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783Y1 -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783Y1
KR0139783Y1 KR2019940033853U KR19940033853U KR0139783Y1 KR 0139783 Y1 KR0139783 Y1 KR 0139783Y1 KR 2019940033853 U KR2019940033853 U KR 2019940033853U KR 19940033853 U KR19940033853 U KR 19940033853U KR 0139783 Y1 KR0139783 Y1 KR 0139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handle
closing lev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934U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3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783Y1/ko
Publication of KR9600229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9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7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도어트림에 설치된 손잡이를 쥐었을 때 눌리어짐에 따라 도어가 열리도록 한 개폐레버를 장착하므로서 외부의 도로상황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의 도어트림에 설치된 손잡이 내부에 힌지 설치되면서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걸림편을 형성하면서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개폐레버와; 상기 개폐레버의 내측면이 손잡이의 공간부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설치되어 토오션스프링의 탄압을 받아 누름 작동하여 도어래치와 연결된 로드를 당기도록 한 절곡로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가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 손잡이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도어
3 : 도어트림 4 : 공간부
4H : 힌지축 5 : 개폐레버
7 : 걸림편 8 : 내측면
9 : 절곡로드판 10 : 중심축
11 : 토오션스프링 12 : 로드
13 : 제1띠판 14 : 통로
15 : 제2띠판 16 : 제3띠판
17 : 걸림공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도어트림에 설치된 손잡이를 쥐었을 때 눌리어짐으로서 도어가 열리도록 한 개폐레버를 장착하므로서 외부의 도로상황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 손잡이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20)은 개폐핸들을 지지칭한다.
상기 개폐핸들(20)은 도어(21)의 도어트림(22)에 설치된 손잡이(23)이 상측에 노출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개폐핸들(20)은 탑승자가 손가락등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개폐핸들(20)과 내부에서 도어래치와 연결된 로드를 당기게 되어 도어(21)가 열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개폐핸들(20)을 당기면서 탑승자들은 도어트림(22)을 팔꿈치등으로 밀기 때문에 도어(21)의 열림 제어가 용이하지 않아 도어(21)가 한꺼번에 확 열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도어(21)가 확 열리때 열림정도를 제어하고자 하면 반사적으로 개폐핸들(20)을 당기게 되므로서 개폐핸들(20)이 망가져 떨어져 나가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개폐핸들을 잡고 도어를 열고, 닫거나 아니면 손을 뛰었다가 손잡이를 다시 잡아 도어를 제어하므로서 번잡한 불편이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도어를 열 때 개폐핸들을 잡고 팔굼치에 의한 연속적인 동작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외부의 물체 또는 차량과의 부딪침이 발생하여 자동차의 외장을 보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도어트림에 설치된 손잡이를 쥐었을때 눌리어짐에 따라 도어가 열리도록 한 개폐레버를 장착하므로서 외부의 도로상황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의 도어트림에 설치된 손잡이 내부에 힌지 설치되면서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걸림편을 형성하면서 감각형상으로 형성된 개폐레버; 상기 개폐레버의 내측면이 손잡이의 공간부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설치되어 토오션스프링의 탄압을 받아 누름 작동하여 도어래치와 연결된 로드를 당기도록 한 절곡로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절곡로드판은 중심축으로 회동 설치되면서 개폐레버의 내측면을 누르도록 한 제1띠판과, 이 제1띠판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손잡이의 통로상에 위치하게 되는 제2띠판과, 이 제2띠판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도어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래치와 연결되는 로드가 걸리도록 걸림공을 형성한 제3띠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도어트림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에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쥠식 개폐레버를 설치하여 도어 개폐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승차자의 완력에 의한 제어가 손쉽도록 한다.
상기한 손잡이에 설치된 개폐레버를 쥐면서 손잡이를 잡으면, 개폐레버는 토오션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고 있는 절곡로드판의 제1띠판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한 절곡로드판의 제1판이 일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도어트럼 내부에 연장 형성된 제3띠판과 도어래치를 연결하고 있는 로드를 당기게 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가 설치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도시한 측면도로, 부호(1)은 손잡이를 지칭한다.
상기한 손잡이(1)는 도어(2)의 도어트림(3)에 설치되어 손잡이의 내부 공간부(4)에 힌지축(4H)으로 힌지 설치되는 개폐레버(5)를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레버(5)는 쥠 작동후 원위치될 때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6)에 걸리는 걸림편(7)을 하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누름작용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삼각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한 개폐레버(5)가 설치되는 손잡이(1)의 공간부(4) 측면인 내측면(8)은 항상 절곡로드판(9)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상기한 개폐레버(5)를 누르고 있는 절곡로드판(9)은 손잡이(1)의 공간부(4)의 중심축(10)을 회동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중심축(10)에는 절곡로드판(9)을 개폐레버(5)측으로 밀도록 탄성력을 갖는 토오션스프링(11)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한 절곡로드판(9)은 토오션스프링(11)의 탄압을 받아 개폐레버(5)는 누르고, 일단에 연결된 도어래치 로드(12)는 이완상태에 있게 하고 있다.
상기한 절곡로드판(9)은 중심축(10)으로 회동 설치되어 개폐레버(5)의 내측면(8)을 제1띠판(13)이 누르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띠판(13)에서 일측으로 손잡이(1)의 통로(14)상에 위치하도록 제2띠판(15)를 절곡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2띠판(15)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도어(2)의 도어트림(3)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3띠판(16)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3띠판(16)에는 걸림공(17)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래치와 연결되는 로드(12)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탑승자가 자동차 도어(2)의 도어트림(3)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1)를 잡으면서 쥠식 개폐레버(5)를 누르면 개폐레버(5)의 내측면(8)을 누르고 있던 절곡로드판(9)은 토오션스프링(1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일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한 절곡로드판(9)의 제1띠판(13)이 전진하게 되면 중심축(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3띠판(15)(16)은 후진하게 되면서 제3띠판(16)에 연결된 로드(12)를 당기게 된다.
상기한 제3띠판(16)에 연결된 로드(12)가 절곡로드판(9)의 작동에 의해 당겨져 도어래치를 해지하게 되어 도어(2)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도어(2)가 도어트림(3) 내부에 설치되어 당겨지는 로드(12)에 의해 도어래치가 해지되어 열릴 때 탑승자는 손잡이(1)를 계속잡고 있어서, 안전하게 도어를 열게 된다.
상기한 도어(2)가 안전하게 열리게 됨은 도어(2) 개폐시 손잡이(1)를 잡은 상태에서 승차자의 완력에 의한 제어가 손쉽게 이루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자 할 때 손잡이를 잡으면서 손잡이에 설치된 개폐레버를 누르면서 손잡이를 밀어 도어를 열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제어가 편리하여 외부 교통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어(2)의 도어트림(3)에 설치된 손잡이(1) 내부 공간부(4)에 힌지축(4H)으로 힌지 설치되면서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걸림편(7)을 형성하면서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개폐레버(5)와; 상기 개폐레버(5)의 내측면(8)이 손잡이(1)의 공간부(4)에 중심축(10)을 중심으로 회동설치되어 토오션스프링(11)의 탄압을 받아 누름 작동하여 도어래치와 연결된 로드(12)를 당기도록 한 절곡로드판(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절곡로드판(9)은 중심축으로 회동 설치되면서 개폐레버(5)의 내측면(8)을 누르도록 한 제1띠판(13)과, 이 제1띠판(13)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손잡이(1)의 통로(14)상에 위치하게 되는 제2띠판(15)과, 이 제2띠판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도어트림(3)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래치와 연결되는 로드(12)가 걸리도록 걸림공(17)을 형성한 제3띠판(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KR2019940033853U 1994-12-13 1994-12-13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KR0139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853U KR0139783Y1 (ko) 1994-12-13 1994-12-13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853U KR0139783Y1 (ko) 1994-12-13 1994-12-13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34U KR960022934U (ko) 1996-07-20
KR0139783Y1 true KR0139783Y1 (ko) 1999-04-01

Family

ID=1940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853U KR0139783Y1 (ko) 1994-12-13 1994-12-13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7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34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2253A (en) Power-closing lock device for vehicle door
US6131989A (en) Dual action rear gate door handle assembly
JP2004169537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3980249B2 (ja) 車両用ラッチ装置
KR0139783Y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레버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EP2687654B1 (en) Handle configuration
CN213540031U (zh) 一种简单耐用的汽车车门外开装置
JP2619478B2 (ja) 特殊車両のドア開放固定装置
KR0114606Y1 (ko) 자동차용 후드 걸림해제 스윗치
KR200149974Y1 (ko) 테일 게이트의 인사이드 핸들
JPH0345504Y2 (ko)
KR200146850Y1 (ko) 도어핸들 일체형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200149970Y1 (ko) 테일게이트의인사이드핸들
KR0139564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KR0135905Y1 (ko) 자동차의 푸시타입 도어오픈장치
JP2000265729A (ja) 開閉装置
KR0132238Y1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개폐장치
KR100211313B1 (ko)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록킹장치
KR200144558Y1 (ko) 글로브박스의 록킹장치
KR19990003142U (ko) 글로브박스의 록킹장치
KR200141964Y1 (ko) 차량용 리어도어의 구조
KR0132247Y1 (ko) 자동차 어퍼트레이부로 설치된 글러브박스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0022226A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및 트렁크의 버튼식 수동해제장치
JPH03383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