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586B1 -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586B1
KR0143586B1 KR1019950019518A KR19950019518A KR0143586B1 KR 0143586 B1 KR0143586 B1 KR 0143586B1 KR 1019950019518 A KR1019950019518 A KR 1019950019518A KR 19950019518 A KR19950019518 A KR 19950019518A KR 0143586 B1 KR0143586 B1 KR 014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apacitor
circuit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고리타
미쓰루 고이와
Original Assignee
시키모리야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키모리야,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키모리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586B1/ko

Links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종래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발진회로, 드라이브회로, 트랜지스터, 변압기로 구성된 전류변환회로와, 점화신호발생회로, 트리거회로, 사이리스터, 인덕터, 콘덴서, 점화코일로 구성되는 점화방전시간 지속회로와 같은 회로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들 회로는 방전지속전류가 일시적으로 끊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변환수단의 동작을 점화시기에 동기시켜 개시시키도록 하여 방전중 상기 변환회로로 부터 콘덴서에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도록 해서 방전지속전류의 일시적인 끊김을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을 돕기위한 신호파형도.
제3도는 종래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동작설명을 돕기위한 신호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직류전원 2:발진회로
3:드라이브회로 4:트랜지스터
5:변압기 8,9:콘덴서
10:점화코일 11:사이리스터
13:인덕터 14:다이오드
16:점화신호 발생회로 17:트리거회로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전지속시간을 연장시킨 콘덴서 방전형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직류전원, 2는 이 직류전원(1)에 접속되고, 구동펄스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 3은 이 발진회로(2)와 직류전원(1)에 접속되고,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드라이브회로, 4는 드라이브회로(3)으로 부터 나오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1의 스위치소자이고 예로서 트랜지스터이다.
5는 이 트랜지스터(4)의 콜렉터에 1차측이 접속된 변압기이고, 2-5는 변환수단으로서의 DC-DC컨버터를 구성하고 있다. 6,7은 변압기(5)의 2차측에 접속된 전류용 다이오드, 8,9는 각각 다이오드(6),(7)의 캐소드와 그라운드간에 접속된 콘덴서, 10은 1자측이 콘덴서(8)의 일단에 접속된 점화코일, 11은 이 점화코일(10)의 1차측과 대지간에 접속된 제2의 스위치소자이고 예를들면 사이리스터이다.
12는 점화코일(10)의 1차측에 병렬로 접속된 전압전류의 맥류방지용 다이오드, 13은 다이오드(7),(12)의 캐소드사이에 접속된 방전시간 지속용 인덕터, 14는 다이오드(7)의캐소드와 다이오드(12)의 애노드사이에 접속된 방전시간 지속용 다이오드, 15는 점화코일(10)의 2차측에 설치된 점화플러그, 16은 직류전원(1)에 접속되고, 내연기관의 회전과 동기되어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 발생회로, (17)은 직류전원(1)과 점화신호 발생회로(16)에 접속되고, 점화신호에 응답해서 트리거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회로이고, (16),(17)은 점화신호 발생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는 제3도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의 동작에 대해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발진회로(2)로 부터 나오는 제4도 B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구동펄스에 대해 응답하는 드라이브회로(3)으로 부터 나오는 구동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4)가 구동되고 변압기(5)를 통전, 차단시킨다.
이때 변압기(5)의 1차측에 발생한 에너지는 제4도 C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1차전류는 변압기(5)의 2차측으로 변환되고, 다시 다이오드(6),(7)을 통해서 콘덴서(8),(9)에 충전된다.
제4도 D는 콘덴서(9)의 충전전압을 나타낸다.
점화신호 발생회로(16)은 엔진의 점화시기에 따라 제4도 A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점화신호를 발생하고, 이 점화신호에 응답해서 트리거회로(17)이 트리거신호를 발생하여 사이리스터(11)를 트리거한다.
사이리스터(11)이 트리거되면, 콘덴서(8)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콘덴서(8)→점화코일(10)의 1차측→사이리스터(11)→콘덴서(8)의 경로를 따라 방전하고, 콘덴서(9)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콘덴서(9)→인덕터(13)→점화코일(10)의 1차측→사이리스터(11)→콘덴서(9)의 경로를 따라 방전된다.
이와같이 되어 점화코일(10)의 2차측에 제4도 E,F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고전압, 고전류가 발생하고, 점화플러그(15)가 점화된다.
이때 점화코일(10)의 1차측→다이오드(14)→인덕터(13)→점화코일(10)의 1차측의 경로를 따라 방전지속전류가 흐른다. 이에의하여 점화플러그(15)에서의 방전지속시간이 연장된다.
종래의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화코일(10)의 1차측→다이오드(14)→인덕터(13)→점화코일(10)의 1차측의 경로를 따라 방전지속전류가 흐르고, 점화코일(10)의 2차측에서 방전이 지속되고 있을 때 DC-DC컨버터로 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어 콘덴서(9)가 충전되면 상기 방전지속전류가 정지되고, 제4도 E,F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방전이 일시적으로 끊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방전지속중에 DC-DC컨버터의 영향을 받아 방전이 끊어지는 일 없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수단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와, 내연기관의 회전과 동기되어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점화신호에 의해 도통하여 상기 콘덴서를 점화코일의 1차측을 통해서 방전시키는 스위치소자를 갖추고, 상기 변환수단의 동작을 상기 점화신호 발생수단의 점화신호의 점화시기와 동기시켜 개시하고, 상기 점화코일의 2차측에서 방전이 지속되고 있을 동안, 상기 변환수단으로 부터 상기 콘덴서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변환수단의 동작을 점화신호 발생수단의 점화신호의 점화시기에 동기시켜 개시하고, 점화코일의 2차측에서 방전이 지속되고 있는 동안, 변환수단으로 부터 콘덴서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도록 해서 방전지속전류의 일시적 정지를 방지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1-17은 상술한 바와같은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점화신호 발생회로(16)의 출력측을 DC-DC컨버터의 발진회로(2)에 접속하고, 이 발진회로(2)의 동작을 점화신호 발생회로(16)으로 부터 나오는 점화신호의 점화시기와 동기되어 개시시키도록 한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점화신호 발생회로(16)에서 출력되는 제2도 A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점화신호의 점화시기와 동기되어 발생되는 발진회로(2)로 부터 제2도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구동펄스에 응답하는 드라이브회로(3)으로 부터 나오는 구동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4)가 구동되고, 변압기(5)를 통전, 차단시킨다.
이때, 변압기(5)의 1차측에 발생한 제2도 C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1차전류는 변압기(5)의 2차측으로 변화되고, 다시 다이오드(6),(7)을 통해서 각각 콘덴서(8),(9)에 충전된다. 제2도 D는 콘덴서(9)의 충전전압을 나타낸다. 또, 발진회로(2)에서 출력되는 구동펄스가 드라이브회로(3)을 통해서 트랜지스터(4)를 온(ON)시키는 시간은 점화코일(10)의 2차측에 발생하는 방전지속시간보다도 길게 설정한다.
점화신호 발생회로(16)은 엔진의 점화시기에 따라 제2도 A에 나타나 았는 바와같은 점화신호를 발생하고, 이 점화신호에 응답해서 트리거회로(17)이 트리거신호를 발생해서 사이리스터(11)을 트리거시킨다. 사이리스터(11)이 트리거되면, 콘덴서(8)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콘덴서(8)→점화코일(10)의 1차측→사이리스터(11)→콘덴서(8)의 경로를 따라 방전하고, 콘덴서(9)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는 콘덴서(9)→인덕터(13)→점화코일(10)의 1차측→사이리스터(11)→콘덴서(9)의 경로를 따라 방전된다.
이에 의하여 점화코일(10)의 2차측에 제2도 E,F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고전압, 고전류가 발생하고, 점화플러그(15)가 점화된다. 이때 점화코일(10)의 1차측→다이오드(14)→인덕터(13)→점화코일(10)의 1차측의 경로를 따라 방전지속전류가 흐른다. 이와같이 되어 점화플러그(15)에 있어서의 방전지속시간이 연장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진회로(2)의 동작을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함으로써, 점화코일(10)의 2차측에서 방전지속중에 DC-DC컨버터로 부터 콘덴서(9)로 에너지가 공급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제2도 E,F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방전이 일시적으로 끊기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류전원의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수단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와, 내연기관의 회전에 동기하여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점화신호에 의해 도통되어 상기 콘덴서를 점화코일의 1차측을 통해서 방전시키는 스위치소자를 갖추고, 상기 변환수단의 동작을 상기 점화신호 발생수단의 점화신호의 점화시기와 동기시켜 개시하고, 상기 점화코일의 2차측에서 방전이 지속되고 있는 동안, 상길 변환수단으로 부터 상기 콘덴서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점화코일(10)의 1차측→다이오드(14)→인덕터(13)→점화코일(10)의 1차측의 경로를 따라 흐르는 방전지속전류가 끊기는 일 없기 때문에, 방전지속중에 변환수단의 영향을 받아 방전이 일시적이나마 끊기는 일 없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직류전원과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승압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수단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는 콘덴서와, 점화코일과, 내연기관의 회전에 동기되어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점화신호에 의해 도통되어 상기 콘덴서를 점화코일의 1차측을 통해서 방전시키는 스위치소자를 갖추고, 상기 변환수단의동작을 상기 점화신호 발생수단의 점화신호의 점화시기와 동기시켜 개시하고, 상기 점화코일의 2차측에서 방전이 지속되고 있는 동안, 상기 변환수단으로 부터 상기 콘텐서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가 사이리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KR1019950019518A 1990-10-05 1995-07-04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KR0143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66357 1990-10-05
JP2266357A JP2781265B2 (ja) 1990-10-05 1990-10-05 内燃機関用点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3586B1 true KR0143586B1 (ko) 1998-08-17

Family

ID=1742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518A KR0143586B1 (ko) 1990-10-05 1995-07-04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81265B2 (ko)
KR (1) KR01435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028A (en) * 1976-09-10 1978-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ignition device
JPH0439416Y2 (ko) * 1987-08-06 1992-09-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81265B2 (ja) 1998-07-30
JPH04143460A (ja) 199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7383A2 (en) Spark plug ignition system
US4369757A (en) Plasma jet ignition system
US5074274A (en)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936830A (en) Ignition exciter for a gas turbine engine and method of igniting a gas turbine engine
US2980822A (en) Ignition system
KR940002647Y1 (ko) 기관 점화 장치
KR950013545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3870028A (en)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0143586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JP2822736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5318002A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961617A (en) Igni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594058Y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4115832A (en) Igniter utilizing a negative resistance light emitting diode
JP2010101212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RU2171392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многоимпульсного режима возбуждения катушки зажига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555635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3119105B2 (ja) コンデンサ放電式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S6033753Y2 (ja) コンデンサ放電式イグニッション装置
SU46413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жигани горючего вещества к зажигалкам
JPH04334761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4723530A (en) Capacitor discharge type ignition device
SU969934A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нного зажигани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SU1460774A1 (ru) Импульс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SU977846A1 (ru) Система зажигани с импульсным накоплением энергии дл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Беспалова /ее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