하고 다음과 같이 그 적을 합산함에 의해 1-Q 복소평면의 1축상으로 투사된다.
rj=Re[rdcosθd(rPcosθp- ∫rpsinθp) + rdsinθd(rPsinθp+∫rPcosθ)]p
=Re[rprd(cosθpcosθd+ sinθpsinθd)+∫rprd(cosθpsin θd- sinθpcos θd)]
= rprd(cosθpcosθd+ sinθpsinθd)
= rprdcos(θpd)
여기서 rd는 데이타 심볼의 크기, rp는 파일럿 심볼의 크기, θd및 θp는 데이타 및 파일럿 심볼의 위상 각도이다. 식(1)은 데이타 신호의 단위 벡터가 1-Q 복소 평면의 1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칼라 적 rprd에 의해 가중된 것을 나타낸다.
1-Q 복소 평면의 1 축상에서 데이타 벡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세서(12)의 가산기(34)의 입력에서 신호를 간단하게 합산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회전 방법에 따른 파일럿 벡터의 사용으로 파일럿 벡터가 데이타 심볼을 가중할 때 가산기(2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페이딩 효과를 저감할 수 있으며, 보다 강력한 다중 경로 신호가 페이딩시 로우 레벨을 나타내는 보다 강한 이동-평균 파일럿의 강한 신호를 갖게 된다.
또한, 제 5B 도에 도시한 각 데이타 복조기의 양호한 실시 예에서는, 각 데이타 복조기가 출력 신호(1k, Qk) 각각에 대한 s 데이타 심볼의 1/2의 지연을 도입하기 위한 한상의 지연 회로(45i, 45q), 그리고 파일럿 신호의 이동 평균값을 발생시키기 위해 출력 신호(1k+1Qk+1)의 s 심볼을 연속적으로 적분하기 위한 한쌍의 이동 평균 회로(46i, 46q)를 더 포함한다. 각 이동 평균 회로는 S-단 시프트 레지스터 및 가산기로 구성된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선행 회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가산기는 각 위상 성분에 대한 s 파일럿 심볼(s 데이타 심볼에 대응)의 값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레지스터단의 모든 내용의 값을 연속적으로 가합하기 위해 모든 레지스터의 단에 접속된다. 이로써, 각 지연된 데이타 심볼에 대하여, 이동 평균값은 지연된 심볼보다 앞서는 s/2 파일럿 심볼 및 지연된 심볼 다음의 s/2 파일럿 심볼로부터 얻어진다. 여러개의 데이타 심볼이 전송동안 노이즈에 의해 심하게 변조되면, 대응하는 파일럿 심볼이 이동평균되고, 이러한 방식에 의해 파일럿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이 감소되어 신호 rj 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이 감소된다.
지연 회로(45i, 45q)의 출력은 승산기(43i, 43q)에 각각 공급되며, 등위상 및 역상 성분의 이동 평균값이 승산기(43i, 43q)에 각각 공급된다. 입력되는 데이타 심볼은 항상 다중 경로 페이딩, 레이레이 페이딩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입력되는 심볼은 대응하는 파일럿 심볼이 s 심볼의 주기에 걸쳐 이동 평균되는 시간 동안 불규칙한 노이즈에 의해 변조될 수 있다. s/2 심볼 지연의 도입은 노이즈와 관련된 문제를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6A 도 내지 제 6C 도는 각각 동기 포착, 추적 및 동작 갱신 모드에서의 위상 시프트 제어기(13)의 구성을 나타낸다. 위상 시프트 제어기는 제어기(60), 위상 위치 데이타 소스(61), 셀렉터(62) 및 윌쉬 코드 번호 발생기(63)를 포함한다.
제 6A 도에서, 제어기(60)는 프로세서(12)로부터의 모드 표시 신호에 응답한다.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제어기(60)는 위상 위치 시퀀스 pk(k=1, 2,··,8)을 동시에 발생시키도록 위상 위치 데이타 소스(61)에 지령하는데, 각 시퀀스는 위치신호 Δθkl내지 Δθkn을 포함한다. 위상 위치 신호(Pl∼P8)는 셀렉터(62)를 통해 PN 발생기(PG1-PG8) 및 월쉬 코드 발생기(WG1∼WG8)각각에 인가된다. 동시에, 제어기(60)는 제로 월쉬 코드 번호(ω0)를 발생하도록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63)에 지령하고, 이들 번호를 신호(Nl∼N8)로서 월쉬 코드 발생기(WG1∼WG8)각각에 인가한다.
위상 위치 신호 Δθkl내지 Δθkn의 시퀀스 P(k)에 응답하여, 각 PN 발생기 PNk(제 1 도)는 연속적으로 동상의 의사-난수열(PNi(k)) 및 역상 의사 난수열 (PNq(k))을 대응하는 상관기(CRk)에 공급한다. 동시에, 상관기(CRk)에 연속적인 위상 위치(Δθkl내지 Δθkn)에 대응하는 월쉬 코드 번호(N(k))에 따른 월쉬 코드 발생기(WGk)에 의해 발생되는 월쉬 코드 시권스(Wk)가 공급된다
모든 상관기(CR)는 위상 위치 신호와 시퀀스를 모든 위상 시프트 제어기(13)로 분할하여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입력되는 신호와 각각의 역 확산 코드들(각각은 PN 시퀀스 및 월쉬 시퀀스를 포함한다)간의 상관을 취하기 위해 병렬로 동작한다.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월쉬 코드 시퀀스는 올-제로 시퀀스로 되어 있으므로, 데이타 프로세서(12)에서의 모드 제어기(30)는 제 3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스위치(A, B, C, D)를 초기에 세트시키므로 모든 파일럿 복조기(PD1∼PD8)는 상관 합신호(S1 내지 S8)을 발생시키도록 대응하는 상관기(CR1∼CR8)의 출력에 접속된다.
다시, 제 6A 도에서, 제어기(60)는 모든 위상 위치(Δθ 내지 Δθk)로부터 상관합 중 최고의 3개의 값을 선택하기 위해 신호(S1∼S8)에 응답하며, 제 1, 제 2 및 제 3의 최고의 값은 각각 레지스터(RS1, RS2, RS3)에 기억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의 최고값에 각각 대응하는 위상 위치 신호(Δθ1, Δθ2, Δθ3)는 제어기(60)에 의해 검출되어 각 레지스터(RP1, RP2, RP3)에 기억된다. 제어기(60)는 동기 포착 모드의 종료를 프로세서(12)에게 알려주는 탐색 종료 신호를 회복하여 추적 모드로 진행하도록 한다. 결국, 위상 위치의 전 범위를 통해 탐색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양은 비분할된 위상 위치의 시퀀스(Δθ11내지 Δθ8n)을 사용하는 하나의 상관기에 의해 걸리는 동기 포착 시간의 1/8이 된다.
탐색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타 프로세서(12)는 데이타 복조기(DD1내지 DD3)의 입력과 대응하는 상관기(CR1내지 CR6)의 출력 및 가산기(34)에 대한 대응하는 상관기의 출력을 결합하고, 신호(S1 내지 S6)의 레벨을 제로로 세트하기 위해 파일럿 복조기에 결합된 상관기(CR)로부터 파일럿 복조기(PD1내지 PD3)를 분리하기 위해 제 3 도에 도시한 스위치(31, 32, 33)를 동작시킨다. 파일럿 복조기(PD7, PD8)의 출력은 계속해서 신호(S7, S8)를 발생시킨다. 모드 제어기(30)는 위상 시프트 제어기(13)의 제어기(60)에 추적 모드 신호를 공급한다.
제 6B 도에서, 제어기(60)는 레지스터(RP1 내지 RP3)에 기억된 신호(P1 내지 P6)로서 셀렉터로부터 유도된 위상 위치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셀렉터(62)를 제어함으로써 추적 모드 신호에 응답한다. 구체적으로, 레지스터(RP1) 내의 제 1 위상 위치 신호(Δθ1)는 신호(P1, P2)초서 PN 발생기(PG1, PG2)에 결합되고, 레지스터(RP2) 내의 제 2 위상 위치 신호(Δθ2)는 신호(P3, P4)로서 PN 발생기(PG3, PG4)에 결합되며, 레지스터(RP3) 내의 위상 위치 신호(Δθ3)는 신호(P5, P6)로서 PN 발생기(PG5, PG6)에 결합된다. 동시에, 제어기(60)는 위상 위치(Δθ1) 부근의 위상 위치(Δθ11내지 엠Δθ1m') 및 (Δθ11내지 Δθ1m), 위상 위치(Δθ2) 부근의 위상 위치(Δθ21' 내지 Δθ2m') 및 (Δθ21내지 Δθ2m), 그리고 위상 위치(Δθ3) 부근의 위상 위치 (Δθ31' 내지 Δθ3m') 및 (Δθ31내지 Δθ3m)를 선택한다.
제어기(60)는 동시에 위상 위치 신호의 제 1 시퀀스(Δθ11' 내지 Δθ1m'), (Δθ21' 내지 Δθ2m') 그리고 (Δθ3l' 내지 Δθ3m') 및 위상 위치 신호의 제 2 시퀀스 (Δθ11내지 Δθ1m), (Δθ21내지 Δθ2m) 그리고 (Δθ31내지 Δθ3m)을 발생시키도록 위상 위치 데이타 소스(61)에 지시하며, 신호(P6, P7)로서 제 1 및 제 2 시퀀스를 PN 발생기(PG7, PG8) 각각에 공급한다.
제어기(60)는 다음의 코드 번호를 제공하도록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63)에 지령 한다.
N1 = ω1(Δθ1에 대응)
N2 = ω0
N3 = ω3(Δθ2에 대응)
N4 = ω0
N5 = ω5(Δθ3에 대응)
N6 = ω0
N7 = ω0
N8 = ω0
결국, 상관기(CR1, CR3, CR5)는 직교 데이타 신호(11, Q1), (13, Q3), (15, Q5)를 각각 발생시키고, 상관기(CR2, CR4, CR6)는 직교 데이타 신호(12, Q2), (14, Q4), (16, Q6)을 각각 발생시킨다. 제 5A 도(또는 제 5B 도)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타 신호(11, Q1)은 파일럿 신호(12, Q2)와 승산되어 출력 신호(rl)를 발생시킨다. 유사하게, 데이타 신호(13, Q3)는 파일럿 신호(14, Q4)와 승산되어 신호(r2)를 발생시키고, 데이타 신호(15, Q5)는 파일럿 신호(16, Q6)과 승산되어 신호(r3)를 발생시킨다. 신호(rl, r2, r3)는 가산기(34)에 의해 합산되어 채널 디코더(14)로 공급된다.
한편, 상관기(CR7, CR8)는 새로운 위상 위치의 결과로서 연속해서 발생되는 역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2)로 하여금 제어기(60)에 상관 합 신호(S7, S8)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추적 모드 동안 이들 상관합의 최고값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제 1, 제 2 및 제 3 의 최고값은 각각 레지스터(RS1, RS2, RS3)에 기억되며, 대응하는 위상 위치 신호(Δθ1, Δθ2, Δθ3)는 각각 레지스터(RP4, RP5, RP6)에 기억된다. 이어서, 제어기(60)가 프로세서(12)에 갱신 개시 신호를 공급한다.
위상 시프트 제어기(13)는 갱신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갱신 모드로 들어간다. 동기 포착 모드에서 검출된 위상 위치로부터 추적 모드에서 검출된 위상 위치로의 연속적인 전이를 보장하기 위해(과도 상관 또는 부족 상관 없이), 모드 제어기(30 ; 제 3C 도)는, PN 발생기(PG7, PG8)가 새로운 위상 위치 신호(Δθul, Δθu2, Δθu3)의 각각에 대응하는 새로운 위상 위치로 세트되는 순간에 램프-업(ramp-Up) 시간을 도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제어기(30)는 갱신 개시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31-4)에 상관기(CR7, CR8)의 출력을 데이타 복조기(DD4)에 결합하도록 지시하며, 상관기(CR7, CR8)에 결합되는 데이타 복조기(DD4)에 응답하여 램프-업 시간(RUT)를 도입한다. 제 5A 도의 회로가 데이타 복조기용으로 사용되면, 램프-업 시간은 하나의 심볼 간격에 대응하고, 신호(r4)가 가산기에 결합되는 순간 주기(즉, t2-t3, t4-t5, t6-t7)는 하나의 심볼 간격에 대응한다. 제 5B 도의 회로를 사용하면, 램프-업 시간 및 순간 주기는 s 심볼 간격에 대응한다.
제 6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위상 위치 신호(Δθul, Δθu2및 Δθu3)는 각각 레지스터(RP4, RP5, RP6)에 세트되고, 셀렉터(62)는 시간(t1)에서 위상 위치 신호(P7, P8)를 새로운 위상 위치(Δθu1)로 세트하며,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63)는 Δθu1에 대응하는 ωu1으로 코드 번호(N7)를 세트한다.
모드 제어기(30 ; 제 3C 도)는 갱신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시간(t2)까지 미치는 여러개의 심볼(제 5B 도의 경우 s 심볼)에 대응하는 램프-업 시간을 도입한다. 램프-업 시간의 도입으로 상관기(CR7, CR8) 및 데이타 복조기(DD4)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이전의 잔류 데이타가 클리어되고 새로운 위상 위치의 심볼 또는 심볼들로 대체된다. 이로써 이전의 위상 위치(Δθ1)가 계속해서 사용되고, 가산기(34)는 시간(t2) 이전의 시간 동안 신호 R = rl+ r2+ r3를 발생시킨다.
간격(t2내지 t3) 동안, 모드 제어기(30 ; 제 3C 도)는 복조기(DD4)의 출력 신호(r4)를 신호(rl) 대신에 가산기(34)에 접속하도록 스위치(33-1)를 제어하여 신호 r4+ r2+ r3를 발생시킨다.
시간(t3)에서, 레지스터(RP1 ; 제 6C 도)는 새로운 위상 위치 신호(Δθu1)로 갱신되므로, 그 후에 PN 발생기(PG1, PG2)가 새로운 위상 위치(Δθu1)에서 구동되고,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63)는 코드 번호(Nl)를 이전의 번호(ω1)을 대신하는 ωul으로 갱신하고 Δθu2에 대응하는 ωu3로 코드 번호(N7)를 세트한다 스위치(33-1 ; 제 3C 도)는 간격(t3내지 t4) 동안 가산기(34)의 출력 신호(R)가 R = rl+ r2+ r3와 동일하도록(제 6C 도 참조), 복조기(DD1)의 출력(rl)을 결합하도록 최상부 위치로 복귀된다.
상관기(CR1, CR2)용으로서 새로운 위상 위치가 사용되지만, 이전의 위상 위치(Δθ2)로부터의 신호(r2)는 간격(t3내지 t4) 동안 계속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간격(t3내지 t4)이 상관기(CR7, CR8) 및 복조기(DD4)의 램프-업 시간이 되므로 위상 위치(Δθu1)로부터의 잔류 신호가 클리어 될 수 있다. 후속 간격(t4내지 t5) 동안, 스위치(33-2)는 신호(r2) 대신에 신호(r4)를 가산기(34)에 결합하기 위해 최하위 위치로 이동되어 신호 rl+ r4+ r3를 발생시킨다. 시간(t5)에서, 레지스터(RF2 ; 제 6C 도)가 새로운 위상 위치 신호(Δθu2)로 갱신되므로, 그후에 PN 발생기(PG3, PG4)가 새로운 위상 위치(Δθu2)에서 구동된다. 동시에,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63)는 ω3을 새로운 위상 위치(Δθu2)에 대응하는 ωu3로 대체하여 코드 번호(N3)를 갱신한다.
후속 간격(t5내지 t6) 동안, 상관기(CR7, CR8) 및 복조기(DD4)를 위한 램프-업 시간이 도입되어 위상 위치 신호(Δθu2)로부터의 잔류 신호가 새로운 위상 위치(Δθu2)의 작성 동안 클리어된다. 간격(t6내지 t7) 동안, 신호(r3) 대신에 신호(r4)를 가산기(34)에 결합시키기 위해 스위치(33-3)가 최하위 위치로 이동되어 신호 rl+ r2+ r4를 발생시킨다. 시간(t7)에서, 레지스터(PG5, PG6)가 새로운 위상 위치(Δθu3)에서 구동된다. 동시에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63)가 새로운 위상 위치(Δθu3)에 대응하는 ωu5로 ω5를 대체하여 코드 번호(N5)를 갱신한다.
시간(t7)에서, 제어기(60 ; 제 6B 도)는 위상 위치(Δθu1, Δθu2및 Δθu3) 부근의 위상 위치에 대응하는 위상 위치 신호의 상술한 제 1 및 제 2 시퀀스를 재발생시키도록 위상 위치 데이타 소스(61)에 지시하고, 최적의 위상 위치의 탐색을 재개하도록 위상 위치 신호(P7, P8)로서 이들 시퀀스를 PN 발생기(PG7, PG8)에 인가하며, 코드 번호(N7)를 ω0로 세트하도록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63)에 지령한다. 동시에 제어기(60)는 프로세서(12)에 갱신 종료 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의 모드 제어기(30)는 최상위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위치(33-3)를 동작시켜 신호 rl+ r2+ r3를 발생시킨다. 다시 리시버는 추적 모드를 재개한다.

Claims (9)

  1. 확산 데이타 신호 및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하기 위한 복수의 상관기 (CR1∼CR6), 복수의 파일럿 복조기(PD1∼PD6), 복수의 데이타 복조기(DD1∼DD3) 가산기(34),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상기 상관기(CR1∼CR6) 각각에 응답하도록 상기 파일럿 복조기(PD1∼PD6)를 접속하고, 추적 모드 동안 상기 상관기(CR1∼CR6)에 응답하도록 상기 데이타 복조기(DD1∼DD3)를 접속하며 상기 데이타 복조기(DD1∼DD3)에 응답하도록 상기 가산기(34)를 접속하기 위한 제어 수단(30, 31-1-31-3, 33-1 33-3, 34). 상기 상관기들 각각에 복수의 다른 위상 위치의 역 확산 코드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상관기들이 상기 확산 데이타 신호 및 파일럿 신호중 하나를 역 확산할 수 있게 하는 코드 발생기 수단(PG1-PG6, WG1-WG6), 및 상기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상기 역 확산 코드 각각의 위상 위치를 연속적으로 시프트하고 상기 파일럿 복조기(PD1-PD6)의 출력 신호로부터 높은 상관값을 결정하고, 상기 추적 모드 동안 상기 높은 상관 값에 따라 상기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상 시프트 수단(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데이타 신호 및 상기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하기 위한 제 2 상관기 (CR7, CR8), 상기 제 2 상관기(CR7, CR8)에 다른 위상 위치의 제 2 역 확산 코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 2 상관기가 상기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할 수 있게 하는 제 2 코드 발생기 수단(PG7, PG8, WG7, WG8), 및 상기 추적 모드 동안 상기 제 2 상관기(CR7, CR8)의 출력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파일럿 복조기(PD7, PD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이전에 설정된 위상 위치의 부근에 있는 상기 제 2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를 연속적으로 시프트하고, 상기 추적 모드 동안 상기 제 2 파일럿 복조기(PD7, PD8)의 출력 신호로부터 제 2 의 높은 상관값을 결정하며, 갱신 모드동안 상기 제 2 높은 상관값에 따라 상기 이전에 설정된 위상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데이타 신호 및 상기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하기 위한 제 2 상관기 (CR7, CR8), 제 2 파일럿 복조기(PD7, PD8), 제 2 데이타 복조기(DD4), 및 상기 제 2 상관기(CR7, CR8)에 다른 위상 위치의 제 2 역 확산 코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 2 상관기가 상기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할 수 있게 하는 제 2 코드 발생기 수단(PG7, PG8, WG7, WG8)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추적 모드 동안 상기 제 2 상관기(CR7, CR8)에 응답하도록 상기 제 2 파일럿 복조기(PD7, PD8)를 접속하고, 갱신 모드 동안 상기 제 2 상관기(CR7, CR8)에 응답하도록 상기 제 2 데이타 복조기(DD4)를 접속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상관기에 접속 중인 상기 제 2 데이타 복조기(DD4)에 응답하여 램프-업(ramp-up) 시간을 도입하고, 상기 램프-업 시간 직후 소정의 간격 동안 상기 가산기로부터 데이타 복조기(DD1∼DD3)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분리하며, 상기 소정의 간격 동안 상기 제 2 데이타 복조기(DD4)의 출력을 상기 가산기(34)에 접속하고,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상기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이전에 설정된 위상 위치 부근에 있는 제 2의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를 연속적으로 시프트하고, 상기 추적 모드동안 상기 제 2 파일럿 복조기(PD7, PD8)의 출력 신호로부터 제 2의 놀은 상관 값을 결정하며, 상기 갱신 모드 동안 상기 제 2의 높은 상관 값에 따라 이전에 설정된 위상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 각각은 동상(in-phase) 및 역상(quadrature) 성분을 포함하고, 제 1 그룹의 상기 상관기(CR1, CR3, CR5)는 동상 역 확산 데이타 신호 및 역상 역 확산 데이타 신호를 발생시키며, 제 2 그룹의 상기 상관기(CR2, CR4, CR6)는 상기 추적 모드 동안 동상 역 확산 파일럿 신호 및 역상 역 확산 파일럿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데이타 복조기(DD1∼DD3)의 각각은 상기 제 1 그룹 상관기(CR1, CR3, CR5)중의 제 1 상관기로부터의 동상 역 확산 데이타 신호를 상기 제 2 그룹의 상관기(CR2, CR3, CR6)중의 제 2 상관기로부터의 동상 역 확산 파일럿 신호와 승산하기 위한 제 1 승산기(43i), 상기 제 1 그룹 상관기(CR1, CR3, CR5)중의 상기 제 1 상관기로부터의 역상 역 확산 데이타 신호를 상기 제 2 그룹 상관기(CR2, CR4, CR6)의 제 2 상관기로부터의 역상 역 확산 파일럿 신호와 승산하기 위한 제 2 승산기(43q),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43i, 43q)의 출력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가산기(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 각각은 동상 및 역상 성분을 포함하고, 제 1 그룹의 상기 상관기 (CR1, CR3, CR5)는 동상 역 확산 데이타 신호 및 역상 역 확산 신호를 발생시키며, 제 2 그룹의 상기 상관기(CR2, CR4, CR6)는 상기 추적 모드 동안 동상의 역 확산 파일럿 신호 및 역상 역 확산 파일럿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데이타 복조기(DD1∼DD3)의 각각은, 제 1의 이동 평균값(moving average value)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그룹의 상관기(CR2, CR4, CR6)중의 제 1 상관기로부터의 동상의 역 확산 파일럿 신호의 소정수의 심볼을 연속적으로 합하기 위한 제 1 이동 평균 수단(46i), 제 2의 이동 평균값(moving average value)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그룹 상관기(CR2, CR4, CR6) 중의 제 2의 상관기로부터의 역상의 역 확산 파일럿 신호의 상기 소정수의 심볼을 연속적으로 합하기 위한 제 2 이동 평균 수단(46q), 상기 제 1 그룹의 상관기(CR1, CR3, CR5)중의 제 1 상관기로부터의 동상 데이타 신호를 상기 제 1 이동 평균값과 승산하기 위한 제 1 승산기 수단(43i), 상기 제 1 그룹의 상관기(CR1, CR3, CR5)중의 제 2 상관기로부터의 역상 데이타 신호를 상기 제 2 이동 평균값과 승산하기 위한 제 2 승산기 수단(43q),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승산기 수단(43i, 43q)의 출력 신호를 합하기 위한 가산기(4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심볼수의 1/2에 대응하는 양만큼 상기 제 1 그룹 상관기(CR1, CR3, CR5)중의상기 제 1 상관기로부터의 동상 데이타 신호에 지연(delay)을 도입하여 상기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 1의 승산기 수단(43i)에 인가하기 위한 제 1 지연 수단(45i), 및 상기 소정의 심볼수의 1/2에 대응하는 양만큼 상기 제 1 그룹 상관기(CR1, CR3, CR5) 호의 제 2 상관기로부터의 역상 데이타 신호에 지연을 도입하여 상기 지연된 신호를 상기 제 2 승산기 수단(43q)에 인가하기 위한 제 2 지연수단(45q)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신호 및 상기 파일럿 신호 각각은 동상 및 역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모든 상관기(CR1-CR6)는 상기 동기 포착 모드 동안 동상 역 확산 데이타 신호 및 역상 역 확산 데이타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파일럿 복조기(PD1∼PD6) 각각은, 제 1 적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상관기들 중 대응하는 상관기로부터의 동상 파일럿 신호의 소정의 심볼수를 합하기 위한 제 1 적분기 수단(40i), 제 2 적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상관기들 중 대응하는 상관기로부터의 역상 파일럿 신호의 소정의 심볼수를 합하기 위한 제 2 적분기 수단(40q), 제 1의 적분된 신호를 제곱하기 위한 제 1의 제곱 수단(41i), 제 2의 적분된 신호를 제곱하기 위한 제 2의 제곱 수단(41q), 및 상기 제 1 및 제 2의 제곱 수단의 출력 신호를 합하기 위한 가산기(4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상기 동기 포착 모드 동안 복수의 위상 위치 신호의 시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위상 위치 발생 수단(60, 62), 및 복수의 월쉬 코드 번호(walsh code number)를 발생하기 위한 월쉬 코드 번호 발생기 (63)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 발생기 수단은, 상기 위상 위치 시퀀스에 의해 각각 결정되는 순간에 복수의 PN 시퀀스를 발생시켜 상기 상관기(CR1-CR6) 각각에 상기 PN 시퀀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의사-난수(PN) 발생기(PG1∼PG6), 및 상기 위상 위치 시퀀스에 의해 각각 결정되는 순간에 상기 월쉬 코드 번호에 의해 각각 결정되는 복수의 월쉬 코드를 발생하고 이 월쉬 코드를 상기 상관기들 각각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월쉬 코드 발생기(WC1-WC6)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시프트 수단(13)은 상기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상기 월쉬 코드 발생기(WC1-WC6)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월쉬 코드가 제로 시퀀스로 되어 상기 파일럿 신호가 상기 상관기(CR1-CR6)에서 발생되도록 상기 모든 월쉬 코드 번호(N1-N6)를 올-제로(all-Zero)의 월쉬 코드 번호로 설정하고, 상기 추적 모드 동안 상기 높은 상관 값에 의해 결정된 상기 위상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그룹의 상기 월쉬 코드 번호(Nl, N3, N5)를 설정하고 제 2 그룹의 상기 월쉬 코드 번호(N2, N4, N6)를 상기 올-제로의 월쉬 코드 번호로 설정하여, 상기 데이타 신호가 제 1 그룹의 상기 상관기(CR1, CR3, CR5)에서 발생되고 상기 파일럿 신호가 제 2 그룹의 상기 상관기(CR2, CR4, CR6)에서 발생되게 하고 및 상기 갱신 모드 동안 상기 제 2의 높은 상관값에 따라 상기 제 1 그룹의 월쉬 코드 번호(N1, N3, N5)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수단(6)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9. 확산 데이타 신호 및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상관기 (CR1- CR6), 상기 확산 데이타 신호 및 상기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하기 위한 제 2 상관기 (CR7, CR8), 복수의 제1 파일럿 복조기(PD1-PD6), 동기 포착 모드 동안 및 추적 모드 동안 상기 제 2 상관기(CR7, CR8)의 출력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파일럿 복조기(PD7-PD8), 복수의 데이타 복조기(DD1-DD3), 상기 동기 포착 모드 동안에는 상기 제 1 상관기(CR1-CR6) 각각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파일럿 복조기(PD1-PD6)를 동작시키고, 상기 추적 모드 동안에는 상기 제 1 상관기(CR1-CR6)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타 복조기(DD1-DD3)를 동작시키며, 그리고 데이타 복조기(DD1-DD3)의 출력 신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30, 31-1 - 31-3, 33-1 - 33-3, 34), 상기 제 1 상관기(CR1-CR6) 각각에 다른 위상 위치의 복수의 제 1 역 확산 코드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 1 상관기가 상기 확산 데이타 및 파일럿 신호 중 하나를 역 확산할 수 있게하는 제 1 코드 발생기 수단(PG1∼PG6, WG1-WG6), 상기 제 2 상관기(CR7, CR8)에 다른 위상 위치의 제 2 역 확산 코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 2 상관기가 상기 확산 파일럿 신호를 역 확산할 수 있게 하는 제 2 코드 발생기 수단(PG7, PG8, WG7, WG8), 및 상기 동기 포착 모든 동안 상기 제 1 역 확산 코드들 각각의 위상 위치를 연속적으로 시프트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파일럿 복조기(PD1-PD8)의 출력 신호로부터 제 1의 높은 상관값을 결정하고, 상기 추적 모드 동안 상기 제 1의 높은 상관값에 따라 상기 제 1의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동기 포착 모드 동안 이전에 설정된 위상 위치 부근에 있는 상기 제 2 역 확산 코드의 위상 위치를 연속적으로 시프트하여 상기 추적 모드 동안 상기 제 2 파일럿 복조기(PD7, PD8)로부터 제 2의 높은 상관값을 결정하고, 갱신 모드 동안 제 2의 높은 상관값에 따라 이전에 설정된 위상 위치를 갱신하기 위한 위상 시프트 수단(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KR1019940039771A 1993-12-30 1994-12-30 병렬로 동작하는 다목적 상관기를 이용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KR0147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455593A JP2655068B2 (ja) 1993-12-30 1993-12-30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機
JP93-354555 1993-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26A KR950022326A (ko) 1995-07-28
KR0147012B1 true KR0147012B1 (ko) 1998-08-17

Family

ID=1843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771A KR0147012B1 (ko) 1993-12-30 1994-12-30 병렬로 동작하는 다목적 상관기를 이용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28624A (ko)
EP (1) EP0661831B1 (ko)
JP (1) JP2655068B2 (ko)
KR (1) KR0147012B1 (ko)
AU (1) AU687471B2 (ko)
CA (1) CA2139259C (ko)
DE (1) DE6943297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8926B1 (en) 1993-11-19 2002-09-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ulti-band, multi-function integrated transceiver
JPH07297759A (ja) * 1994-04-21 1995-11-10 Uniden Corp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FI97583C (fi) 1995-02-02 1997-01-10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menetelmä, lähetin ja vastaanotin
FI97581C (fi) * 1995-02-10 1997-01-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Vastaanotin ja menetelmä hajotuskoodien generoimiseksi vastaanottimessa
US6111911A (en) * 1995-06-07 2000-08-29 Sanconix, Inc Direct sequence frequency ambiguity resolving receiver
US6788662B2 (en) 1995-06-30 2004-09-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adaptive reverse power control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ZA965340B (en) 1995-06-30 1997-01-27 Interdigital Tech Corp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801516B1 (en) 1995-06-30 2004-10-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pread-spectrum system for assigning inform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data rates
US7020111B2 (en) * 1996-06-27 2006-03-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using rapid acquisition spreading codes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US6885652B1 (en) 1995-06-30 2005-04-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697350B2 (en) * 1995-06-30 2004-02-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vector correlator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US7929498B2 (en) 1995-06-30 2011-04-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forward power control and adaptive reverse power control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US5978413A (en) * 1995-08-28 1999-11-02 Bender; Paul E.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multiple access transmissions
FR2742014B1 (fr) * 1995-12-04 1998-01-0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ircuit numerique pour recepteur differentiel de signaux a etalement de spectre par sequence directe
JP2820918B2 (ja) * 1996-03-08 1998-11-05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H09261128A (ja) * 1996-03-22 1997-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ペクトル拡散通信機
US6678311B2 (en) * 1996-05-28 2004-01-13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variable sized channel codes
CA2210582C (en) * 1996-07-24 2001-01-30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dma radio communication
KR0173911B1 (ko) * 1996-07-25 1999-04-01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간섭을 감소시킨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cdma) 변.복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JP3452735B2 (ja) 1996-08-09 2003-09-29 株式会社鷹山 スペクトル拡散通信のパスダイバシティ受信方法および装置
FI964161A (fi) * 1996-10-16 1998-04-1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korrelaation laskemiseksi
JP3006679B2 (ja) 1997-01-16 2000-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ー移動電話システム
US6741638B2 (en) 1997-06-23 2004-05-25 Schlumbergersema Inc. Bandpass processing of a spread spectrum signal
US6456644B1 (en) 1997-06-23 2002-09-24 Cellnet Data Systems, Inc. Bandpass correlation of a spread spectrum signal
US6178197B1 (en) 1997-06-23 2001-01-23 Cellnet Data Systems, Inc. Frequency discrimination in a spread spectrum signal processing system
US6628699B2 (en) * 1997-06-23 2003-09-30 Schlumberger Resource Management Systems, Inc. Receiving a spread spectrum signal
US6263009B1 (en) * 1997-06-23 2001-07-17 Cellnet Data Systems, Inc. Acquiring a spread spectrum signal
US6285655B1 (en) * 1997-09-08 2001-09-04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rthogonal spot beams, sectors, and picocells
JP3297632B2 (ja) * 1997-09-20 2002-07-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端末装置
US5894494A (en) * 1997-10-29 1999-04-13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Parallel correlator architecture for synchronizing direct sequence spread-spectrum signals
JP3492177B2 (ja) * 1997-12-15 2004-0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方式移動体通信機
JP3793632B2 (ja) * 1997-12-18 2006-07-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セルサーチ方法及び移動局装置
US5995536A (en) * 1998-01-23 1999-11-30 Bsd Broadband, N.V. System for discrete data transmission with noise-like, broadband signals
EP0945992A1 (en) * 1998-03-27 1999-09-29 TTP Communications Limited CDMA array processor
EP0975100A1 (en) * 1998-07-23 2000-01-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ceiver and method of recovering data from radio signals
KR100306286B1 (ko) 1998-08-04 2001-09-29 윤종용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
US6310856B1 (en) * 1998-08-07 2001-10-30 Motorola, Inc. CDMA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searcher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US6041073A (en) * 1998-09-18 2000-03-21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Multi-clock matched filter for receiving signals with multipath
US6944149B1 (en) * 1998-09-24 2005-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r searching for PN sequence phase in multi-carrie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330271B1 (en) 1998-10-13 2001-1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DMA receiver that shares a tracking device among multiple rake branches
IL128262A0 (en) * 1999-01-28 1999-11-30 Israel State Dsss receiver
US6519237B1 (en) * 1999-05-28 2003-02-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parallel searching and correlating for CDMA system
EP1069696B1 (en) * 1999-06-24 2006-09-27 Alcatel Receiver and method with enhanced performance for CDMA transmission
JP3279547B2 (ja) * 1999-09-20 2002-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受信機の同期捕捉装置
JP3279297B2 (ja) 1999-09-24 2002-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受信方式におけるサーチ方法および受信装置
US6807242B1 (en) * 1999-10-07 2004-10-19 Advantest Corpo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alculation of a correl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frequency error, and a recording medium with a recorded correlation value calculation program
US6421372B1 (en) * 1999-11-10 2002-07-1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Sequential-acquisition, multi-band, multi-channel, matched filter
JP3937380B2 (ja) * 1999-12-14 2007-06-27 富士通株式会社 パスサーチ回路
KR100354414B1 (ko) * 1999-12-23 2002-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관기의 초기동기 획득장치 및 그 방법
US6370182B2 (en) 2000-02-10 2002-04-0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Integrated beamforming/rake/mud CDMA receiver architecture
JP3440048B2 (ja) * 2000-02-14 2003-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パイロット信号の受信方法
US6661834B1 (en) 2000-04-17 2003-12-09 Rf Micro Devices, Inc. Carrier recovery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US6693954B1 (en) 2000-04-17 2004-02-17 Rf Micro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early-late symbol tracking for a complementary code keying receiver
US6674818B1 (en) 2000-04-17 2004-01-06 Rf Micro Devices, Inc. Reduced complexity decision circuitry
DE10108413A1 (de) * 2001-02-21 2002-09-19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Empfangsverfahren bei einem Mobiltelefon mit Mehrfachcodeempfang und Mobiltelefon
US7653710B2 (en) 2002-06-25 2010-01-26 Qst Holdings, Llc. Hardware task manager
US7752419B1 (en) 2001-03-22 2010-07-06 Qst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ardware resources to implement system functions using an adaptive computing architecture
US20040133745A1 (en) 2002-10-28 2004-07-08 Quicksilver Technology, Inc. Adaptable datapath for a digital processing system
US7962716B2 (en) 2001-03-22 2011-06-14 Qst Holdings, Inc. Adaptive integrated circuitry with heterogeneous and reconfigurable matrices of diverse and adaptive computational units having fixed, application specific computational elements
US6836839B2 (en) 2001-03-22 2004-12-28 Quicksilver Technology, Inc. Adaptive integrated circuitry with heterogeneous and reconfigurable matrices of diverse and adaptive computational units having fixed, application specific computational elements
US6577678B2 (en) 2001-05-08 2003-06-10 Quicksilver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reconfigurable channel coding
US6618434B2 (en) 2001-05-31 2003-09-09 Quicksilver Technology, Inc. Adaptive, multimode rake receiver for dynamic search and multipath reception
JP3992459B2 (ja) * 2001-07-23 2007-10-17 富士通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US7046635B2 (en) 2001-11-28 2006-05-16 Quicksilver Technology, Inc. System for authorizing functionality in adaptable hardware devices
US6986021B2 (en) 2001-11-30 2006-01-10 Quick Silver Technology, Inc. Apparatus, method, system and executable module fo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daptive integrated circuitry having fixed, application specific computational elements
US8412915B2 (en) 2001-11-30 2013-04-02 Alt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adaptive integrated circuitry having heterogeneous computational elements
US7215701B2 (en) 2001-12-12 2007-05-08 Sharad Sambhwani Low I/O bandwidth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scrambling codes
US7403981B2 (en) 2002-01-04 2008-07-22 Quicksilver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multimedia reception and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environments
US7660984B1 (en) 2003-05-13 2010-02-09 Quicksilver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achieving individualized protected space in an operating system
US7328414B1 (en) 2003-05-13 2008-02-05 Qst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programming an adaptive computing engine
US8108656B2 (en) 2002-08-29 2012-01-31 Qst Holdings, Llc Task definition for specifying resource requirements
US7937591B1 (en) 2002-10-25 2011-05-03 Qst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evice which can be adapted on an ongoing basis
US8276135B2 (en) 2002-11-07 2012-09-25 Qst Holdings Llc Profiling of software and circuit designs utilizing data operation analyses
US7225301B2 (en) 2002-11-22 2007-05-29 Quicksilver Technologies External memory controller node
US7430263B1 (en) * 2004-05-06 2008-09-30 Batzer Patricia F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correction for fast PN acquisition
JP4587813B2 (ja) * 2005-01-18 2010-11-24 日本信号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KR100662403B1 (ko) * 2005-03-2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병렬 구조를 가지는 cdm 수신기
JP5128585B2 (ja) * 2006-05-24 2013-01-23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Cdma受信機において、捕捉、追跡およびホスティングにハードウェアおよびソフトウェアを使用する方法
CN101198087A (zh) * 2006-12-08 2008-06-11 昂达博思公司 实现在移动通信系统中减少扇区间导频干扰的系统和方法
US9042491B2 (en) 2013-01-17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paging messages by creating fat paths in fast fading scenarios
US9385778B2 (en) * 2014-01-31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circuit and implementation for despreading on a configurable processor datapa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459B1 (en) * 1990-06-25 1999-07-0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414728A (en) * 1993-11-01 1995-05-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ifurcating signal transmission over in-phase and quadrature phas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1831A2 (en) 1995-07-05
CA2139259C (en) 1998-09-29
JPH07202757A (ja) 1995-08-04
KR950022326A (ko) 1995-07-28
EP0661831B1 (en) 2003-07-23
DE69432970D1 (de) 2003-08-28
CA2139259A1 (en) 1995-07-01
EP0661831A3 (en) 1999-12-29
AU687471B2 (en) 1998-02-26
US5528624A (en) 1996-06-18
AU8179894A (en) 1995-07-06
DE69432970T2 (de) 2004-03-04
JP2655068B2 (ja) 1997-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012B1 (ko) 병렬로 동작하는 다목적 상관기를 이용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리시버
KR0142034B1 (ko)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수신기용의 동기 포착 추적 회로 및 동기 포착 추적 방법
KR0142035B1 (ko) 가중을 위한 이동 평균된 파일럿 신호 및 직교 데이타 심볼 벡터의 위상회전을 사용하는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수신기
US6005887A (en) Despreading of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ignals
CA218418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cquisition of spreading code in cdma transmission system
US6163563A (e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complex correlation
US20020018518A1 (en) Generic finger architecture for spread spectrum applications
US5930305A (en) Signal demodulation and diversity combin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ing orthogonal modulation
EP0641091B1 (en) Apparatus using decision directed channel estimation in a digital mobile radio link
US7003020B2 (en) Selection of multiple propagation paths by successive removal and detection of high autocorrelations
KR100294313B1 (ko) 씨디엠에이수신기
JP2000004211A (ja) Rake受信回路
KR100388873B1 (ko) 시분할 방식으로 동작 가능한 cdma 수신기 및 그의제어 방법
KR100327640B1 (ko) 2 개의 상이한 형태의 코드에 대해 동시에 동작하는 정합 필터
GB2278983A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in digital radio link
EP4380065A1 (en)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rf nodes that determine a despreading sequence and phase and timing offsets for frequency agility
JP3824482B2 (ja) Cdma受信装置
JPH10164011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KR100279671B1 (ko) 이동국에서의 기지국 부호탐색방법 및 이동국 수신장치
JPH10145334A (ja) セルラー電話システムの受信装置
MXPA980067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modulation of signal and the combination in diversity of modulated signals ortogonal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