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775B1 -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775B1
KR0143775B1 KR1019900003013A KR900003013A KR0143775B1 KR 0143775 B1 KR0143775 B1 KR 0143775B1 KR 1019900003013 A KR1019900003013 A KR 1019900003013A KR 900003013 A KR900003013 A KR 900003013A KR 0143775 B1 KR0143775 B1 KR 014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ompound
formula
furyl
thi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343A (ko
Inventor
쿤쯔 발터
슈르터 롤프
니펠러 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베르너 발데크, 발트라우트 베케레
노바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너 발데크, 발트라우트 베케레, 노바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베르너 발데크, 발트라우트 베케레
Publication of KR90001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1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three ring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Ⅰ)의 신규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물질의 제조 방법 및 활성 성분으로서 이들 화합물 1이상을 함유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약제의 제조 및 유해 미생물, 예컨대 식물병원성 진균, 세균 및 비루스에 의한 침해에 대해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활성 성분 또는 약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Ⅰ)에 해당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X1및 X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내지 3개의 할로겐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 C3-C5알켄일 또는 SR1이고,
R1은 3 내지 6개의 플루오르 또는 염소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이며,
R2는 C1-C4알킬; 또는 산소가 삽입된 C1-C5알킬; 또는 C1-C6알콕시; 또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C1-C3알킬; 또는 치환된 C2-C3알콕시; 또는 C1-C6알킬티오; 또는 각각 2- 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 또는 각각 1 내지 3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고 2- 또는 3- 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이며,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다.
할로겐은 풀루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 또 차례대로 염소, 브롬 및 요오드이다. 개별적인 라디칼의 치환체로서 할로겐은 1 내지 개 있을 수 있다.
알킬 그 자체 또는 다른 치환체의 구성 요소로서의 알킬은 직쇄 및 측쇄 알킬의 의미이다. 지시된 탄소 원자의 수에 따라 이들은 예컨대 하기와 같다: 메틸, 에틸, 및프로필 또는 부틸의 이성질체 (예: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3급-부틸 또는 2급-부틸).
알켄은 예를들어 프로펜-1일, 알릴, 부텐-1-일, 부텐-2-일 또는 부텐-3-일이다.
특히, 본 발명은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또는 2개 또는 3개 이하의 풀루오르이고; R이 수소, 메틸, 에틸, 알릴 또는 라디칼 S-R1이며, R1이 트리클로로메틸, 디클로플루오로메틸 또는 1,1,2,2-테트라클로로에틸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로이고; R이 수소이고; R2가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또는 각각 2- 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 또는 각각 1내지 3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고 2-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이며; R3이 수소 또는 C1-C3알킬인 것이다.
그 특수한 식물-보호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하기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이 수소, 메틸, 에틸, 알릴 또는 라디칼 S-R1이며; R1이 트리클로로메틸, 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 또는 1,1,2,2-테트라클로로에틸이고; R2가 C1-C4알킬, 산소가 삽입된 C1-C5알킬, 또는 C1-C6알콕시,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1,1,1-트리플루오로에톡시, C1-C6알킬티오, 또는 각각 2-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 또는 각각 1 내지 3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고, 2- 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이며; R3이 수소 또는 메틸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2.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이 수소, 메틸, 에틸, 알릴 또는 라디칼 S-R1이고; R1이 트리클로로메틸, 디클로로플루오로메틸 또는 1,1,2,2-테트라클로로에틸이며; R2가 C1-C4알킬, 또는 산소가 삽입된 C1-C5알킬, 또는 C1-C6알콕시,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1,1,1-트리플루오로에톡시, C1-C6알킬타오, 또는 각각 2- 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 각각 1 내지 3개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고 2-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이며; R3이 수소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3.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이 수소이고; R2가 C1-C6알콕시, C1-C6알킬티오, 또는 각각 2-또는 3-위치에 결합되는 푸릴 또는 티엔일이며; R3이 수소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하기 화합물은 특히 유리한 식물-보호 특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에톡시-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메톡시-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푸릴-2'-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 아세토니트릴;
N-(5-플루오로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4-플루오로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푸릴-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메틸티오-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이소프로필티오-2-아미노아세토니트릴.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사용하면 유해 미생물에 의한 침해로부터 식물이 보호되고 따라서 침해에 의한 식물의 손상이 방지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의 특징은 엽면투여(foliar application) 또는 토양 투여를 이용하여 식물 병원성미생물에 직접 작용시키거나 또는 식물 자체의 방어 시스템을 활성화 및 자극시킴(면역화)으로써 식물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식(Ⅰ)화합물의 최대 잇점은 생장기간 동안 다른 살균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이들 물질로 처리된 식물의 건강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을 사용함으로써 화학 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기새충 방제시 예컨대 한편으로는 유용 작물에 대한 손상(식물독성)의 결과로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내성을 갖는 유해 미생물의 발생의 결과로서 생길 수 있는 불리한 부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용 작물의 생장이 전혀 방해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화합물의 이중작용 메카니즘, 즉 식물병원균에 대한 직접적 작용 및 이들 활성성분으로 처리된 식물의 방어능력의 향상에 의하여 질병으로부터 식물을 광범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은 실제 조건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특징인 전신활성은 보호 작용이 처리 식물의 추가 생장부에까지 이르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의 일반적인 식물 보호 활성은 하기의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해 효과적이다: 불완전균류〔예: 보트리티스(Botrytis), 헬민토스푸륨(Helminthosporium), 후사륨(Fusarium), 셉토리아(Septoria), 세르코스포라(Cercospora) 및 알테르나리아(Alternaria)〕; 담자균류〔예: 헤밀레이아(Hemileia), 리조코토니아(Rhizocotonia), 푸씨니아(Puccinia)속〕; 자냥균류〔예: 벤투리아(Venturia), 포도스파에라(Podosphaera), 에리시페(Erysiphe), 모닐리니아(Monilinia), 운시눌라(Uncinula)〕.
또한 이 활성성분들은 하기 유해한 생물에 대하여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오오마이세테스(Oomycetes)[예를들어 플라스모파비티콜라(Plasmopara viticola),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페로노스포라 타바시나(Peronospora tabacina), 슈도페로노스포라(Pesudoperonospora), 브레미아 레투카에(Bremia letucae)], 불완전균류 [예를들어 콜레토트리쿰라게나륨(Colletotrichum lagenarium),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Pyricularia oryzae), 세르크스포라 니코티나에(Cercospora nicotinae)], 자낭균류 [예를들어 벤투리아 이나에쿠알리스(Venturia inaequalis)]와 같은 진균; 슈도모나다세아에(Pseudomonadaceae) [슈도모나스 라크리만스 (Pseudomonas lachrymans), 슈도모나스 토마토 (Pseudomonas tomato), 슈도모나스 타바시(Pseudomonas tabaci)]와 같은 세균; 크산토모나다세아에(Xanthomonadaceae)[예를들어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Xanthomonas oryzae), 크산토모나스 베시카토리아(Xanthomonas vesicatoria)]; 어위니아(Erwinia)[예를들어 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 및 담배 모자이크 비루스와 같은 비루스.
본 발명은 화합물은 각종 유용 작물의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식물종은 하기와 같다; 곡류(밀, 보리, 호밀, 귀리, 벼, 소굼(sorghum) 및 관련 작물); 사탕무우 (설탕제조용 사탕무우 및 사료용 사탕무우); 이과, 핵과 및 소프트푸푸트(사과, 배, 플럼, 복숭아, 아몬드, 체리, 딸기, 나무딸기 및 블랙베리); 콩과식물(강남콩, 편두(扁豆), 완두콩, 콩); 오일식물(평지, 겨자, 양귀비,올리브, 해바라기,코코넛, 피마자유 식물, 카카오, 땅콩); 박과식물(호박, 오이, 멜론); 섬유식물(목화, 아마, 삼, 황마); 감귤류(오렌지, 레몬, 그레이프푸루트, 밀감); 채소류(시금치, 상치,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당근, 양파, 토마토, 감자, 파프리카); 라우라세아에(아보카도, 계피, 캄퍼); 또는 옥수수, 담배, 견과, 커피, 사탕수수, 차, 포도나무, 호프, 무사세아에(Musaceae)와 같은 식물과 고무 나무 및 관상용 식물(꽃, 관목,낙엽수 및 침엽수). 이들 목록은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표적 작물은 다음과 같다: 오이, 담배, 포도나무, 벼, 후추, 감자, 토마토, 밀, 보리, 배 및 사과.
R이 라디칼 S-R1이고 R2가 C1-C6알콕시 또는 C1-C6알킬티오인 화합물을 제외한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염기의 존재하에 적절한 경우 촉매, 예컨대 4-디알킬아미노피리딘, 특히 4-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함께 불활성 용매에서 하기 일반식(Ⅲ)의 아미노화합물과 하기 일반식(Ⅱ)의 벤조티아디아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Z는 라디칼 COOH, Hal-CD, COOC1-C5알킬,
Figure kpo00003
V는 CH 또는 N이며,
Hal은 할로겐이고,
R'은 S-R1을 제외하고는 일반식(Ⅰ)에서의 R의 의미를 가지며,
R'2은 C1-C6알콕시 또는 C1-C6알킬티오를 제외하고는 일반식(Ⅰ)에서의 R2의 의미를 가지고,
X1,X2및 X3은 일반식(Ⅰ)에서 정의된 봐와 같다.
이 반응은 -10° 내지 160℃, 바람직하게 0℃ 내지 100℃에서 행해진다.
R의 의미중 S-R1이 제외되고(=R'), R2가 C1-C6알콕시 또는 C1-C6알킬티오인 (=R2)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a) -10°내지 160℃에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하기 일반식(Ⅲ')의 아미노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Ⅱ)의 벤조티아디아졸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Ⅳ)의 아미드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이어
b)-30°내지 70℃, 바람직하게 0°내지 40℃에서 불활성 용매에서 활로겐화제로 일반식(Ⅳ)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Ⅴ)의 할로겐 화합물로 전환시킨 다음,
c) 단리한 후 또는 단리하지 않고서, -20°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0°내지 100℃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하기 일반식(Ⅵ)의 알코올 또는 티올로 일반식(Ⅴ)의 화합물을 에테르화함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Z는 라디칼 COOH, Hal-CO, COOC1-C3알킬,
Figure kpo00005
V는 CH 또는 N이며, Hal은 할로겐이고,
R'은 S-R1을 제외하고는 일반식(Ⅰ)에서의 R의 의미이고,
R은 C1-C6알콕시 및 C1-C6알킬티오의 의미이며,
X1, X2및 X3은 일반식(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R이 S-R1의 의미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10°내지 80℃, 바람직하게는 0°내지 50℃,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일반식(Ⅳ)의 R' 이 수소인 상기 방법(a)에 의해 제조된 하기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Ⅶ)의 술펜일 할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합성된다: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Hal은 할로겐, 특히 염소이고, X1, X2, R1, R2및 R3은 일반식(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Z가 COOH인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문헌(J. Chem. Soc. 1971, 3997 참조)에 기재된 바와같이, 또는 유리하게는 하기 제조 실시예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일반식(Ⅱ)의 산 할라이드는 예컨대 티오닐 클로라이드, 포스겐, 옥살일 클로라이드 또는 1-클로로-N,N-2-트리메틸 프로펜일아민과 함께 상응하는 유리 카르복시산으로부터 제조된다 (엘. 고제쯔, J. Chem. Soc. Comm. 1979, 1180 참조). 일반식(Ⅱ)의 산 무수물은 예컨대 아세트산 무수물과 함께 상응하는 유리 산을 가열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일반식(Ⅱ)의 아미다졸리드 및 트리아졸리드는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또는 N,N-카르보닐디트리아졸과 반응시킴으로써 카르복시산으로부터 수득된다(H. A. 스텝, Angew. Chemie 1964, 132 참조).
적합한 염기는 유기 및 무기 염기, 예컨대 트리알킬아민(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등) 같은 3급 아민, 피리딘 염기(피리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피롤리딜아미노피리딘, 콜리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및 탄산수소염, 및 알칼리 금속 아세테이트이다.
사용되는 반응 매질은 특수한 반응 조건에 따라 선정된, 반응에 대해 불활성인 적합한 용매 및 희석제이다. 그 예로 하기와 같은 것들이 언급될 수 있다: 벤젠, 톨루엔, 크실렌, 석유 에테르 같은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클로로벤젠,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렌 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1,1-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알킬 에테르(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3급-부틸 메틸 에테르등), 아니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같은 에테르 및 에테르성 화합물;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같은 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같은 N,N-디알킬화 아미드; 아세톤, 디에틸 케톤, 메틸 에틸 케톤 같은 케톤; 이들 용매 상호간의 혼합물.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할로겐화제는 예컨대 염소 가스, 염화술푸릴, 브롬, 과브롬화트리메틸암모늄 및 삼브롬화인의 의미이다.
일반식(Ⅶ)의 술펜일 할라이드 및 일반식(Ⅲ)과 (Ⅲ')의 아미노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사용되며 또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질병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살균제는 본발명의 일부로 간주된다.
일반식(Ⅰ)의 활성성분은 통상 조성물 형태로 사용되며 또 식물 또는 그 주위환경에, 다른 활성성분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다른 활성성분은 비료, 미량영양소 보충제 또는 식물 생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제제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본 제제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기타 담체, 계면활성제, 또는 투여를 촉진하는 기타 보조제를 함께 함유하는 선정된 제초제, 살충제, 살진균제, 살균제, 살선충제, 살연체동물제 또는 이들 몇몇 제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및 보조제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며, 또 천연 또는 재생무기물질, 용매, 분산제, 습윤제, 점착제, 농조화제, 결합제 또는 비료등과 같이 제제기술분야에서 유리한 물질이다.
일반식(Ⅰ)의 활성성분 또는 이 활성성분으 1개 이상 함유하는 농약을 투여하는 방법은 식물에 투여하는 것이다(엽면 투여). 그러나, 식물의 재배지에 액체제제를 뿌리거나 또는 토양에 이들 성분을 고체 형태 예를들어 입상 형태로 가해주는 경우 일반식(Ⅰ)의 활성성분은 뿌리계를 통해 식물에 도달할 수 있다(토양 부여). 활성성분의 액체제제로 종자를 함침시키거나 또는 이들 종자를 고체 제제로 피복시켜줌(종자드레싱)으로써 일반식(Ⅰ)의 화합물들을 종자에 투여할 수도 있다(피복). 뿐만 아니라, 특수한 경우에는 다른 형태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컨대 식물의 식물의 줄기 또는 싹에 처리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일반식(Ⅰ)의 화합물들은 변형시키지않은 원상태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제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보조제와 함께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공지방식으로 가공하여 예를들어 유화 농축액, 피복 페이스트, 직접분무 또는 희석용액, 희석유화액, 습윤성분말, 가용성분말, 살포제, 입제로 만들 수 있고 또 중합체물질 내에 캡슐제로 조제할 수 있다. 약제의 성질 및 분무, 원자화, 흩뿌리기, 솔질하기 또는 붓기와 같은 투여방법은 의도하는 목적과 대치상황에 따라 선정된다. 유리한 투여율은 통상 헥타르당 50g 내지 5kg 활성성분 (AS), 바람직하게는 100g 내지 2kg AS/ha,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g 내지 600g AS/ha 이다.
일반식(Ⅰ)의 활성성분과 적합한 경우 고체 또는 액체 보조제를 함유하는 약제, 제제 또는 조성물등의 제형들은 이 활성성분을 전개제, 예를들어 용매, 고체담체 및 적합한 경우 표면활성화합물(계면활성제)과 긴밀하게 혼합 및/또는 연마함으로써 제조된다.
적합한 용매로는 하기와 같은 것이 있다: 크실렌 혼합물 또는 치환된 나프탈렌 등 방향족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C8내지 C12분획; 디부틸 프탈레이트 또는 디옥틸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산 에스테르; 시클로헥산 또는 파라핀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또는 모노에틸 에테르와 같은 알코올 및 글리콜과 이들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시클로헥산온과 같은 케톤;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 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강한 극성 용매; 및 식물유, 또는 에폭시화 코코넛유 또는 콩기름과 같은 에폭시화 식물유; 또는 물.
살포제 및 분산성 분말등에 사용되는 고체 담체는 통상 방해석, 활석, 카올린,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애터펄자이트와 같은 천연 암석 무기질이다.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미분쇄된 실리카 또는 미분쇄된 흡수성 중합체를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입상 흡착성 담체는 다공형 담체, 예컨대 경석, 파쇄벽돌, 세피얼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이며; 또 적합한 비흡착성 담체는 예를들어 방해석 또는 모래이다. 이밖에 다수의 입상으로 만든 무기 또는 유기질 물질, 특히 백운석 또는 분쇄 식물 잔류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형으로 만드는 일반식(Ⅰ)의 활성성분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표면 활성 화합물은 우수한 유화, 분산 및 습윤특성을 갖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N-치환체로서 1개 이상의 C8-C22알킬라디칼 또 기타 치환체로서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화된 저급알킬라디칼, 벤질 라디칼 또는 저급 히드록시 알킬 라디칼을 함유하는 4급 암모늄염이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위 수용성 비누 또는 수용성 합성 표면활성 화합물이다.
언급할 수 있는 비누는 고급지방산(C10-C22)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암모늄염, 예컨대 올레산 또는 스테아르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 또는 코코닛 오일 또는 공업용 우지(牛脂)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천연 지방산 혼합물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이다.
사용할 수 있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특히 지방 알코올 술포네이트, 지방알코올 술페이트, 술폰화 벤조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이다. 지방 알코올 술포네이트 또는 술페이트는 통상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암모늄염으로서 존재하며 C8-C22알칼리 라디칼을 갖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알코올,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및 알킬 페놀의 폴리글리콜 에테르 유도체이며, 이들은 3 내지 30개의 글리콜 에테르기를 함유하고, 또 (지방족)탄화수소 라디칼에 8개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와 알킬페놀의 알킬 라디칼에 6개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약제는 안정화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결합제, 점착제는 물론 비료와 같은 기타 보조제 또는 특수한 효과를 얻기위한 기타 활성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은 통상 0.1g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5중량%의 일반식(I)의 활성성분, 99.9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99.8 내지 5중량%의 고체 또는 액체 보조제와 0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중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하기 실시에는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제조예
1.1.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에톡시아미노아세토니트릴의 제조(화합물 1.2)
Figure kpo00007
테트라히드로푸란 140ml와 에틸 아세테이트 140ml에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 10g을 현탁시코고, 상온에서 브롬화수소산(빙초산 중 농축 용액)5방울, 또 브롬2.4ml로 이 혼합물을 처리한다. 이어 혼합물을 35 내지 40℃까지 서서히 가열하면 그 동안 반응이 개시된다. 40℃에서 1시간동안 계속 교반하고 혼합물을 -40℃까지 냉각한 후 이 온도에서 0.5시간에 걸쳐 에틸 아세테이트 10ml중 에탄올 11.4g 및 트리에틸아민 12.0ml의 용액을 적가하여 처리한다. 반응이 종결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고 그 동안 반응물의 온도가 상온까지 상승한다. 더 처리하기 위하여, 용해되지 않은 염을 제거해내고 여액을 증발시킨 후 실리카겔에서 정제시킨다(헥산/테트라히드로푸란 3:1). 생성된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헥산으로부터 재결정시키며, 이 생성물은 142℃이상에서 분해되면서 용융한다.
1.2.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아미노아세토니트릴의 제조
(중간체)
Figure kpo00008
0 내지 5℃에서 교반 및 냉각하면서 디클로로메탄 300ml중 아미노아세토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0.2g의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 31ml 및 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클로라이드 1몰 용액 100ml를 적가하여 처리한다. 혼합물을 상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하고 얼음물200ml로 처리한 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며 테트라히드로푸란/헥산 1:1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실리카겔 칼럼상에 여과시킨다. 여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이소프로판올/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한다. 생성물은 융점이 237 내지 242℃이다.
1.3 1,2,3-벤조티아디아졸-7-카르복시산의 대칭 무수물의 제조
(선구물질)
Figure kpo00009
1,2,3-벤조티아디아졸-7-카르복시산 3g을 아세트산 무수물50ml에서 24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이 묽은 현탁액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에테르로 고체 잔류물을 슬러리로 만든 후 여과해낸다. 이렇게 하여 융점 117 내지 119℃의 무수물 4.3g을 생성시킨다. 예컨대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비스-(2-옥소-3-옥사졸리딘일)-포스핀일 클로라이드와 카르복시산을 가열함으로써 동일한 화합물을 수득한다(Synthesis 1981, 616 참조).
1.4. 7-메톡시카르보닐벤조-1,2,3-티아디아졸의 제조(선구물질)
Figure kpo00010
a) 진한 염산 250ml 및 물 110ml에 메틸 2-벤질티오-3,5-디아미노벤조에이트 100g(0.35몰)을 소량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 혼합물을 -5℃까지 냉각하고, 교반하면서 2.5시간에 걸쳐 물 210ml와 아질산나트륨 48.5g(0.70몰)으로 된 용액을 적가한다. 0℃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한다.
50% 하이포인산 190ml를 2.5시간에 걸쳐 적가한다. 그후 19시간에 걸쳐 20℃까지 승온시킨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해내어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정제하기 위하여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을 통해 용액을 여과하고 증발시키며 헥산을 첨가하여 결정화시킨다. 수율 : 44.4g(이론치의 65%); 융점 132℃.
b) 1,4디옥산 500ml에 메틸 3,5-디아미노-2-벤질티오벤조에이트 576g(2몰)을 용해시키고, 0 내지 5℃에서 교반 및 냉각하면서 이 용액을 미리 반응 용기에 도입하 5N 염산(3리터)에 적가한다. 이 미세한 현탄액을 1.25시간내에 -17 내지 -20℃까지 냉각시키고 물 500ml중 아질산나트륨 294g을 현탁 수준 이하로 적가하여 처리한다. 계속 교반하면서, 1시간에 걸쳐 내부 온도를 -5℃로 승온시킨 후 2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어 혼합물을 -15℃까지 냉각시키고, -10℃ 내지 -15℃까지 냉각된 하이포인산(1.1리터)에 이 현탄액을 교반하면서 소량씩 첨가하면 질소가 발생한다. 다 참가한 후 5 내지 6시간에 걸쳐 내부 온도를 상온까지 승온시키며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해내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2.5리터와 함께 교반한 다음 용해되지 않은 입자를 다시 여과해내고 그 여액을 물로부터 분리한다. 유기상을 황산타트륨상에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300g과 함께 교반하고 용액을 재여과하여 필터를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하고 여액을 증발시킨다.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하여 융점 130 내지 133℃의 베이지색 결정 244.8g(이론치의 63.1%)을 수득한다. N
1.5. 아세토니트릴 N-(트리클로로메틸티오)-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의 제조
Figure kpo00011
10 내지 15℃에서 교반 및 냉각하면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3ml와 트리에틸아민 0.43ml로 된 용액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4ml중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0.8g 및 퍼클로로메틸메르캅탄 0.3ml의 현탄액에 적가한다. 형성되는 용액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고 얼음물로 처리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수성상을 추출한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킨다. 여과 및 증발 후, 오일상 잔류물이 잔류하고 이것을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한다(에틸아세테이트/헥산 1:2). 이렇게 하여 융점 162 내지 164℃의 고체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2
(계속)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2.일반식(I)의 활성 성분의 제형 실시예(이하, 백분율은 중량 기준임)]
[2.1 습윤성 분말]
a) b) c)
표로부터의 활성 성분 25% 50% 75%
리그닌술폰산 나트륨 5% 5% -
라우릴황산 나트륨 3% - 5%
디이소부틸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 - 6% 10%
옥틸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 2% -
(에틸렌 옥시드 7 내지 8몰)
메세하게 분할된 실리카 5% 10% 10%
카올린 62% 27% -
활성성분을 보조제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적합한 분쇄기 내에서 균질해질 때까지 분쇄한다. 이렇게 하여, 물로 희석하여 필요로하는 농도의 현탁액을 얻을 수 있는 습윤성 분말을 수득한다.
[2.2 유화농축액]
표로부터의 활성 성분 10%
옥틸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3%
(에틸렌 옥시드 4 내지 5몰)
도데실벤젠술폰산 칼슘 3%
파마자유 폴리글리콜 에테르 4%
(에테르 옥시드 35몰)
시클로핵산은 30%
크실렌 혼합물 50%
필요로하는 어떠한 농도의 유제도 이 농축액을 물로 희석하여 제조할 수 있다.
[2.3 살포제]
a) b)
표로부터의 활성 성분 5% 8%
활석 95% -
카올린 - 92%
활성성분을 담체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적합한 분쇄기에서 분쇄함으로써,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살포제를 수득한다.
[2.4 압출과립제]
표로부터의 활성 성분 10%
리그닌술폰산 나트륨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
카올린 87%
활성성분을 보조제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분쇄하고 이어 물로 습윤시킨다. 혼합물을 압출한다음 기류중에서 건조시킨다.
[2.5 피복과립제]
표로부터의 활성 성분 3%
폴리에틸렌 글리콜(분자량200) 3%
카올린 94%
혼합기내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습윤된 카올린에 미세하게 분쇄된 활성 성분을 균일하게 투여한다. 이렇게 하여 분진없이 피복된 과립제를 수득한다.
[2.6 현탁 농축액]
표로부터의 활성 성분 40%
에틸렌 글리콜 10%
노닐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테르 6%
(에틸렌 옥시드 15몰)
리그닌술폰산 나트륨 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0.2%
75% 수성 유제 형태의 실리콘유 0.8%
물 32%
미세하게 분쇄된 활성성분을 보조제와 긴밀하게 혼합한다. 이렇게 하여 어떠한 농도의 현탁액도 물로 희석하여 제조할 수 있는 현탁 농축액을 수득한다.
[3. 생물학적 실시예]
[실시예 3.1:쿠쿠미스 사티비스 엘(Cucumis sativis L.)에서 콜레토트리쿰 라게나륨(Colletotrichum lagenarium)에 대한 작용]
a) 오이식물을 2주일동안 재배한 후 활성성분위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농도: 200ppm)을 분무한다. 48시간후 진균의 포자 현탁액(1.5 × 10 포자/ml)을 식물에 접종시키고 고습도 및 23℃에서 36시간동안 배양한다. 보통의 습도 및 22℃ 내지 23℃에서 계속 배양시킨다.
접존 7 내지 8일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기준으로하여 보호작용을 평가한다.
b) 2주일동안 재배한 후, 활성 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을 토양 투여하여 오이 식물을 처리한다(농도: 토양 부피 기준으로 60ppm). 48시간 후, 진균의 포자 현탁액(1.5 × 10 포자/ml)을 식물에 접종시킨 후 고습도 및 23℃에서 36시간동안 배양한다. 보통 습도 및 22℃에서 배양을 계속한다.
접종 7 내지 8일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기준으로하여 보호 작용을 평가한다.
시험 a) 및 b)에서 표 1 내지 3의 화합물들은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화합물 1.2 및 1.39는 진균에 의한 질병을 0 내지 20%로 감소시켰다. 반면, 미처리 감염 대조식물에서는 콜레토트리쿰에 의한 질병이 100%였다.
[실시예 3.2:토마토 작물에서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에 대한 작용]
a) 3주간 재배 후, 토마토 작물에 활성 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0.02% 활성성분)을 분무한다. 24시간 후 처리된 작물에 진균위 포자낭(sporangia) 현탁액을 접종시킨다. 90 내지 100% 상대습도 및 20℃에서 감염 식물을 5일간 배양한 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평가한다.
b) 3주간의 재배 후, 활성 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토양 부피기준으로 0.006% 활성성분)을 그 재배 토양에 붓는다. 이때 분무액이 작물의 지상 부위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8시간 후 처리된 작물에 진균의 포자낭 현탁액을 접종시킨다. 감염된 작물을 90 내지 100%의 상대습도 및 20℃에서 5일동안 배양한 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평가한다.
표 1 내지 3의 화합물들은 피토프토라 진균에 대해 우수한 보호 작용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화합물 1.2 및 1.39는 진균에 의한 질병을 0 내지 20%로 감소시켰다. 반면, 미처리 감염 대조 작물에서 피토프토라에 의한 질병 수준은 100%였다.
[실시예 3.3 포도나무에서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Plasmopara viticola)에 대한 작용]
a) 4 내지 5개의 잎이난 포도나무 묘목에 활성성부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0.02% 활성성분)을 분무한다. 24시간 후 처리된 식물에 진균위 포자낭 현탁액을 접종시킨다. 95 내지 100% 상대습도 및 20℃에서 6일동안 배양한 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평가한다.
b) 잎이 4 내지 5개 있는 포도나무 묘목에 진균의 포자낭 현탁액을 접종한다. 95 내지 100%의 상대습도 및 20℃의 습실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감염된 식물을 건조시키고 활성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0.06% 활성성분)을 분무한다. 분무 피복액이 건조된 후, 처리된 식물을 다시 습실에 보관한다. 감염 6일 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평가한다.
표 1 내지 3의 화합물은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예컨대 화합물 1.2에 대해 매우 양호한 보호작용을 나타낸다(질병 0 내지 20%). 반면, 미처리 감염 대조 식물에서는 플라스모파라에 의한 질병 수준이 100%이었다.
[실시예 3.4 벼 식물에서 피리쿨라리아 오리지에(Pyricularia oryzae)에 대한 작용]
a) 2주간의 재배 후, 벼식물에 활성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0.02% 활성성분)을 분무한다. 48시간 후, 처리된 식물에 진균의 분생포자기 현탁액을 접종한다. 24℃ 및 95 내지 100% 상대습도에서 5일간 배양한 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평가한다.
b) 2주령 벼 작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활성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토양의 부피를 기준으로하여 0.006% 활성성분)을 붓는다. 이어 벼작물 줄기의 최하부위가 물에 잠길 정도로 화분에 물을 채운다. 96시간 후 처리된 이 벼 작물에 진균의 분생포자기 현탁액을 접종시킨다. 감염된 작물을 24℃ 및 95 내지 100% 상대습도에서 5일간 배양한 후에 진균에 의한 질병을 평가한다.
처리되지않은 대조식물(100% 질병)과 비교할 때, 활성성분으로서 표 1 내지 3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무액으로 처리된 벼식물에서는 진균에 의한 질병 수준이 낮다. 예를들어 시험 a)에서 화합물 1.39, 그리고 시험 b)에서 화합물 1.2는 질병을 0 내지 20%로 감소시켰다.
[3.5 베타 불가리스(Beta vulgaris; 설탕 제조용 사탕 무우, Kleinwanzleben Monogerm 품종)상의 피티움 알티뭄(Pythium altimum) 및 제아 마이스(Zea mays; 옥수수, Sweet Corn 품종)상의 피티움 울티뭄(Pythium ultimum)]
시험원리: 토양 진균; 국소 보호성 토양 투여
시험방법: 피티움 알티뭄의 균사체를 토양과 혼합하고 (토양 10리터당 균사체 현탁액 500ml), 진균/토양 혼합물을 250ml들이 플라스틱 접시에 채운다. 접시를 10℃에서 4일 동안 배양한 후 시험 작물(옥수수 또는 설탕 제조용 사탕무우)의 낟알 10개를 각 접시에 놓는다. 그 다음날, 활성 성분 20; 6; 2; 0.6 0.2; 0.06 및 0.02ppm을 함유하는, 물과 25%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 50ml 분량을 이런 방식으로 준비한 접시에 부어넣는다. 10℃에서 7일간, 또 22℃에서 4일간 배양한 후 시험 작물의 발아수를 셈으로써 시험 성분의 작용을 평가한다.
표 1 내지 3으로부터의 화합물은 피티움 울티뭄에 대해 양호한 작용을 나타낸다. 예컨대, 화합물 1.2는 80%를 초과하는 보호 작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6 밀에서 푸씨이나 그라미니스(Puccinia graminis)에 대한 작용]
a) 파종 6일후 밀 식물에 활성 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0.02% 활성성분)을 분무한다. 24시간 후 처리식물에 진균의 하포자(uredospore) 현탁액을 접종시킨다. 이 감염식물을 95 내지 100% 상대습도 및 약 2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또 이어 약 22℃의 온실에서 방치한다. 감염 12일후에 녹균병 발포 발생을 평가한다.
b) 파종 5일 후 밀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활성 성분의 습윤성 분말로부터 제조된 분무액(토양의 부피를 기준으로해서 0.006% 활성 성분)을 붓는다. 48시간 후, 처리된 식물에 진균의 하포자 현탁액을 접종시킨다. 이어 이 감염식물을 95 내지 100% 상대습도 및 약 2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또 이어 약22℃의 온실에 방치한다. 감염 12일 후에 녹균병 발포 발생을 평가한다.
표 1 내지 3의 화합물들은 푸씨니아종의 진균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화합물 1.2는 진균에 의한 질병을 0 내지 20%로 감소시켰다. 한편, 미처리 감염 대조식물에서 푸씨니아에 의한 질병 수준은 100%이었다.
[실시예 3.7 밀에서 에리시페 그라미니스(Erysiphe graminis)에 대한 작용]
1988년 9월말에 스위스연방 프리부르그 선트 오빈에 소재하는 익스페리맨탈 스테이숀(Experimental Station)에서 아에스티붐(Aestivum) 밀 베르니나(Bernina) 품종을 시험 화분에 파종하였다. 1989년 4월 첫째주에, 평균 높이가 약 20cm이고 에리시페 그라미니스에 의한 최대 자연 질병 수준이 1%인 식물에 헥타아르당 물500리터당 125g의 농도인 활성 성분의 수성 현탁액을 엽면 투여 장치에 의해 분무하여 처리하였다.
처리한지 55일 후 진균에 의한 질병을 기준으로 하여 보호 작용을 평가하였다.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된 표 1 내지 3의 화합물은 에리시페 그라미니스에 대해 양호한 작용을 나타내었다. 예를들어 화합물 1.2로 처리된 식물은 에리시페에 의한 질병에 거의 걸리지 않았다. (0 내지 15% 손상). 반면, 동일한 조건하에서 질병에 걸리기 쉬운 미처리 대조 식물은 35%의 질병 수준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8 담배 작물에서 페로노스포라 타바시나(Peronospora tabacina)에 대한 작용]
[엽면투여]
담배 작물에 재형된 활성 성분의 용액(농도: 0.02% 활성 성분)을 분무한다. 처리한 지 4일 후, 식물에 페로노스포라 타바시나의 포자낭 현탁액(10 포자낭/ml)을 접종하고, 암흑하에 고습도 및 25℃에서 20시간 동안 방치한후 정상적인 광주기로 더 배양한다.
이 시험에서, 증상은 진균에 의한 질병을 나타내는 잎 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한다.
이 시험에서 예컨대 화합물 1.2로 처리된 식물은 질병 수준이 0 내지 35%였다. 반면, 대조 식물에서 질병 수준은 90 내지 100%였다.
[실시예 3.9 상치에서 브레미아 락투카에(Bremia lactucae)에 대한 작용]
각각 멸균된 베어미클라이트(박리된 운모; Vermica AG, Bozen, CH)를 함유하는 페트리 접시에, 활성성분 10ppm을 함유하는 시험 현탁액 80ml 분량을 넣는다. 그 다음 각 페트리 접시의 처리된 베어미클라이트 층의 표면에 상치 종자 50개를 놓고 약 21℃ 및 낮 12시간/밤 12시간의 광주기로 약7일간 배양한다. 분무된 포자 현탁액(농도 ml당5×10 포자)을 발생한 식물에 접종한다. 이렇게 준비한 페트리 접시를 암흑하에 16℃에서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약하게 조명하면서 12시간 광주기로 계속 배양한다. 감염 2 내지 3주 후, 감염된 종자의 수를 세고 약제를 넣지 않은 대조 접시와 비교함으로써 효과을 결정한다.
표 1내지 3의 화합물은 브레미아에 대해 양호한 작용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화합물 1.2 또는 1.39로 처리하면 종자종 20% 미만만이 질병에 걸린다. 반면, 미처리 감염 대조 접시에서의 질병 수준은 90%이상이었다.

Claims (12)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Figure kpo00016
    상기식에서, X1및 X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이고, R은 수소 또는 라디칼 SCCl3이고, R2는 O-메틸, O-에틸, O-부틸-i, O-헥실-n, 3-티에닐, 3'-티에닐, S-메틸, S-프로필-i, 메톡시메틸, 2'-푸릴 또는 3-푸릴이며,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또는 2개 또는 모두 3개 이하의 플루오르인 일반식(I)의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이 수소이고; R2가 O-메틸, O-에틸, O-부틸-i, 3-티에닐, 3'-티에닐, S-메틸, S-프로필-i, 메톡시메틸, 2'-푸릴 또는 3-푸릴이며; R3이 수소 또는 C1-C3알킬인 일반식(I)의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3이 수소 또는 메틸이니 일반식(I)의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3이 수소인 일반식(I)의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X1및 X2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플루오르이고, R이 수소이고, R3이 수소인 일반식(I)의 화합물.
  7. 하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부터의 화합물: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에톡시-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메톡시-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푸릴-2'-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2'-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5-플루오로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4-플루오로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티오펜-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푸릴-3'-일)-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메틸티오-2-아미노아세토니트릴; N-(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보닐)-2-이소프로필티오-2-아미노아세토니트릴.
  8. -10 내지 160℃의 불활성 용매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적절한 경우 촉매와 함께 하기 일반식(III)의 아미노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II)의 벤조티아디아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7
    상기식에서, X1및 X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재 3개의 할로겐이고, R은 수소이고, R2은 3-티에닐, 3'-티에닐, 메톡시메틸, 2'-푸릴 또는 3-푸릴이며,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Z는 라디칼 COOH, Hal-CO, COOC1-C5알킬,
    Figure kpo00018
    V는 CH 또는 N이며, Hal은 할로겐이고, R'은 수소이며, R2'은 3-티에닐, 3'-티에닐, 메톡시메틸, 2'-푸릴 또는 3-푸릴이다.
  9. a)-10내지 160℃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하기 일반식(III')의 아미노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II)의 베조티아디아졸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IV)의 아미드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b)-30 내지 70℃에서 불활성 용매에서 할로겐화제를 이용하여 일반식(IV)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V)의 할로겐 화합물로 전환시킨 후, c)단리한 후 또는 단리하지 않은 상태로 -20 내지 160℃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일반식(V)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VI)의 알코올 또는 티올로 에테르화함으로써, 하기 일반식(I)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9
    상기식에서, X1및 X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이고, R은 수소이고, R2는 O-메틸, O-에틸,O-부틸-i,O-헥실-n,S-메틸 또는 S-프로필-i이며,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Z는 라디칼 COOH, Hal-CO, COOC1-C3알킬,
    Figure kpo00020
    V는 CH 또는 N이며, Hal은 할로겐이고, R'은 수소이며, R2'' 은 O-메틸, O-에틸, O-부틸-i, O-헥실-n, S-메틸 또는 S-프로필-i이다.
  10. -10 내지 80℃에서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하기 일반식(VII)의 술펜일 할라이드와 하기 일반식(Ia)의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상기식에서, X1및 X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할로겐이고, R은 라디칼 SCCl3이고, R2는 O-메틸, O-에틸, O-부틸-i, O-헥실-n, 3-티에닐, 3'-티에닐, S-메틸, S-프로필-i, 메톡시메틸, 2'-푸릴 또는 3-푸릴이며,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며, Hal은 할로겐이고, R1은 라디칼 CCl3이다.
  11. 통상적인 담체 및 보조 성분외에 활성 성분으로서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 1 이상을 함유하는, 미생물에 의한 공격에 대해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약제.
  12. 제11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진균인 약제.
KR1019900003013A 1989-03-08 1990-03-08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0143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864/89-5 1989-03-08
CH86489 1989-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343A KR900014343A (ko) 1990-10-23
KR0143775B1 true KR0143775B1 (ko) 1998-07-15

Family

ID=419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013A KR0143775B1 (ko) 1989-03-08 1990-03-08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066661A (ko)
EP (1) EP0387195B1 (ko)
JP (1) JPH02273665A (ko)
KR (1) KR0143775B1 (ko)
AT (1) ATE109139T1 (ko)
CA (1) CA2011583A1 (ko)
DE (1) DE59006541D1 (ko)
DK (1) DK0387195T3 (ko)
ES (1) ES205750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2607A (en) * 1989-02-21 1994-04-12 Ciba-Geigy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protecting plants against disease
US5260423A (en) * 1991-03-06 1993-11-09 Ciba-Geigy Corporation Substituted benzo-1,2,3-thiadiazoles
EP0517660B1 (de) * 1991-06-05 1997-04-23 Novartis AG Benzo-1,2,3-thiadiazol-Derivate
JPH1017566A (ja) * 1996-07-05 1998-01-20 Nippon Bayeragrochem Kk 1,2,3−ベンゾチアジアゾール誘導体及び植物病害防除剤
CN101058574B (zh) * 2005-12-14 2010-05-26 南开大学 苯并[1,2,3]噻二唑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用途
DE102008006622A1 (de) * 2008-01-29 2009-07-30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Verwendung von Benzothiadiazolen
PL232272B1 (pl) * 2015-07-28 2019-05-31 Fundacja Univ Im Adama Mickiewicza W Poznaniu Zastosowanie amidów 7-karboksybenzo[1,2,3]tiadiazolu jako regulatora wzrostu roślin
CN112983674B (zh) * 2021-03-12 2021-11-19 中北大学 涡旋式氢焰磁流体发电/喷气发动一体机及发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6799A (en) * 1966-10-21 1970-01-07 Shell Int Research Novel Biocides and their preparation
GB1177972A (en) * 1967-08-03 1970-01-14 Shell Int Research Benzothiadiazole Derivatives
DE3274859D1 (en) * 1981-03-19 1987-02-05 Ici Plc Amide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their use as fungicides and pest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GB8422592D0 (en) * 1984-09-07 1984-10-10 Ici Plc Biologically active amide derivatives
US4804762A (en) * 1986-05-13 1989-02-14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N-cyanoalkylisonicotinamide derivatives
EP0268892A3 (en) * 1986-11-06 1990-10-10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Substituted-amido derivatives,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and phytopathogenic fungicides containing the same
DE3642450A1 (de) * 1986-12-12 1988-06-23 Bayer Ag Substituierte benzamide
ES2061556T3 (es) * 1987-05-26 1994-12-16 Sumitomo Chemical Co Derivados amida y su produccion y fungicidas agricolas que los contienen.
ATE82668T1 (de) * 1987-08-21 1992-12-15 Ciba Geigy Ag Benzothiadiazole und ihre verwendung in verfahren und mitteln gegen pflanzenkrankhei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1583A1 (en) 1990-09-08
DE59006541D1 (de) 1994-09-01
EP0387195B1 (de) 1994-07-27
ATE109139T1 (de) 1994-08-15
DK0387195T3 (da) 1994-08-22
EP0387195A1 (de) 1990-09-12
US5066661A (en) 1991-11-19
KR900014343A (ko) 1990-10-23
JPH02273665A (ja) 1990-11-08
ES2057505T3 (es) 199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2640B2 (en) Heterocyclic substituted dihaloisonicotinicacidamides for protecting plants against microorganisms
KR970001484B1 (ko) 병에 대해 식물을 면역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4785002A (en) Imidazo-pyrrolo-pyridines useful as fungicidal and growth-regulating agents
WO2007108483A1 (ja) N-2-(ヘテロ)アリールエチル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WO1996037472A2 (en) Pyridine-microbicides
JPH04288005A (ja) 複素環置換スルホン類を基材とした殺菌殺カビ剤
KR100406819B1 (ko) 살진균제,살비제또는살충제로서유용한n-(오르토-치환벤질옥시)이민유도체
KR0143775B1 (ko) N-(시아노메틸)-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09512B1 (ko) 병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방법
JPH11500103A (ja) 置換されたカルボン酸アミド及びその殺菌・殺カビ剤としての使用
KR0168051B1 (ko) N-아실-및 n-술포닐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AU623120B2 (en) 2,6-dihalo-isonicotinic acid ester derivatives
PT89845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uma composicao pesticida contendo acrilatos substituidos e de produtos intermediarios
US5248683A (en) Benzo-1,2,3-thiadiazole derivatives
JPH01283271A (ja) アシル化尿素誘導体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微生物の感染から植物を保護するための製剤
KR0152666B1 (ko) 벤조-1,2,3-티아디아졸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0282792B1 (de) Substituierte 2,3-Epoxy-5-cyclohexenonderivate und diese enthaltende Fungizide und Herbizide
KR0143778B1 (ko) 벤조-1,2,3-티아디아졸-7-카르복시산 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EP0697409A1 (en) Isothiazole derivatives containing (an) iodoalkylnyl group(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fungicide and/or bactericide
JPH08505135A (ja) アラルキルオキシー及びアラルキルチオアルコキシイミノ誘導体と、殺菌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JPH06509320A (ja) 置換サリチルアミド類、植物の病気に対する薬剤
GB2357971A (en) Protection of plants against microorganism attack
CA1339862C (en) Optically active cyclopropanecarboxamides
US6054621A (en) Alkoxyacrylic acid thiol esters used as fungicides
US4729998A (en) Cyclic carbamates and fungicid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