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505B1 - 비닐포장기 - Google Patents

비닐포장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505B1
KR0139505B1 KR1019940040695A KR19940040695A KR0139505B1 KR 0139505 B1 KR0139505 B1 KR 0139505B1 KR 1019940040695 A KR1019940040695 A KR 1019940040695A KR 19940040695 A KR19940040695 A KR 19940040695A KR 0139505 B1 KR0139505 B1 KR 0139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ing
plate
pin
bloc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170A (ko
Inventor
오영길
Original Assignee
오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길 filed Critical 오영길
Priority to KR101994004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505B1/ko
Publication of KR96002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13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preformed tubular webs being supplied in a flatten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2Closing bottle neck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두겹으로된 줄형태의 비닐을 이용하여 입자 또는 분말을 포장하는 포장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포장기는 여러공정이 별도의 장치에서 순서대로 이송되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기계의 부피가 크고 포장속도가 매우 느린단점이 있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2개의 점이 고정된 4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절단한 그자리에서 비닐을 벌려 주입할 수 있게 하는 등 전반적으로 모든 공정이 한자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임.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기계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포장속도를 매우 빠르게 함으로써 작업능률을 극대화 한것임.

Description

비닐포장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접합 및 절단장치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접합 작용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집게 및 벌림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벌림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집게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접합 및 절단장치부와 집게 및 벌림장치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받침 및 배출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받침 및 배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12도-제13도는 내용물 주입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2도는 요부사시도
제13도는 작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14도는 절단장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5도는 벌림장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프레임 2:전면지지판
2':후면지지판 3:상부작용부
5:감지센서 6,6':인입로울러
7:접합 및 절단장치부 8:집게 및 벌림장치부
9:받침 및 배출장치부 11:접합부프레임
12,12':실린더프레임 14:상부접합작용판
14':하부접합작용판 16,16':손잡이
17,17':스프링 18,18':권회축
19:고정링 25:장력작용판
26:핀구멍 27:고정돌부
28:전열히터 34:고정프레임
35:실린더 37:상부접합블럭
37':하부접합블럭 38:블럭고정프레임
40:벌림장치프레임 41:지지대
42:요부 43:핀
44a,44b,44c,44d:링크 45a,45b,45c,45d:기어
46:당김블럭 47a,47b:이동판
48a,48b:모터고정판 49:감속모터
50:나선축 52:집게장치대
53:나선구멍 55:집게실린더
56:이송블럭 57:물림요부
58:고정블럭 59:요부
60,60':흡입빨판 62:벌림실린더
70:승강레일 73:체인
74:연결축 75:주모타
78:로울러 79:승강대
80:체인연결편 81:핀중심관
82:받침대 83:핀
84:요부 85:받침간
86:걸림봉
본 발명은 두겹으로 된 롤 형태의 비닐을 이용하여 쌀, 보리, 밀가루 등의 곡물류나 설탕, 소금, 조미료등 여러가지 종류의 입자 내지는 분말을 포장하는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접합, 절단, 벌림, 주입, 상부접합, 배출 등의 공정이 한자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 기계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포장속도를 빠르게 하는등 포장작업을 매우 능률적으로 할 수 있게 한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봉투형태의 비닐로 포장되는 제품은 각산업분야마다 그수를 셀수없을 만큼 다양하여 국가간이나 업체간의 경쟁력 확보차원에서 볼때 포장의 능률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가지의 비닐포장기는 그 장치의 규모가 방대하여 설치에만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였고 작업속도가 매우 느릴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절단, 접합, 주입 등의 공정이 각각 별도의 장치에서 순서대로 이송되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클수밖에 없는 것이며, 이송되는 시간 때문에 전체작업속도 역시 매우 느릴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특히 중요한 문제점의 하나로는 비닐원단의 하단부를 접합하고 상단부를 절단한 상태(봉투 형태가 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주입하려면 주입장치가 하강하여 비닐을 벌리고 그 중앙부로 들어가야하는데, 비닐원단이 통과되면서 봉투가 형성되는 그위치에서는 비닐을 양쪽으로 벌리더라도 이러한 주입장치가 설치되고 작동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비닐을 별도의 주입장치가 설치된 위치로 이송시킨후 주입하여야 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시말하면 절단 및 하부접합이 이루어진후 주입장치가 설치된 위치로 이송시키려면 이송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고 이송후 주입장치가 설치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주입후 다시 접합위치로 이송되어야 하므로, 결국 기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짐은 물론이며, 이송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생산의 차질을 가져올 수 밖에 엇었던 것이다.
또한 포장지 원단의 양끝단을 접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주입할때 중앙부를 벌려야 하는데, 이때는 벌려진 만큼의 포장지의 양측끝단이 내측으로 딸려 오게되므로 그이송거리만큼 양측의 집게가 비닐을 물고 있는 상태 그대로 비닐의 중앙부로 이송되어야 하는 것인데, 이러한 정확한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것이 큰 과제였기 때문에 양측집게에 별도의 실린더를 설치하여 포장지를 벌림과 동시에 실린더를 전진시켜 집게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등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포장기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닐봉투가 형성된 상태에서 이송할 필요없이 그 자리에서 벌리면 비닐의 중심이 주입장치의 중심으로 이송되게끔하여 양측의 집게도 비닐을 물고 있는 상태 그래도 정확한 거리를 이송가능케하는등 포장의 모든 공정이 한자리에서 이루어지게 끔 구성함으로써, 전체적 구성이 최대한 간단해지면서도 크기를 줄이고 작업속도 및 능률을 최대한 상승시킬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육면체형의 프레임(1) 상부에 전면지지판(2)과 후면지지판(2')을 입설하여 그 중간에 상부작용부(3)를 구성하는데, 상부로부터 가이드로울러(4c)와 감지센서(5) 및 인입로울러(6)(6')를 설치하였으며, 그하부로는 접합 및 절단장치부(7), 집게 및 벌림장치부(8)를 구성하고 또 접합 및 절단장치부(7)의 끝단에는 주입관(10)을 구성하며, 그 하부의 프레임(1) 내부에는 받침 및 배출장치부(9)를 구성하였다.
전술한 접합 및 절단장치부(7)를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지지판(2)과 후면지지판(2') 사이에 길다란 접합부프레임(11)을 고정시키고 중앙부에자형 실린더프레임(12)(12')을 대칭되게 설치하여 내부에 각각 2개씩의 에어실린더(13,13',13a,13b)를 설치한다.
상부의 양측에어실린더(13,13')의 끝단에는 상부 접합작용판(14)을 나합시키고, 하부의 양측실린더(13a,13a')의 끝단에는 하부접합작용판(14')을 나합시키는데, 상기 두개의 접합작용판(14,14')의 구조는 동일한것으로서, 상부 접합작용판(14)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중앙부에 공간부(15)를 구성하여 손잡이(16)(16')가 형성되고 스프링(17)(17')이 삽입된 상태의 권회축(18)(18')을 회전가능하게 삽입하고 끝단에 핀구멍(21)을 형성하여 고정링(19)과 핀(20)으로 이탈을 방지하며, 상부접합작용판(14)의 선단에는 요홈(22)을 형성하여 전열히터(28)를 삽설하였다.
상부접합작용판(14)의 앞쪽 양측측면에는 요부(23)와 핀구멍(24)을 형성하여 장력작용판(25)을 유설하는데, 장력작용판(25)의 일측에는 핀구멍(26)이 천공된 고정돌부(27)를 형성하여 상기 요부(23)에 삽입한후 핀(29)을 삽입하여 회동가능하게끔 하고, 상부접합작용판(14)의 요부(23) 옆에는 스프링구멍(30)을 형성하여 스프링(31)을 삽입함으로써 장력작용판(25)이 스프링(31)이 장력을 받으며 전열히터(28)를 팽팽하게 당겨주게끔 구성하였다.
또한 권회축(18)에는 실리콘테이프(32)를 권회하여 전열히터(28)를 덮은 다음 전방의 권회축(18')에 연결함으로써 일측의 손잡이(16 또는 16')를 회전시키면 실리콘테이프(32)가 이송되게끔 하였다.
상부접합작용판(14)과 하부접학작용판(14') 사이에는 톱니형칼날(33)이 설치되어 있는데,자형의 실린더프레임(12,12') 사이에 칼날 고정프레임(34)을 고정하고 여기에 실린더(35)와 두개의 가이드봉(36,36')을 설치하여 칼날(33)을 작동시키게끔 구성하였다.
상.하부접합작용판(14,14')의 맞은편에는 상부접합블럭(37)과 하부접합블럭(37')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부접합블럭(37)은 전면지지판(2)과 후면지지판(2')사이의 블럭고정프레임(38)에 고정시켰고 하부접합블럭(37')은 후술할 벌림장치부(8)에 고정되어 같이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집게 및 벌림장치부(8)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후면지지판(2,2')사이의 접합 및 절단장치부(7) 아래에 설치된 벌림장치프레임(40) 중앙에 지지대(41)를 돌설하되 중앙부에 요부(42)를 형성하며, 끝단에는 핀(43)으로 두개의 링크(44a,44b)를 유설시키고 각링크(44a,44b) 끝단에는 기어(45a,45b)를 유설시키며, 다시 기억(45c,45d)는 링크(44c,44d)와 유설되게 하며 링크(44c,44d)는 중앙부에서 당김블럭(46)에 의해 유설되는데 당김블럭(46)의 상부에는 받침대(46')를 이용해 전술한 하부접합블럭(37')을 고정시켰다.
상기 기어(45a,45c)는 이동판(47a)에 유설되어 있고, 또 반대측기어(45b,45d)는 이동판(47b)에 유설되며, 각 이동판(47a,47b)에는 모터고정판(48a,48b)이 고정되고, 모터 고정판(48a,48b)에는 각각 감속모터(49)를 설치하는데 감속모터(49)의 주축에 나선축(50)을 연결하였으며, 그 양측에는 두개의 가이드봉(51a,51b)을 돌성하였다.
나선축(50)과 가이드봉(51a, 51b)에는 집게 장치대(52)가 설치되는데, 집게장치대(52)에는 나선구멍(53)과 가이드구멍(54a,54b)이 각각 형성되어 감속모터(49)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고, 집게 장치대(52)의 상부에는 집게실린더(55)가 설치되어 그 선단에 이송블럭(56)을 고정시켰으며, 집게장치대(52)의 끝단에는 물림요부(57)를 형성하고 고정블럭(58)을 고정시켰다.
상기한 지지대(41)의 중앙부에는 요부(42)가 형성되어 있고, 당김블럭(46)의 중앙부에도 요부(59)를 형성하여 이곳에 각각 흡입장치(미도시됨)와 연결되는 흡입빨판(60,60')을 설치하였고, 당김블럭(46)의 후방으로는 두개의 가이드봉(61,61')을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프레임(1)의 후방에 설치된 벌림실린더(62)의 선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61,61')은 벌림시린더(62) 좌.우의 슬라이딩가이드(63,63')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은 받침 및 배출장치부(9)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1)의 전후중앙부에형 단면의 승강레일(70)을 형성하고 그 상.하부에 체인휠(71,71',71a,71a')를 각각 설치하여 조임버클(72)이 연결된 체인(73)을 장착하는데, 그중 하부의 체인휠(71')(71a')은 연결축(74)으로 연결되어 동시작동되며, 체인휠(71a')은 2단형으로 구성되어 주모터(75)의 체인휠(76)과 체인(77)으로 동력을 전달받게끔 구성되어 있다.
양측의 승강레일(70)에는 로울러(78)가 설치된 승강대(79)가 설치되어 승강레일(70)을 타고 작동토록 구성되고, 승강대(79)의 양측에는 체인연결편(80)을 부착고정하여 체인(73)의 양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체인(73)의 작동에 의해 승강대(79)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토록 구성되었으며, 승강대(79)의 중앙부에는 핀중심관(81)을 부착하여 이곳에 핀(83)으로 받침대(82)를 유설하는데, 상기 받침대(82)는 상부에 요부(84)를 형성하였다.
승강대(79)의 중앙부 2개소에는자형의 받침간(85)을 부착하여 받침대(82)가 걸리도록 하였으며, 받침대(82)의 아랫부분에는 걸림봉(86)을 돌설하여 받침대(82)가 하강시 걸려젖혀지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지금부터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한다.
제12도-제13도는 주입장치부분에 대한 실시예로서, 고정부(101,101')가 형성된 사각체의 케이스(102) 내부에 핀고정돌부(103)가 형성된 작용호퍼(100,100')를 삽입하되, 핀(104)의 선단 즉 케이스(102)의 외부에 작용간(105,105')을 한개는 상부로 한개는 하부로 고정시키고, 각 작용간(105,105')의 끝단부에는 핀(104',104)을 이용 연결간(106)을 유설시키며, 일측 작용간(105')과 연결간(106)의 일측끝단에 삽입되는 핀(104)에는 실린더(107)가 유설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시말하면 고정핀(104)와 핀고정돌부(103) 및 작용간(105,105')는 고정되어 동시 작동되도록 되어 있고, 핀(104',104)는 연결간(106) 및 실린더(107)와 유동되도록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주입장치부는 접합 및 절단장치부(7)의 측단 즉 하부접합블럭(37')의 윗쪽에 설치되는데 인입로울러(6,6')가 지지되는 브라켓(108,108')의 양단에 연결대(109)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것이다.
또 제14도는 본 발명의 절단 장치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하부접합작용판(14)(14')의 중간위치 양측에 별도의 모터(120)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121)와 타이밍벨트풀리(122,122')를 설치하고 타이밍벨트(121)의 일정위치에 고정블록(123)을 이용하여 칼날(124)을 고정시킨 구성이다.
그리고 제15도는 벌림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벌림실린더(62)와 당김블럭(46)에 의해 작용하는 링크(130a)(130b)(130c)(130d)를 기어로 연접시키지 않고 양단에서 하나의 핀(131)으로 유설시킨것이고, 한편으로는 기어가 설치되는 반대편의 각링크 끝단을 하나의 핀으로 유설링크(130a)와 링크(130b)를 하나의 핀으로 유설키시고 링크(130c)와 링크(130d)를 하나의 핀으로 유설시킴시킬수도 있는데, 이때는 흡입빨판이 각링크의 유설된 부분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집게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는 집게장치대(52)를 감속모터(49)에 의해 이송시킬 필요없이 곧바로 이동판(47a,47b)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4a,4b:가이드로울러, 200:비닐원단, 200':비닐봉투, 201a,201b,201c:받침로울러, 202:장력조절로울러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사용방법에 따라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형태로 말린 비닐원단(200)을 받침로울러(210a)(210b)(210c) 사이에 얹은 후 그 끝단을 가이드로울러(4a), 장력조절로울러(202), 가이드로울러(4b) 및 가이드로울러(4c)를 거쳐 본포장기의 내부로 진입시키고, 감지센서(5)와 인입로울러(6)(6')사이로 통과시킨후 작업이 시작되는데, 앞으로의 작업과정 설명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계속작업중인 상태의 한과정(봉투의 하단부가 접합된 상태)을 설명한다.
포장기의 작동을 시작하면 인입로울러(6)(6')가 비닐을 끌어내려 비닐원단(200)이 접합 및 절단장치부(7)와 물림 및 벌림장치부(8) 사이로 들어가게 되며 감지센서(5)가 비닐원단(200)의 양단에 표시된 마디표시(비닐원단에는 한개단위의 포장에 필요한 길이가 마킹되어있음)를 감지하면 비닐원단(200)의 인입이 중지된다.
이때 접합 및 절단장치부(7)의 작용이 시작되는데, 먼저 4개의 에어실린더(13,13',13a,13a')가 동시에 작동하여 상.하부 접합작용판(14,14')이 전진하여 상부접합블럭(37)과 합부접합블럭(37')에 밀착되면서 상부접합작용판(14)의 전열히터(28)에만 전열이 들어와 접합되고, 이와동시에 실린더(35)가 전진하여 접합된 아랫부분의 비닐원단(200)을 절단한다.
이과정에서 장력작용판(25)은 스프링(31)에 의해 바깥쪽으로 젖혀질려는 힘을 가지기 때문에 전열히터(28)가 열에 의해 늘어나더라도 항상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시켜 줄수있는 것이며, 전열히터(28)를 감싸고 있는 실리콘테이프(32)는 수차례 접합작용을 반복하면 마모내지는 손상이 되는데, 이때는 실리콘테이프(32)를 교체할 필요없이 일측의 손잡이(16')를 회전시켜 주면 실리콘테이프(32)가 이송되면서 전열히터(28)에 닿아있던 부분은 감기고 다른 부위가 진열히터(28)를 덮어주게 되므로, 권회축(18)에 감겨진 실리콘테이프(32)를 모두 풀어낼때까지 교체할 필요없이 장시간 사용이 강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작용 및 상부접합작용(봉투로 된 비닐로 볼때는 하부)이 완료된 상태에서 물림 및 벌림장치부(8)의 작용이 이어진다.
즉 상기작용이 완료되고 상.하부접합작용판(14,14')이 후진하기전에 집게실린더(55)가 작용하면 이송블럭(56) 이 전진하여 고정블럭(58)과 맞물리면서 절단된 비닐봉투(200')하단부가 접합된 상태이므로 이하부터 비닐봉투(200')라 칭함의 상부를 물게된다.
그다음에 벌림실린더(62)가 후진하면 당김블럭(46) 또한 후진하여형으로 있던 각링크가형으로 벌어지는데, 그전에 흡입장치가 작동하여 흡입빨판(60,60')이 두겹의 비닐한장씩을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비닐봉투(200')의 상부는형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7도에서 볼수있는 바와 같이 일측의 흡입빨판(60)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의 흡입빨판(60')이 당김블럭(46)에 의해 후진하면자형으로 있던 비닐봉투(200')의 상단부가형으로 벌어지는데, 이는 다시말해서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만을 당겨 벌리는 것이므로 비닐의 중심이만큼 이송된다는 것으로서 결국 비닐을 별도의 주입장치로 이송하지 않고도 그자리에서 주입장치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결론인 것이다.
한편, 4개의 링크(44a,44b,44c,44d)가 벌어 질때는 끝단에 유설된 기어(45a,45c),(45b,45d)가 각각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기어를 맞물려 돌아가게 하는 이유는 집게장치가 비닐봉투(200')의 벌어짐에 따라 정확하게 이송하도록 하기위한 것인바, 각 기어(45a,45c 및 45b,45d)가 유설되는 이동판(47a,47b)은 각기어의 중심 2개소에 유설되어 있으므로 링크가 움직이면 비닐봉투의 중심선과 항상 직각을 이루며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에 설치되는 집게장치대(52) 역시 마찬가지이며, 이에따라 집게는 항상 비닐봉투(200')의 중심선과 일치될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어가 유설된 이동판(47a,47b) 역시 링크가 벌어진 만큼 비스듬하게 이송되며 이동판(47a,47b)에 고정된 집게장치대(52) 및 감속모타(49) 또한 동시에 이송되어 집게 실린더(55)의 이송블럭(56)에 비닐봉투(200')가 물린상태 그대로 비닐봉투(200')의 중앙부가 벌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닐원단(200')의 폭이 다른 비닐원단을 작업할때는 감속모터(49)를 작용시키면 나선축(50)이 회전하여 집게장치대(52) 자체가 전후이송되므로 여러가지 비닐원단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면서 작업할수도 있게 된 것이다.
비닐봉투(200')가 벌어진 상태가 되면 하부접합블럭(37')이 당김블럭(46)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또한 이송되어진 상태인데, 전진상태의 하부접합블럭(37') 상부에 주입관(10)이 위치하기 때문에 후진하여 비닐봉투(200')가 벌어지면 주입관(10)의 위치가 벌어진 비닐원단(200)의 중앙부가 되므로 곧바로 내용물의 주입이 이루어지고 하부의 받침 및 배출장치부(9)의 작용이 시작된다.
내용물이 주입되면 집게실린더(55)에 물려 있던 비닐봉투(200')는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늘어져서 이탈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일정량이 주입되는 시점에서 주모타(75)가 작동하여 체인휠(71,71',71a,71a') 및 체인(73)을 작용시키고, 이에따라 체인(73)이 체인연결편(80)으로 걸려있기 때문에 승강레일(70)에 지지된 승강대(79)가 상승하여 결국 받침대(82)가 봉투의 하단을 약간 떠올릴때까지 상승하여 비닐봉투(200')를 받쳐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주입이 끝나면 벌림실린더(62)가 전진하여 각링크(44a,44b,44c,44d)가 원상태로 복귀되고 벌어져있는 비닐봉투 역시형으로 되며, 이때 상하부접합작용판(14,14')이 전진하고 하부접합작용판(14')의 전열히터(28)에만 전열이 들어와서 내용물이 주입완료된 상태의 비닐봉투(200') 상부를 접합하게 된다.
계속하여 하부의 주모타(75)가 역방향으로 작용하여 승강대(79)의 받침대(82)가 하강하게 되고, 어느정도 하강하다 보면 받침대(82)의 선단부가 걸림봉(86)에 걸려 핀(83)을 중심으로 젖혀지게 되며, 이로인하여 포장완료된 제품이 기울어지면서 배출되어 한개의작업이 완료되고 이러한 순서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계속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내용물 주입장치부분에 대한 실시예인 제12도-제13도에 따르면, 비닐봉투(200')의 벌림이 완료되어 내용물을 주입할 준비가 되면 먼저 실린더(107)가 후진하는데, 이에따라 핀(104)이 딸려가면 링크(10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연결간(106)에 의해 링크(10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따라서 핀(104)에 의해 연결된 작용호퍼(100,100')는 하단부가 약간 하강하면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벌어지기전의 작용호퍼(100,100')는 벌어진 비닐봉투(200')의 상단부위에 위치하다가 벌어지면서 약간 하강하게 되므로 끝단이 비닐봉투(20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비닐봉투의 상부는형으로 더욱 벌어져 결국 원활하고도 빠른 속도로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절단장치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14도에 따르면,
타이밍벨트(121)에 고정된 칼날(124)이 비닐원단(200) 측면으로 부터 절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좀더 정확하고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벌림장치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15도의 경우는 각 로드(130a,130b,130c,130d)의 끝단에 기어를 유설하지 않고 핀(131)로서 유동되게 한 것인데, 좀더 간단한 구성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옆에서 잠깐 언급한 집게장치를 이동판(47a,47b)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비닐원단(200)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크기의 주입장치를 필요로 하지만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주입속도는 큰차이가 없다고 볼때 유익한 하나의 실시예로 볼수가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과정이 모두 한자리에서 순식간에 이루어지도록 링크를 이용한 벌림장치부를 적절하게 고안 및 배치하고 기타의 장치역시 기계의 수명, 성능, 작업효율, 편리성등 모든면에서 종래의 기계보다 월등히 뛰어나도록 연출됨으로써, 포장작업을 매우 빠르고 원활하게 할수 있어서 결국 포장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Claims (5)

  1. 프레임(1) 상부에 전면지지판(2)과 후면지지판(2')을 입설하여 그 중간에 상부작용부(3)를 구성하는데, 상부로부터 가이드로울러(4c)와 감지센서(5) 및 인입로울러(6)(6')를 설치하였으며, 그하부로는 접합 및 절단장치부(7), 집게 및 벌림장치부(8)를 구성하고 또 접합 및 절단장치부(7)의 끝단에는 주입관(10)을 구성하며, 그 하부의 프레임(1) 내부에는 받침 및 배출장치부(9)를 구성하되, 접합 및 절단장치부(7)는 전면지지판(2)과 후면지지판(2') 사이에 접합부프레임(11)을 고정시키고 중앙부에자형 실린더프레임(12)(12')을 대칭되게 설치하여 내부에 각각 2개씩의 에어실린더(13,13',13a,13b)를 설치하며, 상부의 양측에어실린더(13,13')의 끝단에는 상부 접합작용판(14)을 나합시키고 하부의 양측실린더(13a,13a')의 끝단에는 하부접합작용판(14')을 나합시키는데, 상기 두개의 접합작용판(14,14')은 중앙에 공간부(15)를 구성하여 손잡이(16)(16')가 형성되고 스프링(17)(17')이 외삽된 상태의 권회축(18)(18')을 회전가능하게 삽입하고 끝단에 핀구멍(21)을 형성하여 고정링(19)과 핀(20)으로 이탈을 방지하며, 상부접합작용판(14)의 앞쪽 양측측면에는 요부(23)와 핀구멍(24)을 형성하여 장력작용판(25)을 유설하는데 장력작용판(25)의 일측에는 핀구멍(26)이 천공된 고정돌부(27)를 형성하여 상기 요부(23)에 삽입한후 핀(29)을 삽입하여 회동가능하게끔 하고, 상부접합작용판(14)의 요부(23) 옆에는 스프링구멍(30)을 형성하여 스프링(31)을 삽입함으로써 장력작용판(25)이 스프링(31)의 장력을 받도록하며, 권회축(18)에는 실리콘테이프(32)를 권회하여 전열히터(28)를 덮은 다음 전방의 권회축(18')에 연결함으로써 일측의 손잡이(16 또는 16')를 회전시키면 실리콘테이프(32)가 이송되게끔 하고,자형의 실린더프레임(12,12') 사이에 칼날 고정프레임(34)을 고정하고 여기에 실린더(35)와 두개의 가이드봉(36,36')을 설치하여 톱니형 칼날(33)을 작동시키게끔 구성하며, 상.하부접합작용판(14,14')의 맞은편에는 상부접합블럭(37)과 하부접합블럭(37')이 설치하는데, 상부접합블럭(37)은 전면지지판(2)과 후면지지판(2')사이의 블럭고정프레임(38)에 고정시키고 하부접합블럭(37')은 벌림장치부(8)에 고정되어 같이 이송하도록 하고, 집게 및 벌림장치부(8)는 전.후면지지판(2,2')사이의 접합 및 절단장치부(7) 아래에 설치된 벌림장치프레임(40) 중앙에 지지대(41)를 돌설하되 중앙부에 요부(42)를 형성하며, 끝단에는 핀(43)으로 두개의 링크(44a,aab)를 유설시키고 각링크(44a,44b) 끝단에는 기어(45a,45b)를 유설시키며, 다시 기어(45c,45d)는 링크(44c,44d)와 유설되게 하며 링크(44c,44d)는 중앙부에서 당김블럭(46)에 의해 유설되고, 상기 기어(45a,45c)는 이동판(47a)에 유설되어 있고, 또 반대측기어(45b,45d)는 이동판(47b)에 유설되며, 각 이동판(47a,47b)에는 모터고정판(48a,48b)이 고정되고, 모터 고정판(48a,48b)에는 각각 감속모터(49)를 설치하는데 감속모터(49)의 주축에 나선축(50)을 연결하였으며, 그 양측에는 두개의 가이드봉(51a,51b)을 돌설하여 그곳에 집게 장치대(52)를 설치하는데, 집게장치대(52)에는 나선구멍(53)과 가이드구멍(54a,54b)이 각각 형성되어 감속모터(49)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고, 집게 장치대(52)의 상부에는 집게실린더(55)가 설치되어 그 선단에 이송블럭(56)을 고정시켰으며, 집게장치대(52)의 끝단에는 물림요부(57)와 고정블럭(58)을 고정시키며, 지지대(41)의 중앙부에는 요부(42)를 형성하고 당김블럭(46)의 중앙부에도 요부(59)를 형성하여 이곳에 각각 흡입장치(미도시됨)와 연결되는 흡입빨판(60,60')을 설치하였고, 당김블럭(46)의 후방으로는 두개의 가이드봉(61,61')을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프레임(1)의 후방에 설치된 벌림실린더(62)의 선단을 고정시키고, 받침 및 배출장치부(9)는 프레임(1)의 전후중앙부에형 단면의 승강레일(70)을 형성하고 그 상.하부에 체인휠(71,71',71a,71a')를 각각 설치하여 체인(73)을 장착하는데, 그중 하부의 체인휠(71')(71a')은 연결축(74)으로 연결되어 동시작동되며, 체인휠(71a')은 2단형으로 구성되어 주모터(75)의 체인휠(76)과 체인(77)으로 동력을 전달받게끔 구성하고, 양측의 승강레일(70)에는 로울러(78)가 설치된 승강대(79)가 설치되어 승강레일(70)을 타고 작동토록 구성되고, 승강대(79)의 양측에는 체인연결편(80)을 부착고정하여 체인(73)의 양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체인(73)의 작동에 의해 승강대(79)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토록 구성하며, 승강대(79)의 중앙부에는 핀중심관(81)을 부착하여 이곳에 핀(83)으로 받침대(82)를 유설하는데, 상기 받침대(82)는 상부에 요부(84)를 형성하고, 승강대(79)의 중앙부 2개소에는자형의 받침간(85)을 부착하여 받침대(82)가 얹히도록 하였으며, 받침대(82)의 아랫부분에는 걸림봉(86)을 돌설하여 받침대(82)가 하강시 걸려젖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든 공정이 별도의 이송없이 한자리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접합 및 절단장치부(7)의 측단 즉 하부접합블럭(37')의 윗쪽에 고정부(101,101')가 형성된 사각체의 케이스(102) 설치하여 그 내부에 핀고정돌부(103)가 형성된 작용호퍼(100,100')를 삽입하되, 핀(104)의 선단 즉 케이스(102)의 외부에 작용간(105,105')을 한개는 상부로 한개는 하부로 고정시키고, 각 작용간(105,105')의 반대측단부에는 핀(104',104)을 이용하여 연결간(106)을 유설시키며, 일측작용간(105')과 연결간(106)의 일측끝단에 삽입되는 핀(104)에는 실린더(107)를 유설시킴으로써 실린더(107)의 작용에 따라 작용호퍼(100,100')가 벌림과 오므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접합작용판(14)(14')의 중간위치 양측의 별도의 모터(120)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121)와 타이밍벨트풀리(122,122')를 설치하고 타이밍벨트(121)의 일정위치에 고정블록(123)을 이용하여 칼날(124)을 고정시킴으로서 모터(120)의 구동에 의한 칼날(124)의 수평이송으로 절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기.
  4. 제1항에 있어서, 벌림실린더(62)와 당김블럭(46)에 의해 작용하는 링크(130a)(130b)(130c)(130d)를 기어로 연접시키지 않고 양단에서 하나의 핀(131)으로 유설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집게장치대(52)를 감속모타(49)에 의해 이송시킬 필요없이 곧바로 이동판(47a,47b)에 장착하여 비닐봉투(200')의 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폭을 집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기.
KR1019940040695A 1994-12-28 1994-12-28 비닐포장기 KR013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695A KR0139505B1 (ko) 1994-12-28 1994-12-28 비닐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695A KR0139505B1 (ko) 1994-12-28 1994-12-28 비닐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70A KR960022170A (ko) 1996-07-18
KR0139505B1 true KR0139505B1 (ko) 1998-07-15

Family

ID=1940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695A KR0139505B1 (ko) 1994-12-28 1994-12-28 비닐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5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70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571B2 (en) Packaging machine and process
TWI225021B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load body
JP4086386B2 (ja) 乾電池等の円筒状物品群の包装方法並びに装置
MXPA97006163A (en) Plast conveyor system
NZ534431A (en) Packaging system
JPH0999903A (ja) 衣料品の袋詰め方法及び袋詰め装置
JP2889968B2 (ja) 包装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0139505B1 (ko) 비닐포장기
US47917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bag with individual packs of articles or produce
US8307862B2 (en) Bag loader
JP2704857B2 (ja) 袋口縁起立装置
JP3648691B2 (ja) 自動包装機のシール搬出装置
EP0965521A1 (en) Machine for packaging a bulk product or groups of articles in a tubular bag
JP3543849B2 (ja) 袋開口装置
JPH0767928B2 (ja) 包装袋体の耳部折り曲げ装置
JP3731832B2 (ja) 縦型充填包装装置
JP3280007B2 (ja) 商品自動包装用装置
JPH0629051B2 (ja) 包装装置
JP3701711B2 (ja) 袋敷設装置
JP2735982B2 (ja)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袋開口保持装置
JP2594444Y2 (ja) 袋敷設装置
JPH10310107A (ja) モップの自動包装機
JPH0237684Y2 (ko)
JPH0398835A (ja) 薬剤包装機の薬包取出装置
JPS5836655Y2 (ja) 靴下類の自動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