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954B1 - 스크롤형 유체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유체이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954B1
KR0146954B1 KR1019900009025A KR900009025A KR0146954B1 KR 0146954 B1 KR0146954 B1 KR 0146954B1 KR 1019900009025 A KR1019900009025 A KR 1019900009025A KR 900009025 A KR900009025 A KR 900009025A KR 0146954 B1 KR0146954 B1 KR 014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scroll member
fluid
sealing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56A (ko
Inventor
다케도시 요코타
요시오 기무라
겐이치 이다
Original Assignee
우시쿠보 마사요시
산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393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0930B2/ja
Application filed by 우시쿠보 마사요시, 산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쿠보 마사요시
Publication of KR91000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5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04C18/0261Details of the ports, e.g. location, number,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1Wea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일부의 종단면도.
제 4a 도는 내지 제 4d 도는 제 1 도의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스크롤 부재들 사이의 유체를 압축하기 위해 상호 맞물린 와류형 요소들의 상대 운동을 예시한 개략도.
제 5a 도는 제 1 도의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밀봉판 및 궤도 선회 스크롤 부재의 정면도.
제 5b 도는 제 5a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밀봉판 및 궤도 선회 스크롤 부재의 일부의 단면도.
제 6a 도는 제 5a 도의 밀봉판 및 궤도 선회 스크롤 부재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제 6b 도는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제 6a 도의 사시도.
제 6c 도는 제 6b 도의 선 A-A'를따라 취한, 제 6b도의 단면도.
제 7a 도는 제 5a 도의 밀봉판 및 궤도 선회 스크롤 부재의 일부의 정면도.
제 7b 도는 제 7a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제 7a 도의 단면도.
제 7c 도는 제 7a 도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제 7d 도는 제 7c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제 7c도의 단면도.
제 8a 도는 제 7a 도의 변형에 따른 밀봉판 및 궤도선회 스크롤 부재의 정면도.
제 8b 도는 제 8a 도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제 9a 도는 제 1 도의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밀봉판 및 고정 스크롤 부재의 일부의 정면도.
제 9b 도는 제 9a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9c 도는 제 9a 도의 확대 사시도.
제 10a 도는 제 9a 도의 변형에 따른 밀봉판 및 고정 스크롤 부재의 정면도.
제 10b 도는 제 10a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제 10a 도의 단면도.
제 10c 도는 제 10a 도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제 11a 도는 제 7a 도의 일부의 또는 제 9a 도의 일부의 변형에 따른 밀봉판 및 스크롤 부재의 부분 단면도.
제 11b 도는 제 11a 도의 밀봉판의 사시도.
제 12 도는 제 7a 도의 일부 또는 제 9a 도의 일부의 변형에 따른 밀봉판 및 스크롤 부재의 부분 단면도.
제 13 도는 스크롤 부재 및 밀봉판 사이의 유체 유동을 예시한 제 3 도의 밀봉판 및 궤도 선회 스크롤 부재의 사시도.
제 14 도는 밀봉판의 초기 위치를 예시한 제 3 도의 콤프레서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 15 도는 밀봉판의 이동 후의 상태를 예시한 제 14 도의 단면도.
제 16 도는 제 15 도에 도시한 압력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 17 도는 제 3 도의 콤프레서의 변형에 따른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일부의 종단면도.
제 1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형 콤프레서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제 19 도는 제 18 도의 조립 상태의 종단면도.
제 20a 도는 제 19도의 밀봉판 및 고정 스크롤 부재의 일부의 정면도.
제 20b 도는 제 20a 도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제 20c 도는 제 20b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21 도는 밀봉판 및 고정 스크롤 부재 사이의 유체 유동을 예시한 제 19 도의 밀봉판 및 고정 스크롤 부재의 사시도.
제 22 도는 밀봉판이 이동한 후의 상태를 예시한 제 19 도의 콤프레서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제 23 도는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벽의 높이, 다른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벽의 높이 및 밀봉판의 두께간의 관계를 예시한 제 19도의 콤프레서의 일부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
제 24 도는 높이 및 두께 사이의 관계가 제 23 도의 콤프레서와 상이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콤프레서의 일부의 개략적 단면도.
제 25 도는 제 24 도의 폼프레서에 대한 두께가 네가티브(negative)양으로 표현된, 제 23 도 및 제 24 도의 콤프레서의 갭의 두께, 체적 효율 및 출력 용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전방 끝판 1b : 컵형 케이싱
1 : 하우징 2 : 슬리브
3 : 구동축 4 : 축 밀봉 조립체
5, 6 : 베어링 7 : 회전 방지/드러스트 베어링
8 : 볼트 9 : 방출 챔버(chamber)
10 : 흡입 챔버 11 : 선회 스크롤 부재
12 : 고정 스크롤 부재 111,121 : 원형 끝판
112, 122 ; 와류형 요소 123 : 돌기부
13, 14 : 밀봉판 15,A1,A2,151,152,153 : 유체 포켓
100 : 입구 200 : 출구
114, 124, 132, 142 : 요홈부 g1, g2, G, G1, G2 : 갭
본 발명은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용의 한쌍의 스크롤 부재 사이의 밀봉 기구(sealing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가령, 일본 특허 공개 JP-A-소55-35151호에서는 한 쌍의 맞물리는 스크롤 부재들을 포함하는 유체 이동장치를 개시하였다. 각 스크롤 부재는 원형 끝판과, 이 끝판의 일단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와류형(渦流形)요소를 갖는다. 이 스크롤 부재들은 서로의 위상 각도가 어긋나게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편심(offset)되어 있으므로 양 와류형 요소들은 상호 맞물려서 그들의 와류형 곡면들 간에 다수의 선접촉부를 형성하며, 이 결과 적어도 한 쌍의 유체 포켓을 형성 및 밀봉한다. 스크롤 부재들의 상대적인 궤도 선회 운동은 와류형 곡면들을 따라 선접촉부를 이동시키므로, 이 결과, 유체 포켓의 체적은 변화한다. 유체 포켓의 체적은 궤도 운동의 방향에 따라 증감하므로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는 유체를 압축, 팽창 또는 펌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에 있어서, 유체 포켓들을 더욱 완전하게 형성 및 밀봉하기 위해서 한 쌍의 스크롤 부재들 사이의 축 방향으로 고도의 밀봉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가령 JP-B-소 58-23516호 공보에서는 한 쌍의 스크롤 부재들을 포함하는 스크롤형 콤프레서를 개시하고 있다.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표면에서 미끄럼 운동하는 다른 스크롤 부재의 축 방향 끝표면은 코팅 재료로 피복되며, 상기 하나의 스크롤 부재에는 스프링 판 및 이 스프링 판을 가압하는 탄성 중합체 부재의 조립체가 구비된다. 그러나, 밀봉 기구는 그 가공 공정이 복잡해지며, 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일본 실용 공보 소 56-147386호에서는 밀봉판이 끝판으로부터 뻗은 와류형 요소의 벽들 사이의 끝판 부분을 커버하도록 밀봉판이 한 쌍이 스크롤 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끝판에 배치된다. 밀봉판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끝판과 다른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콤프레서가 기준에 맞는 효율로 확실히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와류형 요소의 벽의 높이가 생산시 고정밀도로 관리되어야 하고, 각 와류형 요소의 축방향 끝표면과 이에 대항하는 각 스크롤 부재의 끝판 사이의 갭(gap)의 두께는 조립할 때 고정밀도로 관리되어야 한다. 특히 콤프레서가 조립된 후 밀봉판이 배치되는 끝판의 와류형 요소의 축 방향 끝표면과 다른 스크롤의 끝판 사이에서 유지되는 갭의 두께는 콤프레서가 기준에 맞는 수준의 효율을 성취하도록 하기 위해 특정 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조립이 어렵게 되고 생산 비용도 증대된다.
또한, 일본 실욜 공보 소 58-8783 호에서는 와류형 연장 방향에서 와류형 요소의 축 방향 끝표면에 홈이 형성된 밀봉 기구와, 이 홈으로 끼워지는 홈의 깊이 보다 두께가 큰 밀봉 부재(칩 시일 : chip seal)를 갖는 스크롤형 콤프레서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밀봉 기구에서는 와류형 요소의 와류형 연장 방향으로 유체가 누설되므로 콤프레서의 용량은 안정성이 없으며, 더욱이 이러한 밀봉 기구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스크롤 부재 사이에 간단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저렴한 밀봉 기구를 구비한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는 하우징과, 제 1 와류형 요소가 끝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끝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스크롤 부재와, 제 2 와류형 요소가 끝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끝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비회전 궤도 선회 운동을 하도록 배치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제 2 와류형 요소는 적어도 한 쌍의 밀봉된 유체 포켓을 형성하는 다수의 선접촉부를 만들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위상 각도(位相 角度)가 어긋나게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편심되게 맞물려 조립된다. 구동기구는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와 상기 선접촉부의 궤도 선회 운동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상기 유체 포켓들이 안쪽으로 이동하게 체적이 변하여 결국에는 상기 와류형 요소들의 중심 근방에서 단일 포켓으로 합류된다. 밀봉판(seal plate) 은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와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끝판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판은 상기 끝판의 표면과 상기 스크롤 부재 중 다른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도입 기구는 와류형 요소들의 중심 근방에 구비되며, 본 장치의 작동으로 가압되는 유체를 끝판과 밀봉판 사이로 도입하는 작용을 하여 밀봉판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른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축방향 끝표면과 접촉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밀봉판은 와류형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인접 벽돌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판이 배치되는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벽의 축방향 높이는 밀봉판의 두께에 다른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벽의 축방향 높이를 합한 것보다 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에 있어서, 밀봉판은 유체 도입 기구에 기인하여 끝판의 표면으로부터 상승(이격)되고, 가압된 유체의 압력에 기인하여 다른 스크롤부재의 와류형 요소의 축방향 끝표면으로 이동되고 압착되는데, 이 유체는 이 후에 끝판과 밀봉판 사이에 생겨나는 갭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와 같이 유체 포켓들은 밀봉판의 이동에 의하여 밀봉된다. 또한 밀봉판이 배치되는 끝판의 와류형 요소들의 벽의 높이와,다른 와류형 요소의 벽의 높이에 밀봉판의 두께를 더한 합계 사이의 차이(즉, 갭의 두계)가 일정 범위 이내에 있을 때 고도의 밀봉(실링)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이 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콤프레서의 허용가능한 범위보다 더욱 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와류형 요소들의 높이와 갭의 두께의 제조 공차가 종래 기술의 것보다 크게 함으로서 종래 기술을 개선하며, 여전히 밀봉의 기준에 맞는 수준과 작동 효율을 유지한다. 따라서, 낮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밀봉을 얻을 수 있으며, 본 장치의 조립은 더욱 간단해진다.
이하,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로 몇가지 선호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고할 때, 제 1 도 내지 제 7d 도, 제 9a 도 내지 제 9c 도 및 제 13 도 내지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를 예시한다. 예시된 장치는 스크롤형 콤프레서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콤프레서는 전방 끝판(1a)과 전방 끝판(1a)의 끝표면에 부착되는 컵형 케이싱(1b)을 갖는 콤프레서 하우징(1)을 포함한다. 전방 끝판(1a)은 그 전방 끝 표면에서 돌출하는 환형 슬리브(2)를 갖는다. 환형 슬리브(2)는 구동축(3)을 둘러싸서 축 밀봉 공동을 형성한다. 축 밀봉 조립체(4)는 축 밀봉 공동 내부의 구동축(3)에 조립된다. 구동축(3)은 그 안쪽 단부에서 디스크형 로터(3a)로 형성된다. 디스크형 로터(3a)는 전방 끝판(1a)의 구멍내에 위치하는 베어링(5)를 통하여 전방 끝판(1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3)은 또한 베어링(6)을 통해 환형 슬리브(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환형 슬리브(2)로부터 뻗은 구동축(3)의 외측 단부는 회전 전달 장치에 연결되는데, 가령 전자 클러치가 회전 운동을 구동축(3)으로 전달하기 위해 환형 슬리브(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축(3)은 회전 전달장치를 통하여 가령 자동차 엔진과 같은 외부 동력에 의하여 구동된다.
다수의 요소들이 컵형 케이싱(1b)의 안쪽 챔버(chamber)내에 위치하는데, 이 요소들은 고정 스크롤 부재(12), 선회 스크롤부재(11), 선회 스크롤부재(11)의 궤도 선회 운동을 야기하는 구동 기구 및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회전 운동을 막기 위해 컵형 케이싱(1b)의 안쪽벽과 전방 끝판(1a)의 후방 끝표면사이에 형성된 회전 방지/드러스트 베어링 장치(7)를 포함한다.
고정 스크롤 부재(12)는 원형 끝판(121), 원형 끝판(121)의 한쪽 끝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그곳에 고착되는 와류형 요소(122) 및 원형 배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후향 돌기부(123)을 포함한다. 고정 스크롤 부재(12)는 돌기부(123)에서 볼트(8)에 의해 컵형 케이싱(1b) 고정되며, 이렇게 해서 컵형 케이싱(1b)내부에 고착된다. 원형 끝판(121)은 컵형 케이싱(1b)의 안쪽 챔버를 2개의 챔버로 분할하는데, 한 쪽에는 방출 챔버(9)를 다른 쪽에는 흡입 챔버(10)를 형성한다. 입구(100)와 출구(200)가 각각 하우징(1)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흡입 챔버(10)와 방출 챔버(9)에 연결된다. 스크롤 부재의 중앙 부분과 방출 챔버(9)를 상호 연결하는 방출 구멍(125)이 원형 끝판(1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선회 스크롤 부재(11)는 원형 끝판(111)과, 원형 끝판(111)의 한 측면으로 부터 연장되고 그에 고착되는 와류형 요소(112)를 포함한다. 선회 스크롤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와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와류형 요소(122)는 서로에 대해 위상 각도가 180°로 어긋나게 되고 또한 반경 방향으로 편심되어 맞물림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밀봉된 유체 포켓(15)이 양 와류형 요소(112,122) 사이에 형성된다.
구동 기구와 회전방지/드러스트 베어링 장치(7)에 연결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11)는 구동축(3)의 회전에 의하여 원의 반경에서 궤도 선회 운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상술한 일반적인 원리에 따라 콤프레서 장치를 통과하는 유체를 압축한다. 제 4 도를 참고하여 한 쌍의 유체 포켓내의 유체의 압축 사이클을 설명할 것이다. 제 4 도에서는 유체 포켓내의 압축 유체가 상이한 크랭크각으로 배치된 것과 하나의 압축 사이클이 360℃의 크랭크각에서 완료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2개의 와류형 요소(112,122)는 서로에 대해 위상 각도가 어긋나게 맞물려진다. 제 4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하는 와류형 요소(112)와 고정된 와류형 요소(122)는 4개의 선접촉부(A-D)를 형성한다. 한 쌍의 유체 포켓(A1, A2)은 점으로 된 영역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선접촉부(D-C)와 선접촉부(A-B)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일반적으로 여기서 사용하는 유체 포켓이란 말은 일반적으로는 제 3 도의 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형 랩들과 끝판들 사이에 포함되는 공간 즉 포켓(15)은 물론이고, 전체 형상이 가변적이고 포켓(15)들에 의해 형성되는 특정 유체 포켓(A1, A2)도 일컫는다). 유체 포켓(A1, A2)는 와류형 요소(112,122)의 벽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끝판과 밀봉판에 의해서도 형성된다. 선회 와류형 요소(112)는 자체의 회전이 방지되면서 그 와류형 요소(112)의 중심이 고정 와류형 요소(122)의 중심 둘레를 돌도록 선회한다. 궤도 선회 사이클의 초기에는 유체 포켓(A1,A2)이 흡입 쳄버(10)로 개방되고 유체가 입구(100)로부터 포켓(A1, A2) 유입된다. 제 4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형 요소(112)의 궤도 선회운동은 포켓(A1,A2)이 흡입 챔버(10)로부터 밀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궤도 선회 운동은 제 4a 도 내지 제 4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체 포켓(A1, A2)이 점차적으로 체적감소되면서, 상호 맞물림된 와류형 요소들의 중심을 향해 위상각을 달리하며 반경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결국에는 유체 포켓(A1, A2)이 와류형 요소들의 중심에서 중앙의 단일 유체 포켓으로 합류되게 된다. 그러므로 각 포켓내의 유체는 압축되어 방출 구멍(125)을 통하여 방출 챔버(9)의 중심부로 배출된다. 또한, 유체는 돌기부(123)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방출 챔버(9)의 외부로 흘러 들어가서 출구(200)를 통해 콤프레서 밖으로 나가게 된다.
다시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고하면, 밀봉판(13)은 궤도를 선회하는 스크롤 부재(11)의 끝판(111)의 표면에 제공되며, 와류형 요소(112)의 인접별들 사이에 와류형으로 연장되며 또한 끝판(111)의 표면과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와류형 요소(122)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끝판(111)에 배치된다. 밀봉판(14)은 고정 스크롤부재(12)의 끝판(121)의 표면에 제공되며, 와류형 요소(122)의 인접벽들 사이에 와류형으로 연장되며, 또한 끝판(121)의 표면과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끝판(121)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록 2개의 밀봉판(13,14)이 구비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의 밀봉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 5a 도 내지 제 6c 도에서는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끝판(111)에 배치한 밀봉판(13)을 예시하였다. 스텝형 하부 또는 홈부(113)가 끝판(111)에 형성되며, 밀봉판(13)은 그 홈부로 끼워진다. 홈부(113)는 와류형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와류형 요소(112)의 외측 말단부 위치와 대략 같은 위치에서 끝나게 된다. 이 말단부 위치에서 밀봉판(13)의 두께는 홈부(113)의 깊이보다 크도록 설계되므로 제 6c 도에서와 같이 밀봉판(13)의 상부 표면과 끝판(111)의 표면 사이에는 스텝(116)이 형성된다.
밀봉판(13)은 가령 탄소강, 고탄소강 또는 합금강과 같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강 또는 합금으로 제조된다.
제 5a 도 및 제 7a 도 내지 제 7d 도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콤프레서가 작동하는 동안에 압축유체를 스크롤 부재들의 중앙 유체 포켓(151)으로부터 끝판(111)과 밀봉판(13) 사이에 형성되는 갭(G)으로 도입하기 위한 기구를 예시하였다. 좌표축 X와 Y의 교차점은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의 중심을 나타낸다. 밀봉판(13)의 내측 말단부(131)은 와류형 연장 방향에 있어서 와류형 요소(112)의 벽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유체 도입 기구는 끝판(111)의 표면에 형성된 요홈부(114)를 포함하는데, 이 요홈부(114)는 밀봉판(13)의 말단부(131)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유체 연통시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중심부를 밀봉판(13)의 하측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요홈부(114)는 중앙 유체 포켓(151)내의 가압된 유체를 제 7d도의 화살표(115)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밀봉판(13) 아래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기구에서 제 8a 도 및 제 8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요홈부(11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 9a 도 내지 제 9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도입 기구는 또한 고정 스크롤 부재(1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밀봉판(14)의 내측 말단부(141)은 와류형 연장방향에 있어서 방출 구멍(125)의 위치에 못 미친 지점에서 끝나게 된다. 요홈부(124)는 끝판(121)의 표면에 형성되어 말단부(141)아래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방출 구멍(125)는 요홈부(124)로 개방된다. 요홈부(124)는 제 9b 도의 화살표(12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유체 포켓에서 가압된 유체가 밀봉판(14)아래로 흐르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도입 기구는 각종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가령, 이 기구는 제 10a 도 내지 제 10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끝판(121)에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127)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구멍(127)은 유체연통시, 가압된 유체가 중앙 유체 포켓으로부터 방출 구멍(125)를 통해 도입되는 방출 챔버(9)와 밀봉판(14)의 하부 표면을 연결한다. 이러한 기구에서 고압 유체는 방출 챔버(9)로부터 구멍(127)을 통해 밀봉판(14)의 하부 표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1a 도 및 제 11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부(132 또는 142)가 밀봉판(13 또는 14)의 하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유체 도입 기구는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판(13 또는 14)의 내측 말단부의 측면(133 또는 143)을 경사면으로 형성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콤프레서의 작동에 있어서, 압축 유체는 스크롤 부재들 사이에 있는 중앙 유체 포켓(151)에 있을 때 그 압력이 최고이다. 그러므로, 중앙 유체 포켓(151) 내의 고압유체는 제 3 도에서 화살표(115,12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는 요홈(114,124)로 유입되고, 제 14 도에서 화살표(215,22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형 요소(122)와 밀봉판(13)사이에 형성된 간극 즉 갭(g1)과 요홈부(114)로 들어간 유체의 압력은 끝판(111)의 표면으로부터 밀봉판(13)을 상승시켜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G1)을 형성한다. 이 결과, 밀봉판(113)은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와류형 요소(122)의 축방향 끝표면과 접촉하게 되며, 유체 포켓(15)을 밀봉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밀봉판(14)은 요홈부(124)와 갭(g2)으로 유입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하강되어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G2)을 형성하게 된다. 밀봉판(14)은 선회 스크롤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의 축방향 끝표면과 접촉하게 되어 역시 유체 포켓(15)을 밀봉한다 갭들(G1,G2)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 13 도에서 화살표(11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형으로 연장된 밀봉판을 따라 바깥쪽으로 흐른다.제 13 도에는 단지 선회 부재측만 도시하였다.
이 작용은 제 14 도 내지 제 16 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제 14 도에는 밀봉판(13,14)의 최초 상태를 도시하였다. 처음에 콤프레서가 구동되면, 중앙 유체 포켓(151)내의 고압 유체는 와류형 요소(122)의 축방향 끝표면과 밀봉판(13)사이의 갭(g1)과 와류형 요소(112)의 축방향 끝표면과 밀봉판(14) 사이의 갭(g2)을 통하여 인접한 유체 포켓(152,153)으로 새어 들어간다. 또한, 약간의 유체는 요홈부(114,124)로 흘러 들어간다. 각각의 밀봉판(13, 14)은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요홈부(114,124)내의 유체와 갭(g1,g2)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차압에서 기인하는 힘에 의하여 끝판(111,121)의 각 표면으로부터 승강된다. 이 후에 중앙 유체 포켓(151)내의 고압유체는 밀봉판(14)와 끝판(121) 사이에 생겨나는 갭(G2)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갭(G1,G2)로 유입하는 유체의 압력은 밀봉판(13,14)을 승강시켜 와류형 요소(112,122)의 축방향 끝표면으로 견고하게 가압시킨다. 따라서,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된 상태의 유체 포켓들을 얻게 된다.
제 16 도에는 중앙 유체 포켓(151)내의 압력(P1), 인접 유체 포켓(152 또는 153)내의 압력(P3)및 유체포켓들(151,152 또는 153) 사이의 와류형 방향을 따라 중간 위치에서 밀봉판(13 또는 14)과 끝판(111 또는 121)사이의 갭(G1또는 G2)에서의 평균 압력(P2)사이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더욱이, 유체가 중앙 포켓(151)으로부터 인접 포켓(152 또는 153)으로 유입됨에 따른 유체의 압력 강하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었고, 일점쇄선과 가는 실선은 여러 가지의 압력치를 나타낸다. 유체가 밀봉판(13)의 두께에 대해 횡으로 중앙 유체 포켓(151)으로부터 밀봉판(13)과 끝판(111) 사이의 갭(G1)으로 유입될 때, 요홈부(114)는 물론이고 와류형 요소(112)의 인접부와 끝판(13)의 가장자리 사이에 제공된 커다란 유동 공간(S1)에 기인하여 압력 강하는 거의 0 이며 유체의 압력은 거의 일정한 값(P1)으로 유지된다. 이 0 에 가까운 압력 강하는 제 16 도의 영역(L1)에 도시한다. 밀봉판(13)과 끝판(111) 사이의 갭(G1)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는 갭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압력 강하(영역 L2로 도시함)를 나타낸다. 유체가 밀봉판(13)의 두께에 대해 횡방향으로 갭(G1)에서부터 공간(S2)를 통하여 유체 포켓(152)으로 유입될 때, 밀봉판(13)의 가장자리와 와류형 요소(112)의 인접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2)이 매우 작기 때문에 압력강하는 매우 커진다. 이 압력 강하는 영역 L3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밀봉판(13)의 끝판(111)사이의 갭(G1)내의 평균 압력(P2)은 중앙 유체 포켓(151)에서의 압력(P1)과 인접 유체 포켓(152)에서의 압력(P3)의 평균보다 크게 되는데, 즉 P2(P1+ P3)/2가 된다. 갭(G1)내의 유체 압력(P2)은 밀봉판(13)에 대해 상향으로 작용하고(제 15 도에 관하여), 유체 포켓(151,152)내의 유체 압력들은 밀봉판(13)에 대해 하향으로 작용하며, P2와 (P1+ P3)/2 사이의 차압 △P는 밀봉판(13)이 큰 힘에 의해 상향으로 상승되게 한다. 그러므로 유체 포켓들은 더욱 완전하게 밀봉되며, 똑같은 해석이 밀봉판(14)에도 적용된다.
상기 작동은 유체의 압력에 기인한 승강력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콤프레서내의 순환 유체는 이동 부분들을 윤활하는데 사용되는 오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밀봉판(13)과 끝판(111) 사이의 갭(G1)으로 도입되는 유체에 기인하여 제공되는 유압 상승력도 이러한 밀봉 기구용으로 예견될 수 있다. 비록 제 10 도에서는 가압된 유체가 방출 챔버(9)로부터 구멍(127)을 통해 흘러서 밀봉판(14)의 하부 표면에 가해져서 밀봉판(14)이 끝판으로부터 상승되게 하여 갭(G2)를 형성하지만, 제 8 도와 제 10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 기능은 대체로 동일하다. 제 11a 도 내지 제 11 c도에서 요홈부(132 또는 142)는 요홈(114 또는 124)의 기능을 한다. 제 12 도에서 표면(133)은 요홈(114)의 역할을 하도록 작용하여 밀봉판을 상승시킨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밀봉판(13,14)이 모두 구비되었지만 선회 스크롤 부재(11) 또는 고정 스크롤 부재(12)에 하나의 밀봉판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제 17 도에서는 밀봉판(14)만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와류형 요소(122)의 축방향 끝표면과 끝판(111) 사이의 갭(g')은 이 갭을 통과하는 유체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제 18 도 내지 제 22 도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형 콤프레서를 예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밀봉판이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끝판과 다른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 사이에 제공된다. 예시한 실시예는 하나의 밀봉판(14)만이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끝판(121)과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 사이에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 17 도에서와 같은 갭(g')이 제공되지 않는다.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와류형 요소(122)의 벽의 축방향 높이(h2)는 제 1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의 축방향 높이(h1)에 밀봉판(14)의 두께를 더한 합보다 크다. 따라서, 밀봉판(14)은 끝판(121)의 표면과 와류형 요소(112)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높이(h2)와, 높이(h1)에 두께(t)를 더한 합 사이의 차이는 0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40㎛를 초과하지 않는다.
제 20a 도 내지 제 20c 도에는 제 19 도의 실시에에 대한 유체 도입 기구를 예시하였다. 제 9a 도 내지 제 9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판(14)의 내측 말단부(141)은 그 와류형 연장 방향에서 방출 구멍(125)의 위치에 못 미치는 지점에서 끝나게 된다. 요홈부(124)는 끝판(121)의 표면에 형성되며, 말단부(141) 아래로 연장된다. 방출 구멍(125)은 이 실시예에서 요홈부(124)로 개방된다. 요홈부(124)는 중앙 유체 포켓(151)내의 가압된 유체가 제 20c 도에서 화살표(126)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판(14) 아래의 요홈부(124)로 들어가게 한다. 밀봉판(14)는 상승되고 유체는 끝판(121)과 밀봉판(14) 사이에 형성된 갭(G)로 흘러 들어간다.
콤프레서의 작동에 있어서, 중앙 유체 포켓(151)내의 고압 유체는 제 19 도, 제 21 도 및 제 22 도의 화살표(126)로 도시한 바와 같이 끝판(121)과 밀봉판(14) 사이의 갭(G)으로 들어간다. 갭(G)으로 들어간 유체는 제 21 도의 화살표(128)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형으로 연장된 밀봉판을 따라 바깥쪽 방향으로 흐른다. 제 22 도는 밀봉판(14)이 갭(G)내의 압력(P2)에 의해 상승된 후에 와류형 요소(112)의 축방향 끝표면으로 밀착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비록 밀봉판(14)이 끝판(121)의 표면에 제공되었지만,밀봉판은 그 대신 선회 부재(11)의 끝판(111)의 표면에 제공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선회 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의 벽의 높이는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와류형 요소(122)의 벽의 높이에 밀봉판의 두께를 더한 합보다 크게 된다.
제 23 도 및 제 24 도에는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와류형 요소(112)의 벽높이(HM),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와류형 요소(122)의 벽높이(HF), 밀봉판(14)의 두께(TB) 및 밀봉판(14)의 끝판(12)에서 상승하기 전에 도시된 갭(G)의 두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갭(G)의 두께는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G = HF- (HM+ TB)
제 23 도에는 상기 방정식에서의 G가 0보다 큰 본 발명에 따른 콤프레서를 도시하였고, 제 24 도에는 상기 방정식에서의 G가 0보다 작은 콤프레서, 즉 하나의 갭이 끝판(111)과 와류형 요소(122)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유지되며, 밀봉판(14)과 와류형 요소(122)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는 갭이 유지되지 않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콤프레서를 도시하였다. 물론 이 상태에서 밀봉판(14)은 콤프레서의 작동이 시작된 후에도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밀봉판(14)과 끝판(121) 사이에는 갭(G)이 생겨나지 않는다.
제 25 도에는 이 실시예에 대한 갭(G)의 두께와 콤프레서의 출력 용량 또는 체적 효율 사이의 실험 데이터 관계를 도시하였다. 제 25 도에서 선(Q)는 기준에 맞는 성능의 수준을 나타내는데 즉, 출력 용량 또는 체적 효율의 관점에서 볼 때 선(Q)위의 영역(A)은 양호한 성능 영역을 나타내고 선(Q)아래의 영역(B)은 불량한 성능 영역을 나타낸다. 결과 데이타로부터 명백한 것은, 갭(G)이 0에서 40㎛사이의 범위, 즉 23 도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본 발명에 해당하는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한 비록 0보다 작은 범위 즉, 제 24 도의 종래 실시예에 해당하는 0에서 -15㎛사이에서 양호한 성능 영역이 있지만 이 범위는 매우 작은 것이므로 갭이 이 범위내로 확실하게 되도록 콤프레서를 정밀하게 제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욱이 갭이 15㎛보다 크다면, 즉 G -15㎛이라면 용량 및 효율은 기준에 맞는 수준 이하로 급속하게 감소한다.
만일 콤프레서가 본 발명에 따라 제 23 도와 같이 제조된다면, 출력 용량 및 체적 효율이 기대치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 갭(G)의 범위에 대해 기준에 맞는 크기는 약 0-40㎛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기준에 맞는 범위는 종래 기술보다 적어도 2배 이상으로 증가되므로 와류형 요소의 벽의 높이는 덜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콤프레서의 조립도 또한 갭(G)의 기준에 맞는 범위가 커진 관계로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네가티브(negative)갭이 사용되는 즉, 밀봉판이 배치되지 않는 와류형 요소와 끝평판 사이에서 갭이 유지되어 밀봉판의 축방향 운동이 방지되는 종래 기술보다는, 포지티브(positive)갭이 사용되는 즉, 와류형 요소와 밀봉판 사이에서 갭이 유지되어 밀봉판의 축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본 발명에서, 생산에 드는 전체 비용이 절감된다. 비록 상기 해석은 단 하나의 밀봉판이 사용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행해졌지만 2개의 밀봉판이 사용되는 실시예들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적용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2개의 밀봉판이 사용되는 상태에서 갭은 각 밀봉판과 이에 인접한 와류형 요소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유지되며, 이 갭은 0 보다 크고 40㎛보다 작거나 같다.
비록, 지금까지 본 발명을 몇가지 선호되는 실시예 위주로 자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의 숙련가들은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과 장점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이 실시예들에 대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형들은 후술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5)

  1. 하우징(1)과, 제 1 와류형 요소(122)가 끝판(121)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끝판(12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내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스크롤 부재(12)와, 제 2 와류형 요소(112)가 끝판(111)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끝판(11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비회전 궤도 선회 운동을 하도록 배치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11)와 적어도 한 쌍의 밀봉된 유체 포켓(15)을 형성하는 다수의 선접촉부를 만들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위상 각도(位相 角度)가 어긋나게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편심되게 맞물리는 상기 제 1, 제 2 와류형 요소(122,112)및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11)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와 상기 선접촉부의 궤도 선회 운동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상기 유체 포켓(15)들이 안쪽으로 이동하게 체적이 변하여 결국에는 상기 와류형 요소들(122,112)의 중심 근방에서 단일 포켓(151)으로 합류되게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에 있어서, 밀봉판(13,14)이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와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11)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끝판(121,111)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밀봉판은 상기 끝판(121,111)의 표면과 상기 스크롤 부재(12, 11) 중 다른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122,112)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 13)은 상기 스크롤 부재(12,11)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122,112)의 인접벽들 사이에 배치되고 와류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12,11)의 끝판(121,111)과 상기 밀봉판(14,13) 사이로 가압된 유체를 도입하여 상기 밀봉판을 상기 다른 스크롤 부재(11,12)의 와류형 요소(112,122)의 축방향 끝표면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축방향 끝표면과 접촉시키게 하는 유체 도입 수단을 상기 와류형 요소들의 중심 근방에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13)의 내측 말단부는, 상기 밀봉판의 와류형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12, 11)의 와류형 요소(122,112)의 벽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13)은 내마모성의 탄소강이나 합금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12,11)의 상기 끝판(121,111)의 표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밀봉판(14, 13) 아래로 연장된 요홈부(124, 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 수단은 복수의 상기 요홈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24, 114)는 상기 단일 포켓(151)과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가압된 유체는 상기 단일 포켓으로부터 상기 스크롤 부재들(12,11)중 다른 스크롤 부재의 상기 끝판(121,111)의 축방향 끝표면과 상기 밀봉판(14,13) 사이의 갭(간극)으로 그리고 상기 요홈부로 흐르며, 이로 인해 상기 밀봉판이 상기 스크롤 부재들(12,11)중 다른 스크롤 부재의 상기 와류형 요소(112, 122)의 축방향 끝표면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축방향 끝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방출 챔버(9)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체 도입 수단(124,11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12, 11)의 상기 끝판(121, 1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127)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 구멍은 유체 연통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12,11)의 끝판(121,111)에 인접한 상기 밀봉판(14, 13)의 표면과 상기 방출 챔버(9)를 연결하며, 이로 인해 상기 밀봉판이 승강되고 상기 밀봉판(14, 13)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12, 11)의 끝판(121, 111)사이에 갭이 생성되어, 가압된 유체가 상기 단일 포켓(151)으로부터 상기 갭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 수단은 상기 밀봉판의 표면에 형성된 요홈부(132,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이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 수단은 복수의 상기 요홈부(132, 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이동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32,142)는 유체 연통시 상기 단일 포켓(151)과 연결되고, 가압된 유체는 상기 단일 포켓(151)으로부터 상기 요홈부(132, 142)로 유입되고 상기 스크롤 부재들(12, 11)중 다른 스크롤 부재의 상기 끝판(121, 111)의 상기 축방향 끝표면과 상기 밀봉판(14, 13)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하며, 이로 인해 상기 밀봉판(14, 13)이 상기 스크롤 부재들 중 다른 스크롤 부재의 상기 와류형 요소(112, 122)의 축방향 끝표면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축방향 끝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 수단은 와류형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11, 121)의 내측 말단부의 측면(133, 143)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크롤형 콤프레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밀봉판(14, 13)이 상기 스크롤 부재들(12, 11) 각각의 끝판(121, 111)의 표면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밀봉판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3)은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끝판(11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은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끝판(12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 13)은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와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11)중 단지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끝판(121, 111)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롤 부재들(12, 11)중 상기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122, 112)의 벽의 축방향 높이는 상기 다른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112, 122)의 벽의 축방향 높이에 상기 밀봉판(14, 13)의 두께를 더한 합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스크롤 부재(12, 11)의 와류형 요소(122, 112)의 벽의 축방향 높이와, 상기 다른 스크롤 부재(11, 12)의 와류형 요소(112, 122)의 벽의 축 방향 높이에 상기 밀봉판(14, 13)의 두께를 더한 합계와의 차이는 0보다 크고 4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3)은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11)의 끝판(11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 13) 와류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의 스크롤 부재(12,11)의 와류형 요소(122, 112)의 인접벽들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 도입수단(124, 114)이 상기 하나의 스크롤부재(11,12)의 상기 와류형 요소(112,122)의 중심 근방의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도입 수단(124, 114)은 상기 하나의 스크롤 부재(11, 12)의 끝판(122, 112)과 상기 밀봉판(14,13)사이에 가압된 유체를 도입하여 상기 밀봉판(14, 13)을 상기 다른 스크롤 부재(11, 12)의 와류형 요소(112, 122)의 축방향 끝표면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시 축방향 끝표면과 접촉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입 수단은 상기 밀봉판(14, 13)의 표면 또는 상기 하나의 스크롤 부재(12, 11)의 끝판(122, 112)의 표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부(124, 114, 142, 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은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끝판(121)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방출 챔버(9)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체도입수단(124,114)은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상기 끝판(12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127)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 구멍(127)은 유체 연통시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끝판(121)에 인접한 상기 밀봉판(14)의 표면과 상기 방출 챔버(9)를 연결하며, 이로 인해 상기 밀봉판(14)이 승강되고 상기 밀봉판(14)과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끝판(121)사이에 갭이 생성되어, 가압된 유체가 상기 단일 포켓(151)으로부터 상기 갭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판(14)은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의 끝판(121)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25. 하우징(1)과, 제 1 와류형 요소(122)가 끝판(121)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끝판(12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내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스크롤 부재(12)와, 제 2 와류형 요소(112)가 끝판(111)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끝판(11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비회전 궤도 선회 운동을 하도록 배치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11)와 적어도 한 쌍의 밀봉된 유체 포켓(15)을 형성하는 다수의 선접촉부를 만들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위상 각도(位相 角度)가 어긋나게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편심되게 맞물리는 상기 제 1, 제 2 와류형 요소(122,112)및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11)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와 상기 선접촉부의 궤도 선회 운동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상기 유체 포켓(15)들이 안쪽으로 이동하게 체적이 변하여 결국에는 상기 와류형 요소들(122,112)의 중심 근방에서 단일 포켓(151)으로 합류되게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 부재(12)와 상기 선회 스크롤 부재(11)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끝판(121, 111)의 표면에 배치되는 밀봉판(14, 13)과, 상기 밀봉판(14, 13)을 상기 끝판(121, 111)의 표면과 상기 스크롤 부재(11, 12)중 다른 하나의 스크롤 부재의 와류형 요소(112, 122)의 축방향 끝표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124, 114, 127, 132, 142, 133, 143)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시키는 수단은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가 작동하는 동안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크롤형 유체 이동장치.
KR1019900009025A 1989-06-20 1990-06-20 스크롤형 유체이동장치 KR0146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562789 1989-06-20
JP1-155627 1989-06-20
JP29393689A JP2770930B2 (ja) 1988-11-25 1989-11-14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1-293936 1989-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56A KR910001256A (ko) 1991-01-30
KR0146954B1 true KR0146954B1 (ko) 1998-08-17

Family

ID=2648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025A KR0146954B1 (ko) 1989-06-20 1990-06-20 스크롤형 유체이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22041A (ko)
EP (1) EP0404512B1 (ko)
KR (1) KR0146954B1 (ko)
AU (1) AU632332B2 (ko)
CA (1) CA2019295C (ko)
DE (1) DE690028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906A (en) * 1991-02-04 1992-02-18 Tecumseh Products Company Axially floating scroll member assembly
JPH091631A (ja) * 1995-06-16 1997-01-07 Kobe Steel Ltd ローラヘッド押出機のシート幅調整装置
JP3043979B2 (ja) * 1995-10-20 2000-05-22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用ボトムプレート
JPH109157A (ja) * 1996-06-24 1998-01-13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5888057A (en) * 1996-06-28 1999-03-30 Sanden Corporation Scroll-type refrigerant fluid compressor having a lubrication path through the orbiting scroll
US5857844A (en) * 1996-12-09 1999-01-12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reduced height orbiting scroll wrap
WO2000006906A1 (en) * 1998-07-30 2000-02-10 Varian, Inc. Scroll-type vacuum pump
JP2002221170A (ja) 2001-01-25 2002-08-09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圧縮機
FR3043148B1 (fr) * 2015-11-03 2020-10-02 Ea Technique Compresseur a spirales
FR3047775B1 (fr) * 2016-02-16 2018-03-02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Dispositif de compression a spirales ayant un dispositif d'etancheite, et un compresseur a spirales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 compression a spirales
GB2548607B (en) * 2016-03-23 2020-05-06 Edwards Ltd Scroll pump tip sealing
JP6961413B2 (ja) 2017-07-24 2021-11-05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19023439A (ja) 2017-07-24 2019-02-14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GB2585903B (en) 2019-07-22 2021-12-08 Edwards Ltd Scroll Pump
DE102022120681A1 (de) 2022-08-16 2024-02-22 Bitzer Kühlmaschinenbau Gmbh Scrollmaschine und Kälteanlage
CN116857189A (zh) * 2022-10-28 2023-10-10 杭州绿能新能源汽车部件有限公司 具有轴向柔性的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636A (en) * 1975-03-24 1976-11-30 Arthur D. Little, Inc. Axial compliance means with radial sealing for scroll-type apparatus
US3994635A (en) * 1975-04-21 1976-11-30 Arthur D. Little, Inc. Scroll member and scroll-type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S5535151A (en) * 1978-09-04 1980-03-12 Sanden Corp Volume type fluid compressor
US4314796A (en) * 1978-09-04 1982-02-09 Sankyo Electric Company Limited Scroll-type compressor with thrust bearing lubricating and bypass means
JPS56147386A (en) * 1980-04-16 1981-11-16 Nippon Electric Co Electric high temperature retaining device
JPS6041237B2 (ja) * 1981-03-09 1985-09-14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ル型流体装置
JPS57148086A (en) * 1981-03-10 1982-09-13 Sanden Corp Scroll type compressor
CA1205028A (en) * 1981-07-01 1986-05-27 Jerald C. Hinshaw Fluorescent chelates and labeled specific binding reagents prepared therefrom
JPS5823516A (ja) * 1981-08-01 1983-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インチユ−ブ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S5851289A (ja) * 1981-09-22 1983-03-25 Hitachi Ltd 流体圧縮機
JPS58200092A (ja) * 1982-05-17 1983-11-21 Hitachi Ltd スクロ−ル流体機械
JPS58192901A (ja) * 1983-01-19 1983-11-10 Hitachi Ltd スクロ−ル流体装置
JPS59142484U (ja) * 1983-03-15 1984-09-22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ル型流体装置における耐摩耗性板の構造
GB2167133B (en) * 1984-11-19 1988-04-07 Sanden Corp Scroll-type rotary fluid-machine
JPH0615804B2 (ja) * 1985-01-25 1994-03-02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ル形流体機械
AU593098B2 (en) * 1986-04-28 1990-02-01 Sanden Corporation Scroll member for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JPH01147181A (ja) * 1987-12-02 1989-06-08 Toshiba Corp スクロール流体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04512A2 (en) 1990-12-27
EP0404512A3 (en) 1991-04-24
AU5712290A (en) 1991-01-03
AU632332B2 (en) 1992-12-24
US5122041A (en) 1992-06-16
DE69002885T2 (de) 1994-01-20
EP0404512B1 (en) 1993-08-25
DE69002885D1 (de) 1993-09-30
CA2019295C (en) 1997-12-02
CA2019295A1 (en) 1990-12-20
KR910001256A (ko) 1991-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954B1 (ko) 스크롤형 유체이동장치
US3994635A (en) Scroll member and scroll-type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4303379A (en) Scroll-type compressor with reduced housing radius
EP0009350B1 (en) Scroll-type fluid compressor units
US5458471A (en)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device having high built-in volume ratio and semi-compliant biasing mechanism
KR100916554B1 (ko) 올덤 커플링을 위한 클리어런스를 가진 스크롤 압축기
US6146119A (en) Pressure actuated seal
US5588820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n axial compliance pressure chamber
US5302095A (en) Orbiting rotary compressor with orbiting piston axial and radial compliance
EP0010930A1 (en) Scroll-type fluid compressor units
EP0227249A1 (en) Axial sealing mechanism for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US4561832A (en) Lubricating mechanism for a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US4548555A (en)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nonuniform scroll height
EP0041802B1 (en)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EP0648932B1 (en) Scroll type compressor
US5593295A (en) Scroll compressor construction having an axial compliance mechanism
EP0401968B1 (en) A rotary compressor
EP0429146B1 (en) Scroll member for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EP0012614A1 (en) Improvements in scroll type fluid compressor units
EP0065261B1 (en) Axial sealing mechanism for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US5217358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elongated discharging part
JP3445794B2 (ja) 高い固有容積比を有するスクロール型流体排出装置およびセミ・コンプライアント・バイアス機構
US6071101A (en)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device having flow diverter, multiple tip seal and semi-radial compliant mechanism
JP4121783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6336798B1 (en) Rotation preventing mechanism for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