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31Y1 -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31Y1
KR0139431Y1 KR2019950006274U KR19950006274U KR0139431Y1 KR 0139431 Y1 KR0139431 Y1 KR 0139431Y1 KR 2019950006274 U KR2019950006274 U KR 2019950006274U KR 19950006274 U KR19950006274 U KR 19950006274U KR 0139431 Y1 KR0139431 Y1 KR 0139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screw
hole
rear plate
a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126U (ko
Inventor
이석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06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31Y1/ko
Publication of KR960033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0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operating reliability of electronic equipment, e.g. by providing a similar standb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유도 미세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일체로 구성된 상태에서 별도의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세워지는 한쌍의 프레임의 각 내면에 AMA지지플레이트를 받쳐주는 후면플레이트의 양측면을 각각 체결하되, 상기 일측프레임의 대략 중심부위에는 안내장공을, 그 안내장공의 중심에 해당되는 후면플레이트의 일측면 소정위치에는 스크류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장공을 통하여 편심스크류를 끼워 상기 스크류 체결공에 체결하는 한편, 반대쪽 프레임의 상하부 소정위치에는 또 다른 안내 장공을, 이에 대응되는 후면플레이트의 반대쪽 측면에는 스크류체결공을 형성하고 그 안내장공을 통하여 고정스크류를 끼워 상기 스크류체결공에 체결하므로써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 컬러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AMA같은 정밀부품이 별도의 지지플레이트에 의하여 케이스 등에 조립되는 경우에 조립부품간의 편차 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서 발생되는 편차를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유도 미세조정장치가 투사형화상표시 장치의 AMA(Actuated Mirror Array)지지플레이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도 미세조정장치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AMA지지플레이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22, 24 : 프레임
26 : AMA지지플레이트 28 : 후면플레이트
30, 32 : 안내장공 32, 36 : 스크류체결공
34 : 편심스크류 42 : AMA
본 고안은 자유도 미세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소정부위에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부품의 전·후방향의 자유도를 편심스크류를 이용하여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자유도 미세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주 미세한 편차에 의해 오차가 발생되는 전자제품, 예컨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 적(R), 녹(G), 청(B)의 컬러를 구현하는 엑츄에이티드 미러 에레이(Actuated Mirror Array : 이하 AMA이라 함)는 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케이스 등에 설치할 때 그 조립 또는 설치조건에 따라 사용시 매우 큰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AMA가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케이스면에 조립할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나 부품간 조립편차 또는 조립이 정확하게 이루어진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중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충격 및 그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조립편차가 발생되면 제품사용시 기능상 매우 커다란 오차가 발생되고, 그 만큼 제품의 성능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AMA(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지지플레이트(10)의 4모서리면을 후면플레이트(12)에 스크류(14)로써 고정설치하고, AMA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나 반사각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류(14)를 조이거나 풀면서 조절하여 그 스크류(14)의 피치사이의 공차범위 이내에서 미세조정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유도 미세조정장치에서는 전후방향의 미세조정시 설치된 모든 스크류(14)를 순차적으로 동일한 피치만큼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되기 때문에 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숙련된 작업자라하더라도 정확한 조정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지플레이트(10)의 변형이 발생되기 쉬워 그 전면에 설치된 AMA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어 컬러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AMA같은 정밀부품이 별도의 지지플레이트에 의하여 케이스 등에 조립되는 경우에 조립부품간의 편차 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서 발생되는 편차를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자유도 미세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별도의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세워지는 한쌍의 프레임의 각 내면에 AMA지지플레이트를 받쳐주는 후면플레이트의 양측면을 각각 체결하되, 상기 일측프레임의 대략 중심부위에는 안내장공을, 그 안내장공의 중심에 해당되는 후면플레이트의 일측면 소정위치에는 스크류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장공을 통하여 편심스크류를 끼워 상기 스크류체결공에 체결하는 한편, 반대쪽 프레임의 상하부 소정위치에는 또 다른 안내장공을 이에 대응되는 후면플레이트의 반대쪽 측면에는 스크류체결공을 형성하고 그 안내장공을 통하여 고정스크류를 끼워 상기 스크류체결공에 체결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도 미세조정장치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AMA지지플레이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자유도 미세조정장치(20)는 서로 일체로 구성된 상태에서 별도의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세워지는 한쌍의 프레임(22)(24)의 각 내면에 AMA지지플레이트(26)를 받쳐주는 후면플레이트(28)의 양측면(28a)(28b)을 각각 체결하되, 상기 일측프레임(22)의 대략 중심부위에는 안내장공(30)을, 그 안내장공(30)의 중심에 해당되는 후면플레이트(28) 상의 일측면(28a)상에는 스크류체결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장공(30)을 통하여 편심스크류(34)를 끼워 상기 스크류체결공(32)에 체결하는 한편, 반대쪽 프레임(24)의 상하부 소정위치에는 또 다른 안내장공(32')을, 이에 대응되는 후면플레이트(28)의 반대쪽측면(28b)에는 스크류체결공(36)을 형성하고, 그 안내장공(32')을 통하여 고정스크류(38)을 끼워 스크류체결공(36)에 체결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AMA지지플레이트(26)는 상기 후면플레이트(28)의 전면상에 스크류(40)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A지지플레이트(26)가 설치된 후면플레이트(28)의 일측면(28a)이 일측프레임(22)상의 안내장공(30)을 통하여 끼워진 편심스크류(34)에 의해 체결되고, 그 후면플레이트(28)의 반대쪽 측면(28b)은 그에 대응되는 프레임(24)에 형성된 안내장공(32')을 통하여 끼워지는 고정스크류(38)에 의해 체결된 초기상태에서, 작업자가 AMA지지플레이트(26)의 전면에 부착된 AMA(42)의 설치상태 조정을 위하여 후면플레이트(28)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드라이버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일측프레임(22)상의 안내장공(30)에 끼워진 편심스크류(34)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기 편심스크류(34)의 머리부(34a)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안내장공(30)의 내면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밀어주게 되나 프레임(22)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면플레이트(28)가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인다.
이때 후면플레이트(28)의 최대 조정범위는 반대쪽 측면(28b)에 형성된 안내장공(32')의 길이에 의해 정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후면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양측프레임증 일측프레임상의 안내장공에 끼워진 편심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AMA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된 후면플레이트의 전후방향에 대한 자유도를 손쉽게 미세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서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별도의 구조물에 견고히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세워지는 한쌍의 프레임(22)(24)의 각 내면에 AMA지지플레이트(26)를 받쳐주는 후면플레이트(28)의 양측면(28a)(28b)을 각각 체결하되, 상기 일측프레임(22)의 대략 중심부위에는 안내장공(30)을, 그 안내장공(30)의 중심에 해당되는 후면플레이트(28)의 일측면 소정위치에는 스크류체결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장공(30)을 통하여 편심스크류(34)를 끼워 상기 스크류체결공(32)에 체결하는 한편, 반대쪽 프레임(24)의 상하부 소정위치에는 또 다른 안내장공(32')을, 이에 대응되는 후면플레이트(28)의 반대쪽 측면(28b)에는 스크류체결공(36)을 형성하고 안내장공(32')을 통하여 고정스크류(38)를 끼워 상기 스크류체결공(36)에 체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KR2019950006274U 1995-03-31 1995-03-31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KR0139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274U KR0139431Y1 (ko) 1995-03-31 1995-03-31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274U KR0139431Y1 (ko) 1995-03-31 1995-03-31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26U KR960033126U (ko) 1996-10-24
KR0139431Y1 true KR0139431Y1 (ko) 1999-05-15

Family

ID=1941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274U KR0139431Y1 (ko) 1995-03-31 1995-03-31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824B1 (ko) * 2020-10-22 2022-07-22 주식회사 수산이앤에스 내진 성능을 개선한 서브랙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26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9412A (en) Rear projection monitor
CN100537255C (zh) 直接标记打印头的定位机构和定位打印机中的打印头的方法
US5092671A (en) Device for projection television pictures
US5475409A (en) Alignment structure for components of an ink jet print head
KR0139431Y1 (ko)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JPH09189969A (ja) スクリーンの取り付け構造
CN112630931B (zh) 一种激光投影光学系统反射镜精度可调结构
KR200148963Y1 (ko) 후면투사형 텔레비젼의 미러보정장치
US10863067B2 (en) Image pickup unit that allows optical adjustment
KR0136544Y1 (ko)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KR0139430Y1 (ko)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JP3166894B2 (ja) 液晶パネルの調整装置
JP2004309529A (ja) 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の映像歪補正機構及び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3031329B2 (ja) コンバーゼンス機構及びそれを使用したプロジェクタ
JPH05150211A (ja) 投写形液晶表示装置
JP2691918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US11747588B2 (en) Flexure device
KR200156674Y1 (ko) 구조가 개선된 액정표시판의 지지체를 구비한 액정프로젝터
JP2991119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コンバーゼンス機構及びコンバーゼンス方法
KR20050000985A (ko) 프로젝션 tv의 화면보정구조
KR20070102895A (ko)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JP2009075228A (ja) 光合成装置、光学エンジン及び画像投影表示装置
JPH05122643A (ja) プロジエクシヨンテレビのミラー取付構造
JPH06110032A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液晶モジュール位置調整機構
JPH02340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