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569B1 -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569B1
KR0141569B1 KR1019940024895A KR19940024895A KR0141569B1 KR 0141569 B1 KR0141569 B1 KR 0141569B1 KR 1019940024895 A KR1019940024895 A KR 1019940024895A KR 19940024895 A KR19940024895 A KR 19940024895A KR 0141569 B1 KR0141569 B1 KR 014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finger
detachable
support
horizon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091A (ko
Inventor
배준우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4002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569B1/ko
Publication of KR96001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ipulator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나 압축공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스템리드선에의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를 개시한다. 소켓의 장착시에는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을 상향경사부를 지니는 장착대에 의해 장착위치로 컨베이어가 진행함에 따라 서서히 상향운동시키고, 그 장착위치에서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고정핑거의 제 2 수평부가 프레임에 설치된 핑거고정홀더의 제 1수평부에 걸림으로써 소켓지지대를 소켓장착 위치에 유지시키며, 소켓의 탈착시에는 고정핑거의 걸림해제아암이 접촉하여 밀리면서 고정핑거를 선회시켜 제 1 수평부로부터 제 2 수평부가 해제됨으로써 소켓지지대가 자중에 의해 제 2 탈착보조대의 하향경사부의 상면을 따라 서서히 탈착위치로 하향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 및 압축공기의 손실이 전혀 없으며, 또한, 음극선관이나 소켓등에 아무런 충격력도 주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리미트스위치나 에어실린더 등과 같은 유지, 보수의 필요성도 없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제 1도(a)는 음극선관이 카트에 실린 채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 1도(b)는 제 1도(a)의 선A­A단면도,
제 2도(b)는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제 1도(b)에 해당하는 부분단면도이고, (b)는 종래의 장착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종래의 탈착장치의 평면도,
제 3도(a)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자동 장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 2도(a)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b)는 제 3도(a)의 화살표 B 방향의 개략도,
제 4도(a)는 제 3도의 고정핑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상세도이고, (b)는 제 4도(a)의 화살표 F 방향의 개략도,
제 5도(a)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자동탈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 2 도(a)에 해당하는 부분단면상세도이고, (b)는 제 5도(a)의 선 D­D 단면도이며, (c)는 제 5도(a)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본 탈착장치의 부품들의 배열과 탈착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6도는 제 4도(a)의 화살표 F 방향에서 본 제 3도의 고정핑거의 다른 실시예의 탈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1 : 음극선관
2 : 카트
3 : 체인컨베이어 또는 토우컨베이어
4 : 스템리드선
5 : 소켓
6 : 프레임
7,7' : 에어실린더
8.8' : 푸셔
9,9' : 리미트스위치
10 : 소켓지지대
11 :장/탈착아암
15 : 핑거고정홀더
16 : 제 1 경사부
17 : 제 1 수평부
20,20' : 고정핑거
21,21' : 제 2 경사부
22,22' : 제 2 수평부
23,23' : 걸림해제아암
25,25' : 스프링
30 : 장착대
31 : 상향경사부
40,40': 걸림해제대
41 : 누름경사부
45 : 제 1 탈착보조대
46 : 상향경사부
50 : 제 2탈착보조대
51 : 제 1하향경사부
55 : 제 3탈착보조대
56 : 제 2하향경사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컨베이어에 의해 카트에 실린 채 운반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스템리드선에 삽입되는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에이징(AGING)공정, 고전압(HIGH VOLTAGE)인가공정등의 제조 및 검사공정중에 음극선관을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하는 도중 전자총의 스템리드선에 소켓을 삽입하여 전류를 인가시킨 후, 다시 소켓을 탈착시키는 작업이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제 1 도(a)에서는 카트(2)에 음극선관(1)이 실린 채 컨베이어(3)에 의해 화살표 T 방향으로 운반되는 것이 일례로서 도시된다. 제 1도(b)는 제 1도(a)의 선 A­A 단면도로서, 카트(2)의 프레임(6)내에서 소켓(5)를 음극선관(1)의 스템리드선(4)에 장착 및 탈착시키기 위해 소켓지지대(10)을 화살표 V­V'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며, 그 소켓(5)가 스템리드선(4)에 삽입된 장착위치에서는 고정핑거(20)과 핑거고정홀더(15)의 걸림작용이 해제되고 소켓지지대(10)의 자중 또는 보조스프링에 의해 탈착위치로 하향 이동한다.
이러한 소켓(5)의 장착 및 탈착을 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제 2도(a)내지 제 2도(c)에 도시된다. 소켓의 장착시에는 소켓지지대(10)의 장/탈착아암(11)을 에어실린더(7) 및 푸셔(8)에 의해 화살표V 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소켓(5)를 스템리드선(4)에 삽입, 장착시킴과 동시에, 고정핑거(20)의 제 2수평부(22)가 핑거고정홀더(15)의 제 1 수평부(17)에 걸리게 하여 장착위치에서 그 소켓지지대(10)를 유지 시킨다. 이러한 장착작동은 제 2도(b)의 평면도에서 리미트스위치(9)에 의해 카트(2)의 장착위치를 감지하여 수행된다.
소켓(5)의 스템리드선(4)로부터의 탈착은 소켓지지대(10)의 하향운동으로 행하여지는데, 제 2도(c)의 평면도에서의 리미트스위치(9')의 탈착위치감지에 의해 전자밸브(도시안됨) 및 에어실린더(7')를 개재하여 푸셔(8') 및 걸림해제아암(23)을 화살표 H 방향으로 운동시킴으로써 고정핑거(20)을 화살표 R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그 선회운동에 따라 핑거고정홀더(15)의 제 1 수평부(17)로부터 고정핑거(20)의 제 2 수평부(22)가 이탈됨으로써 소켓지지대(10)의 자중에 의해 또는 보조스프링에 의해 소켓지지대(10)이 탈착위치로 하향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소켓자동장착 및 탈착장치는 많은 전력과 압축공기가 소모될 뿐만 아니라,오작동이나 공기압력에 따라서는 팁(tip)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전력이나 압축공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소켓자동장착 및 탈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갑작스런 충격력을 가하지 아니하는 소켓자동장착 및 탈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카트에 실린 채 운반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스템리드선에 삽입되는 소켓의 자동장착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에 직각으로 카트의 프레임외부로 돌출하는 장/탈착아암을 지니며, 소켓의 장착위치와 탈착위치사이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소켓지지대;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제 1 수평부와 제 1 경사부를 지니는 핑거고정홀더; 소켓지지대의 상하이동중 핑거고정홀더의 제 1 경사부와 접촉하여 캠작용을 하는 제 2 경사부와, 소켓지지대의 장착위치에서 핑거고정홀더의 제 1 수평부에 걸려 고정되는 제 2 수평부와, 카트의 프레임외부로 돌출하여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걸림해제아암을 지니며, 캠작용을 하는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소켓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핑거;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가 걸리도록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소켓지지대와 고정핑거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그리고, 카트의 프레임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가 진행함에 따라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과 접촉하여 소켓지지대를 장착위치로 서서히 밀어올리도록 경사진 상향경사부를 지니는 장착대를 구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핑거고정홀더는 소켓지지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핑거가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술한 스프링이 카트의 프레임과 고정핑거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장착위치는 제 2 수평부가 제 1 수평부보다 약간 위로 올라가 걸림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과 상기 장착대의 상향경사부사이에서는 구름접촉을 하도록 그 장/탈착 아암에 롤러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카트에 실린 채 운반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스템리드선에 삽입된 소켓의 탈착위치에 설치되며, 카트의 프레임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가 진행함에 따라 상술한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술한 제 2 수평부를 제 1 수평부로부터 이탈시켜 소켓지지대가 중력에 의해 탈착위치로 이동하도록 고정핑거의 걸림해제아암과 접촉하여 그고정핑거를 선회시키는 누름경사부를 지니는 걸림해제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탈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 자동탈착장치에는,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사이의 걸림해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켓지지대를 약간 들어올리도록 장/탈착아암과 접촉하는 상향경사부를 지니는 제 1 탈착보조대; 누름경사부에 의한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의 걸림해제후 탈착위치로의 충격운동을 방지하기위해 그 상향 경사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진행에 따라 서서히 소켓지지대를 탈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장/탈착아암과 접촉하는 제 1 하향경사부를 지니는 제 2 탈착보조대; 그리고, 소켓지지대가 탈착위치로 확실히 이동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 2 탈착보조대의 하향경사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컨베이어가 진행함게 따라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과 접촉하여 그 소켓지지대를 밀어내릴 수 있도록 경사진 제 2 하향경사부를 지니는 제 3 탈착보조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고정핑거의 걸림해제아암의 단부에서 구름접촉을 하도록 롤러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하등의 전력이나 압축공기의 소모가 없을 뿐만 아니라, 소켓의 장착 및 탈착시 각종 관련부품에 하등의 충격력도 가하지 아니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 3도 내지 제 6도를 참조하여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도(a)(b)에서 소켓지지대(10)의 탈착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이점쇄선은 장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장/탈착아암(11)은 소켓지지대(10)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6)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장/탈착아암(11)의 단부에는 구름접촉을 위한 베어링(12)이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3)가 화살표 T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12)가 장착대(30)의 상향경사부(31)에 접촉하여 서서히 상향운동하도록 장착대(30)이 카트(2)의 프레임(6)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또한, 소켓지지대(10)의 일측에는 화살표 R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고정핑거(20)이 설치되며, 자유단에는 제 2 수평부(22) 및 제 2 경사부(21)이 형성된다. 그 고정핑거(20)의 상부의 프레임(6)내측에는 핑거고정홀더(15)가 고정되게 설치되는데, 그 핑거고정홀더(15)는, 장착대(30)의 상향운동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핑거(20)의 제 2 경사부(21)과 캠작용을 하여 고정핑거(20)를 화살표 R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제 1 경사부(16)과, 장착대(30)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고정핑거(20)의 제 2 수평부(22)와 맞물리기 위한 제 1 수평부(17)를 지닌다.
또, 그 장착대(30)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제 1 수평부(17)에 제 2 수평부(22)가 걸리도록 그 고정핑거(20)을 화살표 R의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키 위해 스프링(25)가 고정핑거(20)의 일측과 소켓지지대(10)의 일측사이에 설치된다. 도시된 스프링(25)는 인장스프링이지만, 비틀림스프링이나 압축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화살표 R의 반대방향으로 상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있다.
또한, 소켓의 탈착을 위해 상기 제 1 수평부(17)과 제 2 수평부(22)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고정핑거(20)을 화살표 R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걸림해제아암(23)이, 상기 고정핑거(20)에서 연장하여 카트(2)의 프레임(6)외부로 돌출되게 그 고정핑거(20)에 형성된다.
제 4도(a) 및 (b)에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고정핑거(20') 및 핑거고정홀더(15')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핑거고정 홀더(15')의 제 1 경사부(16') 및 제 1 수평부(17')가 소켓지지판(10)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 핑거고정홀더(15')의 상부의 프레임(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작 동시 제 1 경사부(16')와 캠작용을 하여 화살표 R 방향으로 고정핑거(20')를 선회시키는 제 2 경사부(21')와, 소켓지지대(10)의 장착위치에서 제 1 수평부(17')에 걸리게 되는 제 2 수평부(22')가 상기 고정핑거(2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또, 프레임(6)에 선회가능하게 고정핑거(20')를 지지하면서 탈착운동시 그 고정핑거(20')와 일체로 화살표 R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는 걸림해제아암(23')가, 상기 고정핑거(20')의 상단부에서 연장하여 상기 프레임(6)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제 5도(a) 내지 (c)는 소켓의 자동탈착장치를 도시한다. 제 5도(b)에서 컨베이어가 화살표 T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소켓지지대(10)의 장착위치에서 고정핑거(20)의 걸림해제아암(23)을 화살표 H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베어링(24)와 접촉하는 누름경사부(41)가 형성된 걸림해제대(40)이 상기 프레임(6)에 인접하게 설치된다(제 5도(a)참조).
이 걸림해제대(40)은 제 4도(a) 및 (b)와 같은 고정핑거(20')의 실시예에서는 제 6도에서와 같이 원형 봉형상의 걸림해제대(40')로 하더라도 용이하게 고정핑거(20')를 화살표 R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핑거와 핑거고정홀더의 변경에 따라 용이하게 상기 걸림해제대의 구조와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 5도(a) 및 (c)에서는 장착위치에 있는 소켓지지대(10)을 화살표 V 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려 상기 고정핑거(20)의 걸림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걸림해제대(40)의 작용에 앞서베어링(12)과 접촉하는 상향경사부(46)를 지니는 제 1 탈착보조대(45)가 프레임(6)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 2 탈착보조대(50)은 상기 고정핑거(20)의 누름경사부(41)에 의한 해제후 소켓지지대(10의 탈착위치로의 충격적인 하향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탈착보조대(45)의 상향경사부(46)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따라 서서히 소켓지지대(10)을 탈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베어링(12)와 접촉하는 제 1 하향경사부(51)가 그 제 2 탈착보조대(50)에 형성된다. 그 탈착보조대(50)은 바닥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으나,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52)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제 3 탈착보조대(55)는 제 5도(a) 및 (c)에서 제 2 하향경사부(56)을 구비하여 소켓지지대(10)의 베어링(12)가 하부에서 접촉할 수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탈착보조대의 제 1 하향경사부(51)의 약간 뒤, 상부의 상기 고정핑거(20)의 걸림해제아암(23)과 베어링(24)가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통상은 소켓지지대(10)의 장/탈착아암(11)과 베어링(12)가 제 2 탈착보조대(50)의 제 1 하향경사면(51)의 상면을 굴러내려오겠지만, 여러 가지 마찰력 등으로 미처 내려오지 못한 때에는 제 3 탈착보조대(55)에 의하여 그 베어링(12)가 제 3 탈착 보조대(55)의 제 2 하향경사면(56)과 접촉하여 컨베이어(3)의 화살표 T 방향의 진행에 따라 확실하게 소켓지지대(10)이 탈착위치로 내려오는 것이 보장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소켓 자동장착 및 탈착장치의 구성에 따른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장착동작에 관하여는 컨베이어(3)의 화살표 T 방향으로의 진행에 따라 소켓지지대(110)의 장/탈착아암(11)의 선단에 설치된 베어링(12)가 제 3도(b)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대(30)의 상향경사부(31)의 상면에 구름접촉하여 상향운동을 시작하게 되며,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 즉 장착위치에서 고정핑거(20)의 제 2 경사부(21)와 핑거고정홀더(15)의 제 1 경사부(16)사이의 캠작용이 완료되면서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핑거(20)의 제 2 수평부(22)가 핑거고정홀더(15)의 제 1 수평부(17)에 걸리게 되어 소켓지지대(10)가 소켓장착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고정핑거 및 핑거고정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4도(a) 및 (b)에서도 그 고정핑거(20')와 핑거고정홀더(15')의 작동은 동일하다.
다음, 탈착동작에 관하여서는 제 5도(a)내지 (c)에서 컨베이어(3)의 화살표 T 방향으로의 진행에 따라 소켓지지대(10)의 장/탈착아암(11)의 선단에 설치된 베어링(12)가 제 5도(c)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탈착보조대(45)의 상향경사부(46)의 상면에 접촉하여 화살표 V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사이에 제 5도(b)에서와 같이 고정핑거(20)의 걸림해제아암(23)의 베어링(24)가 걸림해제대(40)의 누름경사부(41)에 접촉하여 화살표 H 방향으로 밀리면서 스프링(1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고정핑거(20)을 화살표 R 방향 C 제 5도(a) 참조)으로 선회시키게 되어, 제 1 수평부(17)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같이, 걸림이 해제되는 사이에 소켓지지대(10)의 장/탈착아암(11)의 베어링(12)는 제 2 탈착보조대(50)의 제 1 하향경사부(51)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소켓지지대(10)는 그 자중에 의해 서서히 탈착위치로 하향운동을 하게 된다. 만약, 마찰력 등으로 이 하향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제 3 탈착보조대(55)의 제 2 하향경사부(56)의 하면에 소켓지지대(10)의 장/탈착아암(11)의 베어링(12)가 접촉하여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상기 걸림해제아암(23)의 베어링(24)는 이 지점까지 걸림해제대(40)의 누름경사부(41)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여, 자동탈착동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하등의 전력이나 압축공기가 필요없게 되며, 또한, 아무런 충격력을 전달함이 없이 서서히 소켓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어 팁에 크랙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등 불량이 현저히 감소될 뿐 만 아니라 리미트스위치나 에어실린더등의 작동불량과 같은 고장이 발생할 염려도 없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소켓지지대, 고정핑거등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본 발명의 소켓자동장착 및 탈착장치를 여러 가지로 변형내지는 응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컨베이어에 의해 카트에 실린 채 운반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스템리드선에 삽입되는 소켓의 자동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에 직각으로 상기 카트의 프레임외부로 돌출하는 장/탈착아암을 지니며, 소켓의 장착위치와 탈착위치사이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상기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소켓지지대;
    상기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제 1 수평부와 제 1 경사부를 지니는 핑거고정홀더;
    상기 소켓지지대의 상하이동중 상기 핑거고정홀더의 제 1 경사부와 접촉하여 캠작용을 하는 제 2 경사부와, 상기 소켓지지대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핑거고정홀더의 제 1 수평부에 걸려 고정되는 제 2 수평부와, 상기 카트의 프레임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걸림해제아암을 지니며, 상기 캠작용을 하는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소켓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핑거;
    상기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가 걸리도록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소켓지지대와 고정핑거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카트의 프레임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가 진행함에 따라 상기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과 접촉하여 그 소켓지지대를 장착위치로 서서히 밀어올리도록 경사진 상향경사부를 지니는 장착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고정홀더가 상기 소켓지지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핑거가 상기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이 상기 카트의 프레임과 고정핑거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과 상기 장착대의 상향경사부사이에서 구름접촉을 하도록 그 장/탈착 아암에 롤러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장착장치
  4. 컨베이어에 의해 카트에 실린 채 운반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스템리드선에 삽입된 소켓의 자동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에 직각으로 상기 카트의 프레임외부로 돌출하는 장/탈착아암을 지니며,소켓의 장착위치와 탈착위치사이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상기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소켓 지지대;
    상기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제 1 수평부와 제 1 경사부를 지니는 핑거고정홀더;
    상기 소켓지지대의 상하이동중 상기 핑거고정홀더의 제 1 경사부와 접촉하여 캠작용을 하는 제 2 경사부와, 상기 소켓지지대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핑거고정홀더의 제 1 수평부에 걸려 고정되는 제 2 수평부와, 상기 카트의 프레임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걸림해제아암을 지니며, 상기 캠작용을 하는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소켓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핑거;
    상기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가 걸리도록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소켓지지대와 고정핑거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그리고
    상기 카트의 프레임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가 진행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제 2 수평부를 상기 제 1 수평부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소켓지지대가 중력에 의해 탈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핑거의 걸림해제아암과 접촉하여 그 고정핑거를 선회시키는 누름경사부를 지니는 걸림해제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탈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사이의 걸림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소켓지지대를 약간 들어올리도록 상기 장/탈착아암과 접촉하는 상향경사부를 지니는 제 1 탈착보조대;
    상기 누름경사부에 의한 제 1 수평부와 제 2 수평부의 걸림해제후 탈착위치로의 충격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향 경사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진행에 따라 서서히 소켓지지대를 탈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장/탈착아암과 접촉하는 제 1 하향경사부를 지니는 제 2 탈착보조대; 그리고
    상기 소켓지지대가 탈착위치로 확실히 이동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 2 탈착보조대의 하향경사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컨베이어가 진행함에 따라 상기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과 접촉하여 그 소켓지지대를 밀어내릴 수 있도록 경사진 제 2 하향경사부를 지니는 제 3 탈착보조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탈착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지지대의 장/탈착아암의 단부와 상기 고정핑거의 걸림해제아암의 단부에서 각각 구름접촉을 하도록 롤러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탈착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고정홀더가 상기 소켓지지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핑거가 상기 카트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이 상기 카트의 프레임과 고정핑거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소켓자동탈착장치.
KR1019940024895A 1994-09-30 1994-09-30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KR014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895A KR0141569B1 (ko) 1994-09-30 1994-09-30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895A KR0141569B1 (ko) 1994-09-30 1994-09-30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091A KR960012091A (ko) 1996-04-20
KR0141569B1 true KR0141569B1 (ko) 1998-06-01

Family

ID=1939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895A KR0141569B1 (ko) 1994-09-30 1994-09-30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515B1 (ko) * 2000-08-31 2003-05-22 최동헌 일라이트를 이용한 묵은 벼의 처리방법
KR20020093653A (ko) * 2002-09-05 2002-12-16 차연선 제올라이트와 일라이트와 벤토나이트의 성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091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0732A (en) Apparatus for carrying and placing components
JP2854276B2 (ja) 半導体素子テスト用のトレーユニット
JPH0794067B2 (ja) プリント基板の保持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0141569B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용 소켓의 자동 장착 및 탈착장치
US5080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ough hole substrate printing
US4948026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d/or soldering or cementing electronic components, in particular SMD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US4593462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ounting chip-type circuit elements on substrate
KR100352609B1 (ko) 수평식 테스터 핸들러의 디바이스 콘택장치
KR0129170Y1 (ko) 기판의 자동분리장치
KR100267213B1 (ko) 캐리어모듈에 마이크로 비지에이(μBGA)타입의 소자를 로딩하여 소켓에 콘택하는 장치
JPH061322U (ja) プリント基板の保持搬送装置
JP4027580B2 (ja) 荷電粒子ビーム装置
KR940009574B1 (ko) 디바이스 테스터용 핸들러
KR100361809B1 (ko) 모듈 아이씨 핸들러용 캐리어
JPH0964102A (ja)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JP3085892B2 (ja) 方向反転装置
KR960012837B1 (ko) 디바이스 로딩머신의 디바이스 자동 분리장치
JPS6161783B2 (ko)
JPS5932103B2 (ja) 乾燥機への海苔抄「す」装着装置
KR960005679Y1 (ko) 브라운관의 이재장치
JP2572593B2 (ja) 組立ライン用治具パレット装置
JPS6317573Y2 (ko)
KR930008223Y1 (ko) 번인 언로딩장치
JP2014052300A (ja) タイヤ試験機
JP4254980B2 (ja) ウエハ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