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987B1 - 편지의 링킹방법 - Google Patents

편지의 링킹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987B1
KR0141987B1 KR1019960006513A KR19960006513A KR0141987B1 KR 0141987 B1 KR0141987 B1 KR 0141987B1 KR 1019960006513 A KR1019960006513 A KR 1019960006513A KR 19960006513 A KR19960006513 A KR 19960006513A KR 0141987 B1 KR0141987 B1 KR 0141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needle
guide
point needl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513A (ko
Inventor
사이치로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고시바 헤이지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시바 헤이지,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시바 헤이지
Publication of KR96003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00Linking machines, e.g. for joining knitt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보다 구성이 간단한 장치에 의해 자등링킹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동링킹장치(1)에 있어서, 바늘이동수단(3)의 동일침렬에 있어서의 포인트바늘(17)의 이동경로상에 복수의 박음질위치를 설정하고, 편지안내수단(2)에 의해 편지(5), (6)의 봉합되어야 할 부분을 포인트바늘(17)의 이동방향 상류쪽의 박음질위치로 유도하여 박음질하고, 그 후 하류쪽의 박음질위치에 다른 봉합되어야 할 부분을 유도하여 박음질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편지(編地)의 링킹방법
제1도는, 실시예 1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실시예 1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3도는, 실시예 1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4도는, 실시예 1에 의한 제 1 포인트바늘의 구동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실시예 1에 의한 제 1 포인트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 부분의 정면도,
제6도는, 실시예 1에 의한 제 2 표인트바늘의 구동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실시예 1에 의한 제 1 및 제 2 포인트바늘의 전개도,
제8도는, 실시예 1에 의한 다른 예의 정면도,
제9도는, 실시예 2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10도는, 실시예 2에 의한 자동림킹장치의 요부 단면도,
제11도는, 실시예 2에서의 제2 포인트바늘의 구등용 캠의 평면도,
제12도는, 실시예 2에서의 제1 및 제2 포인트바늘의 위치관계의 설명도,
제13도는, 실시예 2에서의 제1 편지를 제1 포인트바늘, 제2 포인트 바늘어 찔러 넣은 상태의 설명도,
제14도는, 실시예 2에서의 제1 포인트바늘에 제1 및 제2 편지를 바늘로 찔러 넣은 상태의 설명도,
제15도는, 실시예 2에서의 제1 편지를 제2 포인트바늘에서 제1 포인트바늘로 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제16도는, 실시예 2에서의 제1 및 제2 포인트바늘에 대한 제1 및 제2 편지를 바늘로 찔러 넣은 상태의 사시도,
제17도는, 실시예 3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18도는, 실시예 3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9도는, 실시예 3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0도는, 실시예 3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오부 사시도,
제21도는, 실시예 3에 의한 제1 포인트바늘 등의 전개도,
제22도는, 실시예 3에 의한 다른 예의 정면도,
제23도는, 실시예 4에 의한 자동링킹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4도는, 링형상의 제1 편지(부속편)의 사시도,
제25도는, 제2 편지에 대하여 제1 편지를 끼운 상태로 링킹할 때의 사시도,
제26도는, 링 형상의 제1 편지(부속편)의 사시도,
제27도는, 제2 편지에 대하여 제1 편지를 끼운 상태로 링킹할 때의 사시도,
제28도는, 편지를 XY방향으로 잡아 늘이면서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예의 사시도,
제29도는, 편지를 X방향으로 잡아 늘이면서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자동링킹장치 2:편지안내수단
3:바늘이동수단 4:미싱
5:제1 편지 5a,5b:연결부분
6:제2 편지 7,9,11:편지끝단센서
8,10,12:롤러 13:가이드판
14:테이블 15:이송롤러
16:누름롤러 17:제1 포인트바늘
18:제 2 포인트바늘 19,20:드럼
21:프레임 22:홈캠
19a:고정커버 24:중공축
25:루퍼 26:재봉실
27:미싱바늘 28:감음롤러
31:카메라 32:핸드
32a:서브핸드 32,38,40:롤러
35:카메라 36:핸드
36a:서브핸드 33,37,39:편지끝단센서
41:가이드판 42:테이블
45:화상처리장치46:홀더
47:핀 48:레버
49:미끄럼안내판 50,56,57:바늘밀어올림수단
51:고정캠 52:안내테이블
53:캠판 54:캠홈
55:배트 58,59:모우터
60:바늘밀어올림부재 61:고정가이드
65,66:기어 67:홈
68:구동축 69:그랭크핀
70:크래크로드 71:지지점 핀
72,73:기어 74:프러스롤러
75:가이드롤러 80,83,86:편지끝단센서
81:카메라 82,84,87:롤러
85,88,89:가이드판 90:드럼
91:커버 92:원호형상 가이드
93:감음롤러 96:편지끝단센서
97:롤러 98:카메라
99:핸드 100:서브핸드
101:편지끝단센서 102,105:롤러
103:테이블 104:이완센서
106:광원 107:회전드럼
108:바늘밀어냄수단 109:감아내림롤
110:테이블 120:가이드
140:원호형상 가이드 141:슬라이드베어링
142:베이스 143:이송롤러
144:구멍 145:슬릿
P1,P2,P3:박음질위치 P4:미싱걸이위치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한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링킹(Linking)을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공평 3-49478호 공보에는 2겹의 편지(編地)를 자동적으로 링킹하는 자동링킹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자동링킹장치는 2개의 침렬(針列)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편지가 봉합되어야 할 부분을 화상처리장치를 가지는 편지안내수단에 의해 각 침렬에 하나씩 설정된 박음질위치까지 각각 유도하여 2겹의 편지에 포인트바늘을 찔러 꿰뚫어감과 동시에, 각 침렬의 포인트바늘을 침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각 침렬의 포인트바늘에 찔려 꿰뚫린 2겹의 편지중, 한쪽의 편지를 다른쪽의 편지가 꿰뚫려져 있는 포인트바늘로 코 이동함으로써, 2개의 봉합부분을 하나의 침렬에 찔러 꿰뚫은 상태로하여, 이들의 봉합되어야 할 부분을 미싱에 의해 봉제하고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하면, 바늘이동수단은 봉합부분의 수(=2)만큼 침렬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에 대응하여 침렬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그 만큼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구성이 간단한 장치에 의하여, 자동링킹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하에, 본 발명은 복수의 편지의 봉합부분을 포인트바늘로 찔러 꿰뚫어 겹친상태로 봉제하는 자도잉킹방법에 있어서, 한쪽의 편지위치를 검출하면서 당해 편지의 봉합부분을 편지안내수단에 의하여 박음질 위치로 안내하고, 안내된 봉합부분에 포인트바늘을 차례로 찔러 꿰뚫은후, 포인트바늘을 침렬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른쪽의 편지위치를 검출하면서 당해 편지의 봉합부분을 편지안내수단에 의하여 상기 박음질위치보다 포인트바늘의 이동방향 하류쪽의 다른 박음질위치로 안내하고, 안내된 다른쪽의 편지에 상기 한쪽의 편지의 봉합부분을 찔러 꿰뚫고 있는 포인트바늘을 차례로 찔러 꿰뚫고, 포인트바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박음질상태의 편지를 하류쪽의 봉제위침까지 안내하여 미싱에 의해 봉제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편지(6)에 제1편지(5)를 끼우고 링킹하기 위한 자동링킹장치(1)이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자동링킹장치(1)는, 편지안내수단(2), 바늘이동수단(3) 및 미싱(4)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다. 제1편지(5)는 옷깃 등의 직사각형상으로 된 부속편지로서, 긴쪽방향을 따라 연이어지는 2개의 봉합부분을 양 긴변의 끝단부에 가지고 있다. 제2편지(6)는 목둘레를 잘라낸 몸판편지로서, 목둘레에 있어서의 봉합부분은 엔드레스형태로 되어있다. 또한 제1편지(5)도 그 양쪽의 짧은 변을 전체쪽에 걸쳐서 접속(사뜨기)함으로써 엔드레스형태로하여 자동링킹장치(1)에 세트하여도 좋다.
편지안내수단(2)은, 제1편지(5)의 각 봉합부분을 제1박음질위치(P1) 및 제2박음질(P2)로 각각 유도하고, 또한 제2편지(6)를 제3박음질위치(P3)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 편지안내수단(2)은 제 1편지(5)의 한쪽의 봉합부분에 대응하여서 제1박음질위치(P1)의 상류쪽에서 제1편지안내장치로서 1 쌍의 편지끝단센서(7), 2개의 롤러(8)를, 또 제1편지(5)의 다른쪽의 봉합부분에 대응하여 제2박음질위치(P2)의 상류쪽에서 제2편지 안내장치로서 1쌍의 편지끝단센서(9), 2개의 롤러(10)를, 또한 몸판편지 등의 제2편지(6)에 대응하여서 제3박음질위치(P3)의 상류쪽에서 제 3 편지안내장치로서 1쌍의 편지끝단센서(11), 1개의 롤러(12) 및 코 이동수단으로서의 가이드판(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2 및 3의 편지안내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지끝단센서(7), (9) 및 롤러(8), (10)는 각각 단면이 L자형인 테이블(14)의 수평면 및 수직면에 대향하고 있다. L자형 테이블(14)의 수직면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박음질우지(P2)까지 뻗어 있다. 또 테이블(14)의 수평면은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박음질위치(P1)로부터 좁은 쪽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포인트바늘(17)의 침렬과 드럼(20)의 전면사이에 위치하며, 제1박음질위치(P1)로부터드럼(19)의 원주방향으로 반둘레 이상에 걸쳐 뻗어 있다. 제3박음질위치(P3)의 상류쪽에는 제1도,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 가이드(140)가 설치되어 있다. 원호형상 가이드(140)는 고정커버(19a)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의 가이드(140)는 제1박음질위치(P1)에 돌출한 제1포인트바늘(17)의 선단에서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편지끝단센서(11) 및 롤러(12)는 원호형상 가이드(140)의 바깥 측면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판(13)은 제2포인트바늘(18)에 찔러 꿰뚫려 있는 제1편지(5)를 L자형의 테이블(14)의 수평면쪽으로 유도하여 제1편지(5)를 U자형상으로 꺽음으로써, 제2편지(6)의 끝단부에 대해 제1편지(5)를 끼움상태로 대기 위한 것이며, 제3박음질위치(P3)의 하류쪽에서, 미싱(4)의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편지(6)는 이송방향의 상류쪽에서 이송롤러(15)와 누름롤러(16)와의 사이에 낀 상태로 제3 박음질위치(P3)로 보내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늘이동수단(3)은 복수의 제1포인트바늘(17)을 원형으로 병설한 침렬과, 복수의 제2포인트바늘(18)을 원형으로 병설한 침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침렬은 각각 드럼(19),(20)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바늘의 병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포인트바늘(17)의 침렬의 이동경로상에는 제1박음질위치(P1)와 제3박음질위치(P3)가 설정되어 있다. 또 제2포인트바늘의 침렬의 이동경로상에는 제2박음질위치(P2)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이동수단(3)은 제1박음질위치(P1)에서 제1포인트바늘(17)을 차례로 진출시켜 제1편지(5)를 박음질함과 동시에, 제2박음질위치(P2)에서 제2포인트바늘(18)을 차례로 진출시켜 제1편지(5)를 박음질하고, 제3박음질위치(P3)에서 제 1 포인트바늘(17)을 다시 진출시켜 제2편지(6)를 박음질한 후에, 제1, 제2편지(5), (6)를 미싱걸이위치(P4)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로서, 복수의 제1포인트바늘(17)을 반경방향을 따라 같은 피치로 유지하는 제1바늘이동부재로서의 드럼(19)과, 제1포인트바늘(17)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태로 제2포인트바늘(18)을 원주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제2바늘이동부재로서의 드럼(20)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다. 또한 드럼(19)은 드럼(20)의 전면에 일체 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포인트바늘(17)은 드럼(19)의 내부에서 후술하는 홈캠이나 바늘밀어올림수단 등에 의하여, 제1 및 제3 박음질위치(P1), (P3)에서 2단계로 돌출하여 미싱걸이위치(P4)를 통과한 후, 원래의 후퇴위치로 복귀한다. 드럼(19)은 제4도, 제5도, 제 6도에서와 같이, 중공축(24)에 의해 베어링 및 홈캠(22)을 개재하여 고정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기어(65), (66) 및 모우터(58)에 의하여 소정의 속도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드럼(19)에는 반경방향으로 이어지는 홈(67)이 원주방향을 따라 같은 피치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제1포인트바늘(17)은 이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드럼(19)의 회전에 따라 고정가이드(61)에 의해 진퇴방향으로 구도하도록 되어 있다.
즉, 고정가이드(61)는 박음질위치(P1)로부터 돌출한 제1포인트바늘(17)을 박음질위치(P3)에서 더 돌출시키고, 미싱걸이위치(P4)를 지나 제1포인트바늘(17)을 후퇴시킨다. 도 바늘밀어올림부재(60)는 제1 박음질위치(P1)에서 제 1 포인트바늘(17)을 돌출시키기 위하여 정위치의 지지점핀(71)에 의햐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크랭크로드(70)에 의해 크랭크핀(69)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축(24)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둥축(68)은 기어(72), (73) 및 모우터(59)에 의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드럼(19)이 회전하여 후퇴위치의 제1포인트바늘(17)이 박음질위치(P1)에 왔을 때, 바늘밀어올림부재(60)는 그 위치에 온 제12포인트바늘(17)을 치켜올림으로써, 제 1편지(5)에 박음질한다.
또한 이 바늘밀어올림부재(60)의 구동수단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모우터(59)의 회전을 기어(72), (73) 및 구동축(68)을 통하여 크랭크로드(7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는 대신에, 직접 크랭크로드(70)를 상하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제2포인트바늘(18)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2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진퇴가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으며, 프레임(21)에 고정된 홈캠(22)에 의해 제 2 박음질위치(P2)ㅔ서 돌출하고, 미싱걸이위치(P4)를 지난 후에 후퇴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드럼(20)도 드럼(19)과 마차가지로, 중공축(24)에 의해 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모우터(58)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이송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싱(4)은 미싱걸이위치(P4)에 있으며, 드럼(19)의 중심을 향해서 미싱바늘(27)을 진입시키고, 드럼(19)의 안쪽 루퍼(25)와의 공동동작에 의해 제 1, 제 2 편지(5), (6)를 재봉실(26)로써 봉합상태로 한다.
예컨대, 엔드레스형태의 제1, 제2편지(5), (6)를 끼움상태에서 봉합할 경우에, 우선 작업자는 제1편지(5)의 봉합부분을 L자형상의 테이블(14)의 수평면 및 수직면에 대하여 L자형상으로 꺽은 상태로 놓고, 또한 드럼(19)과 이송롤러(15)와의 사이에 제1, 제2편지(5), (6)을 병설하여서 감는다. 그리고 각 편지(5) 및 (6)의 봉합부분의 최초의 코를 대응하는 박음질위치(P1), (P2) 및 (P3)에 있어서 각각 포인트바늘에 찔러 꿰뚫는다. 그 후 자동링킹장치(1)를 시동시켜 각 편지(5), (6)를 화살표의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과정에서, 제 1 편지안내장치는 제1편지(5)의 한쪽 끝단부를 위치결정하면서 제1박음질위치(P1)에 안내한다. 즉 제1편지안내장치는 제1편지(5)의 한쪽 끝단부를 테이블(14)의 수평면과 롤러(8)와의 사이에서 유지하고, 제1편지(5)의 한쪽 끝단부가 1 쌍의 편지끝단센서(7)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1쌍의 편지끝단센서(7)로부터의 편지검출신호에 따라 롤러(8)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롤러(8)는 적극 회전시켜도 좋고, 편지(5)의 이송에 따라 종동회전시켜도 좋다.
제1편지안내장치의 안내동작과 동시에, 제2편지안내장치도 1쌍의 편지끝단센서(9)로부터의 편지검출신호에 따라서 롤러(1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 1편지(5)의 다른쪽 끝단부를 1쌍의 편지끝단센서(9)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제1 편지(5)의 봉합부분을 제2 박음질위치(P2)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 1 편지(5)의 봉합해야 할 양 끝단 가장자리부분이 우치결정상태로 되어 제1, 제2 박음질위치(P1), (P2)로 안내된다.
그것들의 박음질위치(P1), (P2)에서 제1, 제2 포인트바늘(17), (18)은 각각 돌출하는 것에 의해 위치결정상태의 제 1 편지(5)의 봉합부분에 박음질상태로 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드럼(19), (20)의 동기회전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포인트바늘(17)에 찔러 꿰뚫려진 제1 편지(5)는 이동과정에 있어서 원호형상 가이드(140)의 아래쪽을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송롤러(15)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회전구동부재는 드럼(19), (20)과 동기하여 회전하고 있으며, 이오써 제 1 제 2 편지(5), (6)의 이송이 포인트바늘(17), (18)의 이동과 동기하고 있다.
한편, 제2 편지(6)는 제1 박음질위치(P1)의 근방에서 제 1 포인트바늘(17)로부터 드럼(19)의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나 제2 편지(6)는 원호형상 가이드(140)와 롤러(12)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으므로, 원호형상 가이드(140)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편지(6)의 봉합부분은 제1 포인트바늘(7)의 위쪽까지 안내된다.
편지끝단센서(11)는 제2 편지(6)의 봉합부분의 끝단부를 검출하여 롤러(1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봉합부분을 제 3 박음질위치(P3)에 위치결정한다. 그 후 제 1 포인트바늘(17)은 제 3 박음질위치(P3)에서 더 상승함으로써 제2 편지(6)의 봉합부분에 박음질상태로 된다. 이렇게하여 제3 박음질위치(P3)에서 제1 포인트바늘(17)은 제1 편지(5)의 한쪽 봉합부분과 제2 편지(6)의 봉합부분에 대하여 박음질상태로 되며, 동시에 선단부분에서 제2 포인트바늘(18)의 선단에 맞닿는 상태로 된다.
박음질상태의 제1, 제2편지(5), (6)가 미싱걸이위치(P4)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판(13)은 제1 편지(5)를 제2 포인트바늘(18)로부터 제 1 포인트바늘(17)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제1 편지(5)를 코 이동하여 제2 편지(6)에 대해 제 1 편지(5)를 끼움상태로 한다. 이로써 제 1 포인트바늘(17)에 대하여 제1, 제2 편지(5), (6)의 봉합부분이 박음질상태로 되어 미싱걸이위치(P4)까지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판(13)은 제1 포인트바늘(17) 및 제2 포인트바늘(18)에 평행하며, 또한 각 바늘의 긴쪽방향에 대하여 각각 소정 각도를 이루고 이어지는 2개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 2개의 경사면을 전개하면 제7도와 같이 도시된다.
제1 편지(5)는 제2 포인트바늘(18)과 함께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판(13)의 한쪽 경사면에 접촉하면서 서서히 제2 포인트바늘(18)의 선단으로 이동하고, 그 후 다른쪽의 경사면에 접촉하면서 제1 포인트바늘(17)의 후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코 이동된다. 여기서 미싱(4)은 미싱바늘(27)과 루퍼(25)와의 동작에 의해 제1, 제2 편지(5), (6)를 재봉실(26)에 의하여 끼움상태에서 봉합한다.
또한, 제2 편지(6)가 엔드레스형태가 아니고 플랫형상인 것일 때, 또 제1 편지(5)의 양쪽을 봉합하지 않고 플랫형상으로 할 때, 제8도에서와 같이 봉합후의 제1, 제 2 편지(5), (6)도 1쌍의 감음롤러(28)에 의하여 감겨지게 한다. 또 코 이동은 상기 실시예와 반대로 제 1 포인트바늘(17)에 찔러 꿰뚫어져 있는 제 1, 제 2 편지(5), (6)를 모두 제 1 포인트바늘(17)로부터 제 2 포인트바늘(18)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판(13)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때 미싱(4)은 제 2 포인트바늘(18)에 찔러 꿰뚫어져 있는 제 1, 제 2 편지(5), (6)를 봉제한다. 이 변경예에서는 포인트바늘의 이동경로상에 복수의 박음질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침렬과, 제 1, 제 2 편지(5), (6)를 모두 찔러 꿰뚫은 상태로서 봉제위치까지 안내하는 침렬이 다르게 되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도 본원발명의 기술적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코 이동수단은 가이드판(13)대신에 다른 편지이동수단, 예컨데 공기분사노즐이나 브러시형상인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세하게는 1쌍의 분사노즐이나 1쌍의 이동형 부러시를 설치하여 한쪽의 분사노즐에서 공기를 분사시키거나, 한쪽의 이동형 부러시를 제 2 포인트바늘(18)의 후단에서 선단으로 이동시키으로써, 제 2 포인트바늘(18)에 찔러 꿰뚫어져 있는 제 1 편지(5)를 제 2 포인트바늘(18)의 선단으로 이동시키고, 그후 다른쪽의 분사노즐에서 공기를 분사시키거나, 다른쪽의 이동형 브러시를 제 1 포인트바늘(17)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편지(5)를 제 1 포인트바늘(17)로 코 이동하는 것이다.
또, 편지끝단센서(7), (9), (11)는 1쌍인 것에 한하지 않고 하나의 센서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하나의 센서인 겨우에는 검출범위 내에서의 일정한 영역에 편지끝단이 항상 위치하도록 롤러(8), (10), (12)를 이동시킨다. 또 편지끝단 부근에 링킹라인을 따라서 미리 색실(파사) 등의 마크를 부여하여 놓고, 센서에 의해 마크가 항상 검출되도록 롤러(8), (10), (12)를 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도 좋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제 9 도 내지 제 16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끼움 링킹을하기 위한 자동링킹장치(1)이다. 제 9 도 및 제 10 도에 있어서, 바늘 이동수단(3)은 이동하는 2개의 직렬형상의 침렬 즉 제 1 및 제 2 포인트바늘(17), (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포인트바늘(17)의 이동경로에는 제 1 및 제 박음질위치(P1), (P2)가 설정되어 있고, 제 2 포인트바늘(18)의 이동경로에는 제 2 박음질위치(P2)가 설정되어 있다.
편지안내수단(2)은 각 박음질위치 마다 설치된 3개의 편지안내장치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 1 편지안내장치는 제 1 편지(5)의 한쪽 봉합부분을 제 1 박음질위치(P1)로 유도하기 위하여 화상처리용 카메라(31), 1쌍의 핸드(34), 1쌍의 서브핸드(32a), 1쌍의 편지끝단센서(33) 및 하나의 롤러(34)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편지안내장치는 제 1편지(5)의 다른쪽 봉합부분을 제 2 박음질위치(P2)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카메라(35), 1쌍의 핸드(36), 1쌍의 서브핸드(36a), 1쌍의 편지끝단센서(37) 및 하나의 롤러(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제 3 편지안내 장치는 제 2 편지(6)의 봉합해야 할 부분을 제 3 박음질위치(P3)로 유도하기 위하여 1쌍의 편지끝단센서(39)와 하나의 롤러(40)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의 포인트바늘(18)에 찔러 꿰뚫어진 제 1 편지(5)의 다른쪽 봉합부분을 제 1 포인트바늘(17)로 코 이동하기 위해 판캠 형상의 코 이동수단인 가이드판(41)이 미싱걸이위치((P4)에 설치되어 있다.
제 9 도, 제 10 도에서, 제 1 편지(5)는 L자형상의 테이블(42)의 상면 및 수직명을 따라 대어지고, 수평면에 대응하는 1쌍의 편지끝단센서(33) 및 위치결정용 롤러(34), 수직명에 대응하는 1쌍의 편지끝단센서(37), 위치결정용 롤러(38)에 의하여 봉합해야 할 양끝단 가장자리부분에서 위치결정되고, 다음에 각 면마다 대응하는 1쌍의 핸드(32), (36), 1쌍에 서브핸드(32a), (36a), 카메라(31), (35) 및 각 면에 공통의 화상처리장치(45)에 의하여 박음질위치(P1), (P2)에서 코 이음상태로 위치결정된다.
여기서, 1쌍의 핸드(32), (36) 및 1쌍의 서브핸드(32a), (36a)의 편지안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쌍의 핸드(32), (36)는 서로 격리방향 및 접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 전후(편지의 이송방향) 및 좌우(편지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편지안내의 초기에 강화하여 카메라(31), (35)에 의해 검출되는 편지부분을 누르고 서로 떨어짐으로써 코를 확장하고, 박음질해야 할 코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편지를 누르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박음질해야 할 코를 박음질위치로 안내하여 위치결정한다.
이 때, 1쌍의 서브핸드(32a),(36a)는 상승하여 제 1 편지(5)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제 9 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1쌍의 핸드(32), (36)와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서로 떨어진 상태에 1쌍의 핸드(32), (36)가 박음질해야 할 코를 박음질위치(P1), (P2)로 안내 하였을 때, 1쌍의 서브핸드(32), (36a)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음질위치가 끼워진 상태로 되고, 또 하강하여 제 1편지(5)를 누르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때에 1쌍의 서브핸드(32a), (36a)는 1쌍의 핸드(32), (36)사이로 들어오도록 그 간격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1쌍의 핸드(32), (36)와 간섭하는 일은 없다. 그 후 한쌍의 핸드(32), (36)는 상승하여 제 1 편지(5)를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제 2 포인트바늘(17), (18)이 후술하는 바늘밀어올림수단(50) 및 (56)에 의하여 각각 돌출하여 위치결정상태의 제 1 편지(5)를 박음질한다.
또한 이후 1쌍의 핸드(32), (36)가 후퇴하고, 서로 접근하고 나서 강하한다. 또 1쌍의 서브핸드(32a), (36a)는 상승하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재차 대기한다.
한편, 제 1 포인트바늘(17)은 테이블(42)의 수평면에 수직상태로 설치 되어 있으며, 홀더(46)에 대하여 수평방향의 핀 (47)에 의해 지지된 레버(48)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46)는 슬라이드베어링(141)을 개재하여 베이스(142)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핀(47)이 끼워져통해 있는 부분에 동간격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48)의 후단을 이 홈에 수용함으로써 레버(48)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제 1 포인트바늘(17)은 홀더(46)의 이송방향의 이동과 함께, 고정된 미끄럼안내판(49)의 상면을 미끄럼운동하면서 박음질위치(P1)로 안내되고, 또한 박음질위치(P1)에서 바늘밀어올름수단(50)에 의하여 밀어올려져 테이블(42)에서 돌출하여 제 1 편지(5)의 수평부분의 박음질위치에 박음질되고, 그 후 고정된 캠(51)의 낮은 안내면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휴지하지만, 제 3 박음질위치(P3)에서 캠(51)의 높은 안내면으로 올려서 안내테이블(52)위의 제 2 편지(6)에 대해 박음질상태로 된다. 또한 L자 형상의 테이블(42)의 수평면 및 수직면은 각각 제 1, 제 2 박음질위치(P1), (P2)의 앞에서, 제 1, 제 2의 포인트바늘(17), (18)의 침렬을 깨듯이하여 두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싱걸이우치(P4)까지 이어져 있다.
또, 수평방향의 제 2 포인트바늘(18)은 홀더(46)상면의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흠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소정의 피치로 진뢰가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으며, 제 11 도와 같이 후단의 배트(55)로 고정된 캠판(53)의 캠홈(54)내부에 틀어박혀 있기 때문에, 홀더(46)의 이송방향의 이동시에, 바늘밀어올림수단(56), (57)에 밀려 2단계적으로 전진하고, 제 2 박음질우치(P2)에서 테이블(42)의 수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코 이음상태인 제 1 편지(5)의 코앞 박음질상태로 된다. 이와같이하여 제 1 편지(5)는 테이블(42)를 따라 L자형상으로 겪여지고, 코 이음상태로 수직방향의 제 1 포인트바늘(17) 및 수평방향의 제 2 포인트바늘(18)의 침렬에 유지되어 미싱걸이위치(P4)로 안내된다.
한편, 제 2 편지(6)는 이송롤러(143), 프레스롤러(74), 복수의 가이드롤러(75)에 의해 안내되고, 평판형상의 안내 테이블(52)의 위에서 1쌍의 편지끝단센서(39)와 룰러(40)의 축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하여 위치결정한후, 제 3 박음질우치(P3)에서 제 1 포인트바늘(17)에 박음질되고, 미싱걸이위치(P4)로 안내된다. 즉 제 2 편지(6)의 편지끝단이 1쌍의 편지끝단ㅅㄴ서(39)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편지끝단센서(39)로부터의 편지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롤러(40)를 축방향 으로 변위시킨다ㅑ. 그리고 제 1 편지(5)의 수직부분은 L자형상의 코 이동용의 가이드판(41)에 희애 제 2 포인트바늘(18)로부터 제 1 포이트바늘(17)로 차례로 코 이동되고, 제 2 편지(6)의 상면에 겁쳐진다. 이 상태로 제 1 및 제 2 편지(5), (6)는 미싱(4)의 재봉실(26)에 의해 봉합된다.
제 12 도 내지 제 16 도는 이상의 동작을 제 1 및 제 2 편지(5), (6)의 이송방향에서 본 동작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2 도에서 제 1 편지(5)는 L자 형상의 테이블(42)을 따라 대어진다. 이 상태로 제 1, 제 2 포인트바늘(17), (18)은 모두 후퇴위치에 있다.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음질위치(P1), (P2)에서 수직방향의 제 1 포인트바늘(17)은 바늘밀어올림수단(50)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제 1 편지(5)의 수평의 코로 코 이음상태로 박음질되고, 또 수평방향의 제 2 포인트바늘(18)은 바늘밀어올림수단(56)으로 구동되어 제 1 편지(5)의 수직의 코에 대하여 코 이음상태로 박음질된다. 다음에 제 14 도, 제 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편지(6)는 캠(51)의 높은 안내면으로 올린 제 1 포인트바늘(17)에 눈먼찌름의 상태로 박음질되고, 제 1 편지(5)의 수평부분에 겹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 15 도, 제 1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포인트바늘(18)이 바늘밀어올름수단(57)에 의해 돌출하기 때문에, 제 1, 제 2 포인트바늘(17), (18)은 선단부분에서 맞닿은상태로 되어 코 이동동작에 대비한다. 여기서 제 1 편지(5)의 수직부분은 코 이동용의 가이드판(41)에 의하여 수평방향의 제 2 포인트바늘(18)로부터 수직방향의 제 1 포인트바늘(17)로 코 이동되어 제 2 편지(6)의 상면에 겁쳐진다. 이와 같이하여 제 1 편지(5)는 제 2 편지(6)의 봉합부분을 깨워넣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미싱(4)은 미싱바늘(27)과 루퍼(25)와의 작용에 의해 재봉실(26)에 의해 제 1 및 제 2 편지(5), (6)를 끼움 링킹의 상태로 봉합한다. 또 한 코 이동용의 가이다판(41)도 실시예 1의 가이드판(13)과 마찬가지로 2개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제 17 도 내지 제 22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실시예 1것과 대략 같은 편지보냄방식을 채용하여 끼움 링킹을 하기 위한 자동링킹장치(1)이다. 바늘이동수단(3)은 이동하는 하나의 침렬, 즉 회전하는 드럼(90)에 같은 피치로서 반경방향으로 부착된 제 1 포인트바늘(17)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포인트바늘(17)을 이동시키는 구성은 실시예 1과 대략 같다. 그리고 바늘이동수단(3)에는 제 1, 제 2 및 제 3 박음질위치(P1), (P2), (P3)가 설정되어 있다.
편지안내수단(2)은 각 박음질위치(P1), (P2), (P3)마다 설치된 3개의 편지안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편지안내장치는 제 1 편지(5)의 한쪽 봉합부분을 제 1 박음질위치(P1)로 유도하기 위해 1 쌍의 편지끝단센서(80), 화상처리용의 카메라(81), 2개의 롤러(82)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 2 편지안내장치는 제 2 편지(6)를 제 2 박음질위치 (P2)로 유도하기 위해 1쌍의 편지끝단센서(83), 하나의 롤러(84), 가이다판(8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3 편지안내장치는 제 1 편지(5)의 다른쪽 봉합부분을 제 3 박음질위치(P3)로 유도하기 위해 1쌍의ㅐ 편지끝단센서(86), 하나의 롤러(87), 두 개의 가이드판(88), (8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판(85)은 이송롤러(15)와 제 1 박음질위치로부터(P1)의 사이에서 수평면을 형성하고, 또한 제 1 박음질위치로부터 드럼(90)의 원주방향으로 반둘레 이상에 원호형상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훤호형상면의 측단부에는 수직면(8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면(85a)에는 가이드란(89)이 제 2 박음질위치(P2)에서 미싱걸이위치 (P4)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89)은 제 2 박음질위치(P2)부근에서 하류쪽으로 이어진 원호형상면과, 하류쪽으로 감에 따라 제 1 포인트바늘(17)로 접근하도록 이어진 경사면을 가진다. 가이드판(89)의 원호형상면에는 편지노출용의구멍(1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에는 제 1 포이느바늘(17)의 선단과 간섭하지 않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89)의 원호형상면과 제 1 포인트바늘(17)의 사이에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판(88)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88)의 외측면에는 편지노출용의 구멍(144)에 대응하도록하여 롤러(87) 및 1쌍의 편지끝단센서(8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박음질위치(P2)의 상류쪽에는 원호형상의 가이드(92)가 설치되어 있다. 원호형상가이드(92)는 커버(91)에 부착되어 있다.
엔드레스형태의 제 1 편지(5)는 가이드판(85)에 안내되어 한쪽의 끝단가장자리부에서 박음질위치(P1)로 제 1 포인트바늘(17)에 대하여 박음질상태로 되고, 제 1 포인트바늘(17)과 함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른쪽의 끝단 가장자리부가 가이드판(85)의 수직면(85a)에 지지되면서 가이드판(88), (89)의 사이로 들어감으로써, 제 1 편지(5)가 U자형상으로 되고, 여기서 다른쪽의 가장자리 끝단부가 편지끝단센서(86)와 롤러(87)와의 끝단을 내는 기능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한편, 엔드레스형태의 제 2 편지(6)는 실시에 1과 마찬가지로 이송롤러(15)의 회전 및 제 1 포인트바늘(17)의 이동에 의해 보내지고, 1쌍의 편지끝단센서(83)와 롤러(84)와의 작용에 의하여 원호형상가이드(92)의 위에서 위치결정되고, 박음질위치(P2)에서 더욱 돌출하는 제 1 포인트바늘(17)에 대하여 박음질상태로 된다. 그 후 제 1 편지(5)의 다른쪽의 끝단가장자리는, 바깥쪽의 가이드판(89)의 경사면에 의해 제 1 포인트바늘(1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안내되어 박음질위치(P3)에서 박음질상태로 된다. 이 때 제 1 포인트바늘(17)의 둘출량은 제 2 박음질위치(P2)에서의 촐출량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하여, 제 1, 제 2 편지(5), (6)는 3개의 봉합부분에서 바늘이 동수단(3)의 하나의 포인트바늘(17)의 침렬에 찔려 꿰뚫린 상태로 된다.
그리고 미싱(4)은 미싱걸이위치(P4)에서 제 1, 제 2 편지(5), (6)의 봉합부분을 봉제한다.
또한, 제 2 편지(6)가 엔드레스형태가 아니고, 플랫형상일 때, 제 22 도와 같이 봉합후의 제 1, 제 2 편지(5), (6)는 1쌍의 감음롤러(93)에 의해 감겨지도록 한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제 23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2겹의 몸판편지 링킹을 하거나, 몸판편지에 대하여 부속편지의 싱글링킹을 하거나 하기 위한 자동 링킹장치(1)이며, 제 2 편지(6)로서의 몸판편지를 화상처리에 의해 코이음하면서 제 1 포인트바늘(17)에 박음질하고, 또 제 1 편지(5)로서의 부속편지를 코이음하지 않은 채로 위치결정하면서 제 1 포인트바늘(17)에 박음질하고 이것들을 미싱걸이위치(P4)로 보내어 넣는 예이다.
이 때문에, 바늘이동수단(3)은 이동하는 하나의 원형상의 침렬, 즉 제 1 포인트바늘(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바늘이동수단(3)에는 제 1 및 제 2 박음질위치(P1), (P2)가 설정되어 있다. 편지안내수단(2)은 바름질위치(P1), (P2)마다 설치된 2개의 편지안내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편지안내장치은 제 2 편지(6)를 제 1 박음질위치(P1)로 유도하기 위하여 편지끝단센서(96), 복수의 롤러(97), 화상처리용의 카메라(98) 및 1쌍의 핸드(99), 1쌍의 서브핸드(100)로 구성되어 있고, 또 제 2 편지안내장치는 제 1 편지(5)를 제 2 박음질위치(P2)로 유도하기 위하여 1쌍의 편지끝단센서(101), 2개의 롤러(1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편지(6)는 테이블(103)위에 얹혀지고, 2단계형식의 1쌍의 편지끝단센서(96) 및 위치결정용의 롤러(97)에 의해 편지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되고, 또 이완센서(104)의 이완검출과 이송량조절용 롤러(105)의 최전에 의해 코 계산을 위한 위치로 보내진다.
상기 위치결정용의 룰러(97) 및 이송량 조정용의 롤러(105)의 동작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위치결정용의 롤러(97)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용의 롤러(97)는 제 2 편지(6)의 끝단부가 각 1쌍의 편지끝단센서(96)의 사이로 오도록 각각 편지검지신호에 의거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후방의 위치결정용 롤러(97)는 이동하는 롤러(105)는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에 의하여 각각 적극회전 가능하며, 위치결정용의 롤러(97)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완센서(104)는 제 2 편지(6)의 옆쪽에, 또 제 2 편지(6)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전방의 위치결정용의 롤러(97)는 이완센서(104)가 제 2 편지(6)를 검지하기까지, 즉 제 2 편지(6)가 위치결정용의 롤러(97)의 전방에서 소정량의 이완을 발생하기까지 적극적으로 회전한다. 이송량 조정용의 롤러(105)는 후술하는 1쌍의 핸드(99)에 의한 제 2 편지(6)의 이송에 동기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2 편지(6)를 소정량씩 송출한다. 이송량 조정용의 롤러(105)가 제 2 편지(6)를 송출함으로써, 상기의 이완이 없어진 것이 이완센서(104)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전방의 위치결정용의 롤러(97)가 재차 회전하여 이완을 적극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이송량 조정용의 롤러(105)는 축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며, 후술하는 화상처리에 의해 제 2 편지(6)의 위치가 어긋난 것이 검출되었을 때, 화상처리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 편지(6)의 위치를 수정한다.
여기서, 카메라(98)는 광원(106)에 의해 비춰지고 있는 제 1 편지(5)를 촬상하고, 화상데이터로부터 제 2 편지(6)의 봉합하여야 할 코를 계산해 내고, 1쌍의 핸드(99)를 코 확장방향으로 넓히면서 테이블(103)의 평면상에서 박음질하여야 할 코드 위치결정상태로 한다. 이와같이하여 위치결정상태의 제 2 편지(6)는 1쌍의 서브핸드(100)에 의해 박음질위치(P1)로 늘려 넣어지고 있다.
한편, 아래쪽의 최전드럼(107)은 제 2 편지(6)의 이송속도와 같은 속도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박음질위치((P1)에서 바늘밀어냄수단(108)을 도시하지 않은 캠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자고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배열된 제 1 포인트바늘(17)을 돌출시키고, 제 2 편지(6)의 코 이음된 코에 박음질한다. 이와같이하여 제 1 포인트바늘(17)은 회전드럼(107)과 함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여 미싱걸이위치(P4)로 이동한다.
다른쪽에서의 제 1 편지(5)는 테이블(110)위에서 1쌍의 편지끝단센서(101)와 롤러(102)에 의해 위치결정되고, 박음질위치(P2)에서 제 1 포인트바늘(17)에 차례로 찔려 꿰뚫려 진다. 테이블(110)의 하단에는 슬릿(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예 3의 가이드판(89)의 경사면과 같은 작용에 의해 제 1 편지(5)는 제 1 포인트바늘(17)에 찔려 꿰뚫리는 것이다. 박음질된 제 1 편지(5)는 제 1 포이트바늘(17)과 동시에 이동하여 미싱걸이위치(P4)로 보내 넣어지고 있다.
이와같이하여 제 1 및 제 2 편지(5), (6)는 모두 제 1 포인트바늘(17)에 의해 유지되고, 미싱걸이위치(4)에서 미싱(4)에 의해 봉함되어 1쌍의 감아내림롤(109)에 의하여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출한 상태의 제 1 포인트바늘(17)은 도시하지 않은 캠 등에 의해 회전드럼(107)의 회전에 따라 후퇴위치로 되돌려진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구성이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제 2 편지안내장치를 제 1 편지안내장치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그렇게 하면 곡선형의 링킹 라인을 가지는 2겹의 몸판편지의 링킹이 가능해진다.
[부속편지의 접속방법]
실시예 1 및 3 에 있어서, 제 1 편지(5), 즉 부속편지느 제 2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짧은변을 전폭에 걸쳐 연결부(5a)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엔드레스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접속상태인 경우에 제 25 도에서 볼 수 있듯이 링킹의 종료 직전에는, 즉 최초로 봉제된 부분이 이동하여 재차 박음질위치로 접근하여 왔을 때, 부속편지의 박음질되어 있지 않은 부분도 꺾어져 버려, 편지의 검출[편지끝단센서(7), (9), (80), 카메라(81)에 의한 편지촬상이나 편지끝단의 검출]이 곤란해져서 편지안내(코 이음이나 편지끝단의 위치결정)를 하기 어렵다. 그래서 제 26 도의 제 1 편지(5)는 직 사각형상의 부속현지의 양쪽 끝단부(짧은별)의 일부분(절반)만을 연결하여 고리형상으로 한 예이다. 이 경우에 박음질동작은 연결부(5b)로부터 개시하여 연결부(5b)에서 종료한다.
실시예 1에 대하여, 제 26 도의 부속편지의 봉합부분의 최초의 코 만을 손으로서 제 1 박음질위치(P1), 제 2 박음질위치(P2.)에서 포인트바늘(17), (18)에 찌름과 동시에, 제 2 편지(6)를 제 3 박음질위치(P3)에서 포인트바늘(17)에 찔려 꿰뚫는다. 그 후 자동링킹장치(1)를 시동하여서, 자동적으로 화살표방향으로 제 1 및 제 2 편지(5), (6)를 이송시키면서 차례로 박음질하여 간다. 제 1 편디(5)로서의 부속편지가 상기에서와 같이 짧은변의 이부분만으로 연결되어 고리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링킹의 종료직전에 제 27 도에 볼 수 있듯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꺾여지지 않기 때문에 편지의 검출이나 편지안내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링킹의 개시후 최초의 코가 미싱걸이위치(P4)에 도달하기까지는 미싱(4)을 정지시켜 쓸데없는 봉제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시예 3에 대하여는 제 26 도에 도시한 부속편지의 최초로 코 만을 손으로 제 1 박음질위치(P1)에서 포인트바늘(17)로 찔러 꿰뚫음과 동시에, 제 2 편지(6)를 제 3 박음질위치(P3)에서 포인트바늘(17)에 찔러 꿰뚫는다. 그 후 자동링킹장치(1)를 사용하여 링킹동작을 개시한다. 제 1 편지(5)로서의 부속편지가 상기와 같이 짧은변의 일부분만으로 연결되어서 고리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링킹의 종료적진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꺾여지지 않기 때문에, 편지의 검출이나 편지안내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코 검출방법]
제 28 도, 제 29 도는 상기 실시에 2에 있어서, 보다 선명한 편지화상을 얻기 위해 촬상시에, 제 1 편지(5)이 이송방향으로 편지를 늘이는 예이다. 이 코 검출방법은 특히 러버니트의 편지에 효과적이며, 편지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려,코를 확대하여 확인하기 쉬운 상태로 하고 있다.
먼저, 제 28 도의 예는 상기 실시예 2의 부속편의 편지안내수단(2)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XY평면상에서 제 1 편지(5)의 이송방향(X방향)과 그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Y방향)으로 편지를 확장하여 촬상하는 예이다. 즉 편지확장에는 롤러(34)를 소정량만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 편지(5)를 되돌린다. 이 때 핸드(32)는 제 1 편지(5)의 위쪽에 있다. 이에 따라 제 1 포인트바늘(17)과 롤러(34)와의 사이에서 편지를 X방향으로 신장시킨다. 이 상태로 핸드(32)가 하강하여 제 1 편지(5)를 테이블(42)과의 사이에서 유지하고, 다음에 핸드(32)가 서로 떨어져서 방향으로 이동하느 것에 의해 편지를 Y방향으로 확장한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31)는 제 1 편지 (5)를 촬상하여 화상처리하고, 다음의 코 위치를 검출한다.
다음에, 핸드(32)가 소정량 전진하고, 동시에 롤러(34)가 소정량 회전함으로로써 이송동작을 한다. 그 후에 혹은 이송동작과 동시에 핸드(32) 및 롤러(34)가 편지를 누르면서 Y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코를 박음질위치(P1)까지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 1포인트바늘(17)이 돌출하게 되므로 검출된 코에 제 1 포인트바늘(17)이 찔려 꿰뚫려진다. 이 후에 핸드(32)가 상승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후퇴한다. 또한 롤러(34)의 회전에 의한 제 1 편지(5)의 이송량과 핸드(32)의 전지에 의한 제 1 편지(5)의 이송량과는 달르므로, 제 1 편지(5)중 롤러(34)에서 제 1 포인트바늘(17)까지의 편지부분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핸드(32)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왔을 때, 룰러(3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 없이 카메라(31)에 의하여 제 1 편지(5)를 촬상하여 화상처리하고, 다음의 코 위치를 검출한다. 그 후의 동작은 상기와 같고, 다음의 코를 박음질위치(P1)까지 이동시킨다. 이와같이하여 촬상위치에서 제 1 편지(5)의 코가 화장되기 때문에, 화상처리에 의한 코의 검출이 용이해진다.
다음의 코 위치를 검출한 결과, 다음의 코를 박음질위치(P1)까지 안내 하기 위한 롤러(34)의 Y방향으로의 이도량이 현재의 Y방향의ㅐ 위치로부터 Y방향에 관한 제한위치까지의 양을 넘는다고 판단하였을 때, 롤러(34)가 상승하였을 때 제 1 편지(5)가 줄어 들게 되므로, 롤러(34)가 강하한 후 롤러(34)를 역전시켜 제 1 펴니(5)를 늘인다. 이 후에 재차 다음의 코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다음에, 제 29 도의 예는 롤러(34)대신에, 톱형상의 날을 가진 가이드(120)로 편지를 X방향으로만 늘리는 예이다. 먼저 가이드(120)가 초기의 위치로부터 ①을 따라 하강하여 테이블(42)위에서 제 1 편지(5)를 유지하고, 다음 가이드(120)가 ②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편지(5)를 촬상하여 화상처리하고, 다음의 코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된 다음의 코 위치와 박음질위치와의 이송방향 요컨데 X방향의 벗어남량만큼 가이드(120)를 ③과 같이 전진시킨다. 이 때 핸드(32)도 동시에 이송방향으로 전진한다. 또한 핸드(32) 및 가이드(120)가 Y방향으로 이동하여 검출된 코가 박음질위치(P1)로 안내되었을 때, 제 1 포인트바늘(17)이 돌출하므로 검출된 코에 제 1 포인트바늘(17)이 찔려 꿰뚫려진다. 이 뒤에 핸드(32)가 상승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후퇴하고, 가이드(120)는 ④를 따라 상승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하여 가이드(120)의 이송방향에 대한 진퇴운동과 상하운동을 조합함으로써, 제 1 편지(5)를 X방향으로 늘려 코를 화상처리에 의해 인식하기 쉬운 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체예는 제 1 편지(5)를 XY평면에서만 확장하고 있으나, XZ평면에서의 롤러(38)나 핸드(36), 서브핸드(36a)를 사용하거나, XZ평면에서 제 1 편지(5)를 확장할 수도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바늘이동수단이 하나의 박음질위치를 가진 침렬을 봉합부분의 수만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봉합되어야 할 부분이 두 개 있으면, 바늘이동수단은 2개의 침렬을 구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침렬 및 이것을 이동시킬 부재의 수가 많아지고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봉합부분을 동일한 침렬의 복수의 박음질위치에 각각 자동적으로 박음질하여 버리므로, 바늘이동수단이 갖추여야 할 침렬의 수를 그만큼 감소시킬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해진다.

Claims (1)

  1. 복수의 편지의 봉합부분을 포인트바늘로 찔러 꿰뚫고, 겹쳐진 상태로 봉제하는 자동링킹방법에 있어서, 한쪽의 편지 위치를 검출하면서 당해 편지의 봉합부분을 편지안내수단에 의하여 박음질위치로 안내하고, 안내된 봉합부분에 포인트바느을 차례로 찔러 꿰뚫은 후, 포인트바늘을 침렬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다른쪽의 편지 위치를 검출하면서 당해 편지의 봉합분을 편지안내수단에 의하여 상기 박음질위치보다도 포인트바늘의 이동방향 하류쪽의 다른 박음질위치로 안내하고, 안내된 다른쪽의 편지에 상기 한쪽 편지의 봉합부분이 찔려 꿰뚫려져 있는 포인트바늘을 차례로 찔력꿰뚫고, 포인트바늘의 이도에 의하여 상기 박음질상태의 편지를 하류쪽의 봉제 위치까지 안내하여 미싱에 의해 봉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지의 링킹방법.
KR1019960006513A 1995-03-13 1996-03-12 편지의 링킹방법 KR0141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67195 1995-03-13
JP95-80671 1995-03-13
JP7323881A JPH08309051A (ja) 1995-03-13 1995-11-17 編地のリンキング方法
JP95-323881 1995-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513A KR960034513A (ko) 1996-10-24
KR0141987B1 true KR0141987B1 (ko) 1998-07-01

Family

ID=2642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513A KR0141987B1 (ko) 1995-03-13 1996-03-12 편지의 링킹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30075A (ko)
EP (1) EP0732435A1 (ko)
JP (1) JPH08309051A (ko)
KR (1) KR0141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7121B1 (en) * 1998-01-19 2002-05-28 Dan Co.,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JP3637287B2 (ja) * 2001-03-14 2005-04-13 株式会社ダン 平編地のリンキング方法および平編地リンキング装置
FR2834304B1 (fr) * 2001-12-31 2004-04-02 Erbe Machine a remailler avec visionique et calculateur integres pour assembler maille a maille une piece de tricot sur un tricot
JP3637329B2 (ja) * 2002-05-01 2005-04-13 株式会社ダン リンキング方法およびリンキング装置
CN103243488B (zh) * 2013-04-26 2015-04-15 苏州市晨彩纺织研发有限公司 一种变径缝合机
IT202100011552A1 (it) * 2021-05-06 2022-11-06 Santex Rimar Group S R L Macchina rimagliatrice munita di una guida perfezionata per allineare tra loro due lembi di tessuto per essere rimagliati
US11203826B1 (en) * 2021-06-30 2021-12-21 CreateM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joinder locations for assembly of garm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085A (en) * 1986-12-19 1989-07-1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linking knitted fabric pieces and apparatus thereof
JPH05337261A (ja) * 1992-06-05 1993-12-21 Asahi Chem Ind Co Ltd 編地姿勢制御装置
JPH08182875A (ja) * 1994-12-29 1996-07-16 Tsudakoma Corp 自動はさみ付けリンキ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30075A (en) 1998-03-24
JPH08309051A (ja) 1996-11-26
EP0732435A1 (en) 1996-09-18
KR960034513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2827B2 (ja) タコ巻縫いミシンにおける布端の振れ修正装置
US5709162A (en) Semi-automatic method to attach circular collars to T-shirts
JPH0623169A (ja) 袖裏返し装置及びその方法
JP4149630B2 (ja) 玉縁縫いミシン
GB2105496A (en) A control device for the working sequence in sewing machines
KR0141987B1 (ko) 편지의 링킹방법
JPH0380B2 (ko)
EP0719882B1 (en) Automatic sandwich linking method and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same
US3785307A (en) Cuff making system
JPS6316389Y2 (ko)
US3439637A (en) Apparatus to feed superposed webs for seaming
JPH0999187A (ja) 編目の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649005B2 (ja) テープ状生地の縫着方法
JPH0999185A (ja) リンキング装置の編地案内装置
JPH0341661Y2 (ko)
JPH03191982A (ja) ラベル供給装置及びラベル供給方法
JP3641324B2 (ja) 玉縁縫機
JPH11169570A (ja) 縫製装置
JPH09103588A (ja) 編地のリンキング方法
JP2618555B2 (ja) 裁断確認装置
JPH0984979A (ja) リンキング装置
JPH10127966A (ja) 衿編地
JP3510046B2 (ja) 縫着装置
JPH1157258A (ja) 自動リンキング装置
JPH06142375A (ja) 帯体縫い付け用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