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758B1 -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 Google Patents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758B1
KR0143758B1 KR1019930002573A KR930002573A KR0143758B1 KR 0143758 B1 KR0143758 B1 KR 0143758B1 KR 1019930002573 A KR1019930002573 A KR 1019930002573A KR 930002573 A KR930002573 A KR 930002573A KR 0143758 B1 KR0143758 B1 KR 014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support
data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776A (ko
Inventor
에릭 킬베이 브리안
시그니 쿨비어 브루스
프랭크 간디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사이칙
더 휘테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29203890A external-priority patent/GB9203890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29203888A external-priority patent/GB9203888D0/en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사이칙, 더 휘테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 엘. 사이칙
Publication of KR93001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1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cab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8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tubular configuration, e.g. slotted tube-en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는 다수의 전기 터미널을 수반하는 내부 터미널 지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터미널 지지 하우징은 터미널 지지 하우징을 둘러싸는 시일드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시일드형 서브-어셈블리는 외부하우징 속으로 삽입 가능하여서 그 안에 걸려서 부착될 수 있고 배후 지지평판과 케이블지지부재는 실질적으로 이분형으로 되어 잠겨지고 다중도체 케이블의 종단 후 케이블 둘레에 조립가능하다. 케이블 클램프부분은 2방향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가능하여서 직선통과 또는 얼마의 각을 이룬 상태로의 케이블 방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제1도는 일부 단면상태로 나타낸 본 발명의 데이타 코넥터의 상면도.
제2도는 코넥터의 배후를 통해 얼마의 각도를 방출되는 데이타 케이블을 보여주는 제1도의 유사도.
제3도는 터미널 지지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한 터미널을 보여주는 내부 터미널 지지하우징의 사시도.
제4도는 회전된 상태의 터미널 지지하우징의 사시도.
제5도는 외부절연하우징의 사시도.
제6도는 미리 조립된 상태의 배후 지지판의 평면도.
제7도는 겹쳐진 상태의 배후 지지평판을 보여주는 제6도의 유사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배후 지지평판의 배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지지평판의 측면도.
제10도는 조립에 앞서 케이블 스트레인 릴리이프 부재의 내부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케이블 지지부재가 접혀져서0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12는 제11도에 도시한 케이블 지지부재의 외부평면도.
제13도는 제11도 및 12도의 조립된 케이블 지지부재의 배면도.
제14도는 하부 시일드부재의 상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시일드부재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하부 시일드부재의 배면도.
제17도는 상부 시일드부재의 상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한 상부 시일드부재의 측면도.
제19도는 제17도에 도시한 사부 시일드부재의 배면도.
제20도는 조립상태의 상·하부 시일드부재의 상면도.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한 조립상태의 측면도.
제22도는 제20도 및 21도의 조립상태의 배면도.
제23도는 절연와이어가 종단된 위치에 놓인 것을 보여주는 내부 터미널 지지 플랫폼의 상면도.
제24도 및 25도는 2각도에서의 케이블 방출을 보여주는 데이타 코넥터의 제2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26도는 배후 지지평판의 제3구현예의 정면도.
제27도는 제26도에 도시한 평판의 측면도.
제28도는 제26도에 도시한 평판의 배면도.
제29도는 제26도의 평판의 단부도.
제30도는 제26도-29도의 배후 지지평판과 사용하기 위한 케이블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제31도는 제30도의 케이블 지지부재의 단부도.
제32도는 제30도의 케이블 지지부재의 단부도.
제33도는 제30도의 케이블 지지부재의 외면도.
제34도 및 35도는 제26도-33도의 배후 지지평판 및 케이블 슬리이브와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케이블 방출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내부 하우징 6:외부 하우징
8:배후 지지평판 10:케이블 클램프부분
12:시일드형 어셈블리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망 접속부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4,501,459호 데이타통신산업에 특별히 사용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망 코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코넥터는 컴퓨터 터미널들이 하나의 시스템에 접속된 수 있는 그러한 다양한 장비중의 폐회로 데이타통신 링크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코넥터는 사무실에 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통신망의 다수의 마이크로 또는 미니컴퓨터를 상호연결시키는데 특별히 채택된다.
이러한 형식의 코넥터는 표준공유치수 및 형태를 가진다.
이 코넥터는 아울러 통신망의 신호가 의사 신호 및 소음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시일드되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코넥터는 도체들이 통신망의 일부분으로서 기타 유사한 코넥터와 일련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분류능력(sdunting capability)을 요구한다. 이 분류능력은 개개 플러그가 외부장비에 연결되어 있지 않았을 때 회로망의 혼란을 막는데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근거리통신망 코넥터의 구조 및 구성요소들은 상기 언급한 미국특허 제4,501,459호에서 보여준 코넥터의 구조에 의해 설명가능하다. 이러한 코넥터는 다수의 스프링 메탈 터미널을 포함하며 이들 터미널은 다중도체 시일드형 케이블을 형성하는 개개 도체들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하는 절연물 배제 와이어 베럴(barrel)을 가진다. 터미널들은 지지하우징상에 위치하고 상부 및 하부 시일드는 터미널과 지지하우징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로 놓여질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커버부재에는 시일드부재가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커버부재들은 상호취합되어 도체를 상호캡슐화하도록 그리고 상부 및 하부시일드를 케이블 시일딩부에 덮히도록 한다.
이러한 산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식의 저가의 근거리통신망 코넥터가 필요하다. 하나의 그와같이 설계된 것이 PCT공개 W088/04841에서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내부절연 터미널 지지하우징은 시일드형 서브-어셈블 리가 예비성형된 외부 보호용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을 둘러싸는 상부 및 하부 시일드를 가진다. 이 보호용 하우징은 데이타 링크의 라이크 코넥터(like connector)와 상호 접속관계로 취합되는 걸림구조를 갖는다. 상기 언급한 PCT공보는 고양된 저가의 데이타 코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지만, 이 디자인은 모든 데이타 접속필요부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예컨대, 케이블은 코넥터로부터 종선을 따라 직선으로 전기코넥터를 방출시킬 수 있는 실현성을 가져야만 한다. 이 케이블은 또한 케이블이 마루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또는 코넥터가 미소한 간격의 적용을 받을 경우 적용부에서 얼마의 각도로 방출될 수 있는 실현성을 가져야 한다.
아울러, 몇몇 적용에 있어서는 전기터미널에 대한 전기 도체의 종단후 그리고 외부 시일드부재가 시일드형 데이타 케이블상에 어느 위치에 놓여 진후 외부하우징이 내부 하우징 위로 미끄럼가능하게 수취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언급한 PCT출원의 개시에 있어, 미리 성형된 부우트(boot)는 개개 데이타 도체들을 터미널 지지하우징의 대응터미널에 조립하기에 앞서 케이블상에 삽입되어져야 한다.
아울러 소비자측의 수동조립이 용이하고 시일드를 위한 형식적인 요구 사항을 수용하고 크로스 토크 디자인(cross talk design)이 가능한 일반적인 형식의 근거리통신망 코넥터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디자인에 있어, 코넥터들은 개개 와이어들을 위치시켜 이들 와이어를 전기터미널의 와이어 배럴상에 표시되는 측방향 위치에 유지시키는 소위 말하는 스터퍼 캡(stuffer cap)을 포함한다.
그와같은 코넥터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쌍으로 꼬여져서 쌍을 이룬 비꼬임은 최소한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응 전기터미널에 대한 와이어의 종단후, 외부 하우징이 내부의 시일드된 서브-어셈블리상에 삽입될 수 있는 전기코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코넥터 어셈블 리가 다양한 케이블 방출각도의 실현성을 포함하고, 그리고 특히 교호적인 각도위치가 과다한 코넥터부품들을 요하지 않는 저가의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다른 목적은 코넥터 어셈블 리가 적절한 EMI/RFI 및 크로스토크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저가의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은 자체에 다수의 병렬형 터미널이 배치된 절연터미널 지지플랫폼을 포함하고, 이 플랫폼은 플랫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부절연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외부 하우징은 코넥터를 취합구성부품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기구를 가지는 것으로 된, 데이타 케이블에 전기접속시키기 위한 전기데이타 코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이 코넥터는 상기 외부 절연하우징이 상기 터미널 지지플랫폼과 같은 크기의 배후개구를 가지며 아울러 상기 플랫폼의 전방취합면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는 형상을 가지며, 케이블 지지부재가 상기 데이타 케이블상에 미끄럼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절연 하우징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아울러 그에 대해 스냅걸림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부재는 상기 데이타 케이블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트레인 릴리이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데이타 케이블에 전기접속시키기 위한 전기데이타 코넥터는 절연하우징에 위치한 다수의 전기터미널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하는 케이블 방출개구 및 데이타 케이블을 지지하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 슬리이브를 가진다. 코넥터는 케이블 지지 슬리이브가 다수의 위치에서 케이블 방출개구에 고정되어 다수의 케이블 방출방향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있어, 전기코넥터는 다수의 전기터미널을 수반하는 절연하우징을 가지며, 터미널은 접촉부와 와이어 종단부를 포함하고, 와이어 종단부는 절연된 와이어와 절연물을 관통하여 전기접속하기 위한 금속판부재내의 슬롯, 및 캡이 와이어 종단부에 삽입되어 와이어를 터미널에 전기접속시키도록 하기 위해 절연형 와이어를 수용하는 스터퍼캡을 포함한다. 코넥터는 스터퍼캡이 다수의 관통형 개구를 가져서 종단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하는 배후벽을 가지는 특징을 이룬다. 배후벽은 코넥터의 종방향 중앙선에 대면하는 각을 이룬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와이어는 종방향 중앙선을 향해 얼마의 각도로 마무리되어진다.
그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전기적으로 시일드된 데이타 코넥터가 전체적으로 부호 2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코넥터는 내부 터미널 지지하우징(45), 외부 절연하우징(6), 배후 지지판(8), 배후 케이블 지지슬리이브(10) 및 상기 외부 절연하우징(4)의 외주를 압착시키는 시일드 어셈블리(12)로 구성된다.
제3도에 관련하여, 내부 절연하우징(4)은 직립측벽(18)을 가지는 터미널 지지 플랫폼부분(16)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터미널 지지 플랫폼부분(16)은 전체를 부호 20으로 도시한 다수의 터미널 수용슬롯을 포함하고, 측벽(18)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부호 22로 도시한 노치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후드부분은 2측벽(18)을 걸어서 상호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부호 24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후드부분(24)의 저면(26)은 전체적으로 부호 28로 도시한 종방향 연장리브에 의해 끊겨 있다(제3도 및 제4도 참조). 전체적으로 부호 30으로 도시한 터미널은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배럴부분(34)과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분(36)을 가지는 베이스부분(32)을 포함하며, 접촉부분은 자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계단부분(38)을 가진다.
터미널(30)은 제3도에 도시한 각 터미널 수용슬롯(20)속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어 접촉부분(36)이 터미널 지지하우징(4)의 전방 취합단(40)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보적인 코넥터와 상호접속 취합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터미널 지지하우징은 아울러 전기터미널(30)들은 상호걸면서 하나 걸어있는 터미널의 계단부분(38)을 선택적으로 접촉시켜 미국특허 제4,501,459호 완전히 개시된 폐회로 전기접속을 제공하는 2개의 선트바아(shunt bar)를 포함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터미널 지지하우징(4)은 아울러 터미널 지지하우징의 저면(48)상에 위치한 하부의 절연블록부분(46)을 포함한다.
제5도에 있어, 외부 절연하우징은 부호 6으로 도시되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 하우징(6)은 중앙몸체부분(5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몸체부분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종단면상 사각형을 이루며 각 측부상에 있는 측벽(52)들은 측벽을 통해 연장된 전, 후방 윈도우(54,5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6)은 아울러 상·하부 걸림 아암(58,60)을 포함하는데 이 아암들은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 플라스틱재료로 된 일체형 웨브를 통해 상·하부면(62,64)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걸림 아암(58,60)은 T형 바아(66) 및 T형 슬롯(68)과 같은 것으로 언급되는 표준형 걸림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이들 걸림부재(66,68)는 데이타링크의 라이크 코넥터와 자응단체로 상호 접속하게 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은 아울러코넥터 하우징(6)의 내면(74)을 가로질러 걸어주는 내부 리브(70)를 포함한다.
제6도 내지 9도에 있어, 배후 지지판(8)은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배후 지지판(8)은 2개의 지지절반부(75 및 76)를 포함하는데 이들 절반부는 중앙웨브(78)를 거쳐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제6도 및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은 U형으로 되어져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정렬된 U형 평판부재에 의해 형성된 타원형 개구(85)를 형성되어지는 2부분(80 및 82)을 포함하며, 제6도 및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86)은 표면(87)에 접하고, 표면(88)은 표면(90)에 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 표면(88)은 핀수용구멍(92)을 포함하고, 표면(90)은 2평판 절반부가 제8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 구멍(92)속에 정렬시키는 핀(94)을 포함한다.
2개의 지지바아(96)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면(98)으로부터 연장하고 전방레그부분(100)은 각측부상에 2개의 지지부재(96)를 상호접속시킨다. 각 절반부(75 및 76)는 아울러 걸림부재(102)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내부면(98)으로부터 연장하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면(104) 및 도입고정용숄더(106)를 포함한다. 2개의 리세스형 수평연부는 제8도에 부호 108 및 1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협동하는 평판부재(75 및 78)에 의해 형성된다. 2전방 평판부재(75 및 76)에 의해 형성된 내부면(98)으로부터 연장되어 타원형개구(85)를 둘러싼다. 제7도 및 8도에는 타원형 개구(85)가 하나의 각진 표면(115)을 가지며 다른 표면(116)은 종방향 아치형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제10-13도에 관련하여, 케이블 지지슬리이브(10)가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케이블 지지부재(10)는 제10도에서 2개의 절단부(120 및 122)로 구성되며 2 절반부는 중앙 종방향웨브(4)를 통해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케이블 지지절반부(120 및 122)는 제11도 또는 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인접하는 표면들을 형성하도록 협조하는 표면(126 및 128), 및 (130 및 132)을 포함한다.
제10도 및 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블 지지절반부(120 및 122)는 내부 베벨형 표면(135 및 136) 및 반원통형 표면(137 및 138)을 포함하고 반원통형표면을 제10도 및 13도에 전체적으로 부호 140으로 도시한 붕괴성 막을 내포한다. 케이블 체결 절반부(120 및 122)는 아울러 측면위치 조정용리브(142)를 포함하는데 이 리브는 이격 상태로 평행하여 그들 사이에 내부 공간(143)을 형성하게 된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브(142)들은 위치 조정용표면(144,145 및 146)을 포함한다. 제12도에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지지절반부(120 및 122)는 또한 차후 상술하는 바와 같은 슬롯(148 및 150)을 포함한다.
제14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제1도에 도시한 시일드형 어셈블리(12)는 부분적으로 하부 시일드형 평판(120) 및 측판(164)을 가지는 하부 시일드부재(160)에 의해 구성된다. 하부 평판(162)는 계단형 부분(166)을 포함하여서 하부 블록부분(46)(제3도에 도시했음)을 둘러싸기 위한 시일드부재를 형성하고 아울러 전방으로 연장하는 2개의 전방 시일드용 날개(168)를 포함한다. 각 측벽(164)는 외향돌기 오목부(170), 내향정렬변형부(170), 배후고정란스(lance)(174), 직립형고정태브(176) 및 슬롯(178)을 포함한다.
제16도에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배후평판부분(180)은 하부평판부분(162)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해 형성되고 아울러 각인된 혁대형 부분(184)을 통해 평판부분(180)에 연결된 일체형 케이블수용클램프(182)를 포함한다.
제17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시일드부재(185)는 각 측연부로부터 외향하여 연장되는 태브(187) 및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태브(188)을 가지는 상부 평판부(186)는 포함한다.
2개 시일드용 날개(186)는 이 상부 평판(186)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186)들은 차후 상술하는 바와 같이 배후 평판(186)에 대해 약간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시일드 부재(185)는 U형 개구(92)를 가지며 시라우드부분(192)에 의해 형성된 배후 평판부분(19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었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평판부(186)는 배후 평판부분(190)에 대해 약간의 각도로 위치한다. 2개의 태브(193)은 배후 평판부분(19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이 역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3도에 관해, 스터퍼캡(200)은 터미널(30)(제3도에 도시했음)의 외부 배럴부분(34)을 오버랩할 수 있도록 형성화된 원통형 플라스틱 배럴부분(202)을 가지는 플라스틱재질의 일체형 블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스터퍼캡의 상부면으로부터 멀리 하방으로 위치하고 배럴부분(202)과 공동축상태로 정렬된 내부 페그부분(204)을 포함한다.
각 원통형부분(202)은 원통형벽(20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와이어가 원통형 부분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고 아울러 페그(peg)(204)의 자유단에 대해 위치되도록 하는 배후와이어 방출슬롯(20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 스터퍼 캡은 또한 배후 평판부분(210,212,214 및 216)을 포함하는데 각 평판부분(210-216)은 슬롯(208)에 실질적으로 유사한 와이어스용 슬롯(218-224)을 포함한다.
각 평판부분(210-216)은 제18도에 L로서 도시한 중앙 종축선을 향하여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상부캡(200)은 또한 각 측부상에 위치한 정렬용 리브(225)를 포함하며, 이 리브는 제3도에 도시한 하우징(4)의 내부 측벽(18)상의 슬롯(23)에 수용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설명한 개개 부품들과 더불어, 제1도에 도시한 시일드형 케이블(230)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시일드형 케이블(230)은 내부 시일드용 편조물(braid)을 둘러싸는 외부절연물을 포함하며, 상기 편조물을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꼬임 쌍을 이룬 데이타도체들을 둘러싼다. 제2도에 도시한 압착용 클램프(240)는 데이타 케이블(230)의 단부 위를 미끄러진다. 이 압착용 클램프는 PCT출원 공개번호 W088/04841에 도시한 것과 같다.
전기 데이타 코넥터 어셈블리는 시일드형 케이블(230)의 시일드용 편조물을 노출시키기 위해 시일드형 케이블(230)의 자유단을 일차 벗겨냄으로써 조립된다. 자유단쪽의 일부분의 시일드용 편조물은 개개 데이타 도체(235)를 노출시킬 수 있게 후차적으로 절단되며, 아울러 결합된 슬롯(208 및 218)속에 놓여져서 각 도체(235)를 어느 한 절연성 배럴 부재(202)에 위치하도록 하고 또한 어느한 페그(204)에 대하여 위치한다. 스터퍼 캡(200)은 이때 측면 리브(225)가 측면슬롯(23)에 위치하여 지도록 하우징 부재(4)와 정렬될 수 있으며 측면슬롯(23)은 터미널(30)의 대응 배럴터미널(34)과 절연성 배럴부재(202)를 정렬시킨다. 스터퍼 캡상을 압착하여 개개의 절연된 도체를 제3도에 도시한 배럴슬롯(35)에 위치시킨다.
하부 시일드부재(160)는 이때 변형부(172)가 측벽(18)의 측면노치(22)에 위치하도록 그리고 일체형 클램프(182)가 시일드된 데이타코넥터의 시일드용 편조물을 둘러싸도록 하우징 부재(4) 둘레에 놓여질 수 있다. 클램프 부재(240)는 이때 전방으로 미끄러져서 클램프(182)를 압착시키고 케이블의 시일드형 편조물과 하부 시일드 사이의 적절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도록 압착될 수 있다. 상부 시일드부분(185)은 전방 날개 부재(189)(제17도)를 후드부분(24)밑의 하우징 부재(4)속으로 삽입시킴으로써 하부 시일드부분에 조립되어져서, 날개부재가 리브(28)에 걸리도록 한다.
설계된 바와같이, 평판부분(190)과 함께, 상부 시일드부분(185)은 태브(187)가 윈도우(178)속에 위치하도록 제 위치에서 반발하고, 그리고 상부 시일드부분은 하부 시일드부분(160)에 부하가 걸린 스프링이다.
설계된 바와 같이, 제20-22도에 도시한 시일드 어셈블리는 EMI/RFI 윈도우를 전혀 내포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하부 시일드에 생긴 각 구멍이 상부 시일드의 태브부분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구멍(178)(제15도)은 태브(187)(제17도)에 의해 채워지고, 공간은 태브(174)에 의해 형성된다.
아울러 내향변형부(172)는 노치(22)에 위치하고, 정렬용 태브(188)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어셈블리의 폭을 넘지 않는 변형부에 위치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외부 하우징 부재(6)는 이때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드부재(160)의 전방연부와 함께 하부 블록부분(46)이 외부하우징의 하우징의 전방연부와 함께 하부 블록부분(46)이 외부 하우징의 하우징의 전방연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리브(70)와 접할 때까지 전방부로부터 터미널 지지 플랫폼(4)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될 수도 있다. 하우징(6)이 터미널 하우징(4) 위에 완전히 수용된 위치에서, 하부 시일드부재 (160)의 측면 고정용란스(174)는 외부 하우징부재(6)의 전방윈도우(54)의 어느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때 설치자는 케이블이 직선상태 또는 얼마의 각도를 갖는 상태로 존재해야 할 것인지, 그리고 제10-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케이블 지지부재가 어느 방향으로 사용될는지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직선방출을 원한다면, 케이블 지지슬리이브(10)는 케이블 슬리이브가 케이블을 둘러싸는 위치까지(제11도 또는 13도중에 도시한 형태로) 테이타 케이블(23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고, 케이블 지지슬리이브(10)는 슬롯(148)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세스형 슬롯부분(108,110)에 위치하도록 배후평판내에 위치하게 된다. 배후평판은 그 다음 제8도에 도시한 케이블 지지부재(10) 둘레에 완전하게 배치되어서 걸림아암(102)이 외부 하우징부분(6)의 윈도우(56)에 걸리는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향해 밀려진다.
만약 사용자가 각도를 가지는 와이어방출을 원한다면, 케이블 지지부재(10)는 슬롯(150)이 배후 지지부재(8)의 리세스형 슬롯(108)과 (110) 사이에 위치하고 배후 지지부재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0°의 각도로 회전된다는 점 이외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방도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2도의 형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135 및 136)은 둘레에 케이블이 구부러질 수 있는 릴리이프 앵글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현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6)은 도체들의 종단후 및 시일드 어셈블리(12)의 설치후 시일드된 서브-어셈블리 위에 바람직하게 미끄러져서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배후 지지평판(8) 및 케이블 지지부재(10)가 사실상 이분되고 그리고 케이블이 하우징(4)에 설치된 후 케이블을 둘러쌀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도 배후케이블 슬리이브(10)는 코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여분 부품을 추가함없이 직선관통형 및 각도형 케이블 방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터퍼 캡은 코넥터 어셈블리의 종축선쪽으로 향하여 있는 평판부를 가지며 따라서 꼬임부가 전기 터미널에 근접하여 연장되어서 코넥터 어셈블리에 대해 보다 양호한 크로스 토크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제24도 및 25돠에 대해, 코넥터의 제2구형예가 부호 300으로 도시되었는바, 이 코넥터는 변형된 배후 지지평판(308) 및 변형된 케이블 지지슬리이브(310)를 갖는다. 지지평판은 각 측부상에 2레그(312)를 상호 접속시키는 포스트(314) 및 레그(312)를 가지는 앞서의 지지평판과 유사하다.
배후 지지평판은 또한 변형된 케이블 슬리이브(310)로 인해 종방향 거리가 더 짧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케이블 지지평판(308)도 역시 케이블 지지슬리이브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각도를 갖는 표면(316 및 318)을 가진다.
케이블 지지슬리이브(310)는 앞서의 슬리이브와 같이 이분형 절반부를 포함하지만, 본질적으로 길이가 짧다. 슬리이브(310)는 앞서의 이분형 절반부의 연부에 맞추어지는 상호교차하는 슬롯(320 및 322)을 포함한다. 이 슬리이브(310)는 아울러 내부표면(324 및 326), 및 외부표면(328 및 330)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이 슬리이브는 원주면(332,334 및 336)을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도를 가진 와이어를 원한다면, 배후 평판은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되고, 슬롯(320)은 표면(334 및 336)과 더불어 이분형 케이블 셸 절반부의 연부에 위치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직선관통형 케이블 방출을 원한다면, 그때는 배후 지지평판은 제35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회전되고, 케이블 지지셸(310)은 표면(236)이 대면하는 상태로 배후 지지평판(316)의 슬롯(322)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제25도 참조).
제26도-35도에는 또다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6도는 개구(412) 및 대치(414)를 가지는 배후 지지평판(410)을 보여준다. 케이블 지지클램프는 제30-33도에서 부호 420으로서 표시하였으며 이 클램프는 이분형 절반부(422) 및 홈(424)을 가진다. 케이블 클램프(420)는 접혀져서 개방단(412)속으로 미끄러지며, 평판(410)은 제34도 및 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속의 위치에 스냅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4도 및 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420)는 플립형 단부(flip end)를 가져서 2개의 케이블방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부분(430)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은 각도를 갖는 케이블방출을 위해 마련된다.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420)는 단부를 하우징 내부의 아치부분에 위치하도록 플립형 단부를 가지며, 케이블은 직선상태로 방출된다.
결국 상기 언급한 모든 구현예들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방향을 가지는 저가의 데이타 코넥터를 제공하고, 아울러 바람직하게도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타 부수적인 부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21)

  1. 다수의 병렬형 터미널이 배치된 내부 터미널 지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터미널 지지하우징은 내부 하우징을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외부절연용 하우징을 가지는 것으로 된 데이타케이블에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데이타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절연용 하우징이 상기 내부 터미널 지지하우징과 적어도 같은 크기를 가져서 상기 내부 터미널 지지하우징을 수용하도록 하는 배후개구, 및 상기 데이타 케이블 위로 미끄럼 가능하고 상기 외부 절연하우징에 대해서도 미끄럼 가능하면서 내부 하우징에 스냅걸림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는 케이블 지지어셈블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스톱수단이 상기 외부 절연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에 의해 마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어셈블리가 상기 외부 하우징에 걸릴 수 있는 배후 지지평판, 및 상기 배후 지지평판에 고정된 케이블 지지슬리이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 지지평판이 이분형으로 되어있고 아울러 상기 데이타 케이블상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 지지평판이 웨브재료를 통해 함께 성형된 단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 지지평판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다수의 확정된 방향부를 가져서 다수의 케이블 방출방향 위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어셈블리와 상기 지지평판 양자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다수의 확정된 방향부를 가져서 다수의 케이블 방출방향 위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평판이 단일편으로서 케이블 지지슬리이브를 수용하기 위한 측면개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 지지평판이 관통개구를 가져서 그곳에 상기 케이블 지지슬리이브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들을 상기 슬라이브에 부딛혔을 때 지지부재들이 상기 개구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슬리이브가 상기 지지부재들에 반하여 상기 개구에 수용되는 자신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홈을 가져서 상기 슬라이브를 개구에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슬리이브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다수의 확정된 방향부를 가져서 다수의 케이블 방출 방향위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평판이 서로 고정되는 2개의 동일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13. 지체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방출 개구를 가지는 절연하우징안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기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그리고 상기 개구안에서 고정될 수 있는 케이블 지지슬리이브를 포함하는 데이타 케이블에 전기 접속을 시키기 위한 시일드형 테이타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슬리이브가 상기 케이블 방출 개구안에서 다수의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어져서 다수의 케이블 방출방향 위치를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배후 지지평판을 포함하여서 상기 개구가 상기 배후평판에 위치하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 지지평판이 이분형으로 되어있고 아울러 상기 데이타 케이블상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코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 지지평판이 상기 개구에 걸리는 지지연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 지지부재는 상기 연부에 의해 맞물리는 다수의 홈을 가져서 상기 케이블 지지슬리이브를 다수의 방향위치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슬리이브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케이블을 다양한 방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방출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슬리이브가 상기 케이블을 각형 또는 직선형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외방으로 향하게 하는 내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18. 다수의 전기 터미널을 수반하는 절연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터미널들은 접촉부분과 와이어 종단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종단부분은 절연된 와이어와 절연물을 파고 들어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하는 금속 평편부재내에 형성된 하나의 슬롯, 및 절연된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스터퍼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와이어 종단부분 상에 삽입되어져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터미널에 전기 접속시키도록 한 전기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티퍼 캡이 다수의 관통 개구를 가지는 배후 벽을 가지며, 상기 배후벽은 상기 와이어를 상기 코넥터의 종방향 중앙선을 향하는 각도로 방향을 고쳐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상기 종방향 중앙선에 대면하는 각을 이룬 벽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가 4개의 전기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퍼 캡은 상기 와이어를 종방향 중앙선을 향해 방향이 고쳐지도록 거울상에 따라 4개의 개개 배후 평판부분을 갖춘 배후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종단부분이 원통형 배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스터퍼 캡이 상기 원통형 배럴의 수용을 위한 원통형 관통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KR1019930002573A 1992-02-24 1993-02-24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KR0143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03890A GB9203890D0 (en) 1992-02-24 1992-02-24 Shielded data connector
GB9203888.4 1992-02-24
GB929203888A GB9203888D0 (en) 1992-02-24 1992-02-24 Shielded data connector
GB9203890.0 1992-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776A KR930018776A (ko) 1993-09-22
KR0143758B1 true KR0143758B1 (ko) 1998-08-17

Family

ID=2630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573A KR0143758B1 (ko) 1992-02-24 1993-02-24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72520A (ko)
EP (2) EP0744791B1 (ko)
KR (1) KR0143758B1 (ko)
CN (1) CN1063584C (ko)
AT (1) ATE151922T1 (ko)
AU (1) AU665395B2 (ko)
CA (1) CA2089347A1 (ko)
DE (2) DE69329121T2 (ko)
FI (1) FI930795A (ko)
IL (1) IL104656A (ko)
MY (1) MY113262A (ko)
TW (1) TW201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853B (en) 1992-02-24 1993-03-11 Amp Inc Shielded data connector
US5514007A (en) * 1994-05-04 1996-05-07 Thomas & Betts Corporation Data connector strain relief assembly
EP0700126B1 (de) * 1994-09-01 1997-12-29 BKS Kabel-Service AG Stecker für ein Kabel mit mehreren Adern
AT402872B (de) * 1995-01-23 1997-09-25 Vaillant Gmbh Gehäuse zur aufnahme elektrischer einrichtungen
US5735707A (en) * 1996-05-30 1998-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irectional shielded cable exit
EP0834960B1 (de) * 1996-10-07 2002-03-20 ERICH JAEGER GmbH & Co. KG Steckdose
US5910026A (en) * 1997-02-04 1999-06-0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strain relief
US6000955A (en) * 1997-12-10 1999-12-14 Gabriel Technologies, Inc. Multiple terminal edge connector
EP1037324A1 (de) * 1999-03-17 2000-09-20 Huber+Suhner Ag Verbinder für ein Koaxialkabel
DE19932942A1 (de) * 1999-07-14 2001-03-15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HF-Winkelsteckverbinder
US6338645B1 (en) * 2000-07-28 2002-01-15 Apple Computer, Inc. Connector having a cable that is relatively moveable about an axis
US7112086B1 (en) * 2005-04-08 2006-09-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ble assembly having cable guide
DE102008031990B3 (de) * 2008-06-06 2010-04-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er eines Steckverbinders
GB201507591D0 (en) * 2015-05-01 2015-06-17 Connectors Ltd Ab A method of mounting an electrical connector to flexible planar material and apparatus therefor
DE102019100219A1 (de) * 2019-01-07 2020-07-0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mit Schirmauflage
PL4027461T3 (pl) * 2021-01-12 2023-12-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Izolowany zacisk do końcówek kablowych rodzaju rozwidlonego lub oczkowych
GB2602678A (en) * 2021-01-12 2022-07-13 Eaton Intelligent Power Ltd Insulated terminal for fork type or eyelet cable lug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5947A (en) * 1975-01-31 1976-12-0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7809938U1 (de) * 1978-04-04 1978-08-1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Kabelhalterung
GB2032130B (en) * 1978-05-24 1982-06-30 Secr Defence Fibre optic connectors
DE3103455C2 (de) * 1981-02-02 1984-03-2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insbesondere der Datentechnik
US4722580A (en) * 1981-03-02 1988-02-02 Amp Incorporated Two way cover assembly
DE8126284U1 (de) * 1981-09-10 1983-12-08 Richard Hirschmann Radiotechnisches Werk, 7300 Esslingen Kabelsteckverbinder mit zwei wählbaren Kabelabgangsrichtungen
US4501459A (en) 1982-12-22 1985-02-26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IE55318B1 (en) * 1982-12-22 1990-08-01 Amp Inc Shunt-protected electrical connector
US4857674A (en) * 1985-08-12 1989-08-15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Strain relief device
US4629276A (en) * 1985-09-10 1986-12-16 Henry Dreyfuss Associates Multidirection connector housing
WO1988004841A1 (en) 1986-12-22 1988-06-30 Amp Incorporated Shielded data connector
US4986779A (en) * 1990-02-06 1991-01-22 Amp Incorporated Local area network interface
TW201853B (en) 1992-02-24 1993-03-11 Amp Inc Shielded data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9749D1 (de) 1997-05-22
IL104656A0 (en) 1993-06-10
DE69329121T2 (de) 2001-01-11
TW201853B (en) 1993-03-11
EP0744791A3 (en) 1997-02-12
US5372520A (en) 1994-12-13
AU3311393A (en) 1993-08-26
EP0744791A2 (en) 1996-11-27
AU665395B2 (en) 1996-01-04
DE69329121D1 (de) 2000-08-31
KR930018776A (ko) 1993-09-22
CN1063584C (zh) 2001-03-21
FI930795A0 (fi) 1993-02-23
EP0558250A1 (en) 1993-09-01
EP0744791B1 (en) 2000-07-26
IL104656A (en) 1996-08-04
FI930795A (fi) 1993-08-25
EP0558250B1 (en) 1997-04-16
ATE151922T1 (de) 1997-05-15
MY113262A (en) 2002-01-31
CA2089347A1 (en) 1993-08-25
CN1076810A (zh) 1993-09-29
DE69309749T2 (de) 199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758B1 (ko) 시일드형 데이타 코넥터
KR930003562B1 (ko) 시일드 데이타 코넥터
JP3354269B2 (ja)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EP0421373B1 (en) Modular connector
USRE39380E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otection for electrical contacts
US4891022A (en) Shielded data connector
US5586911A (en) Shielding data connector
US6210223B1 (en) Shielded connector, a set of shielded connector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shielded connector with a shielded cable
US4990094A (en) Data distribution panel
US4493525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therefor
US5820412A (en) Connector shield with cable crimp support
US4508415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5052949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4687263A (en) Shielding kit for electrical connectors terminating multiconductor 360 degree shielded cable
JPH0226348B2 (ko)
US5688145A (en) Adapter socket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KR930003289Y1 (ko) 시일드 데이타 코넥터
US4089579A (en)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KR100281253B1 (ko) 차폐 데이터 커넥터
US4165145A (en)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US20230198187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970004149B1 (ko) 실드(shielded) 데이타 콘넥터용 래칭기구
JPH07263060A (ja) シールドデータコネクタ
KR960004826Y1 (ko) 차폐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920020787A (ko) 곡면 대 평면의 차폐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