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208B1 -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208B1
KR0145208B1 KR1019950010530A KR19950010530A KR0145208B1 KR 0145208 B1 KR0145208 B1 KR 0145208B1 KR 1019950010530 A KR1019950010530 A KR 1019950010530A KR 19950010530 A KR19950010530 A KR 19950010530A KR 0145208 B1 KR0145208 B1 KR 014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 assembly
pulse motor
hold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111A (ko
Inventor
이재무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208B1/ko
Publication of KR96004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장착기(Chip Mounfer)의 헤드어셈브리(Head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홀더(11)에 헤드(20)가 삽착되어지고 그 헤드(20)에 복수개의 흡착헤드(30)가 스프링(32)에 의해 탄발되어지도록 장착된 헤드어셈브리에 있어서, 홀더(41)의 장착공(41-1)에 헤드(42)를 회전자재하게 삽입하는 것과 헤드(42)의 내부를 중공부(44)로 하고 그 헤드(42)의 하측에 환상의 기어부(46)를 형성하여 내부에 장착되는 펄스모터(50)의 축에 연결되는 기어(51)에 치합시키는 것과 상기 펄스모터(50)는 임의 수단에 의해 별개로 고정시켜서 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40)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률을 거의 없앨수 있으며, 또 수리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또 펄스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정확한 노즐교환을 이룰수 있어 전자부품장착기(1)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HEAD ASSEMBLE)
제1도는 전자부품장착기의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
제2도는 헤드어셈브리가 전자부품장착기의 로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헤드어셈브리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6도의 (a)(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의 작동관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부품장착기 2 : 로터
3 : 부품공급부 4 : X-Y테이블
5 : 캡 6 : 지지봉
10 : 헤드아셈블리 11 : 홀더
12 : 장착공 12-1 : 환상요홈
13 : 링구 14 : 베어링
15 : 받침링 16 : 고정링
20 : 헤드 20-1헤드캡
21 : 장착공 22 : 기어
23 : 상측고정판 24 : 베어링
25 : 고정편 30 : 흡착헤드
31 : 삽입봉 32 : 스프링
33 : 볼트링 34 : 베어링장봉
40 : 헤드어셈브리 41 : 홀더
41-1 : 장착공 41-2 : 환상단턱부
42 : 헤드 43 : 헤드캡
44 : 중공부 45 : 노즐장착홀
46 : 기어부 47 : 베어링
50 : 펄스모터 51 : 기어
52 : 고정판
본 발명은 전자부품장착기(Chip Mounfer)의 헤드어셈브리(Head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Rottor)에 장착되어지는 헤드어셈브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수를 현저히 줄여 주고, 에러(Error)의 발생을 줄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교환을 용이하게 하여줌과 아울러 그 성능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헤드어셈브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자부품장착기(Chip Mounter)의 작동원리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제1도는 전자부품장착기(1)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부품공급부(3)의 테이프에 있는 전자부품 즉 칩(Chip)을 자동으로 흡착한 후 장착 위치에서 회로기판(PCB)에 장착하여 주는 장치이다.
부품공급부(3)에는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는 부품테이프들이 약 100여개 장착되어 있고, 로터(2)는 일정한 각도씩 단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터(2)는 흡착부의 위치에서 노즐에 의해 칩(Chip)을 흡착한 후 칩유무 검출부에서 칩의 흡착상태를 확인하고 각도 교정부에서 흡착된 칩의 각도를 적절하게 교정한 후 수직침검출부를 거쳐 장착부에서 흡착헤드에 흡착되어 있는 칩을 X-Y테이블(4)에 의해 X좌표 Y좌표의 위치를 보상하도록 되어 있는 회로기판(PCB)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로터(2)는 회전장치에 의해 일정한 각도 만큼씩 단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측에는 캠(5)이 장착되어 있고, 외주연부에는 칩을 흡착하는 복수개의 흡착노즐이 구비되어 있는 헤드어셈브리(10)가 지지봉(6)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로터(2)의 장착되어지는 헤드어셈브리(10)를 개선한 것이며, 그 구조를 간략하게 하고 있다는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헤드어셈브리(10)의 장착상태와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에는 다수개의 헤드어셈브리(10)가 장착되어지며, 그 헤드어셈브리(1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그 구조를 살펴본다.
홀더(11)는 지지봉(6)에 의해 로터(2)에 장착되어진다. 홀더(11)는 원형의 장착공(12)이 통공되고 그 장착공(12)의 내주면에 한쌍의 환상요홈(12-1)이 요설되며 그 환상요홈(12-1)에는 링구(13)을 삽탈한다. 링구(13)가 삽입된 장착공(12)에 베어링(14)을 개입시켜 헤드(20)가 회전 자재하도록 장착되어 있는데 헤드캡(20-1)의 하측에 기어(22)를 장착한 후 삽착되어 있고, 그 헤드캡(20-1)의 상측에는 상측고정판(23)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홀더(11)의 장착공(12)에 삽설된 헤드(20)의 하측단에는 받침링(15)이 고정되고 그 받침링(15)의 저부에는 유통공(16-1)이 복수개 통공된 고정판(16)이 역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흡착페드(30)는 유통공(16-1)을 통해 헤드(20)의 장착공(21)에 장착되어지는데 삽입봉(31)에는 스프링(32)과 볼트링(33) 및 베어링장봉(34)이 삽입되어지며 상측고정판(23)에서는 베어링(22)과 고정편(25)을 거쳐 삽입되고 상단에 억류편(26)이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헤드어셈브리(10)는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노즐교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등이 기계의 진동으로 인하여 자주 트러블(Trouble)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어서, 또 헤드(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22)를 장착하여야 하고 그 기어(22)와 치합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홀더(11)에 장착되어지는 각종 부품중 어느하나 부품이라도 파손되는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교체 수리하는데 많은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였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를 간략하게 하여 고장이 발생될 소지를 근본적으로 없애고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도 짧은시간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진동과 소음을 줄여 흡착노즐의 감지센서와 같은 여타의 센서등이 오동작하는 것과 같은 폐단을 없애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홀더(11)에 헤드(20)가 삽착되어지고 그 헤드(20)에 복수개의 흡착헤드(30)가 스프링(32)에 의해 탄발되어지도록 장착된 헤드어셈브리에 있어서, 홀더(41)의 장착공(41-1)에 헤드(42)를 회전자재하게 삽입하는 것과 헤드(42)의 내부를 중공부(44)로 하고 그 헤드(42)의 하측에 환상의 기어부(46)를 형성하여 내부에 장착되는 펄스모터(50)의 축에 연결되는 기어(51)에 치합시키는 것과 상기 펄스모터(50)는 임의 수단에 의해 별개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어셈브리(40)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되어 있으므로 펄스모터(50)를 작동시켜 기어(51)을 자전시키면 기어(46)이 회전하면서 헤드(42)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 헤드(42)에 장착되어지는 노즐(30)을 칩(Chip)의 종류에 맞는 노즐(30)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4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6도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40)의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홀더(41)에 장착공(41-1)을 통공하고 그 장착공(41-1)의 상단에 환상단턱부(41-2)를 형성하였으며, 베어링(47)을 환상단턱부(41-2)에 삽입시킨 후 헤드(42)를 삽입하여 헤드캡(43)이 베어링(47)위에 안치되도록 하여 삽입하였는데 상기 헤드(42)는 홀더(41)의 내에서 회전자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헤드(42)는 그 내부를 상하로 관통되는 다소 넓게 단을 두고 관통하였다. 중공부(44)의 하단의 외주연에 기어부(46)를 형성하고 중공부(44)에 내장된 펄스모터(50)의 기어(51)와 치합시켰으며, 상기 펄스모터(50)는 임의의 고정수단 예컨데 고정판(52)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외부의 다른 고정장치에 고정시켰다. 헤드(42)의 헤드캡(43)을 삽입하고 있는 홀더(41)의 상면에는 별도의 고정판 예컨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측고정판(23)과 같은 고정판을 고정하여 헤드(42)가 탈출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상기 기어부(46)와 기어(51)은 그의 치차의 크기를 작게하여 정밀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42)의 노즐장착홀(45)에는 스프링(32)을 갖는 노즐(30)을 하측에서 상향으로 끼워준 후 노즐(30)의 상단에 억류편(26)을 고정시켰으며, 각 노즐(30)에는 기존의 헤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공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헤드캡(43)에 공압공급공(43-1)을 통공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4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에 장착되어지며 기존의 헤드어셈브리(10)와 동일하게 작동되어진다. 헤드어셈브리(40)의 헤드(42)를 회전시켜 다수의 노즐(30)들 중에서 특정의 노즐(3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펄스모터(50)를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시키면 기어(51)는 회전하고 이에 치합된 기어부(46)가 회전하므로 헤드(42)는 홀더(41)내에서 회전을 실시하며, 이와같이 특정의 노즐(30)을 선택한 후 전자부품장착기(1)를 작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또다른 노즐(30)을 선택하고자할때에는 역펄스모터(5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간다하게 소정의 노즐(30)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40)는 로터(2)에 장착되어지며 모든 헤드어셈브리(40)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작동되어지고 모든 작동은 기히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거 자동으로 작동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어셈브리(40)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분만 아니라 고장률을 거의 없앨수 있으며, 또 수리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또 펄스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정확한 노즐교환을 이룰수 있어 전자부품장착기(1)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홀더(11)에 헤드(20)가 삽착되어지고 그 헤드(20)에 복수개의 흡착헤드(30)가 스프링(32)에 의해 탄발되어지도록 장착된 헤드어셈브리에 있어서, 홀더(41)의 장착공(41-1)에 헤드(42)를 회전자재하게 삽입하는 것과 헤드(42)의 내부를 중공부(44)로 하고 그 헤드(42)의 하측에 환상의 기어부(46)를 형성하여 내부에 장착되는 펄스모터(50)의 축에 연결되는 기어(51)에 치합시키는 것과 상기 펄스모터(50)는 임의 수단에 의해 별개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Head Assembly).
  2. 제1항에 있엇, 장착공(41-1)의 상부에 환상단턱부(41-2)를 형성하고 그 환상단턱부(41-2)에 베어링(47)을 개입시켜 헤드(42)를 축설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Head Assembly)
  3. 제1항에 있어서, 헤드(42)에 복수개의 노즐장착홀(45)을 통공하되 상협상광으로 하여 스프링(32)을 개입시킨 노즐(30)을 삽입하고 그 노즐(30)의 상단에 억류편(26)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Head Assembly).
KR1019950010530A 1995-04-29 1995-04-29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 KR014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530A KR0145208B1 (ko) 1995-04-29 1995-04-29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530A KR0145208B1 (ko) 1995-04-29 1995-04-29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111A KR960040111A (ko) 1996-11-25
KR0145208B1 true KR0145208B1 (ko) 1998-10-01

Family

ID=1941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530A KR0145208B1 (ko) 1995-04-29 1995-04-29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2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111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204B2 (en) Electric-component holding apparatus
JP2823481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US20020032960A1 (en) Parts suction apparatus of module head in surface mount device
US6640431B1 (en) Electric-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ic-component mounting method
KR930004140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US6363846B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having a camera apparatus
KR970064348A (ko) 도전성 볼의 탑재장치 및 탑재방법
JPH08195588A (ja) 部品装着装置
KR0145208B1 (ko) 전자부품장착기의 헤드어셈브리
JP3114469B2 (ja) 電子部品吸着装置
KR200212901Y1 (ko) 칩마운팅시스템
JPH0846392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JPH11220295A (ja) 電子部品実装機のノズルユニット
JP4018267B2 (ja) 表面実装機
KR100651810B1 (ko) 부품실장방법 및 이를 채택한 부품 실장기
KR100799204B1 (ko) 부품실장기용 노즐 어셈블리
JP3737978B2 (ja) 電子部品の吸着ノズル
KR0128447B1 (ko) 전자부품장착 노즐 취부장치
JP3363638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KR0123727Y1 (ko) 전자부품 자동장착기의 노즐헤드 상승검출장치의 결합구조
JPH07302999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JP3713287B2 (ja) 部品装着装置
JP3623982B2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KR950007933Y1 (ko) 칩 마운터(chip mounter)의 원점 맞춤 지그
KR0144071B1 (ko) 전자부품흡입장착기의 진공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