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614B1 - 플렉시블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콘테이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614B1
KR0146614B1 KR1019940006214A KR19940006214A KR0146614B1 KR 0146614 B1 KR0146614 B1 KR 0146614B1 KR 1019940006214 A KR1019940006214 A KR 1019940006214A KR 19940006214 A KR19940006214 A KR 19940006214A KR 0146614 B1 KR0146614 B1 KR 014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ape yarn
stretched
stretched tap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39A (ko
Inventor
사토시 카와후찌
미노루 이케다
히데미 모리시다
Original Assignee
모리시다 유키오
모리시다카가쿠 코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다 유키오, 모리시다카가쿠 코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다 유키오
Publication of KR95000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4Sack- or bag-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Bag Fram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목적]
걸림수단의 취착 강도를 향상시켜 몸체의 유연성을 유지하며, 몸체의 주름을 방지하게 한 플렉시블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콘테이본체(1)의 몸체(2)를 종방향의 실과 횡방향의 실에 의해 직성한다.
걸림수단 봉착용이 종방향의 띠상 영역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실로써는 제1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를 제2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로 피복한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한다.
띠상 증강부(5) 이외의 종방향의 실 및 각 횡방향의 실로써는, 종래부터의 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한다.
걸림수단 봉착용 종방향의 띠상 영역에서는, 복층 연신테이프사로 이루어지는 종방향의 실을 사용하므로써, 바느질수를 증가하여 증강할 수 있다. 띠상 증강부(5)의 상부에 걸림수단(14)의 기부를 미싱사(15)에 의해 봉착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콘테이너
제1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일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에 사용하는 기포의 일례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복층 연신테이프사의 일례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복층 연신테이프사의 타의 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 이외의 종방향의 실 및 횡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연신테이프사의 일례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 이외의 종방향의 실 및 횡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연신테이프사의 타의 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 이외의 종방향의 실 및 횡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연신테이프사의 타의 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 이외의 종방향의 실 및 횡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연신테이프사의 또 한 타의 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콘테이터(Container)본체 2:몸체(胴部)
5:띠상 증강부(帶狀增强部) 6:기포(基布)
7:종사(縱絲) 8:제1연신(延伸)테이프사(絲)
9:제2연신테이프사 10:복층(複層)연신테이프사
11:종사(縱絲) 12:횡사(橫絲)
13:연신테이프사 14:걸림수단
15:미싱사
본 발명은 시멘트, 농산물등의 분립체등을 수납하여 수송하며, 또는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플렉시블 콘테이너(Flexible Container), 특히 걸림수단의 취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물류(物流)의 합리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원웨이 타잎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 이 종류의 플렉시블 콘테이너는 폴레에치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오레핀계의 합성수지제의 연신테이프사에 의해 직성(織成)한 기포(基布)에 의해 통상(筒狀)의 몸체를 형성하고 이 몸체의 상하에 투입구와 배출구를 가진 윗덮개와 아랫덮개를 취착하고, 몸체에 띠상의 현가용 걸림수단을 봉착하고 있다.
이와같은 플렉시블 콘테이너는 접는 것이 가능한데다가 경량, 간편, 염가이므로 특히 근래에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플렉시블 콘테이너는 걸림수단을 이용하여 매달음으로써, 내용물의 투입, 운반, 배출의 편리를 도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콘테이너를 매어달 경우,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와 걸림수단의 봉착부에 큰 하중이 가해지나,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는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로 직성되어 있으므로, 몸체에 대한 걸림수단의 봉착부, 특히 몸체에 있어서의 걸림수단의 하연부가 상기 하중에 못견디어 절단되므로 최악의 경우 콘테이너 본체, 또는 내용물이 낙하되는 위험성이 있다.
그리하여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인 실개소 55-2191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몸체에 주(周)방향(횡방향)의 보강 벨트를 봉착하여 이 보강 벨트에 걸림수단을 봉착하고, 또는 몸체에 걸림수단을 봉착한 후 이 걸림수단 위에서 몸체에 주방향으로 보강벨트를 봉착하고 있다. 또 일본국 실개소 48-62246호 공보, 특개소 53-89578호 공보, 실개소 62-11718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몸체에 있어서의 걸림수단과 봉착부의 강도를 종방향의 띠상으로 증강하고, 이 띠상 증강부에 걸림수단을 봉착하고 있다.
그리고 후자와 같이 콘테이너 본체 자체를 증강하는 종래 예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일예로써,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 지사(地絲)와 동일한 종방향의 실을 사용하여 콘테이너 본체로부터 고밀도로 짜서 증강하고 타 실시예로써,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 지사보다 굵게 또는 인장강도가 우수하며 질을 달리하는 종방향의 증강사를 사용하여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 주요부와 거의 같은 밀도로 또는 많은 바느질수로 짜서 증강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중, 전자와 같이 주방향(횡방향)의 보강벨트를 사용하면 걸림수단의 취착부의 면적을 크게하기 위해 보강벨트의 상하방향의 폭을 넓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보강벨트의 폭을 넓게 하면, 중량이 커지고 고가일뿐 아니라, 속이 빈 경우에 편평하게 접기가 힘들며 플렉시블한 특징을 상실하고 또 내용물을 충전할 경우, 접혔던 자리의 구김살 제거가 힘들며 펼치기도 힘들게 되므로 보강벨트의 폭을 좁히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걸림수단의 설치부의 면적이 좁아지며 취착강도가 떨어진다.
한편, 후자와 같이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 자체에 띠상 증강부를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적성함에 있어서, 연신테이프사 등의 외측면이 직기의 가이드, 바디, 셔틀과 마찰하여 10∼20% 정도 직성의 품질저하가 생긴다.
이 때문에 띠상 증강부의 강도가 떨어지며 신뢰성이 약화된다. 또 전기한 일예와 같이 종방향의 실을 고밀도로 짜는 구성에서는 고밀도화 즉 강도에 한도가 있다. 또 타실시예에 있어서는, 띠상 증강부에 지사(地絲)와는 질을 달리하는 증강사(增强絲)만을 사용한 경우 지사인 연신테이프사와의 인장강도, 탄성율등의 차이에 의해 직성작업에 곤란함을 수반한다. 만일에 직성되었다 하여도 특히, 몸체 주요부와 띠상 증강부의 경계가 주름지는등, 외관에 있어 뒤질 뿐 아니라, 증강사의 인장강도가 우수하여도 지사(地絲)와의 인장강도, 탄성율, 신율등이 틀리므로 인장강도가 약한 부분에서 파열, 또는 찢어지기 시작하여 실 그 자체의 인장강도에 비례하여 그 특성을 살리지 못한다.
또 띠상 증강부에 걸림수단을 봉착할 때, 띠상 증강부의 증강사가 지사와 질을 달리하며, 또는 같은 질이라도 두꺼운 경우에는 미싱침 및 미싱사가 관통하기 힘들며 미싱침의 발열이나 증강사의 벌어짐등에 의해 10∼20% 정도 봉착의 저하가 생겨 결국 인장강도에 우수한 플렉시블 콘테이너를 얻을 수가 없다.
더우기, 증강사가 지사보다 굵은 경우에는 중량이 커질 뿐만 아니라, 띠상 증강부의 유연성이 뒤떨어지며 상기한 보강벨트를 사용한 종래의 예와 같이, 속이 빈 경우에 편평하게 접기 힘들며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특징을 상실하며 내용물을 충전할때 접혔던 자리의 구김살 제거가 힘들고, 펼치기 힘들게 된다. 더우기 지사와 재질을 달리하는 증강사를 사용하였을때, 그 직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성수지제 필름을 라미네이트(Laminate)하려 하여도 재질을 달리하는 합성수지끼리는 열 융착이 안되므로 방수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며, 걸림수단을 취착하는 방향의 띠상부(帶狀部)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실의 바느질수를 용이하게 증가되게 하고 그리고 그 종방향의 실의 직성률의 저하를 억제하여 증강하고, 걸림수단의 취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하여 걸림수단이 떨어진다던가, 주머니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띠상 증강부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평하게 접을 수 있고 그 위에 내용물을 충전할때 펴지기 쉽게하여 충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 경량화를 도모하여 취급의 편리성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플렉시블 콘테이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또 상기 목적에 더하여, 띠상 증강부에 사용하는 실을 그외의 실과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므로써, 전체의 신장율을 거의 균일하게 하여 띠상 증강부와 몸체 주요부와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구김살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테이너 전체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걸림수단이 떨어지거나 주머니가 터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더우기 필요에 따라 합성수지제 필름을 몸체 전면에 확실하게 열 융착이 가능하게 하므로 방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더우기 원사의 관리가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한 플렉시블 콘테이너를 제공함에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가 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로 이루어진 종방향의 실과 횡방향의 실에 의해 직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있어서의 걸림수단 봉착용 종방향의 띠상 영역을 상기 종방향 실의 적어도 일부에 제1연신테이프사와, 이 제1연신테이프사를 피복하는 제2연신테이프사로 이루어진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하여 강도가 증강되게 하고 이 띠상 증강부에 걸림수단을 봉착되게 한 것이다.
또 상기 기술적 수단에 있어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구성하는 제1과 제2연신테이프사가 타의 연신테이프사와 같은 재질의 폴리오레핀계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 콘테이너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 투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할 수도 있어 투입구와 배출구를 겸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콘테이너 본체를 원통상이나 각통상이라도 좋으며, 또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는 기포를 통상으로 하되, 단부를 봉착하여 구성하고 또는 통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띠상 증강부 걸림수단의 배치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에 있어 걸림수단 봉착용의 종방향의 띠상 영역을 종방향의 실의 적어도 일부에 제1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와, 이 제1연신테이프사를 피복하는 제2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에서 이루어진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하여 증강하므로, 종방향의 실의 바느질수를 용이하게 증가하고, 또 제2연신테이프사로 피복된 제1연신테이프사가 직기의 가이드, 바디, 셔틀과 마찰됨을 방지하며, 직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증강할 수가 있어, 이에 의해 걸림수단의 취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띠상 증강부는 연신테이프사의 바느질수를 증가하여 증강하고 있으므로 띠상 증강부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우기 몸체 전부를 연신테이프사만으로 직성하고 있으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띠상 증강부에 사용하는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타의 연신테이프사와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므로서, 전체의 늘어남을 거의 균일하게 하여 띠상 증강부와 몸체 주요부와의 경계선에 있어서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테이너 전체로서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몸체 전부의 연신테이프사에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므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연신테이프사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제 필름을 사용하여 이 필름을 몸체전면에 확실하게 열융착할 수 있다.
더우기 원사로서 한 종류의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하므로서, 품질, 재고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플렉시블 콘테이너에 사용하는 기포의 한 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복층 연신테이프사의 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띠상 증강부 이외의 종방향의 실 및 횡방향의 실에 사용하는 연신테이프사의 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콘테이너 본체(1)은 몸체(2)의 상부에 윗덮개(3)가 봉착등에 의해 취착되어 윗덮개(3)에는 투입구(4)가 봉착등에 의해 취착되며, 몸체(2)의 하부에는 아랫덮개(도시생략)가 봉착등에 의해 부착되었으며, 아랫덮개에는 배출구(도시생략)가 봉착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몸체(2)에는 걸림수단 봉착용의 종방향의 띠상 증강부(5)가 대응하는 한쌍씩 두쌍이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몸체(2)를 구성하는 기포(6)은 폴리에치렌, 폴리프로필렌등 폴리오레핀계의 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에 의해 직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띠상 증강부(5)의 각 종(경)사(7)에는 제3도 또는 제4도에 도시하는 제1연신테이프사(8)과, 제2연신테이프사(9)로 이루어진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이 사용되었으며, 기타의 종(경)사(11) 및 횡(위)사(12)에는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하는 1본의 연신테이프사(13)이 사용되었다.
제3도에 도시하는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은 폴리오레핀계로서 같은 재질의 수지제 필름이 2매 겹쳐져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어 2매 겹친 상태로 가이드를 통과, 양측 길이방향의 연부(緣部)가 같은 측으로 뒤집어 꺾여 양측 길이방향의 가장자리 끝단면이 맞닿고, 또는 맞닿게끔 접근된다.
이와같이 꺾인 상태로 90℃∼180℃로 가열되어, 당기는 방향으로 4∼10배 연신되어 제1연신테이프사(8)의 외면이 제2연신테이프사(9)에 의해 서로 접착되지 않고 피복되어 있다.
또는 폴리오리핀계 수지 필름이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어 상기와 같이 연신되어, 연신후의 같은 재질의 2본의 테이프사(8)(9)가 겹쳐져 이 상태로 가이드를 통과, 양측 길이방향의 연부가 같은 측으로 뒤집어 꺾여 양측 길이방향 연부의 끝단면이 맞닿고, 또는 맞닿게끔 접근되어 제1연신테이프사(8)의 외면이 제2연신테이프사(9)에 의해 서로 접착되지 않고 피복되어 있다.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은, 폴리오레핀계로서 같은 재질의 수지제 필름이 2매 겹쳐져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며 2매 겹친 상태로 가이드를 통과하여 길이방향의 연부 일측이 뒤집어 꺾이어, 계속하여 그 타측 연부가 상기 일측 연부상에 겹쳐지게 뒤집어 꺾여진다.
이같이 뒤집어 꺾인 상태로 상기와 같이 연신되어 제1연신테이프사(8)의 외면이 제2연신테이프사(9)에 의해 서로 접착되지 않고 피복된다.
또는 폴리오레핀계 수지필름이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어 상기와 같이 연신되어 연신후의 같은 재질의 2본 테이프사(8)(9)가 겹쳐져, 이 상태로 가이드에 통과되어 길이방향의 일측 연부가 뒤집어 꺾이어, 계속하여 타측 연부가 상기한 일측 연부상에 겹쳐지게끔 뒤집어 꺾이어 열셋트되어, 제1연신테이프사(8)의 외면이 제2연신테이프사(9)에 의해 서로 접착되지 않고 피복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연신테이프사(13)은 폴리오레핀계수지제 필름이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어 가이드에 통과하면 길이방향의 양측 연부가 같은 측으로 뒤집어 꺾이어 양측 연부 끝단면이 맞닿고, 또는 맞닿게끔 접근된다. 이와같이 꺾인 상태로 상기와 같이 연신된다.
또는 폴리오레핀계 수지필름이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어 상기와 같이 연신되어 가이드에 통과하면 일측 연부가 뒤집어 꺾여 계속하여 타측 연부가 상기 일측 연부상에 겹쳐지게끔 뒤집어 꺾인다.
이와 같이 꺾인 상태로 상기와 같이 연신된다. 또는 폴리오레핀계 수지필름이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어 상기와 같이 연신되어 가이드에 통과하면 일측 연부가 뒤집어 꺾여 게속하여 타측 연부가 상기한 측 장수연부상에 겹쳐지게끔 뒤집어 꺾여 열셋트된다.
제6도에 도시하는 연신테이프사(13)은, 폴리오레핀계 수지필름이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어 가이드에 통과하면 길이방향의 일측 연부가 뒤집어 꺾여 계속하여 타측 연부가 상기 일측 연부상에 겹쳐지게끔 뒤집어 꺾이고, 이와같이 꺾인 상태로 상기와 같이 연신되는 것이다.
또는 폴리오레핀계 수지필름이 소망의 폭으로 가늘고 길게 절단되고 상기와 같이 연신되어, 가이드에 통과하면 역시 일측 연부가 뒤집어 꺾이어 계속하여 타측 연부가 상기 한측 연부상에 겹쳐지게끔 뒤집어 꺾이어 열셋트된다.
제7도 또는 제8도에 도시하는 연신테이프사(13)은 종래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폴리오레핀계 수지필름이 엷은 경우에는 폭을 넓게, 두꺼운 경우에는 폭을 좁고 가늘며 길게 절단되어 상기와 같이 연신된다.
상기 각 연신테이프사(8)(9)(13)으로서는 1500데니어(Dinier)로 인장강도가 4g/d이상, 인장강도가 실온 20℃ 조건하에서 15%이상, 종렬강도가 90g/mm 이상이 희망스럽다.
그리고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하는 폭 3∼6mm의 연신테이프사(13)를 띠상 증강부(5)를 제외한 부분의 종사(11)로서 사용 제5도 내지 제8도의 어느 것인가에 표시하는 폭 3∼6mm의 연신테이프사(13)을 각 횡사(12)로써 사용, 제3도 또는 제4도에 표시하는 폭 2∼4mm의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을 띠상 증강부(5)의 각 종사(7)로 사용하여 직성 몸체(2)가 구성되며, 띠상 증강부(5)는 그 종사(7)로서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이 사용되므로서 바느질수가 증가되어 증강된다.
이때 띠상 증강부(5)의 종사(7)은 상기와 같이 제1연신테이프사(8)을 제2연신테이프사(9)로 피복한 복층 연신테이프사(10)를 사용하였으므로, 제1연신테이프사(8)은 직기의 가이드, 바디, 셔틀에 의해 마찰되지 않음으로 직성율의 저하를 생기게 할 염려가 없으며 직성의 저하율을 10% 이내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띠상 증강부(5)는 엷은 연신테이프사(8)(9)(13)만으로 직성하므로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복층 연신테이프사(10) 및 연신테이프사(13)을 같은 재질로 형성하므로써, 거의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을 사용하여 띠상 증강부(5)의 종사(7)의 바느질수를 예컨데, 1.4배로 하면, 이 부분은 상기와 같이 직성율의 저하가 적으므로 바느질수에 비례하여 1.4배의 인장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연신테이프사(10)(13)을 같은 재질로 형성하므로써, 전체의 늘어남을 거의 균일하게 띠상 증강부(5)와 몸체(2)의 주요부와의 경계에 있어 주름짐을 억제할 수 있다.
몸체(2)를 구성하는 기포(6)은 방수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직포의 표면과 이면 어느쪽이나 한편, 또는 양방에 폴리에치렌, 폴리프로필렌등, 폴리오레핀계 수지필름을 라미네이트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연신테이프사(10)(13)을 같은 재질로 형성하고, 더우기 주름짐을 억제하므로써, 각 연신테이프사(10)(13)과 같은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여 전면에 걸쳐 확실히 열융착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하는 벨트상의 걸림수단(14)은 상기 기포(6)의 띠상 증강부(5)와 같은 모양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층 연신테이프사(10)만을 종사 및 횡사로써 직성되며, 또는 합성섬유에 의해 직성되는 등으로 소망의 강도를 갖는 띠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이 사용된다.
각 걸림수단(14)는 중앙부에서 만곡되어 양측부가 몸체(2)의 띠상 증강부(5)의 상부 외면에 겹쳐져, 걸림수단(14)가 띠상 증강부(5)에 미싱사(15)에 의해 봉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띠상 증강부(5)에 걸림수단(14)를 봉착할때, 띠상 증강부(5)는 엷은 연신테이프사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싱침 및 미싱사가 용이하게 관통하며, 미싱침의 발열을 억제함과 동시에 연신테이프사의 벌어짐등을 방지하여 봉착율 저하를 10%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14)와 띠상 증강부(5)와의 봉착면적은 용도, 목적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봉착면적은 종방향으로 넓힐 수가 있어, 띠상 증강부(5)는 그 횡방향의 폭을 필요 이상으로 넓게 할 필요가 없다.
이하, 상기 구성의 플렉시블 콘테이너의 사용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쌍의 걸림수단(14)를 크레인의 훅등에 걸어서 매달은 상태로 유지하며, 분립체등을 투입구(4)에서 콘테이너 본체(1)내로 투입한다. 투입후, 투입구(4)를 닫고 소망의 장소로 보관 등을 위해 하강한다.
이와같이 하여 분립체등을 수납한 플렉시블 콘테이너를 운반하려면 한쌍의 걸림수단(14)를 크레인의 훅등에 걸어서 매다는 것이나, 걸림수단(14)의 부착부가 콘테이너 본체(1)의 몸체(2)의 띠상 증강부(5)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취착부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그 취착부가 떨어지거나 주머니가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용물이 낙하하거나 콘테이너 본체(1)의 내용물과 같이 낙하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띠상 증강부(5)는 콘테이너 본체(1)의 저면으로 연장하여 설착하여도 좋다.
또 띠상 증강부(5)의 모든 종방향의 실에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을 사용하지 않아도 좋으며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도시하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연신테이프사(13)와 적절히 인접하여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복층 연신테이프사(10)의 제1연신테이프사(8)과 제2연신테이프사(9)는 같은 재질이 아니더라도 좋으며, 예컨대 제1연신테이프사(8)을 피복하는 제2연신테이프사(9)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층 연신테이프사(10)는 제2연신테이프사(9)로 피복된 제1연신테이프사(8)가 1본이나, 2본 이상의 복수본이라도 좋다. 더우기 걸림수단(14)는 선단에 환상부가 있으며 이 환상부에 로프를 삽통하여 사용하는 타입의 것도 좋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그 기본적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자주 변경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에 있어서의 걸림수단 봉착용 종방향의 띠상 영역을 종방향의 실을 적어도 일부에 제1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와, 이 제1연신테이프사로 이루는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하여 증강하므로 종방향의 실의 바느질수를 용이하게 증가하며 또 제2연신테이프사로 피복된 제1연신테이프사가 직기의 가이드, 바디, 셔틀과의 마찰을 방지하며, 직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증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걸림수단의 취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걸림수단이 떨어지거나 주머니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험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띠상 증강부는 연신테이프사의 바느질수를 증가하여 증강하고 있으므로, 띠상 증강부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편평하게 접을수가 있으며, 또 내용물을 충전할때, 펴기 쉽게 하여 충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전체를 연신테이프사만으로 직성하고 있으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러므로 취급의 편리성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띠상 증강부에 사용하는 복층 연신테이프사에 다른 연신테이프사와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므로써, 전체의 늘어남을 거의 균일하게 하며, 띠상 증강부와 몸체 주요부와의 경계선에 있어서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테이너 전체로써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걸림수단이 떨어지거나 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더욱 한층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 전부의 연신테이프사에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므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연신테이프사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제 필름을 사용하여 이 필름을 몸체 전면에 확실하게 열융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원사로써 한 종류의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하므로써 품질, 재고등의 관리가 용이하며 결과적으로 원가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콘테이너 본체의 몸체가 합성수지제 연신테이프사로 이루어진 종방향의 실과 횡방향의 실로 직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있어서의 걸림수단 봉착용 종방향의 띠상 영역을, 종방향 실의 적어도 일부에 제1연신테이프사와, 이 제1연신테이프사를 피복하는 제2연신테이프사로 이루어진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사용하여 그 강도를 증강되게 하고 이 띠상영역의 증강부에 걸림수단을 봉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콘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복층 연신테이프사를 구성하는 제1과 제2의 연신테이프사가 다른 연신테이프사와 같은 재질의 폴리오레핀계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콘테이너.
KR1019940006214A 1993-06-30 1994-03-25 플렉시블 콘테이너 KR0146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87362 1993-06-30
JP5-187362 1993-06-30
JP5187362A JP2511374B2 (ja) 1993-06-30 1993-06-30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39A KR950000539A (ko) 1995-01-03
KR0146614B1 true KR0146614B1 (ko) 1998-08-17

Family

ID=1620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214A KR0146614B1 (ko) 1993-06-30 1994-03-25 플렉시블 콘테이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18314A (ko)
JP (1) JP2511374B2 (ko)
KR (1) KR0146614B1 (ko)
CN (1) CN1105334A (ko)
AU (1) AU682487B2 (ko)
DE (1) DE4411920A1 (ko)
FR (1) FR2708250B1 (ko)
GB (1) GB2279935B (ko)
MY (1) MY1315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6545B2 (en) 2002-01-16 2006-08-08 Ajava Pinata, L.L.C. Suspended containers
AU2003234509A1 (en) * 2002-05-06 2003-11-17 Ajava Pinata, Llc Suspended containers
US7510327B2 (en) * 2005-03-14 2009-03-31 Global Strategies, Inc. High strength ribbon-woven disposable bag for containing refuse
JP4804061B2 (ja) * 2005-07-29 2011-10-26 日本ゴア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製のスリットヤーン
US8360642B2 (en) * 2007-07-05 2013-01-29 Jianyi Sun Super air permeability and reinforced seams of peanuts bag (APC BAG-SBA)
USD734913S1 (en) 2014-01-03 2015-07-21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Cleaning cart
CN103600936A (zh) * 2013-11-29 2014-02-26 淄博新力塑编有限公司 Pvc涂塑布袋
CN104071484A (zh) * 2014-06-10 2014-10-01 浙江高联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双吊圆形包装袋
US10369443B2 (en) * 2016-01-28 2019-08-06 J. Travis Gaffney Golf club head cover with repositionable closures and related methods
WO2023150805A2 (en) * 2022-02-01 2023-08-10 Lionel Mantzivis An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2246A (ko) * 1971-12-03 1973-08-30
GB1591091A (en) * 1977-01-10 1981-06-17 Miller Weblift Ltd Containers
DE2727441A1 (de) * 1977-06-18 1979-05-03 Prestopac Verwaltungsgesellsch Container fuer fliess- oder schuettfaehige gueter
US4207937A (en) * 1977-08-06 1980-06-17 Tay Textiles Limited Flexible bulk container
JPS5521917A (en) * 1978-07-31 1980-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ssage machine
GB2059915B (en) * 1979-10-06 1983-04-07 Miller Weblift Ltd Flexible containers
GB2116143B (en) * 1982-03-01 1986-05-21 Frank Nattrass Flexible bulk container
JPS61117186A (ja) * 1984-11-11 1986-06-04 嶋崎種苗株式会社 帯磁肥料および帯磁飼料
GB8520725D0 (en) * 1985-08-19 1985-09-25 Nattrass Hickey & Sons Ltd Flexible bulk containers
GB8811348D0 (en) * 1988-05-13 1988-06-15 Mulox Ibc Ltd Container bag
GB8824693D0 (en) * 1988-10-21 1988-11-30 Bulkbag Ltd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GB8917419D0 (en) * 1989-07-29 1989-09-13 Mulox Ibc Ltd Container bag
GB9127567D0 (en) * 1991-12-31 1992-02-19 Bowater Packaging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bulk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334A (zh) 1995-07-19
GB9413009D0 (en) 1994-08-17
GB2279935B (en) 1997-01-15
MY131559A (en) 2007-08-30
AU5902194A (en) 1995-01-12
AU682487B2 (en) 1997-10-09
FR2708250B1 (fr) 1997-09-26
KR950000539A (ko) 1995-01-03
DE4411920A1 (de) 1995-01-12
JP2511374B2 (ja) 1996-06-26
US5518314A (en) 1996-05-21
FR2708250A1 (fr) 1995-02-03
JPH0717594A (ja) 1995-01-20
GB2279935A (en) 1995-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5470A (en) Flexible bulk container
US5108196A (en) Relating to bulk containers
US4362199A (en) Flexible containers
KR0146614B1 (ko) 플렉시블 콘테이너
US6755232B1 (en) Fabric closure for open-end cargo containers
EP2734458A2 (en) Fabric closure with an access opening for cargo containers
GB2036691A (en) Flexible skip
EP0030442B1 (en) Flexible container for bulk material
EA025697B1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US20040258330A1 (en) Flexible container bag
JPH1095492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GB1604213A (en) Flexible bulk containes
GB2194216A (en) Flexible bulk containers
JP2002019879A (ja) 自立性可撓容器
GB2130172A (en) Flexible bulk container
FI62031B (fi) Flexibel loesgodsbehaollare av vaevt tyg
GB1604211A (en) Flexible bulk containers
JPH0718539A (ja) 織 布
GB1604214A (en) Flexible bulk containers
JPH0974U (ja) 織 布
JPH0680693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GB2342890A (en) Tarpaulin cover
RU2280606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подъема пакетов с грузами
JP2022158029A (ja) 荷崩れ防止シート
JPH0718536A (ja) 複層延伸テープヤ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