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90Y1 - 분유통 마개 - Google Patents

분유통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90Y1
KR0140790Y1 KR2019960001846U KR19960001846U KR0140790Y1 KR 0140790 Y1 KR0140790 Y1 KR 0140790Y1 KR 2019960001846 U KR2019960001846 U KR 2019960001846U KR 19960001846 U KR19960001846 U KR 19960001846U KR 0140790 Y1 KR0140790 Y1 KR 0140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ealing
metal
milk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733U (ko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박중흠
주식회사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흠, 주식회사대륙제관 filed Critical 박중흠
Priority to KR2019960001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790Y1/ko
Publication of KR970051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7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77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마개(10)의 내측 하단 감합부(11)에 밀봉돌기(21)를 갖는 플라스틱 밀봉구(20)를 설치한 마개를 제공하여 마개를 분유통(30)에 결합할 때 금속재인 분유통(30)에 플라스틱 밀봉구(20)의 밀봉돌기(21)가 닿아 신축작용을 하여 부드럽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밀봉돌기(21)가 분유통(30) 상부의 굴곡단(31)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양호한 밀봉상태가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금속재인 마개(10)에 대하여 비금속재인 밀봉구(20)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때문에 마개의 폐처리시 플라스틱 밀봉구(20)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분유통 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유통 마개
제1도는 종래의 분유통 마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유통 마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유통 마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금속마개 11 : 감합부
20 : 밀봉구 21 : 밀봉돌기
30 : 분유통 31 : 굴곡단
40 : 속마개 42 : 굴곡부
본 고안은 분유통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 하단 감합부에 밀봉돌기가 형성되도록 플라스틱 밀봉구를 설치한 금속마개 및 사방 끝단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속마개를 제공함으로써, 분유통에 금속마개 결합시 분유통 상부의 굴곡단에 씌워진 굴곡부에 밀봉구의 밀봉돌기가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분유통 마개는 금속재로 된 마개와 합성수지로 된 마개가 있는데 금속재 마개인 경우는 마개를 열 때 소리가 부드럽지 못한 점이 있으며, 합성수지재 마개의 경우는 분유통에 마개를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분유통이 변형되어 밀봉되어 있는 개구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공고번호 제95-10468호) 것으로 합성수지테(a)에 금속재 보강마개(b)를 결합하게 하여 마개가 부드럽게 개봉되고, 보강마개(b)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어 외부로 부터의 충격으로 분유통(c)의 변형 및 분유통(c)의 밀봉개구부(d)가 파손될 염려가 없는 고안이 있었다.
그러나 이 고안은 사용 및 보관이 양호하기는 하나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 폐기시 합성수지와 금속재 마개가 서로 상당한 비중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재질 단일화 차원에서 곤란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개구된 부위가 덮여지도록 사방 끝단의 굴곡부가 분유통의 상단부에 형성된 굴곡단과 함께 감아 설치되는 속마개와; 그 속마개의 굴곡부에 압착 상태로 결합되도록 내측 하단의 감합부에 선단으로 밀봉돌기가 형성된 밀봉구를 설치하는 금속마개로 이루어짐으로써, 마개를 분유통에 결합할 때 금속재인 분유통에 플라스틱 밀봉구의 밀봉돌기가 닿아 신축작용을 하여 부드럽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밀봉돌기가 분유통 상부의 굴곡단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양호한 밀봉상태가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금속재인 마개에 대하여 비금속재인 플라스틱 밀봉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 때문에 마개의 폐처리시 플라스틱 밀봉구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분유통 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부위가 덮여지도록 사방 끝단의 굴곡부(42)가 분유통(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굴곡단(31)과 함께 감아 설치되는 속마개(40)와; 그 속마개(40)의 굴곡부(42)에 압착상태로 결합되도록 내측 하단의 감합부(11)에 선단으로 밀봉돌기(21)가 형성된 밀봉구(20)를 설치하는 금속마개(10)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금속마개(10)의 내측 하단 감합부(11)를 굴곡 성형시 플라스틱 밀봉구(20)를 감합부(11)에 끼워지게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신축성이 양호한 플라스틱 밀봉구(20)의 밀봉돌기(21)는 내측으로 돌설되는 한편, 분유통(30)의 상단부에 굴곡단(31) 형성시 그 개구된 부위를 밀봉할 수 있도록 속마개(40)의 사방 끝단의 굴곡부(42)는 굴곡단(31)과 함께 절곡되어 고정한다. 이는 분유통(30)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분유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일차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금속마개(10)를 속마개(40)가 설치된 분유통(30)에 결합할 경우, 밀봉구(20)가 감합부(11)에 설치된 금속마개(10)를 분유통(30) 상부의 굴곡단(31)에 감겨진 속마개(40)의 굴곡부(42)에 대고 눌러주게 되면, 상기 밀봉돌기(21)가 굴곡부(42)에 닿아 눌려지면서, 분유통(30)이 금속마개(10)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금속재인 분유통(30)에 금속마개(10) 부분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플라스틱 밀봉구(20)의 밀봉돌기(21)가 닿아 분유통(30)이 부드럽게 닫히게 되는 것으로 금속 마찰음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분유통(30)에 결합된 금속마개(1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이 양호한 밀봉구(20)의 밀봉돌기(21)가 속마개(40)의 굴곡부(42)의 하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양호한 밀봉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이 금속마개(10)는 외관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될 염려가 없으며 외관 형상도 미려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분유통 마개는 금속재인 금속마개(10)에 대하여 비금속재인 밀봉구(20)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 때문에 분유통 마개의 폐처리시 플라스틱 밀봉구(20)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금속마개(10)의 내측 하단 감합부(11)에 속마개(40)의 굴곡부(42)가 함께 고정된 후, 그 굴곡부(42)에는 밀봉돌기(21)를 갖는 플라스틱 밀봉구(20)를 설치함으로써, 금속마개(10)를 분유통(30)에 결합할 때 금속재인 분유통(30)에 플라스틱 밀봉구(20)의 밀봉돌기(21)가 닿아 신축작용을 하여 부드럽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밀봉돌기(21)가 분유통(30) 상부에 감겨진 속마개(40)의 굴곡부(42)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양호한 밀봉상태가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금속재인 마개(10)에 대하여 비금속재인 밀봉구(20)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 때문에 마개의 폐처리시 플라스틱 밀봉구(20)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분유통 마개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개구된 부위가 덮여지도록 사방 끝단의 굴곡부(42)가 분유통(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굴곡단(31)과 함께 감아 설치되는 속마개(40)와; 그 속마개(40)의 굴곡부(42)에 압착 상태로 결합되도록 내측 하단의 감합부(11)에 선단으로 밀봉돌기(21)가 형성된 밀봉구(20)를 설치하는 금속마개(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마개.
KR2019960001846U 1996-02-07 1996-02-07 분유통 마개 KR0140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846U KR0140790Y1 (ko) 1996-02-07 1996-02-07 분유통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846U KR0140790Y1 (ko) 1996-02-07 1996-02-07 분유통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733U KR970051733U (ko) 1997-09-08
KR0140790Y1 true KR0140790Y1 (ko) 1999-04-15

Family

ID=1945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846U KR0140790Y1 (ko) 1996-02-07 1996-02-07 분유통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7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733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481B2 (en) Container lid with multiple openings
JPH0454113Y2 (ko)
JP6859778B2 (ja) キャップの封止構造
DK1289847T3 (da) Lukkeindsats
KR0140790Y1 (ko) 분유통 마개
KR200251372Y1 (ko) 조립공정과 밀폐력을 강화시킨 밀폐용기
JP2010058797A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JP4754681B2 (ja) 蓋付き容器
JPH05118176A (ja) 合成樹脂スナツプ蝶番
KR0140789Y1 (ko) 분유통 마개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CA2346673A1 (en) Automatic closure for a container
JP3224712U (ja) 保存容器用密閉構造及び保存容器
JP3747960B2 (ja) 蓋付き密封容器
JP4088937B2 (ja) 蓋付き密封容器
JPH10236498A (ja) 内容物吐出容器のキャップ
JPH10167312A (ja) 樹脂製密封容器
ATE184168T1 (de) Verschlusseinrichtung an behältern
JPH0744612Y2 (ja) ヒンジ蓋つき容器
JP4331685B2 (ja) 容器のためのワンウェイ栓システム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JPH08301329A (ja) スナップヒンジキャップ
KR200327594Y1 (ko) 병마개
KR101221436B1 (ko) 저장용기의 커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