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852B1 -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852B1
KR0141852B1 KR1019950003647A KR19950003647A KR0141852B1 KR 0141852 B1 KR0141852 B1 KR 0141852B1 KR 1019950003647 A KR1019950003647 A KR 1019950003647A KR 19950003647 A KR19950003647 A KR 19950003647A KR 0141852 B1 KR0141852 B1 KR 014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liquid
drum
fractional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541A (ko
Inventor
다다오 우치야마
고지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오쿠보 아키오
가부시키가이샤 시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쿠보 아키오, 가부시키가이샤 시스토 filed Critical 오쿠보 아키오
Publication of KR95002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7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33/3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분별여과 방법 및 분별 여과장치
제1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분별여과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분별 여과장치로서, 커버 등을 벗겨 내부 요부 구성이 보이도록 한 외관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설명 측면도이다.
제6도는 제3실시예의 분별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분별여과장치와 공작 기계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D,1E,1F...크린조
2, 3...좌우측판
4...절삭부스러기 배출구
10, 11...좌우 체인
12...배출판
17...스프로켓축
18...상방 스프로켓
28...하방 스프로켓
30...여과드럼
31...침강판
33...실링부재
34...드럼 스프로켓
41...부착판
44C,44D,44E...여과필터
47A,47B...펌프
131,132,133...여과드럼
146,147,148...분출관
본 발명은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산업기계에 있어서 사용된 후에 액체와 다른 입도(粒度)의 고형물의 오탁액을 분별 여과하여 얻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금속절삭가공에서 사용되어 절삭부스러기를 포함한 상태가 된 절삭유를 다른 여과공정을 거쳐 절삭부스러기와 절삭유로 분리하여 용도별 절삭유를 얻어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금속절삭가공의 사용후에 절삭부스러기를 포함한 절삭유를 절삭부스러기와 절삭유로 분리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절삭유(이하, 정화절삭유라 한다)를 얻기 위한 여과장치가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공평 2-44564호 공보의 여과장치는 이러한 분별여과장치를 개량한 장치예로서, 여과드럼의 일단을 절삭유중에 있어서 띄운 상태로함으로써 여과드럼의 베어링에 걸리는 가중을 경감하는 등으로 하여 여과드럼을 가볍게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일본실원평 1-31997호의 여과장치에 따르면 절삭부스러기를 포함한 여과되어야 할 절삭유(이하, 피여과 절삭유라 한다)중에 있어서, 예를들어 선반가공시에 있어서 연속 나선상이 되어 공기를 내포한 상태로 부력을 얻어 유면(油面)에서 부유된 상태가 되어 있는 부상(浮上) 절삭부스러기를 피여과절삭유 속으로 침강시키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에 따르면 부상 절삭부스러기를 그대로 방치한 상태로 해두면, 부상 절삭부스러기는 점점 성장 확대되어 여과드럼의 외주에 권회되어 있는 필터를 손상하는 사태 발생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정화된 정화절삭유를 재사용 또는 수회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작기계의 종류 또는 절삭의 종별에 따라 절삭유를 적절히 쓰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정밀 절삭 가공시나 건드릴(Gun Drill)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품이나 거의 미사용 상태에 가까운 완전히 여과된 절삭유가 필요해진다. 또한, 예를들어 중(重)절삭, 거친절삭가공이나 무인화 공장등에 있어서 퇴적된 절삭부스러기를 유조 속으로 유출시키기 위해 상방에서 흘리듯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완전히 여과된 정화절삭유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각종 절삭공구류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머시닝 센타에 따르면 1대로 작업물이 원하는 대부분의 가공이 가능함과 동시에, 24시간 가동이 가능하므로 자동화, 무인화 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종 선반, 프라이스반, 연삭기계류도 마찬가지로 자동화, 무인화 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류는 절삭유류를 대량으로 사용하므로 상기 제안된 바와 같은 여과장치로서, 커다란 번수의 여과필터를 구비한 여과 드럼을 구비한 여과장치와 작은 번수의 여과필터를 설치한 여과드럼을 갖춘 여과장치를 적어도 2대 이상 설치해 두고, 용도별 절삭유를 여과하여 재이용함으로써 경제성을 유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화 공장에 있어서, 커다란 번수의 여과필터를 둔 여과드럼을 구비한 여과장치와, 작은 번수의 여과필터를 둔 여과드럼을 구비한 여과장치를 적어도 2대이상 설치하는 것은 비경제적임과 동시에 설치면적이 많이 필요해진다.
또한, 이들 여과장치를 각종 공작기계류와 독립하여 설치해서는 자동화가 불가능하므로 절삭유를 송출하기 위한 배관류를 여과장치와 각종 공작기계류의 사이에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2대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관류가 번잡해진다.
또한, 사용이 끝난 절삭유를 회수하여 여과장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장치도 여과장치를 2대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 반송 경로가 번잡화된다.
이상과 같이 용도별 절삭유를 여과하여 재이용함으로써 경제성을 가지는 것은 자동화 공장등에 있어서 중요한 것인데, 공작기계류와의 비교에 있어서 점유면적이 적지 않은 여과장치를 2대 이상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은 말할 나위가 없고, 보다 많은 설비비를 초래하므로 실현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별여과방법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각종 산업기계류와 여과장치로 구성되는 기계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여과되는 여과액을 다른 여과수단을 사용하여 분별하여 여과할 수 있으며, 여과액을 송출하기 위한 배관류를 간략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이 끝난 여과액을 회수하여 여과장치까지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는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목적에 더하여 기계 가공의 종별에 따라 절삭유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 분별하여 정화되는 정화절삭유를 1대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여과드럼의 구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여과드럼이 과잉부하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분별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점유면적이 적은 1대의 여과장치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분별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기계에서 사용된 후에 소정 고형물과 소정 액체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소정 고형물을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체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방법으로서, 액체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이 저장조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분별 여과후의 액체를 상기 각 액조에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짐과 동시에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액조의 배설분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드럼의 상기 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고형물을 연속적으로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된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각 액조와 상기 산업 기계 사이에 배관되어 액체를 상기 산업기계에 대해서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산업기계 사이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오탁액을 상기 분별여과장치에 대해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분별 여과된 액체를 공통의 상기 분별여과장치로부터 상기 산업기계에 대해 공급함으로써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설치한 각 여과드럼에 의해 원하는 액체를 분별 여과하여 액조에 저장하고 공급수단에 의해 원하는 산업기계로 공급함과 동시에, 분별여과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공급수단 또는 반송수단의 구성을 간략하게 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공작기계에서 사용된 후에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발생하는 고형물과 액제(掖劑)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상기 고형물을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제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방법으로서, 액제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분별여과후의 액제를 상기 각 액조에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짐과 동시에,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액조가 배설분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고형물을 연속적으로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각 액조와 상기 공작기계 사이에 배관되어 액제를 상기 공작기계에 대해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공작기계 사이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오탁액을 상기 분별여과장치에 대해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분별 여과된 액제를 공통의 상기 분별여과장치로부터 상기 공작기계에 대해 공급함으로써,
분별 여과된 액제를 공통의 상기 분별여과장치로부터 상기 공작기계에 대해 공급함으로써, 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설치한 각 여과드럼에 의해 원하는 액제를 분별 여과하여 액조에 저장하고, 공급수단에 의해 원하는 공작기계에 공급함과 동시에 분별여과장치를 공유할 수 있게 하며, 또한 공급수단 또는 반송수단의 구성을 간략하게 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산업기계에 있어서 사용된 후에 소정고형물과 소정 액체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소정 고형물을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체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장치로서, 액체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분별 여과후의 액체를 상기 각 액조에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액조가 배설분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오탁액의 투입구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고형물을 연속적으로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설치한 각 여과드럼에 의해 원하는 액체를 분별 여과하여 유조에 저장하여 여과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공작기계에서 사용된 후에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발생하는 고형물과 액제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상기 고형물을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제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장치로서, 상기 액제를 분별하여 저정하는 복수의 액조와, 상기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여과후의 액제를 상기 각 액조중에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조의 배설분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오탁액의 투입구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고형물을 연속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구비한 각 여과드럼에 의해 원하는 액제를 정화하여 유조에 저장하여 기계 가공의 종별에 따라 유제를 적절히 쓰기 위해 분별하여 여과되는 액제를 1대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액체 또는 액제의 액면(掖面)을 상기 저장조의 양측면 부위의 사이에 있어서 실링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저장조내에서 상기 여과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여과드럼의 회전 구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여과드럼은 상기 저장조내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제의 액면을 틈새없이 분할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액면상을 부유한 절삭부스러기를 침강시키는 부상(浮上) 고형물 침강수단을 상기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고착 설치함으로써 부상 절삭부스러기 침강수단을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절삭의 종별에 따라 액제를 적절히 쓰기 위해 분별하여 여과되는 액제를, 1대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얻고, 여과드럼이 부상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그 구동력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틈새없이 설치되어 절삭부스러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여과드럼이 과잉 부하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여과드럼 구동용의 구동수단과 구동원을 공통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저장조내에 배설되는 스프로켓 및 가이드부재와, 상기 여과드럼에 고정되는 드럼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과 상기 드럼 스프로켓에 치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엔드리스체인과, 상기 스프로켓을 구동하는 1대의 구동모터를 구비함으로써 구동계를 간략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사용된 후에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발생하는 고형물과 액제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고형물을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제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장치로서, 상기 액제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상기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여과후 액제를 상기 각 액조중에 유출시키기 위해 양측에 개구된 측면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격벽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분별여과드럼과, 상기 분별여과드럼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여과수단을 역세정하는 분사수단과, 오탁액의 투입구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고형물을 연속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1대의 여과드럼으로도 분별여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분별여과드럼의 상류 또는 하류에 있어서 여과드럼을 배설함으로써 2종류 이상의 정화절삭유를 얻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되는 범위에서 각종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별여과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분별여과장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절삭가공후에 발생한 입도가 다른 절삭부스러기와 절삭유가 혼재된 피여과 절삭유로부터 절삭부스러기를 여과하여 정화절삭유를 분별하여 얻기 위한 개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개략 구성은 공작기계에 한정되지 않고, 유지류를 고형물로부터 분리하는 식품기계나 토목기계로서 토석이 혼재된 오탁액으로부터 입도에 따라 토사를 분별 여과하여 얻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런데 제1도에 있어서 분별여과장치(1)는 정화절삭유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크린조(1D), (1E), (1F)가 상류의 투입구(8)로부터 하류의 절삭부스러기 배출구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여과 절삭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내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피여과 절삭유의 액면(L1)을 2분할하는 여과드럼(131), (132), (133)이 상류 투입구(8)로부터 하류의 절삭부스러기 배출구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여과드럼의 개구부가 각 크린조(1D), (1E), (1F)의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각 여과드럼에 의해 여과된 후의 정화 절삭유를 각 크린조내로 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여과드럼(131), (132), (133)의 외주면에는 상류측을 향해 보다 가는 여과능력을 가지는 각각 다른 번수(예를들어 여과능력100, 50, 20미크론)의 여과필터(44C), (44D), (44E)가 교환 가능하게 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여과드럼(131), (132), (133)의 내부에는 분출관(146), (147), (148)이 각 여과필터(44C), (44D), (44E)를 내면측(정화 절삭유의 유출측)으로부터 역세정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각 크린조(1D), (1E), (1F)내에 저장된 정화절삭유를 펌프(미도시)를 개재시켜 여과드럼의 내측으로부터 힘있게 분사함으로써 여과필터면에 부착 잔류된 절삭부스러기를 불어 날리도록 하여 각 여과필터의 막힘 방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투입구(8)의 상류측으로부터 절삭부스러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걸쳐 절삭부스러기를 연속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도면중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엔드리스의 좌우체인(10), (11)에는 고정쇠를 이용하여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배출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좌우체인(10), (11)은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얻어 도면중의 화살표 D2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체인(10), (11)의 도중 부위에 있어서 각 여과드럼(131), (132), (133)에 설치된 후술하는 드럼 스프로켓에 대해 치합하도록 드럼 체인 가이드(22)에 의해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체인은 그후 장치의 상류측에 배설된 스프로켓(미도시)를 개재시켜 180도 방향 전환되어 도면중의 화살표 D4방향을 향하고, 피여과 절삭유중에서 침강한 절삭부스러기를 하류측을 향해 반송한 후 곧 도시한 경사부를 화살표 D5 방향으로 상승시켜 절삭부스러기 배출구를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에 의해, 각 크린조(1D), (1E), (1F)내에는 여과필터(44C), (44D), (44E)의 여과능력에 따라 정화된 정화 절삭유가 저장되게 된다. 그래서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정화 절삭유를 정밀 절삭가공이나 중절삭, 거친절삭가공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동작의 결과, 예를들어 1대분의 분별여과장치를 기계 공장내에 설치함으로써 용도별 정화절삭유를 분별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특히 대량의 절삭유를 사용하는 기계절삭공장 등에서는 대단히 경제적이 된다.
다음에, 제2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분별여과장치로서, 커버등을 벗겨 내부의 요부 구성이 보이도록 한 외관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장치 전체의 기부(其部)가 되는 크린조는 좌크린조(1A)와,우크린조(1B)로 좌우로 나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다리부가 4구석에 고정되어 있으며 공장내의 상면(床面)상에 수평으로 조정하여 설치 고정하는 한편, 이들 크린조(1A), (1B)내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별하여 여과된 정화 절삭유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서오디는 각 크린조(1A), (1B)의 사이에는 피여과 절삭유를 저장해 두기 위해 크린조의 저면과 저면을 일부 공통으로 한 피여과 절삭의 기름저장부가 구성되는데, 이 때문에 크린조의 저면과 전방 측면에 연속하여 좌측판(2)과 우측판(3, 일부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이 액밀상태로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이하에 설명할 각 구성요소는 대략 이들 좌우측판(2), (3)을 부착부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우선, 좌우측판(2), (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의 뒤쪽을 하류로 하고 또한 도면 앞쪽을 상류로 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하류측은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최상부에 있어서 파선 도시한 절삭부스러기 배출구(4)를 양측판 사이에 형성해 두고, 이 절삭부스러기 배출구(4)의 하방으로 이동되는 절삭부스러기 회수상자(9)내로 절삭부스러기를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판(2), (3)의 최상류측은 각 크린조의 측벽과 공유함과 동시에, 좌우측판(2), (3)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상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는 여과드럼(30)의 상류측(장치의 앞측)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8)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8)로부터 피여과 절삭유를 피여과 절삭유의 저장부내로 적절히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좌우측판(2), (3)의 하류측인 경사 상방 부위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설되어 있으며, 좌우 한쌍의 상방 스프로켓(18)을 고정한 스프로켓축(17)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 스프로켓축(17)에는 좌측판(2)에 고정됨과 동시에 감속장치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구동모터(15)의 출력축(16)이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5)의 구동에 따라 상방스프로켓(18)을 시계회전방향으로 연속 구동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좌우측판(2), (3)의 최상류측인 도면 앞측에도 마찬가지로 베어링(미도시)이 배설되어 있으며, 좌우 한쌍의 하방스프로켓(28)을 고정한 스프로켓축(29)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설치되는 상방스프로켓(18)과 하방스프로켓(28)사이에는 도면중에 있어서 일부를 일점쇄선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는 엔드리스 좌체인(10)과 우체인(11)이 각각 치합된 상태로 어셈블리되어 있다. 이들 좌체인(10)과 우체인(11)은 도시한 바와같이 거의 좌우측판(2), (3)을 따르도록 안내되는 한편, 도중에 여과드럼(30)에 대한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하기 위해 체인의 방향전환 부위에 있어서 상방체인 가이드(20)화 하방체인 가이드(21)가, 또한 여과드럼(30)의 상류와 하류측에 있어서 드럼 체인 가이드(22)가 좌우측판(2), (3)의 대향면상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좌체인(10)과 우체인(11) 사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피여과 절삭유중의 침하된 절삭부스러기를 상류를 향해 송출하기 위한 배출판(12)이 소정매수만큼 고정되어 있으며, 절삭부스러기를 상류를 향해 반송 배출하여 피여과 절삭유중의 절삭부스러기가 상기 절삭부스러기 배출구(4)의 상류를 향해 충분한 거리를 운반되는 도중에 절삭부스러기로부터 절삭유가 충분히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과드럼(30)의 외주면에는 드럼 스프로켓(34)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드럼 스프로켓(34)에 대해서 치합되어 있는 좌체인(10)으로부터 회동력을 얻음으로써 시계회전방향으로 항상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여과드럼(30)의 외주면에는 스텐레스 금강, 화학섬유 메쉬, 워지와이어, 펀칭메탈 등으로 이루어지며, 예를들어 여과능력이 20미크론과 100미크론의 다른 여과필터(44A), (44B)가 격벽(25)을 경계로 하여 각각 권회상태가 되어 교환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피여과 절삭유를 이들 각 여과필터(44A), (44B)를 통과시켜 여과하여 분별한 정화절삭유를 얻은 후, 크린조(1)내에 좌측판(2)에 형성된 반원형 개구부(5) 또는 우측판(3)에 형성된 점선을 도시한 반원형 개구부(6)를 통해 각각의 크린조(1A), (1B)로 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여과드럼(30)내에는 각 크린조(1A), (1B)의 정화절삭유를 여과필터(44A), (44B)를 향해 분출하기 위해 배관(미도시, 46A)과 배관(46B)과 펌프(47A), (47B)를 각각 접속한 분사관(45A), (45B)이 반원형 개구부(5), (6)에 있어서 편지지된 상태로 배설되어 있으며, 각 분사관의 노즐을 통해 소위 역세정을 여과필터(44A), (44B)에 대해 행함으로써 여과필터(44A), (44B)의 막힘을 해소하여 연속여과동작을 가능케 하고 있다.
그리고, 여과드럼(30)의 외주면에는 피여과 절삭유중에서 부력을 얻어 유면에서 부유된 상태가 되어 있는 부상 절삭부스러기를 피여과 절삭유중에 침강시키기 위한 부상 절삭부스러기 침강판(31)이 고정되어 있으며, 여과드럼(30)의 시계회전방향의 회동에 따라 부상 절삭부스러기를 피여과 절삭유중에 침강시키도록 하여 부상 절삭부스러기가 성장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필터(44A), (44B)가 손상되는 등의 우려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분별 여과장치에 따르면 공통의 구동원인 1대의 구동모터(15)로부터 구동력을 얻어 좌우체인(10), (11) 사이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배출판(12)과 여과드럼(30)의 양쪽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피여과 절삭유의 투입구(8)는 낮은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투입작업이 쉬워지며, 비교적 높은 높이를 가지는 회수상자(9)의 상방으로부터 절삭부스러기 배출구(4)를 통해 절삭부스러기를 낙하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합리적인 구성을 실현 가능케 된다.
다음에 제3도는 제2도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또한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분별여과장치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본 측면도이다. 양 도면에 있어서, 제2도에서 이미 설명했던 구성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여과드럼(30)의 지지상태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좌우측판(2)의 반원형 개구부(5)의 근방에는 피여과 절삭유의 저장부측으로 연장설치되는 환상의 안내부재(40)가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우측판(3)에 대해서는 상기 반원형 개구부(6)가 형성됨과 동시에 분사관(45B)을 고정한 부착판(41)이 복수의 볼트 너트(14)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는데, 이부착판(41)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피여과 절삭유의 저장부측에 연설되는 환상의 안내부재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부품으로 구성되는 여과드럼(30)을 도시하는 조립상태로 세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여과드럼(30)은 환상의 좌우 기부(27) 사이를 복수의 파이프재(26)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용접하여 소정폭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이들 기부(27)의 외주면에 드럼 스프로켓(34)과, 가이드부(32)를 각각 고정하여, 좌우체인(10), (11)을 치합,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재료를 사용하여 여과드럼(30)을 구성하고, 판부재에 개구부를 설치하도록 하여 각 여과필터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부상 절삭부스러기 침강판(31)은 볼트 너트(14)를 이용하여 기부(27)에 고정되는 한편, 여과필터(44A), (44B)도 기부(27)에 걸려 감긴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여과드럼(30)은 각 기부(27)가 각 안내부재(40)에 대해 유격이 있는 상태로 삽입 지지되는 한편, 여과드럼(30)의 각 기부(27)의 가장자리부에는 예를들어 V실링이라 불리우는 고무제품의 것이나 판형상의 고뭇 실링으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33)가 고정되어 있으며, 실링부재(33)의 실링부(33a)가 좌측판(2)과 부착판(41)의 벽면에 대해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V실링은 좌측판(2)과 부착판(41)측에 고정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여과드럼을 구성 및 지지함으로써 피여과 절삭유의 액면(L1)의 상승에 따라 여과드럼(30)을 항상 부유한 상태로 되며, 시계회전방향의 회동을 경감시킨 상태로 행하게 된다. 또한 부상 절삭부스러기는 부상 절삭부스러기 침강판(31)의 작용에 의해 피여과 절삭유중에 침강할 수 있도록 하여 부상 절삭부스러기가 성장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필터(44A), (44B)를 손상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여과드럼(30)의 좌우측판(2), (3)사이에서 실링부재(33)를 이용하여 틈이 없으면서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상 절삭부스러기가 하류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제5도는 이상 설명한 분별여과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동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에 있어서, 미설명의 구성 부분을 설명하면 절삭부스러기 배출구(4) 근방에는 상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경사판(7)이 설치되어 있으며, 절삭부스러기로부터 절삭유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제5도에 있어서, 분별여과장치의 동작 설명을 하면, 피여과 절삭유가 투입구(8)로부터 투입되어 여과드럼(30)이 부상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스위치(미도시)가 투입되면 상방스프로켓(18)이 도면중의 화살표 D1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는 경과, 좌우체인(10), (11)도 화살표 D2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방체인 가이드(20)에 의해 거의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며, 드럼체인 가이드(22)에 의해 여과드럼(30)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또는 드럼 스프로켓(34)에 치합하도록 안내됨으로써 여과드럼(30)을 도면중의 화살표로 3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좌우체인(10), (11)은 또한 하방스프로켓(28)에 있어서 방향이 180도 역전되고, 도면중의 화살표 D4방향의 하류측을 향하고 또한 하방체인 가이드(21)에 있어서 좌측 경사상방의 화살표 D5방향을 향하도록 안내된다
이 일련의 동작에 전후하여 펌프(47A), (47B)의 기동이 행해지고 분출관(45A), (45B)으로부터 정화 절삭유가 여과필터(44A), (44B)를 향해 힘있게 분출되어 역세정을 행한다. 또한, 여과드럼의 외측으로부터 세정이 행해진다.
이상의 동작이 소정시간 경과되면 정화 절삭유가 크린조(1A), (1B)내로 액면(L2)까지 상승하도록 저장된다. 한편,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피여과 절삭유의 액면(L1)상에 부유되어 있는 부상 절삭부스러기(F1), (F2)중 피여과 절삭유의 투입구(8)측에 있어서 부유되어 있는 부상 절삭부스러기(F1)는 여과드럼(30)에 의해 완전히 상류와 하류측으로 분리되므로, 하류측에 있어서 부유되어 있는 부상 절삭부스러기(F2)와 혼재되는 것이 완전히 방지된다. 또한, 부상 절삭부스러기 침강판(31)의 작용에 의해 피여과 절삭유중에 부상 절삭부스러기(F1), (F2)를 침강시키도록 하여 부상 절삭부스러기가 성장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필터(44)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여과드럼(30)은 실링부재(33)의 실링부(33a)가 좌측판(2)과 부착판(41)의 벽면에 대해 밀착하는 상태가 되는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과잉 부하가 발생하는 일은 일체 없어지며, 연속운전이 가능해지고 피여과 절삭유를 연속공급하는 벨트 컨베어와 절삭부스러기를 연속 반출하는 회수상자의 조합에 의해 무인연속운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구성의 분별여과장치에 따르면, 각 크린조(1A), (1B)내에는 여과필터(44A), (44B)의 각 여과능력에 따라 정화된 정화 절삭유가 저장되게 된다. 그래서 이와같이 얻어진 정화절삭유를 정밀절삭가공이나 중절삭, 거친절삭가공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특히 공통의 여과드럼(30)을 격벽(25)에 의해 나누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분별여과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에 대해 제6도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특징 부분에 한정하여 설명하면, 여과드럼(30)의 하류측에는 한쌍의 제2여과드럼(130)이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이들 제2여과드럼(130)의 내부에는 제2분사관(145)이 펌프(147)로부터 정화 절삭유를 공급하도록 설치도어 있으며, 제2여과드럼(130)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필터(150)의 역세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별여과장치에 따르면, 상류측 여과드럼(30)에 의해 2종류의 정화 절삭유를 정화할 수 있으며, 각 크린조(1A), (1B)내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하류의 제2여과드럼(130)에 의해 정화된 정화 절삭유가 크린조(1C)내에 저장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여과드럼(130)을 2대 증설한 만큼 정화작용이 배증함으로써 상술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좌우체인의 반송속도를 2배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한쪽 여과드럼이 완전히 막혀있어도 그 나름의 정화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여과드럼을 더 증설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화작용을 실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구성은 적절히 설계변경 가능하며, 예를들어 비교적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좌우측판(2), (3)이나 크린조(1)등은 외형 골격부에 구성해 두고, 소정두께의 철판을 적절히 용접하여 형성하거나, 또한 여과드럼(30)은 원통상의 일체물로 여과필터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각 분사관의 분사방향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절삭부스러기가 철에 한정되는 경우에는 피여과 절삭유의 저장실 저면에 영구 자석을 배설함으로써 절삭부스러기의 침하를 촉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분별여과장치에 의하면, 절삭 종별에 따라 절삭유를 적절히 쓰기 위해 분별하여 정화되는 정화 절삭유를 1대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과드럼의 구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여과드럼이 과잉부하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분별여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절삭의 종별이나 자동화공장이나 머시닝센터등에 있어서 퇴적한 절삭부스러기를 씻어내리는 등과 같이 사용 목적에 따라 절삭유를 적절히 쓰기 위해 분별하여 정화되는 정화 절삭유를 점유면적이 적은 1대의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7도는 분별여과장치(1)와 공작기계(110), (120)...의 구성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분별여과장치(1)는 공작기계(110), (120)...에 있어서, 절삭 또는 연삭가공등에 의한 기계가공후에 발생한 형상과 칫수와 입도가 다른 절삭부스러기와 절삭유가 혼재된 피여과 절삭유로부터 절삭부스러기를 여과하여 정화 절삭유를 분별하여 얻기위한 개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개략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한 공작기계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지류를 고형물로부터 분리하는 식품기계나 토목기계로서 토석이 혼재된 오탁액으로부터 입도에 따라 토사를 분별 여과하여 얻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런데 제7도에 있어서 분별여과장치(1)는 정화 절삭유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크린조(1D), (1F)가 상류 투입구(8)로부터 하류의 절삭부스러기 배출구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여과 절삭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파선으로 도시된 피여과 절삭유의 액면을 분할하는 여과드럼(131), (133)이 상류 투입구(8)로부터 하류의 절삭부스러기 배출구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여과드럼의 개구부가 각 크린조(1D), (1F)를 향해 위치하도록 하여 각 여과드럼에 의해 여과된 후의 정화 절삭유를 각 크린조내로 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여과드럼(131),(133)의 외주면에는 상류측을 향해 보다 가는 여과 능력을 가지는 각각 다른 번수(예를들어, 여과능력 100, 20미크론)의 여과필터(44C), (44E)가 교환 가능하게 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여과드럼(131), (133)의 내부에는 분출관(미도시)이 각 여과필터(44C), (44E)의 내면측(정화절삭유의 유출측)으로부터 역세정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각 크린조(1D), (1F)내에 저장된 정화 절삭유를 펌프(미도시)를 개재시켜 여과드럼의 내측으로부터 힘있게 분사함으로써 각 여과필터면에 부착 잔류된 절삭부스러기를 불어날리도록 하여 각 여과필터의 막힘 방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투입구(8)의 상류측으로부터 절삭부스러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걸쳐 절삭부스러기를 연속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예를들어 제2도에 있어서 설명한 다수의 배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여과 절삭유중에서 침강한 절삭부스러기를 하류측을 향해 반송한 후 곧 도시한 경사부를 상승시켜 절삭부스러기 배출구를 향해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에 의해 각 크린조(1D), (1F)내에는 여과필터(44C), (44E)의 여과능력에 따라 정화된 정화 절삭유가 저장되게 된다.
또한, 건드릴을 포함하는 각종 절삭공구를 실장한 머시닝센터인 공작기계(110),(120)...와 각 크린조(1D) 사이에는 도중에 제1펌프(101)을 설치한 제1배관(10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자밸브(111)의 개폐 제어에 의해 공작기계에 대해 여과후의 절삭유액을 적절히 공급 가능하게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공작기계(110), (120)...와 각 크린조(1F) 사이에는 도중에 제2펌프(102)를 설치한 제2배관(105)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자밸브(112)의 개폐제어에 의해 공작기계에 대해서 여과후의 절삭유액을 적절히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정밀 절삭가공 바이트나 건드릴 등에는 제2배관(105)를 개재시켜 화살표 Y1방향으로 각각 공급하고, 또한 예를들어 중절삭, 거친절삭가공시나 무인화 공장등에 있어서 퇴적된 절삭부스러기를 유조중에 유출시키기 위해 상방으로부터 흘리도록 사용하는 경우로서, 반드시 완전히 여과된 정화 절삭유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배관(104)을 개재시켜 화살표 X1방향으로 자동 공급한다.
또한, 머시닝센타에 따르면 1대로 작업물이 원하는 대부분의 가공이 가능하며, 또한 24시간 가동이 가능하므로 분별 여과된 절삭유가 자동 공급되어 자동화, 무인화 공장에 있어서 지극히 의미있는 구성이 된다.
또한, 사용이 끝난 절삭부스러기를 포함하는 피여과 절삭유는 각 공작기계의 저면에 배설된 드레인으로부터 강력펌프를 구비한 배관 내지 벨트 컨베이어나 고저차를 둔 간단한 통구조의 반송수단(103)을 개재시켜 투입구(8)로 투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완전 자동화, 무인화 공장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를들어 1대분의 분별여과장치를 기계공장내에 설치함으로써 용도별 정화절삭유를 분별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특히 대량의 절삭유를 사용하는 기계절삭공장 등에서는 극히 경제적이다.

Claims (18)

  1. 산업기계에 있어서 사용된 후에 고체와 액체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고체를 외형 또는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체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방법으로서,
    액체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분별 여과후의 액체를 상기 각 액조에 유출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액조의 배설분 설치되어 이루어져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고체를 연속적으로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된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각 액조와 상기 산업기계 사이에 배관되어 액체를 상기 산업기계에 대해서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산업기계 사이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오탁액을 상기 분별여과장치에 대해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여 어지어지며,
    분별여과된 액체를 공통의 상기 분별여과장치로부터 상기 산업기계에 대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수단을 상기 여과드럼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역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방법
  3. 공작기계에 있어서 사용된 후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발생하는 고체와 액제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상기 고체를 외형 또는 입도에 따라 분별여과하여 액제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방법으로서,
    액제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분별 여과후의 액제를 상기 각 액조로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액조의 배설분 설치되어 이루어져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고체를 연속적으로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여 된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각 액조와 상기 공작기계 사이에 배관되어 액제를 상기 공작기계에 대해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분별여과장치와 상기 공작기계 사이에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오탁액을 상기 분별여과장치에 대해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분별 여과된 액제를 공통의 상기 분별여과장치로부터 상기 공작기계에 대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수단을 상기 여과드럼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역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방법.
  5. 산업기계에 사용된 후 소정 고체와 액체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소정 고체를 외형 또는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체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장치로서,
    액체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분별여과후의 액체를 상기 각 액조로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액조의 배설분 설치되어 이루어져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필터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오탁액의 투입구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고체를 연속적으로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여과수단을 상기 여과드럼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역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기계는 공작기계이며, 또한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발생하는 고체와 액체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상기 고체를 외형 또는 입도에 따라 분별여과하여 액제를 재이용하기 위해
    상기 액제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상기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여과후의 액제를 상기 각 액조중에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조의 배설분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과,
    상기 각 여과 드럼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여과수단을 역세정하는 분사수단과,
    오탁액의 투입구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고체를 연속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제의 액면을 상기 저장조의 양측면 부위와의 사이에서 실링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저장조내에서 상기 여과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드럼은 상기 저장조내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제의 액면을 틈새없이 분할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액면상을 부유한 절삭부스러기를 침강시키는 부상 고체 침강수단을 상기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고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류로부터 하류에 이르는 도중 부위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최상부위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수단을 상기 저장조를 따르도록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여과드럼의 구동용 구동수단과 구동원을 공통으로 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내에 배설되는 스프로켓 및 가이드부재와
    상기 여과드럼에 고정되는 드럼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과 상기 드럼 스프로켓에 치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엔드리스 체인과,
    상기 스프로켓을 구동하는 1대의 구동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2. 산업기계에 있어서 사용된 후에 발생하는 고체와 액체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고체를 외형 또는 입도에 따라 분별 여과하여 액제를 재이용하기 위한 분별여과장치로서,
    액체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여과후의 액체를 상기 각 액조중에 유출시키기 위하여 양측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격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분별여과드럼과,
    상기 분별여과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기 여과수단을 세정하는 분사수단과,
    오탁액의 투입구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고체를 연속 반송하여 배출구로부터 낙하시키는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기계는 공작기계이며, 또한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발생하는 고체와 액제가 혼재하는 상태가 된 오탁액으로부터 상기 고체를 외형 또는 입도에 따라 분별여과하여 액제를 재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제의 액면을 상기 저장조의 양측면 부위와의 사이에서 실링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저장조내에서 상기 여과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드럼은 상기 저장조내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제의 액면을 틈새없이 분할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액면상을 부유한 절삭부스러기를 침강시키는 부상고체 침강수단을 상기 여과드럼의 외주면에 고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류로부터 하류에 이르는 도중 부위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최상부위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수단을 상기 저장조를 따르도록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분별여과드럼의 구동용 구동수단과 구동원을 공통으로 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내에 배설되는 스프로켓 및 가이드부재와,
    상기 여과드럼에 고정되는 드럼 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과 상기 드럼 스프로켓에 치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엔드리스체인과,
    상기 스프로켓을 구동하는 1대의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액제를 분별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액조와, 상기 오탁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여과후의 액제를 상기 각 액조중에 유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편면에 개구된 측면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각각 다른 번수의 여과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조의 배설분 설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여과드럼의 상류 또는 하류에 있어서 상기 분별여과드럼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별여과장치.
KR1019950003647A 1994-03-03 1995-02-24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 KR0141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95294 1994-03-03
JP94-033952 1994-03-03
JP95-004006 1995-01-13
JP7004006A JP3004556B2 (ja) 1994-03-03 1995-01-13 分別濾過方法及び分別濾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41A KR950026541A (ko) 1995-10-16
KR0141852B1 true KR0141852B1 (ko) 1998-06-01

Family

ID=2633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647A KR0141852B1 (ko) 1994-03-03 1995-02-24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03846A (ko)
JP (1) JP3004556B2 (ko)
KR (1) KR0141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7055B2 (ja) * 1996-10-14 1999-10-25 株式会社シスト 濾過装置
US5858218A (en) * 1996-12-16 1999-01-12 Kennametal Inc. Machine tool coolant reclamation system employing a conveyor discharging separated solids onto an impingement screen
GB9919183D0 (en) * 1999-08-13 1999-10-20 Jones & Attowood Limited Apparatus for use in a sewage treatment plant
US6571959B1 (en) 1999-09-22 2003-06-03 Robin C. Moore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DE60238523D1 (de) * 2001-04-11 2011-01-20 Bekaert Sa Nv Filtervorrichtung
US7404904B2 (en) * 2001-10-02 2008-07-29 Melvin Stanley Method and apparatus to clean particulate matter from a toxic fluid
DE10223291A1 (de) * 2002-05-24 2003-12-11 Mayfran Int Bv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Trennung von an Werkzeugmaschinen anfallenden Spänen und Kühlflüssigkeit (Überlauf)
DE10223294A1 (de) * 2002-05-24 2003-12-11 Mayfran Int Bv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Trennung von an Werkzeugmaschinen anfallenden Spänen und Kühlflüssigkeit(Dichtung)
GB2403438B (en) * 2003-03-06 2005-07-27 Three Star Enviromental Ltd Screening apparatus
SE525213C2 (sv) * 2003-05-23 2004-12-28 Hyosong M Lee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kontinuerlig filtrering av partiklar ur en vätska
US7001515B2 (en) * 2003-10-14 2006-02-21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Dual filter system for filtering of injector fluids
DE102004032334B3 (de) * 2004-07-02 2005-10-20 Mayfran Int Bv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Trennung von an Werkzeugmaschinen anfallenden Spänen und Kühlflüssigkeit (Transport)
US7638061B2 (en) * 2004-09-03 2009-12-29 Hennig Incorporated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8147689B1 (en) * 2008-07-11 2012-04-03 Lowell Cogar Materials dewatering unit
JP4896185B2 (ja) * 2009-06-09 2012-03-14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作機械のクーラント処理装置
DE202009009535U1 (de) * 2009-07-13 2009-09-17 Deckel Maho Pfronten Gmbh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Kühlschmierstoff
WO2012116758A1 (en) * 2011-03-03 2012-09-07 Lns Management Sa Filtering chip conveyor
WO2014177199A1 (en) * 2013-04-30 2014-11-06 Lns Management Sa Filter box for a filtering chip conveyor
JP6062325B2 (ja) * 2013-06-26 2017-01-18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の切屑処理装置
US10493384B2 (en) * 2014-03-27 2019-12-03 Asama Coldwater Manufacturing Inc. Filtration system
KR200483866Y1 (ko) 2015-02-17 2017-07-03 조순자 집게형 액자
JP6586296B2 (ja) * 2015-06-04 2019-10-02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の切屑排出装置
JP6007309B1 (ja) * 2015-12-25 2016-10-12 株式会社ブンリ 濾過装置
CA2959851A1 (en) * 2016-03-03 2017-09-03 Recover Energy Services Inc. Gas tight shale shaker for enhanced drilling fluid recovery and drilled solids washing
JP6375424B1 (ja) * 2017-09-13 2018-08-15 株式会社ブンリ 濾過装置
US20200078894A1 (en) * 2018-09-07 2020-03-12 Manufacturing Productivity Systems Coolant filtration system
CN110299568B (zh) * 2019-07-03 2021-05-07 长沙而道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电池的设备
CN114670052B (zh) * 2022-03-18 2023-04-07 大成(常熟)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化加工设备的切削液回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7550A (en) * 1927-05-10 baghmann
US1904066A (en) * 1931-05-25 1933-04-18 George G Mcarthur Book stcck washer
US2267086A (en) * 1937-07-22 1941-12-23 William J Donohue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US2969880A (en) * 1958-06-25 1961-01-31 Elsner C Lundholm Filter
US4655940A (en) * 1986-02-13 1987-04-07 Henry Filters, Inc. Central coolant system with intermittent waste flushing
US4724077A (en) * 1986-06-09 1988-02-09 Tadao Uchiyama Rotary drum filter with sliding perforated buckets
US4895647A (en) * 1987-08-12 1990-01-23 Syst Corp Filtering apparatus
JPH01139112A (ja) * 1987-11-25 1989-05-31 Nippon Shisutomeeshiyon Eng Kk 瀘過装置
US5167839A (en) * 1991-07-23 1992-12-01 H & W Systems Corporation Fluid coolant cleaning system for machine tool applications
US5230793A (en) * 1991-09-25 1993-07-27 Barnes International, Inc. Chip filtration and remov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04556B2 (ja) 2000-01-31
US5603846A (en) 1997-02-18
KR950026541A (ko) 1995-10-16
JPH0866607A (ja) 1996-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852B1 (ko)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
KR100228260B1 (ko)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
US5167839A (en) Fluid coolant cleaning system for machine tool applications
US6571959B1 (en)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EP1964642B1 (en) Dirty liquid treating apparatus
US10561970B2 (en) Filtration device
JP2001179571A (ja) 濾過装置
RU2707225C1 (ru) Промышленная очист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 фильт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JP3648177B2 (ja) 環境対応型クーラント装置
JP2007098538A (ja) 個液分離システム
JP2000300914A (ja) 濾過装置
JPH08215512A (ja) 濾過装置
JP3389126B2 (ja) 濾過装置
JP2580482B2 (ja) 濾過装置
JP2003094069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JP2001029706A (ja) 吸引式濾過装置
JPH1199308A (ja) 濾過装置
US4746444A (en) Prevention of chip build-up in filtration equipment
WO2023106292A1 (ja) 研削用クーラント装置
JP2000000409A (ja) 濾過装置
KR100431622B1 (ko) 자동 여과 필터가 장치된 액체 탱크의 이동식 다기능 청소기
RU2286826C2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и оборотных жидкостей
KR200274941Y1 (ko) 자동 여과 필터가 장치된 액체 탱크의 이동식 다기능청소기
JPH09824A (ja) 濾過装置
JP2005007210A (ja) 異物、油水分離装置および分離装置に用いる回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