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610B1 -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 Google Patents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610B1
KR0145610B1 KR1019950014254A KR19950014254A KR0145610B1 KR 0145610 B1 KR0145610 B1 KR 0145610B1 KR 1019950014254 A KR1019950014254 A KR 1019950014254A KR 19950014254 A KR19950014254 A KR 19950014254A KR 0145610 B1 KR0145610 B1 KR 014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pole
vehicle
latch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610A (ko
Inventor
권혁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1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610B1/ko
Publication of KR96004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또는 고정 구조물 등과 충돌하더라도 문이 일정시간 열리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나 승객이 외부로 튀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의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래치에 있어서, 도어래치를 형성하는 래치 백플레이트에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길 때 눌리어지는 아웃사이드 연결로드에 의해 회전축에 설치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치포올과, 이 래치포올의 머리부쪽 측면부의 힌지축에 설치되면서 리턴스프링으로 탄지되고,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한 회전방지체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래치용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래치용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래치부재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11 : 도어래치
12 : 래치 백플레이트 13 : 아웃사이드 연결로드
14 : 회전축 15 : 래치포올
16 : 머리부 17 : 측면부
18 : 힌지축 21 : 리턴스프링
22 : 걸림턱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또는 고정 구조물 등과 충돌하더라도 문이 일정시간 열리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나 승객이 외부로 튀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주행중에 자동차와 충돌하거나 고정 구조물과, 충돌시에 래치포올이 회전하여 도어가 열리게 되어 전복시 운전자나 승객이 튕겨 나가게 되므로서 인명의 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승용차에 탑승한 운전자는 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전복되더라도 밖으로 튕겨나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지만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은 대부분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도어가 열리면서 밖으로 튀겨져 나가 크게 다치거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가 주행중에 충돌하게 되면 소정의 가속도에 의해 차량에 미치는 충격은 배로 증대되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된 도어래치(1)의 래치포올(2)은 래치백플레이트(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가 개구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래치(1)는 보통 래치포올(2)이 래치백플레이트(3)에 회전축(4)으로 설치되어 있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아웃사이드 연결로드(5)가 눌리어지면서 래치포올(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가 열리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래치포올의 회전에 의해 도어가 열리기 때문에 주행중 외부 충격이 있게 되면 래치포올은 순간적으로 회전하면서 도어가 열리게 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는 외부로 튕겨져 나와 인명 또는 신체를 크게 다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또는 고정 구조물 등과 충돌하더라도 문이 일정시간 열리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나 승객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래치용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래치에 있어서, 도어래치를 형성하는 래치 백플레이트에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길 때 눌리어지는 아웃사이드 연결로드에 의해 회전축에 설치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치포올과, 이 래치포올의 머리부쪽 측면부의 힌지축에 설치되면서 리턴스프링으로 탄지되고,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래치용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주행중인 자동차가 고정 구조물이나 마주오는 차량과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래치포올의 회전 이전에 힌지축에 걸린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래치포올에도 외부 충격이 가해져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래치포올이 회전하게 되면 머리부가 미리 회전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에 걸려 래치포올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포올이 회전하지 못함으로써 충돌시 도어가 열리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회전하려는 래치포올이 안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자리를 찾게 됐을 때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리턴되어 측면부의 걸림턱에 다시 걸리게 되면서 도어는 자연스럽게 열리게 되어 탑승자를 사고 차량에서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0)은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를 지칭한다.
상기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는 도어래치(11)를 형성하는 래치백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데, 도시하지 않은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길 때 눌리어지는 아웃사이드 연결로드(13)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14)에 래치포올(15)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래치포올(15)은 머리부(16)쪽의 래치백플레이트(12)에 절곡되어 형성된 측면부(17)의 힌지축(18)을 설치하고 있고, 이 힌지축(18)에 소정의 형상인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의 일면에는 돌기(20)를 돌출 형성하고 있어 리턴스프링(21)이 걸려 탄지력을 받도록 하고 있다.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는 충돌시 리턴스프링(2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에 걸리는 충돌력식은 F=mg-kθ으로 F는 충돌력이고, m은 충돌기구의 질량을 말하며, g는 충돌시의 가속도를 나타내며, k는 리턴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θ는 회전기구의 회전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가 일정 이상의 외부 충돌력에 의해서만 리턴스프링(21)의 탄성력을 극복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가 일단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하였다가 탄성력에 의해 리턴되게 되고, 이어서 측면부(17)에 형성된 걸림턱(22)에 걸리게 됨으로써 소정의 시간 경과후에는 도어의 개구를 방해하지 않고 열리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중인 자동차가 고정 구조물이나 마주오는 차량과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래치 백플레이트(12)의 측면부(17)측에 리턴스프링(21)으로 탄지되고 있는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가 탄성력을 극복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가 충돌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래치포올(15)도 외부 충돌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축(14)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된 아웃사이드연결로드(13)이 눌리게 되더라도 먼저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의 회전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진 다음에 래치포올(15)이 회전하므로 인해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에 래치포올(15)의 머리부(16)가 걸리게 되어 도어의 록킹이 계속 유지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포올(15)이 충돌 순간에는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에 걸려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도어가 열리지 않다가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회전하려는 래치포올(15)의 회전력은 감소되고 이에 따라 리턴스프링(2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한 상태인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는 충돌력이 사라짐에 따라 리턴되어 걸림턱(22)에 걸리게되어 래치포올(1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로서 충돌후 자동차의 도어 개구는 무리없이 이루어져 탑승자에 대한 안전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래치포올이 회전방지체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충돌시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어 탑승자가 튕겨져 나가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고양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래치포올의 회전이 감쇄되어 원위치를 찾게되면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가 리턴스프링에 의해 리턴됨으로써 도어는 자연스럽게 열리게 되어 탑승자에 대한 안전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자동차의 도어래치에 있어서, 도어래치(11)를 형성하는 래치 백플레이트(12)에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길 때 눌리어지는 아웃사이드 연결로드(13)에 의해 회전축(14)에 설치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치포올(15)과, 이 래치포올(15)의 머리부(16)쪽 측면부(17)의 힌지축(18)에 설치되면서 리턴스프링(21)으로 탄지되고,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측면부(17)에 형성된 걸림턱(22)에 걸리도록 한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10)를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래치용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KR1019950014254A 1995-05-31 1995-05-31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KR014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254A KR0145610B1 (ko) 1995-05-31 1995-05-31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254A KR0145610B1 (ko) 1995-05-31 1995-05-31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610A KR960041610A (ko) 1996-12-19
KR0145610B1 true KR0145610B1 (ko) 1998-12-01

Family

ID=1941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254A KR0145610B1 (ko) 1995-05-31 1995-05-31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1402B2 (en) 2013-12-17 2017-04-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atch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1402B2 (en) 2013-12-17 2017-04-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a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610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4537A1 (en) Inertia-activated mechanism
US4235455A (en) Vehicle seat belt retractor mechanism
KR0145610B1 (ko) 래치포올 회전 방지부재
KR20050047984A (ko)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017363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0165B1 (ko) 자동차의 탑승객 안전장치
CN112943069B (zh) 汽车卷帘碰撞锁止机构
KR101964243B1 (ko)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KR960009997Y1 (ko) 자동차의 유리파편 차단장치
KR960008870Y1 (ko) 잠금장치가 보강된 도어 외측핸드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68110B1 (ko) 자동차의 2차 도어 록장치
JP2782602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60617Y1 (ko)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JP2024054025A (ja) エクステンションユニット
KR0119211Y1 (ko)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고정구
KR20230043486A (ko) 시트 벨트용 프리 텐셔너
KR0125719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웨빙 가이드장치
JP3163599B2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構造
KR0176367B1 (ko) 자동차 전방충돌시 도어록킹 방지장치
KR0162182B1 (ko) 벨트 프리텐셔너의 안전장치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014908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640B1 (ko) 버스 유리창 파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