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284B1 - 회전헤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헤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284B1
KR0144284B1 KR1019940010709A KR19940010709A KR0144284B1 KR 0144284 B1 KR0144284 B1 KR 0144284B1 KR 1019940010709 A KR1019940010709 A KR 1019940010709A KR 19940010709 A KR19940010709 A KR 19940010709A KR 0144284 B1 KR0144284 B1 KR 014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haft
roller bearing
drum
magnetic tap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오루 니시오까
Original Assignee
가다오까 마사다까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기아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까 마사다까,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기아샤 filed Critical 가다오까 마사다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284B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하부드럼의 리드홈)에 대한 자기헤드의 괘적의 편심방향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기록 및 재성성능이 높은 회전헤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정된 하부드럼에 고정축을 돌출설치하고, 고정축에 대하여 롤러베어링을 환상으로 장착하고, 이 롤러베어링을 거쳐 상부드럼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시키고, 고정축의 주위면에 롤러베어링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강성지지부를 소정각도를 이격하여 설치하고, 탄성지지부를 고정축의 2개의 강성지지부가 이루는 ½위치로부터 대략 180도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또한 이 강성지지부를 드럼의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범위의 반대측에 위치시키고,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헤드장치에 있다.

Description

회전헤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자기테이프의 랩각도가 180도인 회전헤드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기테이프의 랩각도가 90도인 회전헤드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실린더의 외측에 구동용 모터를 설치한 회전헤드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축과 탄성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 축과 탄성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 축과 탄성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고정축의 직경이 롤러베어링의 내륜의 내경과 일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고정축의 직경이 롤러베어링의 내륜의 내경보다도 작은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제9도는 고정축과 롤러베어링 사이에 탄성 지지부를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낸 정 단면도,
제10도는 고정축과 롤러베어링 사이에 탄성지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 단면도,
제11도는 자기헤드의 Z방향의 진동량과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범위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12도는 회전헤드장치에 대한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를 나타낸 평면도,
제13도는 고정 축의 축심과 자기헤드의 괘적의 중심이 평행한 상태에서 편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회전헤드장치의 반 단면도,
제14도는 고정축과 상부드럼(자기헤드)이 평행한 상태에서 편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회전헤드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일반적인 회전헤드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정 단면도,
제16도는 일반적인 회전헤드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정 단면도,
제17도는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에 있어서의 자기헤드에 대한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압력을 나타낸 자기헤드의 당접압력도,
제18도는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의 고정 축과 이것에 대하여 간극을 가지고 장착된 롤러베어링의 상태를 나타낸 정 단면도,
제19도는 종래의 회전헤드장치에 자기테이프가 와인딩된 상태 및 편심방향 등의 설명을 위하여 X, Y, Z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제20도는 종래예로서 자기헤드의 괘적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의 자기헤드의 괘적의 Z 방향의 어긋남을 트랙킹 에어리어에 대응시킨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21도는 종래 예로서 자기헤드의 괘적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의 자기헤드의 괘적의 Z방향의 어긋남을 트랙킹 에어리어에 대응시킨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22도는 종래예로서 자기헤드의 괘적이 편심된 경우의 자기헤드의 Z방향의 어긋난 양(d1, d3)과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위치(D1, D3)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23도는 종래예로서 자기헤드의 괘적이 X방향으로 편심된 경우에 자기테이프의 와인딩상태를 D1, D3로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헤드장치 3 : 하부드럼
4, 104 : 고정축 5, 6 : 롤러베어링
7 : 상부드럼 8 : 자기헤드
14 : 구동용 모터 21, 121, 221 : 탄성지지부
23, 123 : 압입부재 24,124 : 가이드부재
T2, T3 : 강성지지부 L : 리드홈
본 발명은 VTR등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이용되는 회전헤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드럼에 고정된 고정축에 대하여 롤러베어링을 거쳐 상부드럼을 지지하는 회전헤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이용되는 회전헤드장치로서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회전헤드장치(1)는 도시생략한 테이프플레이어 본체에 설치된 샤시(2)를 구비하고 이 샤시(2)에 대하여 하부드럼(3)이 나사결합등에 의하여 고착 결합되어 있다. 이 하부드럼(3)의 중앙부에는 고정 축(4)이 돌출설치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이 고정 축(4)에는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1쌍의 롤러베어링(5, 6)이 환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들 롤러베어링(5, 6)을 거쳐 상부드럼(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드럼(7)의 주연부 하면에는 회전식 자기헤드(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 축(4)의 상단부에는 고동용 모터(9)의 고정자(10)가 나사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자(10)에 대응하는 상부드럼(7)의 상단부에는 구동용 모터(9)의 회전자(11)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헤드장치(1)는 상기 구동용 모터(9)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상부드럼(7)이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드럼(7)의 상부에 풀리(12)를 설치하고, 이 풀리(12)에 감겨진 벨트(13)를 샤시(2)에 설치된 모터(14)에 의하여 구동하여 상부드럼(7)을 회전구동하는 것이 있다.
이상과 같은 회전헤드장치(1)는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드럼(3)의 외주면에 자기테이프(M)를 안내하기 위한 리드홈(L)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드홈(L)에 대하여 자기헤드(8)가 고정밀도로 원운동의 괘적(8a)을 재현하는 것으로 양호한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리드홈(L)에 대하여 자기헤드(8)의 괘적(8a)이 편심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편심의 발생원인의 하나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축(4)과 롤러베어링(5, 6)사이에 간극(B)이 발생하는데 있다. 이러한 간극(B)의 발생에 의하여 고정 축(4)에 대하여 롤러베어링(5, 6)이 A도 (실제는 극히 미소한 각도이긴 하지만 강조하여 도시한다)의 경사를 발생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진동의 발생은 자기기록 및 재생에 이하와 같은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면, 제23도에 도시된 X방향으로 자기헤드(8)가 편심한 경우에, 자기테이프(M)를 D1로 도시된 상태로 와인딩하면 자기헤드(8)가 그리는 괘적은 제22도의 D1의 범위로 도시된 괘적(8a)을 그린다. 이때 Z방향의 변위량은 d1이고, 제20도중의 트랙킹 에어리어(TA)에 대하여 괘적(8a)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을 그린다.
또, 제23도에 도시된 X방향으로 자기헤드(8)가 편심된 경우에 자기테이프(M)를 D3으로 도시된 상태로 와인딩하면, 자기헤드(8)가 그리는 괘적은 제22도의 D3의 범위로 도시된 괘적(8a)을 그린다. 이때의 변위량은 d3이고, 제20도중의 트랙킹 에어리어(TA)에 대하여 괘적(8a)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곡선을 그린다.
이와 같이 자기테이프(M)(리드홈(L))에 대한 자기헤드(8)의 진동방향에 의하여 자기헤드(8)의 괘적의 어긋난 폭(d1, d3)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자기헤드(8)의 괘적(8a)의 재현성은 확실한 것이 아니라, 제품에 의하여 분산을 일으키기 쉬워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괘적(8a)이 트랙킹 에어리어(TA)로부터 벗어나버려 기록 및 재생성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염려가 있었다.
또한, 현재에 있어서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로프라이스와의 요구가 높아 롤러베어링(5,6)의 등급을 높게 하여 정밀도가 낮은 롤러베어링(5,6)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의 고성능화는 불가능하였다.
또, 제 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드럼(D)에 휘감는 자기테이프(M)에 발생하는 자기헤드(8)에의 압압력(P)은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개시점(S)에서 최소가 되고, 자기신호의 기록 및 재생 정밀도가 가장 저하한다.즉, 종래의 회전헤드장치(1)는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개시점(S)에서 최소가 되고, 자기신호의 기록 및 재생 정밀도가 가장 저하한다.즉, 종래의 회전헤드장치(1)는 자기테이프(M) 와인딩 개시점(S)에서 가장 기록 및 재생성능이 악화된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부드럼에 형성된 리드홈에 대한 자기헤드의 편심은 고정밀도가 가공에 의해서도 완전하게 없앨 수는 없다. 그러나,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범위를 선택함으로써 자기해드가 그리는 괘적의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억제할수 있다. 그런데, 종래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 및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 회전헤드장치는 없었다.
또, 드럼에 와인딩된 자기테이프에 당접하는 자기헤드의 압압력은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서 최소가 되고, 자기신호의 기록 및 재생의 정밀도가 가장 저하한다. 즉, 종래의 회전헤드장치는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서 가장 기록 및 재생성능이 낮아진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리드홈)에 대한 자기헤드의 편심방향을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자기헤드가 그리는 괘적의 어긋난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회전헤드장치를 제공하고, 또,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서 자기헤드에 대한 압압력을 향상시켜 부품 정밀도가 낮아도 고성능을 얻을 수 있는 회전헤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항에 있어서의 발명은 고정된 하부드럼에 고정축을 돌출설치하고, 고정축에 대하여 롤러베어링을 환상으로 장착하고, 이 롤러베어링을 거쳐 상부드럼을 회전자유롭게 지지시키고, 고정축의 주위면에 롤러베어링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강성지지부를 소정각도를 두고 설치하여 탄성지지부를 고정축의 2개의 강성지지부를 이루는 각도의 1/2위치에서 대략 180도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또한 드럼으로의 자기테이프 와인딩 범위와는 반대측에 설치하고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 회전헤드장치에 있다.
제2항에 있어서의 발명은 고정된 하부드럼에 고정축을 돌출설치하고, 고정축에 대하여 1쌍의 롤러베어링을 소정거리를 이간하여 환상으로 장착하고, 이 롤러베어링을 거쳐 상부드럼을 회전자유롭게 지지시키고, 고정축의 주위면에 롤러베어링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강성지지부를 대략 120도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하고, 또한 드럼에의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1/2 위치로부터 대략180도의 위치에 설치하고,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을 지름방향 외측의 동일방향으로 가세하는 바와같이 구성한 회전헤드장치가 있다.
제 3항에 있어서의 발명은, 탄성지지부재를 롤러베어링의 내륜에 당접하는 가이드부재와 고정축와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압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한 제 1항 기재의 회전헤드장치에 있다.
제4항에 있어서의 발명은 탄성지지부재를 롤러베어링의 내륜에 당접하는 가이드부재와, 고정축과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압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한 제2항 기재의 회전헤드장치에 있다.
제5항에 있어서의 발명은 고정된 하부드럼에 고정축을 설치하고, 고정축에 롤러베어링을 환상으로 장착하고, 롤러베어링을 거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상부드럼을 설치하고, 상부드럼에 회전식의 자기헤드를 설치하고, 고정축의 롤러베어링에 대응하는 주위면에 소정각도를 이격하여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강성지지부를 설치하고, 고정축의 2개의 강성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의 1/2의 위치로부터 대략 180도의 위치에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는 탄성지지부를 설치하고, 이 탄성지지부를 드럼에의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1/2위치로부터 대략 180도의 위치에 배치시키고, 또한 자기테이프의 드럼에의 와인딩 개시점과 탄성지지부의 배치위치와의 사이의 각도범위내에, 상부드럼을 벨트를 거쳐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배치한 회전헤드장치에 있다.
제6항에 있어서의 발명은 고정된 하부드럼에 고정축을 돌출설치하고, 이 고정축에 롤러베어링을 거쳐 상부드럼을 회전자유롭게 지지하고, 상부 드럼에 회전식의 자기헤드를 설치하고, 자기헤드의 괘적의 중심과 고정축과의 축심이 평행한 상태에서의 최대편심부분을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 대략 일치시킨 회전헤드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제1항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축의 주위면에 소정각도를 이격하여 설치된 2개의 강성지지부와 탄성지지부의 합계 3점에 의하여 롤러베어링의 내륜을 유지할 수 있다. 또, 2개의 강성지지부의 중간점은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중간점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탄성지지부는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범위의 반대위치에 있어 롤러베어링의 내륜을 지름방향 외측에 가세하기 때문에, 상부드럼의 지지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자기헤드의 괘적의 재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항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축의 주위면에 대략 120도의 각도를 이격하여 설치된 2개의 강성지지부의 1/2(대략 60도)의 위치가 드럼에 와인딩된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대략 1/2의 위치에 대응시키고, 또한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½의 위치로부터 대략 180도의 위치에 탄성지지부를 고정축과 롤러베어링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롤러베이링의 내륜을 지름방향 외측에 가세하기 때문에, 상부드럼의 지지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자기헤드 괘적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항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지지부를 롤러베어링의 내륜에 당접하는 가이드부재와, 고정축과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압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시킴으로써 고정축에 롤러베어링을 환산으로 장착할 때는 먼저 가이드부재 및 압입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축에 롤러베어링을 장착하고, 후에 가이드부재를 안내로 하여 압입부재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베어링에 축방향의 압입력을 주는 일 없이 탄성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항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지지부를 롤러베어링의 내륜에 당접하는 가이드부재와, 고정축과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압입부재를 구비하여 구성시킴으로써, 고정축에 롤러베어링을 환상으로 장착할 때에는 가이드부재와 압입부재를 삽입하지 않고 환상으로 장착하고, 후에 가이드부재를 안내로 하여 압입부재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베어링에 축방향의 압입력을 주는 일 없이 탄성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항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축의 롤러베어링에 대응하는 주위면에 소정의 각도를 이격하여 롤러베어링의 주위면에 당접하는 2개의 탄성지지부를 형성하고, 이들 탄성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의 대략 1/2의 위치로부터 180도의 위치에 탄성지지부를 설치하고, 또, 2개의 강성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의 대략 1/2의 위치를 드럼에 와인딩하는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대략 1/2의 위치에 대응시키고, 이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과 상기 탄성지지부의 배치위치와의 사이에 각도범위내에 상부드럼을 벨트를 걸쳐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설치함으로써 벨트의 와인딩에 의하여 고정축에 가하는 응력이 상기 탄성지지부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항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자기헤드의 괘적의 중심과 고정축의 축심이 평행한 상태에서의 최대편심부분을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와인딩 개시점에서의 자기테이프의 자기헤드에 대한 압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평행한 축심의 어긋남에 의해 자기헤드의 어긋남은 기록 및 재생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전헤드장치(1)의 개략적 구성에 관하여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회전헤드장치(1)는 도시생략한 테이프 플레이어 본체에 설치되는 샤시(2)를 구비하고, 이 샤시(2)에 대하여 하부드럼(3)이 나사결합등에 의하여 고착 결합되어 있다. 하부드럼(3)의 외주면에는 자기테이프(M)를 안내하기 위한 리드홈(L)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하부드럼(3)의 중앙부에는 상기 리드홈(L)과의 위치관계가 정밀하게 설정된 고정축(4)이 돌출 설치상태로 고착되어 잇고, 이 고정축(4)에는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1쌍의 롤러베어링(5, 6)이 환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들 롤러베어링(5, 6)을 거쳐, 상부드럼(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드럼(7) 주연부 하면에는 회전식의 자기헤드(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축(4)의 상단부에는 구동용 모터(9)의 고정자(10)가 나사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자(10)에 대응하는 상부드럼(7)의 상단부에는 구동용 모터(9)의 회전자(11)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헤드장치(1)는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부드럼(7)이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전헤드장치(1)의 고정축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중 도시된 고정축(4)은 예를 들면, 제4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고정축(4)은 롤러베어링(5, 6)의 내륜(5a, 6a)에 대응하는 주위면 중 4개소의 주위면부(T1, T2, T3, T4)의 부분을 남기고, 다른 주위면부가 절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4개의 주위면부(T1~T4)는 동일중심, 동일반경의 주위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롤러베어링(5, 6)의 내륜(5a, 6a)의 내경이 이것과 일치한 경우에만 4개의 주위면부(T1~T4) 모두가 내륜(5a, 6a)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위면부중 2개(T2, T3)는 강성지지부로서 이용되고, 다른 주위면부(T1, T4)는 고정축(4)의 외경이 롤러베어링(5, 6)의 내륜(5a, 6a)에 일치한 경우 위하여 보조적으로 준비되어 있다.
2개의 강성비지부(T2, T3) 및 다른 주위면부(T1, T4)는를 남기고, 절제된 다른 주위면부(4a, 4b, 4c, 4d)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여 만나는 면 끼리가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면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2개의 강성지지부(T2, T3)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주위면의 주위방향의 길이의 대략 중간점(Tc2, Tc3)이 서로 대략 120도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강성지지부(T2, T3)는 중간점(Tc2, Tc3)로부터 각각 대략 120도 떨어진 위치(4a)에는 탄성지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지지부(21)는 예를 들면 고정축(4)의 평면상으로 절삭된 주위면부(4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형 홈부(22)에 대하여 삽입된 압입부재(23)와, 이 압입부재(23)와 롤러베어링(5, 6)의 내륜(5a, 6a)에 당접하는 가이드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입부재(23)는 예를 들면 세로축방향의 단면이 C자상의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재이고, 또, 가이드부재(24)는 예를 들면 중앙부가 볼록돌기로 형성된 직사각형 금속판이다.
여기서, 고정축(4)에 대한 탄성지지부(21)의 조립공정에 관하여 제 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정축(4)에 대하여 롤러베어링(5, 6)을 장착한다. 그후에 가이드부재(24)를 고정축(4)의 주위면부(4a)와 내륜(5a, 6a)와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주위면부(4a)의 오목형 홈부(22)를 따라 압입부재(23)를 가이드부재(24)와 고정축(4) 사이에 압입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24)를 가이드로 하여 압입부재(23)를 삽입함으로써 롤러베어링(5, 6)에 대하여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베어링의 정밀도를 손상하는 일 없이 조립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탄성지지부(21)를 구비하는 고정축(4)은 롤러베어링(5, 6)의 내륜(5a, 6a)의 내경과 외경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4)의 주위면(T1~T4)에 의하여 상기 내륜(5a, 6a)을 지지한다. 이때, 탄성지지부(21)도 상기 주위면(T1~T4)과는 별도로 내륜(5a, 6a)에 탄성적으로 당접한다.
내륜(5a, 6a)의 내경이 고정축(4)의 외경보다 큰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21)의 압입부재(23)가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가이드부재(24)가 내륜(5a, 6a)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륜(5a, 6a)의 내주면은 강성지지부(T2, T3)와 상기 탄성지지부(21)의 가이드부재(24)의 3점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고정축(4)과 롤러베어링(5, 6)의 내륜(5a, 6a)사이에 간극이 있었던 경우에도 간극분을 소정방향(탄성지지부(21)가 설치된 측)으로 비키어 설정할 수 있고, 또 3점으로 지지함으로써 이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여 자기헤드(8)의 괘적(8a)의 편심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구조에서는, 간극이 발생하면 1점으로의 지지 또는 2점으로의 지지밖에 할 수 없어 편심방향으로 고정할 수 없었으나,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3점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자기헤드(8)의 괘적(8a)의 편심방향을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부드럼(7)의 회전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정축(4)을 회전헤드장치(1)에 조립할 경우에는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테이프(M)의 랩 각도가 180도인 경우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관계로 하는 것으로 가장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즉, 강성지지부(T2, T3)의 중간점(G)의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각도 180도의 ½위치에 배치하고, 이 중간점(G)의 반대측(180도)의 위치에 상기 탄성지지부(21)를 배치한다. 여기에서, 롤러베어링(5, 6)의 내륜(5a, 6a)은 도면중에 도시된 화살표 F1~F3로 나타내는 3점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자기테이프(M)의 기록 및 재생 정밀도의 향상 효과에 관하여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에 도시된 180도의 랩각도(D1)에 있어서, 자기테이프(M)에 대한 자기헤드(8)의 괘적(8a)의 어긋난량(d1)(Z방향)에 최대로 영향을 주는 것은 도면중 Y로 도시된 방향의 자기헤드(8)의 이동이다. 이 때문에 자기헤드(8)의 Y방향의 이동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필요가 있어, 상기와 같은 자기헤드(8)의 편심방향을 탄성지지부(21)에 의하여 도면중 X방향에 설정하고, 또한 강성지지부(T2,T3)에 의하여 자기테이프(M)의 당접측에 강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괘적(8a)의 어긋난량(d1)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서 리드홈(L)에 대한 자기헤드(8)의 괘적(8a)의 재현 정밀도를 향상시켜 자기테이프(M)의 기록 및 재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0도에 도시된 어긋난량(d1)에 설정할 수 있어서 트랙킹 에어리어(TA)내에서 상기 괘적(8a)을 그리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
이상의 것으로부터, 부품 정밀도가 나빠도 기록 및 재생 정밀도가 높은 회전헤드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21)의 위치가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각도 180도의 ½의 위치(G)의 반대측이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범위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이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회전헤드장치(1)는 자기테이프(M)의 랩각도가 90도인 것으로서, 이경우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강성지지부(T2, T3)의 중간위치(G)가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각도 90도의 ½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제11도 및 제12도에 D2로 나타낸 상태로 자기테이프(M)가 와인딩되게 된다. 이로써 자기테이프(M)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자기헤드(8)의 괘적(8a)이 축방향으로(z)으로 벗어난 양(d2)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고정축(4)에 대하여 설치되는 탄성지지부(21)의 변형예를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된 탄성지지부(121) 가이드부재(124)가 강성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된 만곡 플레이트로서 압입부재(123)는 금속성의 원주봉 등의 강성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압입부재(123)의 압입시에는 가이드부재(124)가 탄성변형하여 압입부재(123)를 가이드하기 때문에 롤러베어링(5, 6)에 축방향의 힘을 가하는 일 없이 조립할 수 있다.
또, 제6도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 등을 탄성지지부(221)로서 사용하고, 고정축(104)에 형성된 사다리꼴 오목형부(222)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원피스부재에 의한 탄성지지부(221)는 그 재질을 금속으로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며, 수지제인 것 등으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회전헤드장치(1)는 자기테이프(M)의 랩각도가 예를 들면 180도인 것인데, 외부에 구동용 모터(14)를 구비하고, 벨트(13)에 의하여 상부드럼(7)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14)의 배치위치는, 상기 탄성지지부(21)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자기테이프(M)가 와인딩을 개시하는 점(S)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기테이프(M)의 롤측에 설치된 오디오헤드(모)로부터 모터(14)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자기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벨트(13)의 와인딩에 의하여 고정축 (4)에 벤딩응력(F4,F5)이 작용한다. 이 벤딩응력(F4,F5)에 의하여 상부드럼(7)이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개시위치(S)측에 압압된다.다. 이로써, 상부드럼(7)은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개시위치(S)측으로 이동되고, 와인딩개시위치(S)에서의 자기헤드(8)의 자기테이프(M)로의 당접압을 향상시키고, 기록 및 재생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도~제3도에 도시된 모든 회전헤드장치(1)에 있어서도,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개시위치(S)에서의 자기테이프(M)로의 자기헤드(8)의 압압력은 다른 어느 위치보다도 낮아 기록 및 재생성능이 가장 낮게 이루어지는 위치이다. 그래서, 제13도에 도시된 편심량(Pd)(구조성, 설령 고정밀도로 제조했다고 하여도 발생하는 고정축(4)과 상부드럼(7)의 평형상태에서의 편(Pd)을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평행한 상태에서의 편심(Pd)은 자기헤드(8)의 괘적(8a)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자기헤드(8)의 자기테이프(M)에 대한 압압력에만 기여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드럼(7)의 최대로 편심하는 측면(LS)을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개시점(S)에 대응시킴으로써 자기헤드의 지름방향 최대돌출위치를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개시점(S)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구조에서는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개시점(S)에서 가장 자기헤드의 자기테이프(M)에 대한 당접압력이 낮았던 것에 대하여 제1도~제3도에 화살표(F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력(F6)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자기테이프(M)의 와인딩 개시점(S)이더라도 높은 기록 및 재생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범위의 반대측 자기헤드의 편심방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헤드의 회전괘적을 리드홈(자기테이프)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재현하고, 자기헤드의 축방향의 어긋난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자기헤드의 편심방향의 배치를 선택적으로 행함으로써, 종래 구조에서는 자기헤드의 괘적의 편심방향은 우연의 배치에 맡겨져 상기 괘적의 재현성에 대한 양산시의 신뢰성이 낮아졌으나, 상기 괘적의 양산시의 재현성을 더욱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축에 탄성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고정축과 롤러베어링의 내륜과의 사이는 눈금맞춤 정밀도가 나빠도, 기록재생성능이 높은 회전헤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½의 위치로부터 재략 180도의 위치에 탄성지지부를 가지는 고정축을 설치하고,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강성지지부를 설치한 고정축을 구비함으로써 리드홈(자기테이프)에 대한 자기헤드의 괘적을 높은 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어, 동일한 정밀도를 갖는 고정축 및 롤러베어링을 사용한 종래구조와 비교하여 극히 높은 기록 및 재생성능을 얻을 수 있는 회전헤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 탄성지지부를 가이드부재와 압입부내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탄성지지부를 조립할 경우에는 가이드부재가 롤러베어링의 내륜에 당접하여 압입부재를 가이드하기 때문에, 롤러베어링에 축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2항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 또한 압입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 가이드부재가 안내하기 때문에 탄성지지부를 고정축과 롤러베어링 사이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압입 부재의 압입시, 롤러베어링에 축방향의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 설치된 구동용 모터를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과 탄성지지부의 배치위치와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오디오 헤드 등에의 자기적 영향을 방지하고, 또한, VTR 본체에의 수납스페이스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제6항의 발명에 의하면, 자기헤드의 괘적의 고정축(4)에 대한 평행상태에서의 진동의 방향을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 배치시킴으로써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서의 자기헤드의 당접압력을 증가하고, 자기테이프와 자기 헤드의 접촉개시점으로부터 확실한 자기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고정된 하부드럼에 돌출설치된 고정축과, 고정축에 대하여 환상으로 장착된 롤러베어링과, 롤러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상부드럼과, 상기 상부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자기헤드와, 고정축의 롤러베어링에 대응하는 주위면에, 소정의 각도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강성지지부와, 고정축의 2개의 강성지지부가 이루는 각도의 ½ 위치로부터 대략 180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고, 또한 드럼에의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범위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설치된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2. 고정된 하부드럼에 돌출설치된 고정축과, 고정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환상으로 장착된 1쌍의 롤러베어링과, 상기 1쌍의 롤러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상부드럼과, 상기 상부드럼에 설치된 회전식의 자기헤드와, 고정축의 각각의 롤러베어링에 대응하는 주위면에 대략 120도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며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강성지지부와, 고정축의 2개의 강성지지부로부터 대략 120도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고, 각각의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을 외측의 동일방향으로 가세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드럼에의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각도의 ½위치로부터 대략 180도의 위치에 설치된 탄성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롤러베어링의 내륜에 당접하는 가이드부재와, 고정축과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롤러베어링의 내륜에 당접하는 가이드부재와, 고정축과 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5. 고정된 하부드럼에 돌출설치된 고정축과, 고정축에 대하여 환상으로 장착된 롤러베어링과, 롤러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상부드럼과, 상부드럼에 설치된 회전식 자기헤드와, 고정축의 롤러베어링에 대응하는 주위면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이격하여 설치되며 롤러베어링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강성지지부와, 고정축의 2개의 강성지지부를 이루는 각도의 ½위치로부터 대략 180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롤러 베어링의 내주면을 지름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고, 또한 드럼으로의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범위의 대략 반대위치에 설치된 탄성지지부와, 자기테이프의 드럼으로의 와인딩 개시점과 탄성지지부의 배치위치와의 사이의 각도범위내에 배치되어, 상부드럼을 벨트를 거쳐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6. 고정된 하부드럼에 돌출설치된 고정축과, 이 고정축에 롤러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상부드럼과, 이 상부드럼에 설치된 회전식 자기헤드를 구비한 회전헤드장치에 있어서, 자기헤드의 괘적의 중심과 고정축의 축심이 평행한 상태에서의 최대편심부분을 자기테이프의 와인딩 개시점에 거의 일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헤드장치.
KR1019940010709A 1993-05-24 1994-05-17 회전헤드장치 KR0144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429193A JP3170102B2 (ja) 1993-05-24 1993-05-24 回転ヘッド装置
JP93-144291 1993-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4284B1 true KR0144284B1 (ko) 1998-07-15

Family

ID=1535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709A KR0144284B1 (ko) 1993-05-24 1994-05-17 회전헤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70102B2 (ko)
KR (1) KR0144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171B1 (ko) * 1996-08-01 1999-08-16 임병문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JP6679363B2 (ja) 2015-03-23 2020-04-15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0102B2 (ja) 2001-05-28
JPH06333220A (ja) 199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847B2 (en) Pivot bearing assembly
US5459625A (en) Rotary head drum device
US20060031864A1 (en) Spindle motor, disc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532016B1 (ko) 디스크 장치
US5452156A (en) Spindle motor with combined pressure relief and adhesive carrying annular recesses
KR0144284B1 (ko) 회전헤드장치
JP285862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184758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20050051858A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H0585967B2 (ko)
JPS63136363A (ja) 磁気記録装置
KR960004339Y1 (ko)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 기구
JP2722981B2 (ja) ガイドドラム
KR0135853B1 (ko) 회전 자기헤드 드럼 구조체
KR100229391B1 (ko) 헤드드럼 조립체
KR100200849B1 (ko) 브이씨알용 헤드드럼 어셈블리
JPS6139271A (ja) リニアモ−タ装置
JPS63124275A (ja) 磁気記録装置
JPH1166523A (ja) 精密回転装置
KR100359937B1 (ko) 헤드드럼 조립체
KR20110083374A (ko) 비대칭 디스크 클램프와 이를 구비한 스핀들 모터 조립체
JPH07334825A (ja) 回転ヘッドドラム装置
JPS61273713A (ja) 回転ヘツド装置用ドラム
JPH05109004A (ja) 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JPH10334431A (ja) 回転磁気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