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522B1 -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522B1
KR0145522B1 KR1019910700478A KR910700478A KR0145522B1 KR 0145522 B1 KR0145522 B1 KR 0145522B1 KR 1019910700478 A KR1019910700478 A KR 1019910700478A KR 910700478 A KR910700478 A KR 910700478A KR 0145522 B1 KR0145522 B1 KR 014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soot filter
exhaust gas
fue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619A (ko
Inventor
쿠크란트 페터
울머 알로이스
잔티아고 엔리크베
Original Assignee
후베르트 스테르머
쪼이나-쉬테르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베르트 스테르머, 쪼이나-쉬테르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후베르트 스테르머
Publication of KR92070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디젤엔진(3)의 배기관(2)내에 있는 매연필터(4)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배기가스유동(5)은 연소기(1)를 통해 안내되며, 이 연소기(1)는 매연필터(4)의 부하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연소기(1)내로 연료가 분사되어 점화되게 된다. 고온 연소가스에 의하여 매연필터(4)내에 집적된 매연은 연소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매연필터의 정화는, 엔진(3)의 순간 작동점이 소정의 점화특성영역(Z)내에 있는 경우에 개시된다. 연료분사는, 그 작동점이 상기 점화특성영역(Z)보다 큰 소정의 연소특성영역(B)의 외부에 이르게 되는 즉시 종료한다.

Description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전체 배기 가스유동을 부분배기 가스유동과 주배기 가스유동으로 분배하고, 부분배기 가스유동을 연료노즐과 이에 부속된 전자점화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연소실로 도입하며, 연소실내의 부분배기가스유동이 그곳에 분사된 연료에 의해 점화되어 연료가스가 발생하며, 연소실을 떠나는 연료가스는 연소실을 통과하는 주배기 가스유동과 합체되고 그 생성되는 연소가스가 매연필터로 도입되어 그곳에 집적된 매연의 연소를 유발시키는, 부하상태의 디젤엔진의 배기관내에 있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장치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방법은 DE-OS 37 20 829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매연필터에 집적된 매연은 약 550℃까지의 온도에서 비로소 연소하지만 이 온도는 내부작동에서 얻어지지 아니하기 때문에, 매연필터의 재생을 위해 연소기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상기 공지방법은 부가적인 공기공급 없이 행하여지며, 즉 연소기는 엔진 배기가스내에 잔존하는 잔류산소의 일부를 연소시키는 한편, 이 잔류산소의 다른 일부를 필터의 재생용으로, 즉 집적된 매연의 연소용으로 사용한다.
이것은, 공지방법에 의해서 엔진의 전체 운전범위내에서 균일하고 안정적인 작동이 얻어질 수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연필터의 재생이 확실히 수행되고 최적의 작동상태에서 최소의 유해물질방출로 진행되는, 전술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전술 종류의 방법에 있어서, 누적된 매연필터의 재생은 엔진작동점이 소정의 점화특성영역(Z)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개시되고, 연소실내로의 연료분사는 엔진작동점이 소정의 연소특성영역(B)외부에 존재할 때 중단되며, 상기 연소특성영역이 상기 점화특성영역 보다 큼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매연필터의 재생에 필요한 연소의 확실한 개시는 배기가스의 상태(특히 공기과잉)에 관련하여 일정한 전제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는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기의 점화가 이루어진 후에 점화특성영역으로 한정된 점화범위를 지나서 연소기가 꺼지지 아니하고 엔진의 부하가 증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연소범위는 점화범위를 포함하여 점화범위 보다 크다. 엔진의 작동점이 특히 부하변동에 의해 더욱 이동되어 연소특성영역외부에 존재하게 되면, 연소실내로의 연료분사는 중단하게 되며, 그러하지 아니한 경우 매연필터내에 집적된 매연의 연소의 진행이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이다.
부하의 증가에 의해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내 잔류산소함량이 감소되게 되므로, 매연필터의 재생에 필요한 최적의 연소가 엔진의 전체 특성영역범위 내에서 일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순간작동점이 소정의 연소특성영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연료노즐로의 연료공급이 차단되므로, 방출치의 증가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유리한 것은, 순간 엔진작동점의 탐지를 위한 부하정보가 엔진의 분사펌프나 가스페달 내지는 그 조절봉으로부터 직접 취해진다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연소기가 의도한 대로 꺼지기 전에 부하정보의 불충분이나 지연에 의해 화염이 꺼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본 방법의 제어는, 매연필터 앞에서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분사되는 연료량에 대한 제어량으로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하여진다. 측정된 온도가 높을수록, 연료공급은 작아진다. 그리하여, 연소기내에 도입되는 배기가스유동의 양 및 온도치-이 값은 각 엔진작동점에 따라 변동한다-의 불안정이 경우에 따라 상당히 크더라도, 매연필터 재생작업은 항상 최적으로 유지된다. 매연필터전이 온도는 연료의 분사량에 의하여 소정의 값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한편으로, 재생은 짧지만 필터수명에 위험하지 아니한 운전상(相)에서 행하여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재생중에 필터가 너무 심하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필터부하상태의 탐지를 위해 필터앞에서 배기가스시스템내의 압력측정이 바람직하게 행하여진다. 전자제어부내에서 측정된 순간 시스템 압력은 압력특성영역과 부단히 비교된다. 이 압력특성영역에는 시스템 압력이 엔진회전수, 부하 및 온도에 의존한다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매연에 의한 필터의 부하가 일정수준에 있을 때 비로소 재생의 실제적인 개시가 보장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엔진 작동점이 점화특성영역내에서 최소시간보다 오래 존재하는 경우에만 재생이 개시되며, 즉 엔진 작동점이 짧은 시간동안만 혹은 2초이하로 점화특성영역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재생의 개시가 억제된다. 이 조치에 의하여 점화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점화전극들은 연소기가 켜지기 전에 가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점화전극이나 그 절연체상에 퇴적된 매연의 분해가 촉진되며 단락이나 누전의 위험이 방지된다. 이 해당 가열장치는 저항가열기로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두 재생상(相)동안 상기 연료노즐을 세척공기가 유리하게 통류한다. 이 통류는, 예를들어 시간당 80리터의 공기량으로, 분사노즐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연소기내의 연료분사에 있어 높은 장시간 안정성이 보장된다. 연소작업 중에는 체크 밸브가 분사노즐의 연료공급을 차단한다. 분사된 연료의 점화가 확실히 행하여지고 있고 연소가 장애없이 진행되는지 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연료분사의 개시후 일정한 시간, 예를들어 4초동안 연소기 온도를 측정하며; 이 측정된 온도추이를 목적추이와 비교하여, 발생된 편차로 부터 정상적인 연소가 아님을 알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연료분사의 안전차단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재생의 제어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바람직하게 행하여진다; 필터 부하상태의 탐지를 위하여 필터 앞에서 배기 가스시스템내의 압력이 측정된다; 전자제어부에서 순간 시스템 압력이 압력특성영역(회전수, 부하 및 온도에 의존)과 부단히 비교된다. 필터의 부하가 그 재생을 필요로 하게 할 때, 먼저 점화전극이 바람직하게는 2내지 15분간 가열되며; 통상 8분의 가열시간이 설정된다. 회전수신호와, 예를들어 조절발신기에 의해 엔진의 분사펌프에서 취해지는 부하정보를 통하여, 엔진이 점화특성영역범위내에 존재하고 필요한 경우, 즉 매연필터의 부하에 따른 가열상 이후에 점화조건이 존재할 때 연소기 점화가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컴퓨터가 점검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소작업중에 상기 신호들을 통해 엔진이 특성영역의 연소범위내에서 작동하는지 여부를 탐지한다; 엔진 작동점이 연소특성영역밖에 있는 경우에는 연료공급이 중단된다. 매연필터 앞에서의 온도정보에 의하여, 매연필터앞의 온도는 연료분사량을 통해 소정치, 예를들어 700℃로 조절되어, 한편으로는 짧게 그렇지만 필터수명에 위험하지 아니한 시간내에 재생을 수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재생중에 필터가 너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매연필터이후의 온도에 따라 매연필터의 완료된 재생에 관한 신호가 제어장치에 제공되어, 연소기가 꺼지게 된다. 다양한 주행상태에서 최적의 연소기 작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소기내의 온도도 부단히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의 두가지 특징에 의하여, 연소기 작동이 가능한 엔진특성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연료가스가 거의 적열점[글로우 포인트(glow point)]을 형성하는 화염유지 삽입편을 거쳐 도입됨으로써, 연소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연소실내로 도입된 부분배기가스유동의 선회발생에 의하여, 연료가스는 매우 양호하게 혼합되고 상기 화염유지 삽입편과의 접촉이 강화되므로써, 스트랜드(strand)형성의 위험, 즉 연료가스의 냉간영역형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연료가스와 화염유지 삽입편간의 접촉개선에 의하여, 상기 삽입편을 매우 소형으로, 즉 특히 적은 표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화염유지 삽입편에 의해 야기되는 교란저항이 줄어질 수 있고, 이는 물론 연소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연소실은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종래 연소의 균질화를 위해 사용하였던 긴 혼합행정이 필요없게 된다.
주배기가스유동을 연료가스와 다단으로 합체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해 매연필터에 도입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구배가 더욱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주배기유동은 연소실을 우회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소실과 이를 둘러싸는 연소기 하우징 사이에는 주배기 가스유동의 바이패스통로로서 사용되는 환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주배기 가스우동은 이에 의하여, 연료가스와 합체하기전에 연소실에서 사전가열되게 되며, 이는 물론 연소를 촉진시킨다; 동시에 상기 환상공간은 열손실에 대한 절연과 연소기 하우징의 저온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연료가스는 연료과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료가 부분배기가스유동내에 연소가능한 것 이상으로 분사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하여, 연료가스가 주배기 가스유동과 합체되었을 때 후연소가 일어나게 되며, 이는 물론 연소 안정성을 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장치는, 연소실내로의 입구에 배치된 선회판과 연소실내의 출구측에 배치된 화염유지 삽입편을 구비하며, 상기 선회판과 화염유지 삽입편사이에 점화장치 및 연료노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화장치는 연료노즐의 출구직전에 배치되는 하나이상의 점화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노즐의 분사방향이 연소실의 통류방항에 가로로 진행하도록, 바람직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결과, 매연의 연소가 의도되는 모든 엔진작동상태에서 신뢰성 있는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장치는 전자식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며, 이 전자제어유니트는 매 엔진 작동점을 소정의 점화특성영역 및 연소특성영역과 비교하여, 엔진 작동점이 점화특성영역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재생을 개시하고, 엔진 작동점이 연소특성영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연료분사를 중단한다. 여기서 상기 특성영역들은 회전수/부하-다이어그램내에 평면이다. 전자제어유니트내에 저장된 특성영역데이타는 각 엔진형식 내지는 각 엔진에 맞추어진다. 엔진 작동점을 특정하게 되는 제어유니트에 공급된 회전수 및 부하의 측정치들은 이들 데이터와 비교된다.
연료노즐에는 연료 분사량의 조절을 위한 비례밸브가 바람직하게 부속되어 있다. 이러한 비례밸브는 연료 분사량을 각 엔진 작동점에 정확히 조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엔진을 떠나는 정화되지 아니한 배기가스는 각 엔진 작동점에 일정의 온도를 가지므로, 매연필터로 공급되는 연소가스가 소망하는 온도(예를들어 700℃)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기가스온도와 양에 따라 일정의 연료량을 필요로 한다.
연소기 하우징내에는 유동방향에서 연소실 앞에 유동의 균질화를 위한 안내판이 바람직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연소기 하우징내로의 배기가스유동이 축선방향이 아니라 가로방향으로 일어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에 의하여 연소실의 횡단면에 걸쳐 유동분배가 균질하게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장점은, 재생작업중의 화염의 균질화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재생작업이 없는 통상의 엔진작동중에도 연소실의 구성에 의해 배기가스의 분배가 균일하게 되고 필터표면 전체에 걸쳐 매연이 퇴적되게 된다. 그리하여, 집적된 매연이 연소될 때, 온도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필터재료 내에서의 응력과 균열이 훨씬 예방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1도는, 디젤엔진 입자필터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된 연소기로 이루어진 개략적 전체 배치도,
제2도는 연소기의 일 실시형태에 대한 부분파단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연소기에 대한 부하/회전수-다이아그램내에서의 점화특성영역 및 연소특성영역의 정량적 도시, 그리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어유통도이다.
연소기(1)는 디젤엔진(3)의 배기관(2)내에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에서 매연입자의 집적을 위한 매연필터(4)앞에 배치된다. 여기서 정화되지 아니한 전체 배기가스유동(S1)은 연소기(1)로 도입되고; 정화된 배기가스유동(S2)은 매연필터(4)로 부터 배출된다.
엔진 작동중에 매연필터(4)에 집적된 매연을 연소시켜 필터를 재생하기 위하여, 연소기(1)내로 연료노즐(5)에 의해 연료가 분사되고, 이 연료는 점화전극(6)에서 점화된다. 이를 위해 연료노즐(5)은 펌프(7)에 의해 연료도관(8)을 거쳐 연료를 공급받으며; 이 펌프(7)한편으로 연료도관(9)을 통해 차량의 연료탱크(10)와 연결되어 있다.
매연필터(4)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제어유니트(1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자제어유니트(11)는 상기 펌프(7)와 연료노즐(5)사이에 설치된 비례밸브(12) 및 점화전극(6)을 제어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1)는 재생과정을 최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다음의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연소기(1)앞에서의 온도(T1), 연소기(1)앞에서의 압력(P1), 연소기(1)내의 온도(T2), 매연필터(4)앞에서의 온도(T3) 및 매연필터(4)이후의 온도(T4). 이외에 전자제어유니트(11)는 엔진작동점을 결정하는 엔진(3)의 부하(L) 및 회전수(N)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인다. 끝으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1)는, 점화전극(6)에 공급될 점화 에너지의 제공에도 사용되는 에너지 공급량(E)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연소기(1)의 일 실시예의 구조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연소기(1)는 원통형의 연소기 하우징(13)과 이안에 설치된 역시 원통형인 연소실(14)로서 구성된다. 연소기 하우징(13)은 연소실(14)을 반경방향간격을 두고 둘러싸며, 이에 의해 환상의 공간(15)이 형성된다. 단축관(16)을 통해 연소기 하우징(13)내로 도입된 배기가스유동(S1)은, 연소실(14)로 들어가는 부분배기가스유동(AT)과, 연소실(14)과 연소기 하우징(13)사이의 환상공간(15)으로 들어가서 연소실(14)을 우회유동하는 주배기가스유동(AH)으로 나뉘어진다. 연소실(14)의 입구측 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절개되어 있는 블레이드(18)를 구비한 선회판(1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선회판(17)에 의하여 연소실(14)로 도입되는 부분배기가스유동(AT)은 연소기(1)의 종축선에 대해 뒤틀림을 갖게 된다.
연소실(14)내로 두 개의 점화전극(6) 및 연료노즐(5)이 들어와 있고, 이들은 공동의 장착판(19)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판(19)은 연소기 하우징(13)과 고정결합되어 있는 플랜지(20)에 고정된다. 절연체로서 점화전극(6)을 둘러싸는 도기(procelain)체는 그안에 삽입되어 있는 저항가열기에 의해 연소기가 켜지기 전에 가열될 수 있다. 적절한 플러그(21)를 통해 점화전극(6)은 점화 케이블(Z)과 연결된다. 연료노즐(5)에는 연료도관(8)이 이어지는 비례밸브(12)가 설치되어 있다. 비례밸브(12)에는, 비례밸브(12)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11)의 신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도선(22)이 접속되어 있다.
연료노즐(5)에는 또한 공기 공급부(23)가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두 재생상 사이에 연료노즐(5)을 통하여 공기가 송풍되어 그 오염을 방지한다.
연소실(14)의 출구측 단부에는 네 개의 방사상 필렛으로 이루어진 화염유지 삽입편(25)이 그 필렛들에 의하여 연소실벽에 지지되며; 이는 중앙에 설치된 원추형의 적열체(24)를 구비한다.
연소기(1)내로의 배기가스유동의 도입영역에는 두 개의 절곡된 안내판(26)이 설치되어 있어, 연소기 하우징(13)내로 반경방향으로 도입되는 배기가스는 연소실(14) 및 환상공간(15)을 축선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방향전환하게 된다. 연소기 하우징(13)은 그 출구측에 접속 플랜지(27)를 구비하고, 여기에 이행(移行)원추(29)의 대응하는 플랜지(28)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이행원추(29)는 매연필터(4)의 원통형 하우징(30)과 고정 결합된다.
제3도는 전자제어유니트(11)(제1도에 따른)내에 저장된 특성영역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은 각 엔진작동점과의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 연소특성영역(B)이 점화특성영역(Z)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연소기의 점화가 행하여진 후 연소기가 꺼지지 아니하고 엔진의 부하(L)가 점화특성영역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화염 안정화조치, 즉 연소실(14)의 입구에 있는 선회판(17) 및 그 출구에 있는 적열되는 삽입판(25)사용의 결과이기도 하다.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따른 장치의 제어를 바람직하게 하기 위한 유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매연필터가 누적된 경우에, 엔진(3)의 작동점이 점화특성영역(Z)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연소기(1)가 점화된다. 또한, 엔진 작동점이 심하게 이동하여 연소특성영역(B)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기(1)는 꺼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재생의 종료는 최대지속시간(t)의 경과 혹은 최대온도(TX)의 도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7)

  1. 전체 배기가스유동(S1)을 부분배기가스유동(AT)과 주배기 가스유동(AH)으로 분배하고, 상기 부분배기가스유동(AT)을 연료노즐(5)과 이에 부속된 전자점화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연소실(14)로 도입하며, 상기 연소실(14)내의 부분배기가스유동(AT)이 그곳에 분사된 연료와 함께 점화되어 연료가스가 발생하며, 그리고 상기 연소실(14)을 떠나는 상기 연료가스는 연소실을 통과하는 주배기 가스유동(AH)과 합체되고, 이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가스가 매연필터(4)로 공급되어 그곳에 집적된 매연의 연소를 유발시키는, 부하상태의 디젤엔진(3)의 배기관(2)내에 있는 매연필터(4)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누적된 상기 매연필터(4)의 재생은 엔진 작동점이 소정의 점화특성영역(Z)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개시되고, 상기 연소실내로의 연료분사는 엔진 작동점이 소정의 연소특성영역(B)외부에 존재할 때 중단되며, 상기 연소특성영역(B)이 상기 점화특성영역(Z)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T3)가 매연필터(4)앞에서 측정되어 상기 분사되는 연료량의 제어량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필터부하의 탐지를 위하여 상기 매연필터(4)앞에서 압력측정을 행하여, 매연필터(4)앞의 순간압력을, 엔진부하, 회전수 및 배기가스온도에 대한 상기 압력의 의존성을 고려한 압력특성영역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의 개시는 엔진 작동점이 상기 점화특성영역(Z)내에 단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경우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노즐(5)은 재생상(相)들 사이에서 공기에 의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연료분사가 개시된 후 소정시간동안 상기 연소기(1)내의 온도(T2)가 측정되어, 그 상승이 개시된 연소의 성과를 점검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4)의 부분배기가스유동(AT)이 선회하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가 화염유지 삽입편(25)을 거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기 가스유동(AH)이 연소실(14)을 우회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10. 매연필터(4)앞에 배치되며 연료노즐(5)과 이에 부속된 전자점화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연소실(14)과, 상기 연소실(14)을 둘러싸는 바이패스도관을 구비하는, 부하상태의 디젤엔진(3)의 배기관(2)내에 있는 매연필터(4)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4)내로의 입구에 배치된 선회판(17)과 상기 연소실(14)내에 출구측에 배치된 화염유지 삽입편(25)을 구비하며, 상기 선회판(17)과 화염유지 삽입편(25)사이에 점화장치 및 연료노즐(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가 상기 연료노즐(5)이 출구직전에 배치되는 하나이상의 점화전극(6)을 구비하며, 상기 연료노즐(5)의 분사방향이 상기 연소실(14)의 통류 방향에 가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노즐(5)과 상기 점화전극(6)이 공동의 장착판(19)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유지 삽입편(25)이 적열체(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판(17)이 절개되어 방사상으로 벌어져 있는 블레이드(18)들을 구비한 원반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4)은 연소기 하우징(13)으로 둘러싸여, 상기 연소기 하우징(13)과 연소실 벽사이에 주배기 가스유동(AH)의 바이패스도관 역할을 하는 환상공간(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하우징(13)내에 유동방향에서 상기 연소실(14)앞에 유동의 균질화를 위한 안내판(2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노즐(5)은 공기 공급부(23) 및 연료분사량제어용 비례밸브(12)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필터의 정화장치.
KR1019910700478A 1989-09-12 1990-08-31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및 장치 KR0145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30428 1989-09-12
DEP3930428.0 1989-09-12
EP90105424.7 1990-03-22
EP90105424A EP0417383B1 (de) 1989-09-12 1990-03-2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Russfilters
PCT/EP1990/001455 WO1991004394A1 (de) 1989-09-12 1990-08-3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russfil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619A KR920701619A (ko) 1992-08-12
KR0145522B1 true KR0145522B1 (ko) 1998-08-17

Family

ID=638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478A KR0145522B1 (ko) 1989-09-12 1990-08-31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17383B1 (ko)
KR (1) KR0145522B1 (ko)
DE (1) DE59004756D1 (ko)
WO (1) WO1991004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0376A1 (de) * 1991-09-12 1993-03-18 Eberspaecher J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partikeln aus dieselmotorenabgas
DE4303625B4 (de) * 1993-02-09 2005-02-10 Deutz Ag Verfahren zur Regeneration von Partikelfiltersystemen
DE4303711B4 (de) * 1993-02-09 2004-02-05 Deutz Ag Dieselpartikelfiltersystem
DE4303709C2 (de) * 1993-02-09 2002-12-19 Deutz Ag Dieselpartikelfiltersystem
US7118613B2 (en) 2004-01-13 2006-10-10 Arvi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the components of a control unit of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US7025810B2 (en) 2004-01-13 2006-04-11 Arvi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utting down a fuel-fired burner of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US8641411B2 (en) 2004-01-13 2014-02-04 Faureu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exhaust gas through a fuel-fired burner of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US7685811B2 (en) 2004-01-13 2010-03-30 Emcon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el-fired burner of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US7908847B2 (en) 2004-01-13 2011-03-22 Emcon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up a fuel-fired burner of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US7243489B2 (en) 2004-01-13 2007-07-17 Arvi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ngine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soot accumulation in a filter
US7581389B2 (en) 2004-01-13 2009-09-01 Emcon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sh accumulation in a particulate filter of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US7628011B2 (en) 2004-01-13 2009-12-08 Emcon Technologies Llc Emission abatement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102005054261A1 (de) 2005-11-11 2007-05-16 Volkswagen Ag Verfahren zur Regeneration eines Dieselpartikelfilters sowie Getriebesteuerung
DE102007021598B4 (de) 2007-05-08 2022-10-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Verteilen von fließfähigen Zusatzstoffen in Abgasanlagen
US8789363B2 (en) 2007-06-13 2014-07-29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Emission abatement assembly having a mixing baffle and associated method
DE102014108878A1 (de) * 2014-06-25 2015-12-31 Twintec Technologi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bgasbrenn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896A (en) * 1976-06-16 1980-01-15 Gordon Donald C Anti-pollution device for exhaust gases
DE3219947A1 (de) * 1982-05-27 1983-12-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Verfahren zum regenerieren eines russfilters von brennkraftmaschinen
JPS60135612A (ja) * 1983-12-22 1985-07-19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排気微粒子処理装置
JPS6170114A (ja) * 1984-09-12 1986-04-10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排気微粒子処理装置
GB8527658D0 (en) * 1985-11-08 1985-12-11 Ontario Research Foundation Diesel particulate traps
DE3710052A1 (de) * 1987-03-27 1988-10-06 Webasto Ag Fahrzeugtechnik Brenner zum regenerieren eines russfilters von brennkraftmaschinen
DE3720829A1 (de) * 1987-06-24 1989-01-05 Zeuna Staerker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russfilters
BR8807156A (pt) * 1987-08-03 1989-10-31 Jovan Matijas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particulas de fuligem e purificacao de gases de escapamento de um motor de combustao interna bem como dispositivo para a realizacao do processo
DE3728713A1 (de) * 1987-08-28 1989-03-09 Webasto Ag Fahrzeugtechn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abgasbren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7383A3 (en) 1991-05-02
WO1991004394A1 (de) 1991-04-04
EP0417383B1 (de) 1994-03-02
KR920701619A (ko) 1992-08-12
EP0417383A2 (de) 1991-03-20
DE59004756D1 (de) 199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522B1 (ko)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및 장치
US4319896A (en) Smoke filter rejuvenation system
US4912920A (en) Ultrasonic burner system for regenerating a filter
KR101168149B1 (ko) 핫 개스 제조 장치와 방법, 디젤 미립자 필터 시스템, 전자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4538413A (en) Particle remov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959902B2 (en) Exhaust treatment burner and mixer system
US4481767A (en) Diesel exhaust cleaner and burner system with flame distributor
KR930003921B1 (ko) 그을음 필터의 정화 처리방법 및 장치
US4858431A (en) Apparatus for removing solid particles, especially soot particles, from the exhaust ga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40238000A1 (en) Burner With Air-Assisted Fuel Nozzle And Vaporizing Ignition System
US9027331B2 (en) Exhaust aftertreatment burner with preheated combustion air
US4672808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combustible solid particles from the exhaust g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9027332B2 (en) Ion sensor with decoking heater
US4662172A (en) Exhaust purification apparatus
GB1598099A (en) Smoke fil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upplemental heating
US4711087A (en) Emissions filter regeneration system
US4331454A (en) Exhaust filter rejuvenation method
US4858432A (en) Pilot burner for an apparatus for burning off solid particles in the exhaust ga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908205B2 (ja) 排気浄化装置
US20090178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mission abatement assembly
JPH11336528A (ja) 黒煙除去装置
JPH11324650A (ja) 黒煙除去装置
JPS60135612A (ja) 内燃機関の排気微粒子処理装置
JP2966839B1 (ja) 黒煙除去装置
JP2941800B1 (ja) 黒煙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