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339Y1 -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 기구 - Google Patents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339Y1
KR960004339Y1 KR92006155U KR920006155U KR960004339Y1 KR 960004339 Y1 KR960004339 Y1 KR 960004339Y1 KR 92006155 U KR92006155 U KR 92006155U KR 920006155 U KR920006155 U KR 920006155U KR 960004339 Y1 KR960004339 Y1 KR 960004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leaf spring
rotating
sliding member
hea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238U (ko
Inventor
쇼우지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카타오카 마사다카
알프스 댕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타오카 마사다카, 알프스 댕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타오카 마사다카
Publication of KR920020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 기구
제1도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판스프링과 접동자와의 압접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정면도.
제4도는 푸쉬, 접동자, 판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5도는 판스프링의 평면도.
제6도는 판스프링의 정면도.
제7도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제8도는 제3 실시예에 의한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샤시 11 : 고정드럼
12 : 고정축 13 : 푸쉬
13a : 관통구멍 14 : 회전드럼
15, 16 : 베어링 16a : 외륜
31 : 접동자 32 : 판스프링
41 : 고정드럼 42 : 베어링
43 : 회전축 44 : 푸쉬
45 : 회전드럼 46 : 고정드럼
46 : 凹부 47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자기 테이프가 감기어 부착되어서 접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회전 헤드 장치에 관한 특히 회전부를 접지하기 위한 어스기구에 관한다.
제9도는 종래의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제9도는 회전 헤드 장치는 테이프 구동 유니트의 샤시(1)에 고정된 고정드럼(2)과 고정드럼(2)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된 축(4)과 이 축(4)에 고정된 회전드럼(3)들을 가지고 있고 이 회전드럼(3)에 복수의 자기헤드가 탑재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회전 헤드 장치에 있어서는 자기테이프가 접동하는 고정드럼(2) 및 회전드럼(3)을 그라운드 전위에 어스해서 자기테이프 접동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의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로 해서는 우선 샤시(1)에 고정되어서 선단이 고정드럼(2)에 압접된 도전성판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고정드럼이 접지되어 있다.
또, 샤시(1)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재(6)의 상부에 판스프링(7)이 고정되어 있고, 이 판스프링(7)의 선단(7a)이 축(4)의 상단면에 압접되어 회전드럼(3)이 축(4), 판스프링(7), 지지부재(6)를 경유해서 샤시(1)에 접지되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예로 해서는 축(4)의 하단면에 부호(7)로 나타낸 것과 같은 도전성 판스프링이 압접되어 있는 것과 고정드럼(2)의 내부로 축(4)의 측면에 판스프링이 압접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는 아래에 열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1)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4)의 단면에 판스프링(7)의 선단이 접하여 있는 것에 있어서는 외부에서 축(4)의 단면까지 판스프링(7)을 연장시켜 놓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회전 헤드 장치주위에 판스프링(7)을 배치하기 위한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어 기기의 소형화를 저해하게 된다. 또 판스프링(7)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조립작업중 등에 있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판스프링(7)에 걸리는 등으로 해서 판스프링(7)이 변형하게 된다.
(2) 판스프링(7)의 선단(7a)이 축(4)의 단면에 압접하는 압접력은 판스프링(7)의 굽힘부(76)의 굽힘 각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 굽힘 각도의 정도가 필요하나, 판스프링(7)의 굽힘 각도를 정도좋게 설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안정한 판스프링의 탄압력을 설정할 수 없고 또 개개의 기기에 있어서 판스프링(7)의 압접력에 편차가 생기고 또한 회전부에 과대한 마찰부하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 판스프링(7)의 선단과 축단면과의 접촉위치도 정도좋게 결정할 수가 없고, 특히 드럼구경이 적은 소형의 장치에서는 판스프링(7)의 선단(7a)을 축(4)의 상단면에 안정해서 접촉할 수 없는 경우로 생긴다.
(3) 고정드럼(2)내에 판스프링을 설치 그 선단을 축의 측면에 압접하는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판스프링의 설치 스페이스가 좁고 그러므로 판스프링의 자유길이를 길게 얻을 수가 없어 스프링압의 설정이 곤란하다.
(4) 또한, 축(4)이 고정드럼(2)에 고정되어서 회전드럼(3)이 축(4)에 대해서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는 구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회전드럼(3)의 상면에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이 판스프링의 선단을 축(4)의 상단면에 압접하는 구조로 되나 이 경우도 판스프링의 자유길이를 충분하게 얻지 못해 압접력의 설정이 곤란하고, 또 회전드럼(3)의 상면에 판스프링의 설치스페이스가 필요로 되어서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본고안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좁은 스페이스에 판스프링을 배치한 것으로 해서도 안정된 접지탄압력의 설정이 가능하고 접동저항의 안정된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어스기구는 고정부와 회전부가 동축에 배치되어 회전부에 자기헤드가 탑재되어 있는 회전 헤드에 있어서, 고정부와 회전부의 한쪽에는 축상의 도전성 접동자가 진퇴 자유자재로 삽입되어 그 접동자의 선단이 회전부를 회전자유자재로 지지하는 베어링의 외륜에 접동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 접동자가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 또는 회전부의 외면에는 그면에 따라서 설치되고, 또 상기 접동자를 압압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접동자는 고정부 또는 회전부에 설치된 凹부에 삽입되어 이 凹부 내에는 상기 접동자를 압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수단에는 축상의 도전성 접동자를 고정부 또는 회전부에 진퇴자유자재로 삽입하여 있기 때문에 접동자의 위치일탈이 생기지 않고 접동자의 접촉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접동자의 선단을 베어링의 외륜의 연마되어 있는 단면에 접접(摺接)시키는 것에 의해 안정된 어스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은 고정부 또는 회전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이 판스프링에 의해 접동자를 압접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이 기기외부로 크게 돌출하는 것이 없고 기기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고 또 안정된 탄압력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제1도에서 제7도의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전 헤드 장치의 반단면도, 제2도는 제2도의 부분확대도, 제3도는 판스프링과 접동자와의 압접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판스프링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제5도는 판스프링의 평면도, 제6도는 그 정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1)는 고정드럼이고, 이 고정드럼(11)은 테이프 구동유니트의 샤시(1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드럼(11)의 중심에는 고정축(12)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축(12)의 상부에는 푸쉬(13)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드럼(11)과 푸쉬(13)와의 사이에는 회전드럼(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드럼(14)는 축(12)에 고정된 베어링(15, 16)에 의해 회전자유자재로 지지되고 있다. 회전드럼(14)의 하면에는 헤드베이스(17)가 고정되어 있고, 이 헤드베이스(17)에 고정된 헤드칩(18)이 회전드럼(14)의 외주로 향하여져 있다. 회전드럼(14)의 상면에는 요크(19)에 의해 로터마그네트(21)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푸쉬(13)의 하면에는 기판(22)이 설치되어 이 기관(22)에 고정된 코어(23)에 스테이터 코일(24)이 감겨져 있다. 부호(25)는 스테이터 코일(24)에 통전하는 리이드선이다. 스테이터 코일(24)과 로터마그네트(21)에 의해 모터가 구성되어 있고 이 모드에 의해 회전드럼(14)이 회전구동 된다.
다음에 어스기구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푸쉬(13)에는 관통구멍(13a)이 천설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13a) 내에 접동자(31)가 접동 자유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관통구멍(13a)은 단면 원형으로 접동자(31)의 중앙부는 원주형상이다. 관통구멍(13a)의 내경길이와 접동자(31)의 중앙부의 직경은 고정도로 가공되어, 접동자(31)는 거의 극간없이 관통구멍(13a)으로 진퇴자유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접동자(31)의 하단부는 구면부(31a)로 상단면도 구면부(31b)로 되어 있다. 구면부(31a, 31b)는 대칭형상이고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접동자(31)를 상하 역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동자(31)의 하부의 구면부(31a)는 상측의 베어링(16)의 외륜(16a)의 도시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또, 제3도에 나타나나 바와 같이 접동자(31)의 상부의 구면부(31b)는 푸쉬(13)의 상면(기준면 A로 한다)에서만큼 돌출하고 있다. 푸쉬(13)의 가공정도 및 접동자(31)의 가공정도에 의해 상기는 고정도인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푸쉬(13)의 상기 기준면(A)에는 판스프링(32)가 부착되어 있다. 제5도의 평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판스프링(32)은 중심(0)에 대해서 원호로 되는 원호부(32a)와 그의 도시 우단의 고정부(32b)와 도시 자측의 압압부(32c) 들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부(32b)에 고정구멍(32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원호부(32a)의 도시 좌측의 영역에는 우레탄 고무등에 의한 제진재(33)가 접착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32)은 그의 원호부(32a)가 푸쉬(13)의 중심의 돌기부(13b)를 에워싼 상태로 설치되어, 고정부(32b)에 형성된 상기 고정구멍(32d)에 고정나사(34)가 삽입되어서 푸쉬(13)의 암나사(13c)에 나사맞춤됨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압압부(32c)가 접동자(31)의 상부의 구면부(31b)에 압접되어 있다. 제5도와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스프링(32)는 절곡선(B)에 의해 산모양으로 약간 각도만큼 미리 절곡되어져 있다.
고정나사(34)에 의해 고정부(32b)에 의해 고정부(32b)가 푸쉬(13)에 매어져서 고정되면 판스프링(32)은 푸쉬(13)의 기준면(A)에 고정되나, 만약 접동자(31)가 삽입되어 있지않으면 상기 절곡선(B)에서의 산모양으로 꺾어진 것에 의해 원고부(32a)는 기준면(12)에 확실하게 밀착하여 압압부(32c)가 부상(浮上)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동자(31)가 삽입되고 있을 때에는 압압부(32c)는 상기의 밀착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이상태에서 또한 접동자(31)의 구면부(31b)의 돌출량()만큼 휘어지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32)에서는 원호부(32a)에 의해 고정구멍(32d)과 압압부(32c)와의 실질적인 자유길이가 길게되어 있다. 또 상기 절곡부(B)에 이한 산모양으로 각도를 약간 틀고 또한 접동자(31)의 구면부(31b)의 돌출량()를 약간의 값으로하면 제6도의 자유상태에서 기준면(A)에 밀착시킬때 까지의 압압부(32c)의 휨량에 대하는 자유단하중과 기준면(A)에 밀착한 상태에서 압압부(32c)를만큼 들어올릴 때 까지의 휨량에 대하는 자유단하중, 즉 양상태에서의 스프링 정수는 거의 일정하다.
전술과 같은 돌출량()은 기계가공에 이해 고정도로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정수와 돌출량()들에서 접동사(31)가 베어링(16)의 외륜(16a)에 접속하는 압력을 균일로 할 수 있고, 또 원호부(32a)의 길이 및 판두께 등에 의해 압압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드럼(14)이 회전할때에 회전드럼(14)과 함께 회전하는 베어링(16)의 외륜(16a)과 접동자(31)의 구면부(31a)들이 접동한다. 베어링(16)의 외륜(16a)는 철강재이고, 또 도시상면도 평활하게 마무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 이기 때문에 접동자(31)의 구면부(31a)와의 접동에 의한 외륜(16a)이 마모하지 않는다. 또한 이 마모를 고려한 경우에는 접동자(31)의 재질을 외륜(16a)보다도 내마모성이 낮은 것으로 해놓으면 소정시간 사용한때에 판스프링(32)를 떼어 내서 접동자(31)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계속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과 같은 접동자(31)를 압압하는 힘은 조립시에 소정의 값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부에 과대한 부하를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접동자(31)는 푸쉬(13)에 형성된 관통구멍(13a)에 의해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베어링(16)의 외륜(16a)의 도시상면의 면적이 적어도 구면부(31a)를 외륜(16a)에 확실하게 접접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축(12)의 중심에서 베어링(16)의 외륜(16a)까지의 반경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구면부(31a)와의 접동부의 주속(周速)이 빨라지므로서 판스프링(32)이 진동하는 주속에 의해서는 공진하는 것도 생각될 수 있으나, 판스프링(32)에 제진재(33)가 접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진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진동에 의한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드럼(14)에 발생하는 정전기의 전지경로는 회전드럼(14), 외륜(16a), 접동자(31), 판스프링(32)를 경유해서 푸쉬(13)에서 축(12)에의 순으로 된다.
이 도전경로중 기름등에 의한 절연의 우려가 있는 개소는 접동자(31)의 구면부(31b)와 판스프링(32)의 압압부(32c)와의 접촉부이다.
만약, 이 접촉부가 유막등에 이해 절연된다 해도 외륜(16a)의 회전에 의해 구면부(31a)에 회전방향의 힘이 주어져서 접동자(31)에 경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접동자(31)의 원주부가 푸쉬(13)의 관통구멍(13a)의 내면에 상시 압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압접부에 있어서 푸쉬(13)에서 접동자(31)에의 도전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유막등이 있어서도 접지경로는 확보되게 된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드럼(11)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이 관통구멍에 삽입된 접동자(31)의 구면부를 하측의 베어링(15)의 외륜(15a)에 접접시켜 고정드럼(11)의 하면에 설치된 판스프링에 의해 접동자를 외륜(15a)에 압접시켜도 좋다.
제7도는 본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7도의 실시예는 축회전형의 회전헤드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고정드럼(41)의 중심부에 설치된 베어링(42)에 의해 축(43)이 회전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이 축(43)의 상부에 푸쉬(44)가 고정되어, 이 푸쉬(44)에 대해서 회전드럼(45)이 고정되어 있다. 이 푸쉬(44)에 관통구멍(44a)에 형성되어 이 구멍내에 접동자(31)가 삽입되어 있고, 접동자(31)의 하부의 구면부(31a)가 베어링(42)의 고정된 외륜(42a)에 접접되어 있다. 푸쉬(44)의 상면에는 제5도, 제6도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판스프링(32)이 설치되어 그 압압부(32c)가 상측의 구면부(31b)를 압압하고 있다.
제7도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드럼(45)에 발생된 정전기가 푸쉬(44), 판스프링(32)(및 관통구멍(44a)의 내면), 접동자(31), 외륜(42a)을 경유해서 고정드럼(41)에 도통되는 접지경로로 해서 그라운드로 빠진다.
제8도는 본 고안이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8도의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축을 고정드럼에 고정한 회전헤드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드럼(46)의 중심에는 고정축(12)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축(12)에 고정된 베어링(15)에 의해 회전드럼(14)이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이 고정드럼(46)의 베어링(15)에 대향하는 측에는 凹부(46a)가 형성되고, 이 凹부(31b)내에 접동자(31)가 삽입되어 있고, 접동자(31)의 상부의 구면부(31b)가 베어링(15)의 회전하는 외륜(15)에 맞닿아 있다. 접동자(31)의 하방에 형성된 평탄면(31c)과 凹부(46a)의 밀면사이에는 코일스프링(47)이 배치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접동자(31)는 도면에서 나타내는 상방으로 눌러져 있다. 코일스프링(47)이 접동자(31)의 하방에 형성된 평탄면(31c)을 누르고 있으므로써 안정된 누름력을 얻을 수 있다.
제8도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드럼에 발생한 정전기의 접지경로는 회전드럼(14), 외륜(15a), 접동자(31), 코일스프링(47), 고정드럼(46)의 순이된다.
이상 상술된 본 고안에 의하면, 베어링이 외륜에 접동자를 접접시키기 때문에 접동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한 접지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고안에서는 평탄면에 설치된 판스프링에 의해 접동자가 적당한 압력에 의해 접동하도록 된다. 또한 접동자는 고정도로 위치결정되어 피접동부에 대해서 접접점의 일탈이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3기재의 고안에서는 코일스프링을 접동자 단면의 구면부 외주의 평탄면을 압압하기 위한 일탈이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된 압압력이 얻어진다.

Claims (3)

  1. 고정부와 회전부가 동축에 배치되어 회전부에 자기헤드가 탑재되어 있는 회전헤드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와 회전부의 한쪽에는 축상의 도전성 접동자가 진퇴 자유롭게 삽입되고, 그 접동자의 선단이 회전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의 외륜에 접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자가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 또는 회전부의 외면에는 그 면에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접동자를 압압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자는 고정부 또는 회전부에 설치된 凹부에 삽입되고, 이 凹부내에는 상기 접동자를 압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기구.
KR92006155U 1991-04-17 1992-04-14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 기구 KR9600043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5144 1991-04-17
JP1991035144U JP2501939Y2 (ja) 1991-04-17 1991-04-17 回転ヘッド装置のア―ス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38U KR920020238U (ko) 1992-11-17
KR960004339Y1 true KR960004339Y1 (ko) 1996-05-25

Family

ID=1243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155U KR960004339Y1 (ko) 1991-04-17 1992-04-14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501939Y2 (ko)
KR (1) KR960004339Y1 (ko)
MY (1) MY1099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981B2 (ja) * 1993-01-21 1998-03-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ガイドド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21002U (ja) 1992-10-29
KR920020238U (ko) 1992-11-17
MY109981A (en) 1997-10-31
JP2501939Y2 (ja)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6074B2 (ja) 回転ドラムのア―ス装置
EP0720168B1 (en) Bearing installation in a floppy disk driver motor
US5739983A (en) Magnetic head carriage formed of sheet metal with wedge-shaped feed screw engagement element
KR890001464B1 (ko) 드럼형 주사장치
US5459625A (en) Rotary head drum device
US4079277A (en) Flat miniature dynamoelectric machine
KR960004339Y1 (ko) 회전 헤드 장치의 어스 기구
US5325248A (en) Rotary head assembly
US5982061A (en) Spindle motor with two-piece shaft and connector
KR890005695Y1 (ko) 자기 테이프 안내드럼
JP2003036585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US5291358A (en) Magnetic recording device
US5835308A (en) Integrally molded disk device actuator with ground path
US5883751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reventing axial vibration of rotary head cylinder
KR900002587Y1 (ko) 자기테이프 구동장치
JP2002119013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H08320017A (ja) ラジアル玉軸受
JP2676976B2 (ja) アースブラシ
KR0144284B1 (ko) 회전헤드장치
JPH01130316A (ja) シリンダユニット
JP2722981B2 (ja) ガイドドラム
KR0131857Y1 (ko) 회전 드럼의 접지 장치
KR100376391B1 (ko) 회전 헤드 드럼 장치
EP0520648B1 (en) Magnetic head drum
KR200198149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정전기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