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545Y1 -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545Y1
KR0140545Y1 KR2019960062750U KR19960062750U KR0140545Y1 KR 0140545 Y1 KR0140545 Y1 KR 0140545Y1 KR 2019960062750 U KR2019960062750 U KR 2019960062750U KR 19960062750 U KR19960062750 U KR 19960062750U KR 0140545 Y1 KR0140545 Y1 KR 0140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soundproof plate
fixing pin
zigzag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585U (ko
Inventor
박경봉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62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5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9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2Du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3Trains, tram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10)과, 상기 배수관(10) 내측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고정된 고정핀(30)과, 상기 고정핀(30)에 양측의 핀홈(2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체결된 방음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방음판(20)은 테두리부위에 무게중심용 리브(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핀(30)은 상기 방음판(20)이 지그재그로 회전되도록 상기 배수관(10) 내측에 일정 간격마다 지그재그로 결합고정되도록 함으로서, 평상시에는 배수관(1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방음판(20)이 무게중심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방음판(20)이 각각 지그재그로 회전되면서 배수관(1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다단계로 차단시켜 소음 차단효과를 높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의 실내 바닥이나 차체벽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관으로부터 발셍되는 소음을 차단시키면서 아울러 유지보수가 곤란한 배수관의 배수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고속으로 운행됨에 따라 차체벽과 공기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최대한 차폐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방음부재와 방음장치들을 차체의 모든 내외부에 설치하고는 있으나, 상기한 방음수단에도 불구하고 레일이나 바퀴 혹은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도어의 하부레일 틈새로 통해 유입되거나, 또는 실내 바닥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을 통해 객실 내부로 전달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이 방해되다는 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철도차량에 설치된 배수관의 경우에는, 눈으로 보이는 노출 부위를 마개로 막아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어느 정도는 차단시키고는 있으나, 철도차량의 골조 제작시에 우선적으로 설치되는 보이지 않는 대부분의 부위가 유입되는 외부 소음에 대한 방음구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운행중에 외부의 소음이 배수관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의 배수관은 배수 기능과 동시에 방음 기능도 함께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노출 부위를 스폰지 등으로 막을 경우에는, 우선은 배수가 언활하게 이루어지지만 기간에 경과함에 따라 차량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 등의 찌꺼기가 노출 부위인 배수관 입구에 걸려 배수 기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지보수가 곤란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면서 아울러 먼지나 이물질이 걸리지 않고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배수관 방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실내 바닥이나 차체벽 사이에 배수관을 설치함에 있어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 내측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고정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회전가능하게 양측의 핀홈이 삽입체결된 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음판은 테두리부위에 무게중심수단으로 리브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배수관 내측에 일정 간격마다 지그재그로 결합고정되어 상기 각 방음판이 지그재그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배수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방음판이 무게중심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방음판이 각각 지그재그로 회전되면서 배수관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다단계로 차단시켜 소음 차단효과를 높히게 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1b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관20 - 방음판
22 - 핀홈24 - 리브
30 - 고정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방음장치가 구비된 철도차량용 배수관(10)의 측면 구조 및 평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수관(10) 내측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핀(30)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핀(30)에 핀홈(22)이 양측에 요홈형성된 방음판(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체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방음판(20)은 배수관(10)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회전되면서 외부 소음을 최대한 차페시킬 수 있도록 원반형을 이루며, 소음 차폐효과가 우수한 납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방음판(20)은 평상시에 양쪽의 고정핀(30)을 통해 수평으로 무게중심이 유지되도록 테두리부위에 무게중심용 리브(24)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평상시에 방음판(20)이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외부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은 억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방음판(20)은 필요시에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 각 방음판(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는 해당 고정핀(30)의 위치가 일정 간격으로 각각 지그재그로 설치고정된 관계로, 상기 고정핀(30)을 축으로 각 방음판(20)이 서로 다른 회전각도를 가지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여러 방음판(20)을 다단계로 거치면서 실내로 전달되기 전에 소멸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철도차량의 실내 바닥(50) 위쪽의 차체벽(42)(44) 사이에 배수관(10)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10)을 우선 시공한 후에는 실내쪽의 차체벽(44)을 철골구조나 내장재 등으로 마감처리하게 되므로, 추후 배수관(10)이 막힐 경우에 실내쪽의 차체벽(44)을 뜯어내고 배수관(10)을 유지보수시키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나,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10)은 장기간 사용 후에도 배수기능이 떨어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배수관의 방음장치는 평상시에는 배수관(1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방음판(20)이 무게중심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되며, 경우에 따라 풍량을 동반한 소음이 상기 배수관(1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배수관 내의 각 방음판(20)이 지그재그로 회전되면서 배수관(1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다단계로 차단시켜 외부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실내 환경이 계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에 의하면, 배수관의 구조를 기본적인 배수기능은 물론 방음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일단 설치된 후에는 유지보수가 곤란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면서, 아울러 추후 유지보수가 필요 없이 정상적인 배수능력도 계속적으로 갖도록 한다.

Claims (3)

  1. 철도차량의 실내 바닥(50)이나 차체벽(42)(44) 사이에 배수관(10)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배수관(10) 내측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고정된 고정핀(30)과, 상기 고정핀(30)에 양측의 핀홈(2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체결된 방음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철도차량의 배수관 방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20)은 테두리부위에 무게중심용 리브(24)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배수관 방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30)은 상기 방음판(20)이 지그재그로 회전되도록 상기 배수관(10) 내측에 일정 간격마다 지그재그로 결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배수관 방음장치.
KR2019960062750U 1996-12-30 1996-12-30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KR0140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750U KR0140545Y1 (ko) 1996-12-30 1996-12-30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750U KR0140545Y1 (ko) 1996-12-30 1996-12-30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585U KR19980049585U (ko) 1998-10-07
KR0140545Y1 true KR0140545Y1 (ko) 1999-04-15

Family

ID=1948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750U KR0140545Y1 (ko) 1996-12-30 1996-12-30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5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58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02679A (ja) ドアの敷居
KR0140545Y1 (ko) 철도차량용 배수관의 방음장치
KR102227109B1 (ko) 방음벽 구조체
CZ295258B6 (cs) Zařízení pro tvorbu vzduchové clony ve dveřních otvorech, zejména u vozidel místní hromadné dopravy
KR101044368B1 (ko) 소음저감용 방음구조물
JP4587660B2 (ja) 鉄道車両用軌道
KR101944271B1 (ko) 풍압 해소형 방음벽
KR102228877B1 (ko) 가동문 양측에 비상문이 설치되는 스크린도어 및 그 비상문 개방 방법
WO2008050390A1 (fr) Cabine d'ascenseur
KR101852009B1 (ko) 유지보수성, 차음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방음벽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996389B1 (ko) 철도 궤도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일체형 저상 방음벽
KR102236435B1 (ko) 흡음 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
JP3072319B2 (ja) 水切り装置
KR200319316Y1 (ko) 콘크리트도상용 소음 차단장치
CN216042875U (zh) 一种铁路站房的噪音降低装置
JP2005180121A (ja) 駅のプラットホームの防音構造
JP5217115B2 (ja) エレベータの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
JPH0426564Y2 (ko)
JPS6389707A (ja) 遮音壁構造体
KR20210152277A (ko) 배수유도형 누수방지 방음터널
JP2565450B2 (ja) 空調出窓
JP2021172268A (ja) プラットホーム柵
US2509961A (en) Refrigerator car floor rack and gutter construction
JPS6160588A (ja) エレベ−タの出入口装置
JPH09228505A (ja) 水詰パネル式防音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