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071B1 - 스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컴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071B1
KR0143071B1 KR1019900007954A KR900007954A KR0143071B1 KR 0143071 B1 KR0143071 B1 KR 0143071B1 KR 1019900007954 A KR1019900007954 A KR 1019900007954A KR 900007954 A KR900007954 A KR 900007954A KR 0143071 B1 KR0143071 B1 KR 0143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scum
arm
troug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659A (ko
Inventor
미찌히로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미찌히로 후지와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찌히로 후지와라 filed Critical 미찌히로 후지와라
Priority to KR101990000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071B1/ko
Publication of KR91001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컴(scum)처리장치
제1도로부터 제22도까지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침전지안의 플라이트(flight) 및 로울로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플라이트 및 로울러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의 B-B 선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C-C선 단면도
제8도는 플로트(float)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D-D선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배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플로트의 E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
제12도는 제8도의 F방향에서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G-G선 단면도
제14도는 로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15도는 스컴이 언지(堰止)된 상태를 표시하는 플로트 및 트로프(trough)의 사시도
제16도는 스컴이 트로프안으로 유입하는 모양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17도는 플로트, 트로프 및 측부시일 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H-H선 단면도
제19도는 가이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0도에서 제22도는 장치의 작동양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20도는 플로트가 크게 압입되어 많은 스컴등이 다량으로 트로프안으로 흘려들어가는 모양을 표시하는 모식도
제21도는 플로트가 조금 떠올라서 부유하는 스컴을 끌어모으는 모양을 표시한 모식도
제22도는 다시 플로트가 내려져서 다량의 스컴이 트로프안으로 흘려들어가는 모양을 표시한 모식도
제23도 및 제24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23도는 장치가 설치된 연못의 평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I-I선 단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25도는 스컴이 언지되었을 때의 장치의 모양을 표시하는 도면
제26도는 스컴이 유입될 때의 장치의 양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27도는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28도에서 제30도는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28도는 연못의 평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J-J선 단면도
제30도는 지렛대형 아암의 사시도
제31도에서 제34도는 제6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31도는 연못의 평면도
제32도는 제31도의 K-K선 단면도
제33도는 제32도의 L-L선 단면도
제34도는 제31도의 M-M선 단면도
제35도는 현행의 스컴 유출방식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36도는 제35도에 표시하는 것을 개량한 방식을 개요적으로 표시하는 단면사시도
제37도는 제36도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
제38도는 앞서제안한 스컴 처리장치의 개요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39도는 단면이 원형인 플로트가 쌓이기 쉬어지는 양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침전지 12:체인
13:플라이트 15:구동부
20:트로프 30:플로트
34:방죽부 44:지렛축
45:지렛대형 아암 47:캠
50:전달장치
정수설비에 있어서, 예컨대, 최초 또는 최종 침전지 등에 있어서는 수면상에 다량의 스컴이 부유상태로 체류하나, 이들의 스컴은 불필요한 것이므로, 스컴처리장치에 의하여 침전지밖으로 제거하도록 되어진다. 본 출원인은, 이 제거를 침전지내의 플라이트의 운동에 관련시켜서 행하도록 한 것을 개발하여, 이것을 제안하였다.
소화60년(1965년)실용신안등록원 제094729호(소화60년 6월 22일 출원)이 그것이다.
이 장치는, 제3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개요로 되어있다.
즉, 트로프(300)앞에 고무판으로 된 지지장치(301)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지지장치(301)의 전방에 플로트(302)를 설치하고, 이 플로트(302)를 수민(303)을 경계로하여 부침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부침운동을 시키기 위하여, 못의 수면(303)위에 수평인 지렛축(304)을 설치하고, 이 지렛축(304)의 둘레에, 플라이트(305)에 대향하도록 돌출하는 부분과, 플로트(302)의 방향으로 뻗는 부분을 가진 지렛대형 아암(306)을 중간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지렛대형 아암(306)은, 캠(306a)부분을 구비하고, 이 캠(306a)이 운동작용하는 플라이트(305)에 의하여 치밀려 올라가도록 구성되고, 이것에 의하여, 지렛대형 아암(306)이 회전하여 플로트(302)를 밀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플라이트(305)가 캠(306a)부분을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지렛대형 아암(306)은 원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하고, 이것에 의하여 플로트(302)는 수면상으로 부상되도록 되어있다.
이 반복운동에 의하여, 스컴(307)은 트로프(300)안으로 인도되고, 도시하지 않은 통로를 통하여 외부(다른 처리설비)로 제거된다.
그러나, 이 스컴처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캠(306a)이 지렛대형 아암(306)에 일체로 설치되고, 이 캠(306a)은, 플라이트(305)의 1회의 통과에 의하여 1회만 올라가는 운동을 하도록 되어있다.
플로트(302)도 마찬가지로, 기껏해야 1회만 하강운동을 하기 때문에, 플로트(302)의 전방근처의 스컴(307)은 트로프(300)안으로 인도할 수는 있으나, 유입속도가 느리므로, 플로트(302)에서 멀리 떨어진 스컴(307)...을 트로프(300)까지 효과적으로 유도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결과, 스컴(307)의 트로프(300)안으로의 유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플로트(302)의 압입량을 적게 설정하면, 유입속도가 빨라져서 먼곳의 스컴(307)도 플로트(302)근처까지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커다란 스컴(307)이 플로트(302)에 부딪혀 체류하여, 트로프(300)안에 까지 도입이 불가능하므로, 그 결과, 스컴회수량이 현저하게 저하되게 된다.
또, 캠(306a)이 지렛대형 아암(30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면, 캠(306a)이 심하게 마모된 경우에 아암(306)전체를 교환하지 않으면 않되므로, 유지관리에 공력이 소요되어, 교환비용도 늘어난다.
전기한 캠(306a)에 마모가 발생한 채로 두면, 플로트(302)의 누름량이 적어져서 스컴(307)...을 트로프(300)안으로 효과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서 플로트(302)는, 단면이 둥근형의 중공체이므로, 제39도에 상황을 표시하듯이, 커다란 스컴(307)이 밀려왔을 때, 플로트(302)의 상부 곡면상에 스컴(307)이 얹힌 채로 체류하게 되므로, 그 결과 스컴(307)이나 그 다음에 밀려오는 스컴(7)이 그 이상 흘려들어가지 않게 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하여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커다란 스컴이나 작은 스컴도 모두 효과적으로 트로프안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그 외의 부수적인 목적은, 전기한 바와같이 도입기능이 양호한 장치가 구조적으로 간단한 것으로서, 제작비가 적게들고, 유지관리성에도 우수한 것이 되도록 함에 있다.
재1도에서 제22도는 본발며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였다.
본실시예에서, 침전지(1)는, 제1도에서 제3도에 표시하듯이, 평면형상이 한쪽방향으로 기다란 구형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형침전지라 일컬어지는 것이다.
침전지(1)의 변이 긴쪽의 벽은 측벽(2)...이고, 짧은 2개의 변의 한쪽이 정면벽(3)으로 되어 있다.
이 침전지(1)는, 측벽(2),(2)의 대향하는 방향을 폭방향으로하는 경우, 그폭방향으로 다수 병렬로 배열되고, 이것을 일렬로 한 경우, 폭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복수일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침전지(1)...중 푹방향으로 인접한 것에는, 침전지내에 내달은 형상을한 유출부(스컴피트)(4)가 공통적인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유출부(4)는, 전기한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뻗는 유출구(流出溝)(5)에 통하고, 이 유출구(5)는 다음의 배출구(6)로 통하였다.
침전지(1)내에는, 전단계의 처리설비로부터 물(오수)가 들어온다.
그 윗면은, 수면(9)이고, 이수면(9)에 대소의 스컴(제7도 참조)(7)...이 다량으로 부유하여 체류하게 되는 것이다.
침전지(1)내에는, 수면(9)에 가깝게 2본, 또, 저부에 2본 회전샤프트(10)...가 설치되고, 각 샤프트(10)의 축중심은 전기한 폭방향으로 향해 있다.
각 샤프트(10)의 외주에는, 각각 2개의 스프로켓(11),(11)이 부착되고, 이들 스프로켓(11)...을 통하여 체인(12)이 걸려 있다.
이 체인(12)은 전기한 폭방향으로 2줄병행하도록 걸쳐지고, 각각의 체인(12)에는,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도록하여 플라이트(13)... 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플라이트(13)..는,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기한 폭방향으로 뻗도록 배열되어 있다.
플라이트(13)...는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구동모터는 도시를 생략한다.
이들 플라이트(13)는 한 개 걸러마다, 진행방향으로 향하여 우측의 끝부분에 로울러(구동부)(1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로울러(15)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플라이트(13)의 배면에 부착된 브레킷(16)에 지지축(17)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로울러(15)는, 플라이트(13)보다도 전기한 폭방향의 한쪽옆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기설의 침전지(1)에서 로울러(1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돌출량을 그리 크게 할 수는 없다.
이것은, 다음에 기술하나, 가이드장치를 필요로하는 이유가 된다.
수면(9)보다 약간 아랫쪽의 위치와 침전지의 저부에는 가이드레일(19)이 각각 설치되고, 이 레일(19)에는, 플라이트(13)에 설치된 슈우(shoe)(96)가 접촉되면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침전지(1)의 정면벽(3)에는 트로프(20)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트로프(20)는, 한쪽방향으로 기다란 각형의 홈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한쪽단부는, 완전밀폐형상으로 되어서 측벽(2)에 고정된 브래킷(21)에 대하여 볼트(22)로서 상하조정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트로프(20)의 타단부에는, 유출부(4)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유출관(23)에 의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이 유출관(23)에는, 트로프(20)의 끝부분에 뚫은 구멍이 연통되어 있다.
트로프(20)의 앞면개구는, 트로프(20)의 길이방향의 거의 전장에 걸쳐지는 유입구(24)로 되어있다.
트로프(20)의 유입구(24)보다 아랫쪽의 앞쪽벽에는, 고무제의 지지판(지지장치)(25)이 부착되고, 이 지지판(25)은, 절곡된 판형상의 것으로, 그의 하부가 전기한 앞쪽벽에 고정되어 있으나, 상부는 상하로 탄성변형 되도록 전방으로 외팔보형상으로 뻗어있다.
이 지지판(25)은, 유입구(24)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제작되어 있다. 이 지지판(25)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이면 되고,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
시일기능만 충족되면, 지지판의 상하운동을 하는 부분이 트로프(20)에 대하여 힌지로 부착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지지판(25)의 앞부분에는, 복수의 구멍이 뚫어지고, 이 구멍을 이용하여 플로트(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플로트(30)는, 제7도에서 제13도까지이나 제15도에서 제17도에도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듯이, 2장을 합친 형상의기부(31)와, 중공형상의 본체부(32)를 구비하였다.
이 플로트(30)는, 원 또는 각형의 단면을 가진 기다란형상의 소재를 사용하고, 이 소재의 속에 삼각형의 형재를 삽입하고 바깥에서 프레스함에 의하여 제작된다.
이것에 의하여, 형재의 어떤 부분은 본체부(32)가 되고, 그 외의 부분은 기부(31)가 되는 것이다.
기부(31)의 상세는, 제11도에 확대하여 표시되어 있듯이, 단부를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이 아니고, 전기한 프레스에 의하여 일체로 연속된 단부(33)를 보유하도록 되어있다.
이 플로트(30)는, 지지판(25)과 마찬가지로 트로프(2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있다.
플로트(30)의 상단부분은 산(山)형상의 방죽부(34)로 되어있다. 이 플로트(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위에서 바라보아 L자형을 한 간막이판(35)이 그 한쪽의 판면을 플로트(30)에 맞닿도록하여 부착되고, 플로트(30)와 더불어 상하로 운동되도록 되어 있다.
칸막이판(35)의 다른쪽의 판부분은, 트로프(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고정판부(36)에 앞면에서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판부분과 고정판부(36)과의 사이에는, w형을 한 플렉시블 부분(38a)과 저부(38b)를 일체로 한 고무제의 측부서일(38)이 볼트(39)..로서 부착되어 있다.
이 서일(38)에 의하여 옆에서 트로프(20)안으로 물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서일(38)의 저면과 지지판(25)과의 사이에는 연결시이트(40)가 설치되고, 각 코우너에는, 완전한 시일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코오킹도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플로트(30)는, 지지판(25)에 대하여, 제9도와 같이 기부(31)의 저민에서 돌출한 복수본의 볼트(41)를 지지판(25)의 구멍으로 통과시킴과 아울러 아랫쪽에서 너트(도시생략)를 조이 부착되어 있다.
트로프(20)의 한쪽단부에서는, 전방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스테이(43)가 돌출되어 있다.
이 스테이(43)는 하나의 침전지(1)에 대하여 1개이며, 이 스테이(43)는 그 선단부에 지렛축(44)을 구비하였다.
이 지렛축(44)은, 트로프(2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향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축(44)에 의하여 지렛대형 아암(4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렛대형 아암(45)은, 한 개의 아암으로서, 플라이트(13)에 대향하도록 뻗는부분(45a)과 트로프(20)의 방향으로 뻗는 부분(45b)을 보유하고 이들 양자(45a),(45b)사이부분이, 지렛축(44)에 부착되어 있다. 캠(47)은, 지렛대형 아암(45)의 플라이트(13)에 대향하도록 뻗는부분(45a)에 이 아암(45)과는 별개체로서 부착되어 있다.
이 캠(47)은, 하향 돌출형상으로 된 2개의 돌출부(47a),(47b)와 이들돌출부(47a),(47b)사이에 위치하는 오목한 부분(47c)을 보유하고 잇으며, 플라이트(13)에 설치된 로울러(구동부)(15)에 돌출부(47a),(47b)및 오목부분(47c)이 따름에 의하여 로울러(15)가 돌출부(47a),(47b)에 대응할 때에는 지렛대형 아암(45)의 플라이트(13)에 대향하도록 뻗는 부분(45a)이 윗쪽으로 회전되고, 로울러(15)가 오목부분(47c)에 대응할 때에는 지렛대형 아암(45)의 플라이트(13)에 대향하듯이 뻗는부분(45a)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도록 작동하게 되어 있다.
전달장치(50)는, 지렛대형 아암(45)의 트로프(20)방향으로 뻗는 부분(45b)과 플로트(30)와의 사이를 인동 관계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전달장치(50)는, 제7도에 표시하듯이, 트로프(20)의 후방상부에 고정된 베아링(5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연동축(52)을 구비하였다.
이 연통축(52)으로 부터는 제1연통아암(53)이 한 개 돌출되고, 이 아암(53)과지렛대형 아암(45)이 로드(54)에 의하여 인동되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다.
인동측(52)으로부터는, 다른 제2연동아암(55)이 2개 돌출되어 있다.
이 제2연동아암(55)은, 다른 로드(56)에 의하여 플로트(30)와 인동관계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로드(54),(56)는, 제14도에 표시하듯이, 구성되어 있다.
로드(54),(56)는 하단에 통부(58)를 구비한 나사축(59)과, 나사축(59)의 외주에 끼워진 통체(60)와, 이 통체(60)를 위치결정하는 상하의 너트(61)와, 통체(60)에 직교하도록 부착된 상부결합축(62)을 구비하였다.
상부결합축(62)은, 제1연동아암(53) 또는, 제2연동아암(55)의 선단에 결합되고, 통부(58)에 통해진 하부결합측(63)은, 지렛대형 아암(45)의 단부 또는, 플로트(30)의 앞면저부에 돌출된 U자형의 결합구(64)(제12도 및 제12도를 참조)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동축(52)의 다른 외주에는 침전지위에서 조작가능한 수동레버(66)가 부착되어 있다.
또, 캠(47)은 지렛대형 아암(45)에 볼트로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나, 지렛대형 아암(45)의 선단보다 조금 가까운 부분과 측벽(2)과의 사이에는 제1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가이드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캠(47)이 로울러(15)에 정확하게 맞닿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렛대형 아암(45)의 일측면에는, 기판(71)과, 기판(71)에서 돌출하는 2대의 찬넬재(72),(72)와, 이들 찬넬재(72),(72)사이에 용접 및 볼트(73)에 의하여 고정되어 서로 이간된 위치가 되도록 하는 2장의 규제판(74),(74)를 구비한 아암측부재(75)를 하나의 구성부재로 하고 있다.
이 부재(75)는, 캠(47)을 부착하는 볼트(76)를 이용하여 함께 조여져있다.
양 규제판(74),(74)은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조정되어 고정된다.
측벽(2)에는, 볼트(78)에 의하여 다른쪽의 부재인 벽측부재(7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벽측부재(79)는, 장공(79a)을 상하에 보유한 부재로 되어있음과 아울러, 나사측(80)은 규제판(74),(74)사이를 통하여 그의 상하를 구멍(79a)에 끼워넣어, 규제판(74),(74)끼리가 합치되도록 이동조정한 다음, 고정너트(83)...로 벽측부재(79)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통체(81)의 하단에는, 이 통체(81)보다도 직경이 다소 큰 스톱퍼(84)가 부착되어 있다.
양 규제판(74),(74)의 간격은, 통체(81)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이들의 규제판(74),(74)이 지렛대혀 아암(45)의 상하작동에 수반하여 고정측 통체(81)의 외주에 슬라이드하여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지렛대형 아암(45)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하작동되게 된다.
지렛대형 아암(45)은 지나치게 내려가면 그 위에 로울러(15)가 올라타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렛대형 아암(45)이 일정한 레벨까지 내려가면 규제판(74),(74)이 스톱퍼(84)에 맞닿아서, 그것 이상은 네려가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캠(47)의 선단부분(47d)은, 로울러(15)가 다가왔을 때에 캠(47)을 플라이트(13)에서 먼 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47)에 의하여 로울러(15)가 바깥쪽으로 밀어붙이도록 되어서, 플라이트(13)가 캠(47)에 부딪히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작용을 설명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하듯이, 로울러(15)가 캠(47)의 바로앞에 있을 때 캠(47)은 내려간 위치에 있으므로, 지렛대형 아암(45)의 선단은 내려져 있다.
이 때,로드(54)를 통하여 제1연동아암(53)이 들어올려 짐과 아울러,제2연동아암(55)도 들어올려진 상태이다.
이것에 의하여, 로드(56)를 통하여 플로트(30)가 들어 올려진 상태이므로, 이 플로트(30)에 의하여 물(8)의 트로프(20)안으로의 유입이 정지되어, 스컴(7)의 유입이 저지된다.
제20도에 표시하듯이, 로울러(15)가 제1의 돌출부(47a)에 다다라서, 캠(47)을 들어 올리도록 하면, 로드(54)를 통하여 제1연동아암(53)이 많이 내려짐과 아울러, 제2연동아암(55)도 내려진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드(56)를 통하여 플로트(30)는 많이 내려진 상태가 되므로, 물(8)이 트로프(20)안으로 다량유입되게 되어, 그 때까지 플로트(3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많은 스컴(7)이 트로프(20)안으로 유도되게 된다.
제21도에 표시하듯이, 로울러(15)가 오목부분(47c)에 다다르면, 캠(47)은 내려가고, 플로트(30)는 올라갈 기미로 된다.
그러나, 플로트(30)의 방죽부(34)는, 수면(9)보다 약간 아랫쪽에 멈추므로, 물(8)과, 스컴(7)을, 급속한 흐름에 수반하여 트로프(20)안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급속한 흐름에 의하여, 그때까지 트로프(20)에서 이간되어 있던 스컴(7)은, 화살표와 같이, 플로트(30)방향으로 빨려들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컴(7)이 플로트(30)방향으로 빨려들게 됨과 아울러, 트로프(30)안으로 유입되게 된다.
제22도에 표시하듯이, 로울러(15)가 제2의 돌출부(47b)에 다다르면, 플로트(30)는 재압입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그때까지 플로트(30)의 전방에 집결되어 있던 커다란 스컴(7)까지도 트로프(20)안으로 유입되게 된다.
작은 스컴(7)도 이 유입에 의하여, 트로프(20)안으로 유도됨과 아울러 플로트(30)에서 떨어져 있는 곳의 스컴(7)까지도 빨려들게 된다.
로울러(15)가 제2의 돌출부(47b)를 넘어가면, 제6도,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언지상태로 되돌아 간다.
이 사이클을 반복함에 의하여, 스컴(7)이 효과적으로 제기되는 것이다.
또한, 측부시일(38)은, 일광에 노출되면, 손상되는 일이있다.
제17도 및 제18도에 표시하듯이, 고정판부(36)의 전방에 프레이트(92)를 설치하여 볼트(88)...로서 측부시일(38)의 일단부(후단부)를 접듯이하여 고정하고, 또한, 칸막이판(35)의 뒷쪽에 다른 프레이트(93)를 설치하여 볼트(88)로 측부시일(38)의 타단부(전단부)을 접듯이하여 고정한다.
이들 양 프레이트(92),(93)중의 한쪽(92)의 상단에 측부시일(38)을 덮는 수평커버(85)를 부착함에 의하여 측부시일(38)의 손상은 방지된다. 이런 경우, 프레이트(93)쪽도 윗쪽으로 뻗고, 이 뻗힌부분과 프레이트(92)의 뻗힌 부분을 이용하여 이들의 사이에, 볼트(86)를 통하고, 이 볼트(86)의 트로프(20)위에 임하는 외주에 압축식스프링(87)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하면, 예컨대, 물(8)이 많아져서 캠(47)이 아랫쪽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던지, 침전지(1)내에 물(8)이 없을 때에 플로트(3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된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침전지에 대하여 스컴처리장치만을 설명하였으나, 그 근린에 위치한 스컴처리장치는,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하듯이, 측벽(2)을 경계로 선대상(線對象)의 구성으로 되어있다.
선대상이 아니고, 모두 공통의 장치로 하는 경우도 있다.
제23도 및 제24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점이 많으므로, 그러한 점에 대하여서는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지렛축(44)이 트로프(20)쪽에서 뻗은 스테이(34)로서 지지되고 있었으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측벽(2)에 부착된 브래킷(9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 외의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지렛대형 아암(45)이 수면상에 위치하고, 또한 연동축(52)과 2개의 연동아암(53),(55)을 사용한 타입으로 되어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스프링(87)에 의하여 캠(47)을 복귀시키고, 또한 플로트(30)를 밀어 올리도록 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축(52)에는, 밸런서(91)가 부착되어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고 있다.
제25도 및 제26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동축(52)과 연동아암(53),(55)을 사용한 타입으로 되어있으나, 지렛대형 아암(95)이 수명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고, 수면(9)보다 상당히 아랫쪽의 저부근처에 위치하여, 하부쪽으로 오는 구동슈우(96)에 의하여 차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지렛대형 아암(95)은 w형으로 형성된 캠(97)과 아암부분(98)을 구비하였다.
이 지렛대형 아암(95)은 측벽(2)에 부착된 브래킷(99)에 지지된 지렛축(10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99)에는 지렛대형 아암(95)의 상승한도를 규제하는 스톱퍼(101)가 설치되고, 플로트(30)의 수면에 대한 부상한도(浮上限度)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캠(97)에는, 2개의 돌출부(97a),(97b) 및 오목부분(97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렛대형 아암(97)은 로드형상 이기는 하나, 앞의 실시예와 같이 별개체의 캠판을 구비하도록 한다.
제1연동아암(53)에 설치된 로드(54)와 지렛대형 아암(97)과의 사이에는 긴로드(102)로서 연결되어 있다.
제27도는, 제4실시예를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동축(105)과 2개의 연동아암(106),(107)을 사용한 타입이고, 지렛대형 아암(108)이 저부 근처에 위치하여, 하부쪽에 있는 로울러(109)에 의하여 채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플로트(110)가 트로프(111)의 안쪽에 위치하는 타입인 것에 관련하여, 제2연동아암(107)이 L자형으로 절곡된 것으로 되어서 전방에서 윗쪽으로 돌출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지렛대형 아암(108)은, w형으로 형성된 캠(112)과 찬넬재에 의한 아암부분(113)을 구비하였다.
이 지렛대형 아암(108)은 측벽(2)에 부착된 브래킷(114)에 지지된 지렛축(11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분(113)은 측벽(2)에 설치된 스톱퍼(116)에 의하여 상승한도가 결정되고, 이것에 의하여, 플로트(110)의 수면에 대한 부상한도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캠(112)에는, 2개의 돌출부(112a),(112b) 및 오목부분(11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렛대형 아암(112)은 로드형상이기는 하나, 앞의 실시예와 같이 별개체의 캠판을 구비하도록 한다.
제1연동아암(106)과 지렛대형 아암(108)과의 사이에는, 긴로드(117)로서 연결되어 있으나, 이 로드(117)는, 제1연동아암(106)에 뚫린 구멍에 대하여 일정한 분량만큼은 상승하여 이 아암(106)은 그대로의 상태로 두고, 일정량을 통과한 시점에서 비로소 제1연동아암(106)이 들어 올려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연동아암(106)의 위에는, 밸런서(118)를 설치하여, 플로트(110)를 복귀하기 쉽게 하여도 된다.
제28도에서 제30도는, 제5실시예를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앞에 표시한 실시예와는 지렛대형 아암(120)의 형식이 상이하다.
즉, 인동측 및 2개의 연동아암을 사용한 것이 아니고, 직접적으로 플로트(12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양쪽벽(122)에는, L자형인 브래킷(123)이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각, 브래킷(123)의 위에는 베아링(124)이 설치되고, 대향하는 베아링(124),(124)에 의하여 지렛축(12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렛축(125)은, 단면이 4각인 축체(125a)와, 그 양단에 꽂이형상으로 설치된 단부축(125b),(125b)으로서 되어있다.
한쪽의 단부축(125b)에는, 각통(126)이 부착되고, 이 통(126)에서는 캠축(127)이 뻗어있다.
이 캠축(127)의 선단에는 캠(1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128)이 로울러에게 차이면, 지렛축(125)이 회전된다.
지렛축(125)의 위에는 수동아암(130)이 설치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축체(125a)의 중간에는, 각통(131),(131)이 2개소에 부착되어 있다. 각 각통(131)에는 트로프(20)방향으로 뻗도록 아암부분(132),(132)이 부착됨과 아울러 좌우 2개의 아암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분(132)은 각통(131)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되어, 플로트(30)와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암부분(132)과 플로트(30)는 로드(133)로서 각각 결합되어 있다.
아암부분(132)과 각통(131)은 볼트내지 용접으로 접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축(127)이 좌우한쌍이 아니고 1개이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된다.
아암부분(132)은 1개라도 무방하다.
이런 경우, 플로트(30)의 2개소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의 좌우중앙 위치에 이 아암부분(132)의 선단을 결합하면, 플로트(30)의 안정작동이 확보되게 됨과 아울러, 도시한 장치보다도 간단한 구조의 장치로 된다.
제31도 내지 제34도는 제6실시예를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제5실시예의 지렛대형 아암(120)과 대략 동일한 형식이기는 하나, 일부 상이한 점이 있다.
그 외의 구성을 포함하여 전체를 설명한다.
양쪽벽(142)에는, L자형인 브래킷(143)이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각 브래킷(143)의 위에는 베아링(144)이 설치되어, 대향하는 베아링(144),(144)에 의하여 축(14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렛축(145)은, 단면이 4각인 축(145a)과, 그 양단에 꽂이형상으로 설치된 단부측(145b),(145b)으로 되어있다.
축(145a)의 일단부에는, 각통(146)이 부착되고, 이 통(146)에서 캠축(147)이 뻗어있다.
이 캠축(147)의 선단에는, 캠(1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148)이 로울러(149)에 채이면, 지렛축(145)이 회전된다.
지렛축(145)위에는 수동아암(150)이 설치되어 있을뿐더러, 축(145a)의 중간에는, 각 통(151),(151)이 2개소 부착되어 있다.
각 각통(151)에는, 트로프(20)방향으로 뻗도록 아암부분(152),(152)이 부착됨과, 아울러 좌우 2개의 아암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분(152)은 각통(151)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되어, 플로트(30)와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암부분(152)과 플로트(30)은 로드(153)로서 각각 결합되어 있다.
아암부분(152)과 각통(151)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접합되도록 한다.
그 외,지렛축(145)의 저부에는, 상부브래킷(154)이 돌출되고, 이 브래킷(154)에는, 볼트(155)로서 상하로 조정가능하게 되도록 하부브래킷(156)이 부착되어 있다.
하부 브래킷(156)의 하단부분은 각통(157)으로 되어 있으며, 이 통(157)에 대하여 캠축(147)이 진퇴가능하게 볼트(158)로서 조여져 결합되어있다.
이것에 의하여, 캠축(147) 및 아암부분(152) 양자의 뻗는 길이를 조정가능할뿐더러 캠(148)의 높이도 조정가능하여 정확한 작동이 약속된다.
또한, 플로트(30)는, 트로프(20)안쪽에 위치하는 타입으로 되어 있으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 지렛대형 아암(140)과 트로프(20)와의 사이에는, 스피링(159)이 연장상태로 설치되어, 캠(148)이 과도하게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또 트로프(20)의 전축에, 수면레벨에 맞추어서 상하작동하도록 앞쪽방죽(160)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 앞쪽방죽(160)은, 다른 플로트(161)로서 수면에 추종하나 항상 수면(9)보다 조금 낮도록 되어 있다.
제36도 및 제37도는, 유입한 스컴의 유출방법을 연구하여, 전기한 유출부인 스컴피트 등을 없이하여, 침전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수 있는 것을 표시하였다.
제35도는,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스컴유출방식을 종단면으로 표시하였다.
이 방식은, 제1도에서 제3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인접한 침전지(180),(180)사이의 측벽(181)위에는, 스컴피트(182)가 공통의 유출구로서 설치되고, 이 스컴피트(182)에는, 플로트(183)를 구비한 트로프(184)에 접속된 각 출구관(185)의 출구가 임하고 있다.
이 스컴퍼트(182)안에서 유출된 스컴은, 화살표와 같이 스컴피트(182)의 저부로 통하는 접속관(186)안으로 유도되고, 다시, 접속한(186)에 접속된 유출관(187)안으로 유도되어서, 배출된다.
이 구조는, 인접한 침전지(180),(180)마다 구성되고, 각 스컴피트(182)에서의 스컴은 한 개의 유출관(187)을 통하여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방식이라면, 스컴피트(182)...가 필요할뿐더러 스컴피트의 아랫쪽에 접속관(186)을, 또 그 아랫쪽에 유출관(187)을 추가하는 등 복잡한 공사가 필요해진다.
본 실시예의 방식은, 제36도 및 제37도에 표시하듯이 구성되어 있다.
즉, 트로프(205)는, 침전지 수면(201)의 어떠한 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트로프(205)는, 윗쪽이 개구된 4각형의 통체이고, 그 앞면의 개구는 유입구(206)로 되어 있다.
이 트로프(205)는, 침전지 측벽(209),(209)사이의 폭 보다도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유입구(206)에는 부침이 자유로운 플로트(207)가 고무 등에 의한 지지판(208)으로 상하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207)를 작동시키는 방식은, 지금까지 기술한 어느 방식일 지라도 무방하다.
그런데, 인접한 트로프(205),(205)는, 서로 접속파이프(215)로서 연결되어 있다.
이 파이프(215)는, 4각형의 통체이며, 스컴피트가 없는 각 측벽(209)에 포올링백에 의하여 약간 큼직하게 형성된 구멍 중앙에 삽통한 상태로 지지한 다음, 이 구멍안에 별도로 콘크리이트(209a)를 주입하여 고정한다.
접속파이프(215)의 내주면에는, 파쇄장치가 파이프축심방향을 향하여 스크류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파쇄장치(216)는, 선단에 톱형상의 파쇄부(216a)...를 구비하였다.
또한, 217은, 상하로 조정가능한 조리개이다.
제36도의 218은 경로의 말단부근에 설치된 1개소의 스컴피트이다.
이 방식은, 접속파이프(215)..에 의하여 트로프(205)끼리를 다이렉트로 접속하였으므로, 제35도에 표시하듯이, 스컴피트(182), 접속관(186), 유출관(187)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에 수반한 복잡한 공사가 생략된다.
트로프(205)안에 물과 더불어 유입한 스컴은, 스크류운동을 시키면서 파쇄부(216a)...로서 순차적으로 파쇄되어서 배제되게 된다.
스컴은 미세하게 파쇄되어 다음의 처리가 매우 유리해 진다.
또한, 파쇄장치는 예리한 편이나 삼각형의 박판을 구부려서 된것이라도 무방하다.

Claims (1)

  1. 침전지(1) 저벽의 상측 및 상기 침전지(1)의 수면보다 조금 낮은 레벨을 통과하여 순환 구동되는 체인(12) 및, 상기 체인(12)의 외주상에 상기 체인(12)이 순환 구동되는 방향으로 복수개 병렬 배열되어 상기 침전물을 일방향으로 긁어내는 플라이트(13)를 구비하는 오염배출장치와 함께 상기 침전지(1)내에 설치된 스컴처리장치로서, 상기 플라이트(13)와의 접촉에 따라 상하로 동작하는 캠(47)을 구비한 지렛대형 아암(45), 상기 지렛대형 아암(45)의 운동을 플로트(30)에 전달하는 전달장치(50), 상기 전달장치(50)와 연동되어 수면에서 부침동작을 함으로써 수면에 부유하는 스컴을 트로프(20)내로 유인 또는 차단하는 플로트(30) 및 상기 스컴이 유입된 후 배출되는 트로프(20)를 구비하여 상기 침전지(1)내에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30)의 상단부는 산(山)형상의 단면을 갖는 방죽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캠(47)은 2이상의 돌출부(47a)(47b) 및 이들 돌출부(47a)(47b)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47c)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처리장치.
KR1019900007954A 1990-05-31 1990-05-31 스컴 처리장치 KR0143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954A KR0143071B1 (ko) 1990-05-31 1990-05-31 스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954A KR0143071B1 (ko) 1990-05-31 1990-05-31 스컴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659A KR910019659A (ko) 1991-12-19
KR0143071B1 true KR0143071B1 (ko) 1998-07-15

Family

ID=1929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954A KR0143071B1 (ko) 1990-05-31 1990-05-31 스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0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659A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219A (en) Scum treating apparatus
KR0143071B1 (ko) 스컴 처리장치
KR200436015Y1 (ko) 스컴스키머장치
JPH0585491U (ja) スカム除去装置
JP2531089Y2 (ja) スカム処理装置
JP2544269Y2 (ja) スカム除去装置における排出構造
JP2607805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4055193B2 (ja) 浮遊物除去装置
JPH0528491U (ja) スカム除去装置用シヤワー装置
JP2563912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2590513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H1115U (ja) スカム除去装置
CN219690305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JP2524312Y2 (ja) スカム除去装置
DE19533175A1 (de) Belüftete Mehrkammer-Kleinkläranlage zur biologischen Behandlung von Abwasser
JP2577207Y2 (ja) スカム除去装置用バルブ
JPH1085737A (ja) 浮遊物除去装置
JP2516556Y2 (ja) スカム処理装置
JP2511915Y2 (ja) スカム処理装置
KR200350419Y1 (ko) 슬러지수집기의 부유물 배출장치
JP2587347Y2 (ja) 河川用汚泥掻寄装置
JP2582170Y2 (ja) スカム除去装置
JP2008260007A (ja) スカム除去装置
JP3060231B2 (ja) スカム除去装置
JPH0526188U (ja) スカム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