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142B1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142B1
KR0140142B1 KR1019940012003A KR19940012003A KR0140142B1 KR 0140142 B1 KR0140142 B1 KR 0140142B1 KR 1019940012003 A KR1019940012003 A KR 1019940012003A KR 19940012003 A KR19940012003 A KR 19940012003A KR 0140142 B1 KR0140142 B1 KR 014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haft
power transmission
housing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02A (ko
Inventor
히로시 에다
히로노부 시오노
이사무 지꾸마
Original Assignee
아라다 도시오
니뽄 세이코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0579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8611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625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5248U/ja
Application filed by 아라다 도시오, 니뽄 세이코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아라다 도시오
Publication of KR95000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 B62D5/043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the clutch being of on-off type
    • B62D5/043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the clutch being of on-off type the clutch being a controlled emergency clutch, e.g. for disconnecting at motor break-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 F16D7/02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with axially applied torque limiting friction surfaces
    • F16D7/025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with axially applied torque limiting friction surface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갖는 동력 전달 경로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잇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찰면과 이 마찰면에 의해 가압된 가압 부재를 갖는 동력 전달 장치가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출력 토오크가 감속기구에 의해 증대되기 전에 동력 전달은 마찰면과 가압 부재 사이에서 발생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연속하여,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마찰면의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동력 전달 장치는 구성에 있어서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100)의 축방향 부분단면도,
제2도는 제 1도의 II-II 평면을 따라 취해서 축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2도와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1 : 하우징
102:모터103 : 출력축
104:워엄 휘일111 : 입력축
112:토오크 검출 장치113 : 전달축
131:가압 부재132 : 코일 스프링
133,231:마찰판134 : 대향 부재
232: 접시형 스프링233 : 마찰판 하우징
234: 누름판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차량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분야에서, 보조 조향 토오크(auxilary steering torque)를 구비한 전동 모터의 회전 출력은 기어 수단에 의해 감속되어 조향기구의 출력축에서 적당한 토오크와 속도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작동할시에 차륜(wheel)이 노면(road)으로부터 받게되는 돌발적인 힘(abrupt force)은 전동 모터의 출력에 대해 충돌력으로서 작용하고, 이 충돌력은 전동 모터 또는 동력 전달 기구에 손상을 입힌다.
상기 충돌력을 완화하거나 또는 회소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
1) 마찰력을 이용한 활주식 기구(slidable mechanism)가 조향기구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과도한 토오크하에서 활주 운동을 발생시키는 토오크 리미터(limiter)로서 작용하는 것 (일본 실용신안출원 평 4-75506호) 또는,
2)토오크 리미터로서 작용하는 자기 클러치(magnetic clutch)가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것,
등을 채택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상술한 구조 1)에서, 전동 모터의 출력이 통상 감속(토오크 증가)기구를 통해서 출력축에 전달될 때, 출력 샤프트에 부착된 활주식 기구를 이용한 마찰력은 증가된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당히 크게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일정한 마찰력을 얻기 위하여 엄격한 하중 제어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구조 2)에서, 자기 클러치는 전력의 일정한 공급을 요구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문제점이 있고, 자기 클러치의 솔레노이드(solenoid)는 전동 모터의 정격 출력이 증가한다면 상당히 크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문제점에 대해,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갖는 전동 모터에 또는 동력 전달계에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잇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상에 부착되고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차륜을 조향하기 위해 조향기구에 연결된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된 감속 기구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마찰면과 이 마찰면에서 가입된 가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과 가입 수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 전달을 실행하며, 상기 마찰력은 모터로부터 통상적으로 전달되는 동력보다 크게되나 모터와 차륜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력보다 작게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따르면, 마찰면과 이 마찰면에서 가압되는 가압 수단을 갖는 동력 전달 수단이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잇으므로, 모터의 출력 토오크가 감속기구에 의해 증가되기 전에 동력 전달은 마찰면과 가압 수단 사이에서 발생한 비교적 작은 마찰력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연속하여,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마찰면의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동력 전달 수단은 구성에 있어서 간단하고 콤팩트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부착되고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차륜을 조향하기 위해 조향기구에 연결된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며 또한 입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까지 감소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구 및,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 전달을 실행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회전축과 입력축중 하나에 대해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지만 이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마찰판과 상기 회전축과 입력축의 다른 하나에 대해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된 수용 부재 및 상기 마찰판을 수용 부재에 대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은 마찰판과 수용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마찰력은 모터로부터 통상적으로 전달되는 동력보다 크지만 모터와 차륜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력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따르면, 마찰면과 이 마찰면에서 가압되는 가압 수단을 갖는 동력 전달 수단이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출력 토오크가 감속기구에 의해 증가하지 전에 동력 전달은 마찰면과 가압 수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작은 마찰력을 이용해서 실행된다. 연속하여,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마찰면의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동력 전달 수단은 구성에 있어서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100)이 축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하우징(101)과 그로부터 연장하는 튜브(11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1)과 튜브(110)는 브래킷(bracket ; 114, 115)에 의해 차체(도시않음)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튜브(11)내측에는 그일단에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 도시않음)에 연결되는 입력축(111)이 연장되어 튜브(11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111)의 다른 단부는 토오크 검출 장치(112)에 연결되어 잇다.
토오크 검출 장치(112)는 또한 하우징(101)내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전달축(113)에 연결되어 있다.
전달축(113)은 도시하지 않은 조향기구에 연결되고, 조향 기구에 의해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해 작용하고, 차륜(wheel)을 조향하는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해 작용한다. 토오크 검출 장치(112)는 입력축(111)과 전달축(113) 사이에서 상대 토오크를 검출하고 그에 의해 보조 조향력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지만, 그 구성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토오크 검출 장치(112)의 근방에서, 전달축(113)에는 제 1도의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출력축(103)의 워엄기어(103a ; 제 2도 참조)와 맞물리는 위엄휠(104)이 동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출력축(103)은 모터(102 ; 제 2도 참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잇다.
하기에서는 제 1도에 도시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휠로부터 조향 토오크의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축(111)은 토오크 검출 장치(112)를 거쳐서 전달축(113)에 회전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해 회전한다. 전달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향기구(도시않음)에 연결되어 이에 조향 토오크를 전달한다. 이상태에서, 토오크 검출 장치(112)에 의해 검출된 토오크는 도시하지 않은 판단 회로(discrimination circuit)에 공급되고, 그 내부에서 소정값과 비교된다. 상기 토오크가 소정값을 초과한다면, 보조 조향력이 요구되므로 구동 명령은 모터(102)를 구동하도록 명령한다. 구동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102)는 출력축(103)을 회전시키고 워엄 휘일(104)을 통해서 회전축(103)에 회전 토오크를 전달한다.
토오크 검출 장치(112)에 의해 검출된 토오크가 소정값보다 적다면, 보조 조향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모터(102)는 구동되지 않는다.
제2도는 제 1도의 II-II 단면을 따라서 축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 2도를 참조하면, 전동 모터(102)의 회전축(도시않음)과 일체식으로 회전하는 플랜지부(102a)에는 암세레이션부(female serrated portion ; 102b)가 제공되어 있다. 일단부에 숫(male)세레이션부(130a)를 갖는 제 1 전달축(130)은 상기 세레이션부와 맞물려서 상기 플렌지부(102a)에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전달축(130)에는 그 다른 단부에 숫 스플라인(130b)이 제공되어 있다.
원판부(131a)와 원통부(131b)의 동축 연결에 의해 형성된 가압 부재(131)에는 원통부(131b) 내측에 암 스플라인(131c)이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131)와 제 1 전달축(130)은 제1전달축(130)의 숫 스플라인(130b)을 갖는 암 스플라인(131c)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압 부재(131) 주위에는 코일 스프링(132)이 설치되어 있고, 그 단부는 플렌지부(102a)와 원판부(131b)에 각각 부딪치고, 양자를 상호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코일 스프링(131)의 편향력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플렌지부(102a)와 코일 스프링부(132) 사이에 스페이서(spacer)가 제공되어 있다.
가압 부재(131)와 유사한 형상이며 원판부(134a)와 원통부(134b)의 동축 연결로 구성된 대향 부재(134)는 원판부가 마찰면을 갖는 마찰판(133)이 그 사이를 거쳐서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마찰판(133)에는 원형구멍(133a)이 제공되어 있다. 가압 부재(131), 코일 스프링(132) 및, 대향 부재(134)는 압력 수단을 형성한다.
제1전달축(130)과 동축인 제 2 전달축(103)은 하우징(101)의 양단부 근방에서 위치 설정된 베어링(105, 10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05, 106)에는 외부링(105a, 106a)과, 내부링(105b, 106b) 및, 양 링 사이에 지지된 복수의 볼(105c, 106c)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제 2 전달축(103)의 일부는 대향 부재(134)의 원통부(134b), 마찰판(133)의 원형 구멍 및, 가압 부재(131)의 원통부(134b)내로 연장되고, 원통부(134b)에 대해서는 키(key) 등에 의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지만, 원통부(134b)에 대해서는 부싱(135)을 가로질러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원통부(134b)의 단부는 베어링(106)의 내부링(106b)에 부딪친다.
제2전달축(103)에는 베어링(105)의 내측과 접촉하는 플렌지부(103c)와 베어링(106)과 접촉하는 플렌지부(103b) 및, 상기 플렌지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워엄 휠(104)과 맞물리는 워엄 기어(103a)가 형성되어 잇다. 모터와 대향하는 제 2 전달축(103)의 단부에는 너트(nut ; 107)와 맞물리는 암 스플라인(103d)이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105)의 내부링(105b)은 플렌지부(103c)와 너트(107) 사이에 끼워져 있다. 워엄 휠(104)과 워엄 기어(103a)는 감속기구를 구성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가압 수단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정상 작동시에, 모터(102)에 의해 발생된 회전 토오크는 제 1 출력축 (130)을 통해서 가압 부재(131)에 전달되고, 이 가압부재 (131)는 코일 스프링(132)의 편향력하에서 마찰판(133)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속하여, 마찰판(133)은 가압 부재(131)와 대향 부재(134) 사이에서 압축되고 가압력에 대응하는 마찰력을 발생한다. 이 마찰력이 통상의 작동에서 모터(102)에 의해 발생된 토오크보다 크게 되도록 코일 스프링 (132)의 편향력을 설정하면, 가압 부재(131)와 대향 부재(134)는 통상의 작동에서 일체식으로 회전한다. 대향 부재(134)에 전달된 토오크는 제 2 전달축(103)의 워엄 기어(103a)를 통해서 워엄휠(104)을 회전시키고, 조향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조향기구에 전달된다.
그러나, 차륜을 노면(road)의 불규칙한 면에 의해 충돌력을 수용한다. 상기 경우에, 충돌력은 동력 전달계를 통해서 모터(102)에 역으로 전달되고, 모터의 출력과 대양하고 있다. 이 대향 작용은 동력 전달계에 과도하게 큰 응력을 발생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성부품의 파괴를 초래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가압 부재(131)와 마찰판(133)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상기 충돌력보다 작게되도록 코일 스프링(132)의 편향력을 설정하기 위해 충돌력 발생에 반응하여 마찰판(133)과 가압 부재(134) 사이에서 활주 운동이 발생한다. 이 충돌력이 활주 운동에 의해 흡수될때에 동력 전달계에서 발생한 손상이 예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대향 부재(134)의 원통부(134b)는 제2전달축(103)에 고정된 베어링(105)의 내부링에 부딪친다. 연속해서, 베어링(105)의 내부링(105b)이 대향 부재(134)에 의해 수용된 코일 스프링(132)의 편향력하에서 제 2도의 좌측 방향으로 전달축(103)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내부링(105b)은 볼(105c)을 가로질러서 외부링(105a)을 가압하고, 그에 의해 베어링(105)에서의 작동을 제거하고 제 2 출력축(103)의 유연한 회전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132)은 접시형(dish)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의하면, 마찰면과 이 마찰면에 의해 가압된 가압 수단을 갖는 동력 전달 수단이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력 전달은 모터의 출력 토오크가 감속 기구에 의해 증대하기 전에 마찰면과 가압 수단 사이에서 발생된 비교적 작은 마찰력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연속하여,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 마찰면의 면적을 크게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력 전달 수단은 구성에 잇어서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된다.
또한,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베어링의 작동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독립 작동 제거 기구가 필요없다.
제 3도는 제 1도에 도시된 평면 II-II을 따라 절단하고 제 2도의 축방향에서 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 3도를 참조하면, 전동 모터(102)는 하우징(101)의 우측 단부에 부착 되어 있고, 베어링(102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전동 모터(102)의 회전축(102a)에는 외측 단부에 숫 스핀들(102b)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102)의 숫 스핀들(102b) 주위에는 두 개의 환형 마찰판(231)이 부착되어 있다.
마찰판(231)은 그 중앙구멍에 회전축의 숫 스핀들 홈(102b) 과 맞물리는 암 스핀들 홈(2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판(231)은 회전축(102)에 대해서 회전불능이지만 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마찰판(231)을 둘러싸는 바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가지고 원추형부(233a)에 의해 상호 연결된 대경부(233a)와 소경부(233b)로 구성된 마찰판 하우징(233)이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233a)의 내경은 축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마찰판(231)의 외주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회전축(102) 주위에는 두 개의 마찰판(231)과 접촉하여 상호 연속적으로 위치 설정된 두 개의 접시형 스프링(232)이 구비되어 있다. 외주홈(233d)은 전동 모터에 밀접한 마찰판(231)의 외주부 근방에 마찰판 하우징(233)의 내주부상에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외주홈(233c) 내측에는 마찰판 하우징의 단부를 코오킹(caulking)하기 위해 그 내에 부착된 누름판(234)이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234)가 원추형부(233c)는 상기 판의 간격을 소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마찰판(231)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접시형 스프링(232)의 편향력이 기준값 또는 더 높게 된다. 마찰판 하우징(233)과 누름판(234)이 수용 부재를 구성하는 반면에, 접시형 스프링(232)은 가압 부재를 구성한다.
전동 모터(102)의 회전축(102a)과 동축인 감속기 압력축(103)은 하우징(101)의 단부 근방에 위치 설정된 베어링(105, 10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감속기 입력축(103)의 전동 모터 단부 근방에는 마찰판 하우징(233)이 소경부(233b)의 내주부상에 형성된 암 스핀들(233e)과 맞물리는 숫 스핀들(103e)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마찰판 하우징(233)은 감속기 입력축(103)에 대해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마찰판 하우징(233)의 소경부(233b)의 단부는 중간 시트(237)에 맞닿아서 축방향으로의 다른 이동을 예방한다. 베어링(105, 106)에는 외부 링(105a, 106a)과, 내부 링(105b, 106b) 및, 상기 링사이에 지지된 복수의 볼(105c, 106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106)의 전동 모터와 대향하는 측(워엄 기어측)에서, 하우징(101)의 계단부와 베어링(106)의 외부 링(106a) 사이에 중간 시트(2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106)의 전동 모터와 대향하는 측에서 스냅 링(236)은 하우징의 외주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중간 시트(235)와 스냅링(236) 사이에 끼워진 베어링(106)은 축방향 이동을 예방한다.
감속기 입력축(103)에는 베어링(105)의 내측과 접촉하는 플렌지부(103c)와, 베어링(106)과 접촉하는 플렌지부(103b) 및, 상기 플렌지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워엄 휠(104)과 맞물리는 워엄 기어(103a)가 형성되어 있다. 감소기 입력축(103)의 모터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너트(107)와 맞물리는 숫 스플라인(103d)이 형성되고, 베어링(105)의내부링(105b)은 플렌지부(103c)와 너트(107) 사이에서 지지된다. 워엄 휠(104)과 워엄 기어(103a)는 감속기구를 구성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가압 수단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의 작동에서, 모터(102)에서 발생된 회전 토오크는 회전축 (102a)을 통해서 마찰판(231)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마찰판(231)은 접시형 스프링(232)에 의해 누름판(234)과 마찰판 하우징(233)을 향해 각각 상호 이격되어 편향된다. 연속하여, 마찰판(232)은 접스형 스프링(232) 누름판(234) 또는 마찰판 하우징(233) 사이에서 압축되고, 그에 의해 가압력에 대응하는 마찰력을 발생한다.이 마찰력이 통상의 작동에서 모터(102)에의해 발생된 토오크보다 크게 되도록 접시형 스프링(232)의 편향력과 마찰판(231)의 간극을 설정하기 위해, 마찰판(231)과 마찰판 하우징(233)은 통상의 상태에서 일체식으로 회전한다. 마찰판 하우징(233)에 전달된 토오크는 감속기 입력축 (103)의 워엄 기어(103a)를 통해서 워엄 휠(104)을 회전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조향기구에 전달되어 조향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차륜은 노면의 불규칙한 면에 의해 충돌력을 수용한다. 이 경우에, 충돌력은 동력 전달계를 통해서 모터(102)에 역으로 전달되고 모터의 출력과 반대 작용한다. 상기 반대 작용은 동력 전달계에서 과도하게 큰 응력을 발생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성부품의 손상을 초래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는 마찰판(231)과, 누름판(234) 및 마찰판 하우징(233) 사이에서 발생된 마찰력이 상기 충돌력보다 적게되도록 접시형 스프링(232)의 편향력을 설정하기 위해 마찰판(231)과 누름판(234) 또는 마찰판 하우징(233) 사이에서 활주 운동이 발생한다. 충돌력이 활주 운동에 의해 거의 흡수할 때 동력 전달계에서 발생한 손상은 예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접시형 스프링(232)에서 마찰판(231)에 부여된 편향력은 마찰판 하우징(233)에 의해 전체적으로 수용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에 대해서 마찰판을 편향시키는 구성은 감속기 입력축에서 드러스트(thrust)력이 발생해서 베어링의 롤링 저항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전동 모터(102)의 회전축(102a)을 지지하는 베어링(102b)과 감속기 입력축(103)을 지지하는 베어링(105, 106)에 마찰판의 편향으로부터 초래되는 트러스트력이 인가되는 것은 없다. 연속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축주위에서의 롤링 저항이 감소하므로, 스티어링 휠의 복귀성은 향상된다. 또한, 두 마찰판(231)을 사용하는 본 실시예는 동력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하나의 마찰판만을 사용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그 직경을 감소시킨다. 또한, 두 마찰판의 존재는 각 마찰판의 스플라인이 제한된 토오크만을 전달할지라도 충분히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과 개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마찰판만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찰판 하우징(233)은 감속기 입력축(103)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양자는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의하면, 마찰면과 이 마찰면에 가압된 가압 수단을 갖는 동력 전달 수단이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력 전달은 상기 모터의 출력 토오크가 감속기구에 의해 증대되기 전에 상기 마찰면과 상기 가압 수단 사이에서 발생된 비교적 적은 마찰력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연속하여,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마찰면의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동력 전달 수단은 구성에 있어서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상에 부착되고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차륜을 조향하기 위해 조향기구에 연결된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된 감속기구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마찰면과 이 마찰면에서 가입된 가압 수단을 포함하고, 동력 전달은 상기 마찰면과 가입 수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실행하며, 상기 마찰력은 모터로부터 통상적으로 전달되는 동력보다 크게되나 모터와 차륜 사이에서 발생하는 총돌력보다 작게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정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축은 베어링을 거쳐서 하우징에 지지되며, 가압 수단으로부터 마찰면에 전달되는 가압력은 베어링의 내외부 링중 하나를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이에 의해 베어링의 작동을 배제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3.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차륜을 조향하기 위해 조향기구에 연결된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며 또한 입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까지 감속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구 및, 모터의 회전축과 감속기구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고 동력 전달을 실행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회전축과 입력축중 하나에 대해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지만 이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마찰판과, 상기 회전축과 입력축의 다른 하나에 대해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된 수용 부재 및, 상기 마찰판을 수용 부재에 대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은 마찰판과 수용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마찰력은 모터로부터 통상적으로 전달되는 동력보다 크지만 모터와 차륜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력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9940012003A 1993-06-01 1994-05-31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0140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9057 1993-06-01
JP2905793U JP2586115Y2 (ja) 1993-06-01 1993-06-01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93-029057 1993-06-01
JP066258U JPH0735248U (ja) 1993-12-13 1993-12-13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93-66258 1993-12-13
JP93-066258 1993-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02A KR950000502A (ko) 1995-01-03
KR0140142B1 true KR0140142B1 (ko) 1998-07-01

Family

ID=2636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003A KR0140142B1 (ko) 1993-06-01 1994-05-31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82127A (ko)
EP (1) EP0627352B1 (ko)
KR (1) KR0140142B1 (ko)
DE (1) DE694179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448B1 (en) * 1997-05-16 2001-05-15 Mitsuba Corporation Power steering system
GB9718574D0 (en) * 1997-09-03 1997-11-05 Lucas Ind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gears
DE19811977A1 (de) * 1998-03-19 1999-09-30 Mannesmann Vdo Ag Schneckengetriebe
FR2819774B1 (fr) * 2001-01-19 2006-09-29 Koyo Seiko Co Articulation et systeme de direction assistee l'utilisant
JP4007159B2 (ja) * 2002-10-30 2007-11-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ジョイント
JP2004276725A (ja) * 2003-03-14 2004-10-07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351366A1 (de) * 2003-11-04 2005-06-09 Zf Lenksysteme Gmbh Aktuator
US7413026B2 (en) * 2006-07-01 2008-08-19 Black & Decker Inc. Lubricant system for powered hammer
DE102016122644A1 (de) * 2016-11-24 2018-05-24 Robert Bosch Gmbh Lenkgetriebe und Lenk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34161C (de) * 1929-06-21 1931-09-23 Wuelfel Eisenwerk Schmiervorrichtung fuer Rutschkupplung
US3091951A (en) * 1961-06-16 1963-06-04 Onyskin Alexander Slip clutch
JPH05185938A (ja) * 1991-09-30 1993-07-27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085607B2 (ja) * 1992-07-28 2000-09-11 株式会社日本プレス 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02A (ko) 1995-01-03
EP0627352B1 (en) 1999-04-21
US5482127A (en) 1996-01-09
DE69417951D1 (de) 1999-05-27
DE69417951T2 (de) 1999-10-21
EP0627352A1 (en) 1994-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7340B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US9096254B2 (en) Vehicle steering control apparatus
KR014014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5720375A (en) Coupling device for use in differential gear devices
US6419606B1 (en) Aircraft control surface drive apparatus
US3871239A (en) Variable speed drive
US6389917B1 (en) Safety device for a gear
US6817457B2 (en) Two-way roller clutch with torque limiting feature
JP2008155782A (ja) 車両用操舵装置
JP3285813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586115Y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639665U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735248U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4291791A (en) Free wheel hub mechanism
US6260654B1 (en) Frictional transmission
JPH07215225A (ja) 動力舵取装置
JPH02138523A (ja) クラッチ装置
JPH0243785Y2 (ko)
JP3476579B2 (ja) クラッチ
JPH03173332A (ja) ギヤードモータ
JPH09136653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12533Y2 (ko)
JPH04160230A (ja) トルクリミッター
JP2598421B2 (ja) トルクリミッター
JPH0226321A (ja) 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