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895A -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895A
KR20070102895A KR1020060034700A KR20060034700A KR20070102895A KR 20070102895 A KR20070102895 A KR 20070102895A KR 1020060034700 A KR1020060034700 A KR 1020060034700A KR 20060034700 A KR20060034700 A KR 20060034700A KR 20070102895 A KR20070102895 A KR 2007010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ver
coupling
fast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탁
안태정
구희술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2895A/ko
Publication of KR2007010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광투과 창이 형성되고, 어느 일 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덮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및 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과정에서 화소 증진장치인 액추에이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엔진케이스를 조립한 후에도 액추에이터의 조정 또는 교체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액추에이터의 분해, 교체 및 재조립이 매우 유연하게 될 수 있으며, 공정시간의 단축과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소 증진장치, 프로젝션 TV, 커버, 케이스, 체결구

Description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CASE OF PIXEL ENHANCEMEN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화소 증진장치가 결합되는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에 화소 증진장치인 액추에이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화소 증진장치인 액추에이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가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액추에이터 장착부의 체결돌기에 액추에이터 프레임의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커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케이스 100 ... 커버
110 ... 결합부 111 ... 구멍
120 ... 액추에이터 장착부 121 ... 지지체
122 ... 연장부 123 ... 체결돌기
124 ... 체결홈 200 ... 본체
210 ... 개방구 211 ... 체결홈
220 ... 광 투과창 310,320 ... 체결구
500 ... 액추에이터 510 ... 프레임
511 ... 체결부 512 ... 삽입구
본 발명은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영상 표시방식이 더욱 다양해지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의 영상 투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 중 최근에는 스크린에 더욱 선명한 영상을 투사시키기 위해 영상의 화소 수를 증가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표시소자들 중에서 예를 들어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프로젝션 TV는 집적된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다수의 미세 구동 거울이 영상 신호를 투사 확대한다. 이러한 경우 반도체 칩에 실장 된 미세 거울의 수가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해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실장 되는 미세 거울의 수를 증가시켜야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미세 거울의 수를 증가시키면 반대로 거울의 크기를 감소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미세 거울의 배열을 변형시키고, 미세 거울로부터 반 사되는 영상을 일정 방향으로 반복 진동시켜 수평 방향의 화소들 사이에 하나의 화소를 추가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영상을 투사시키기 위한 엔진룸에 고정 사용될 수 있는데, 화소를 증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는 그 작동의 안정성을 위하여 엔진룸에 고정되게 장착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엔진룸은 밀폐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립위치와 방식에 있어서 매우 불리하다. 다시 말해서, 좁은 엔진룸의 공간에 액추에이터를 정밀하게 장착시키는 것은 작업시간의 단축 시킬 수 없는 요인이 되고, 또한 정밀한 장착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숙련도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조립 후에도 제품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재조정하거나,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로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엔진룸 전체를 해체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 된다.
이와 같은 상황들을 고려해 보면, 기존의 엔진룸 케이스의 구조는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목적은 화소 증진장치인 액추에이터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액추에이터의 조정 또는 교체 작업시 액추에이터의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액추에이터의 조립, 분해 및 재조립이 매우 유 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액추에이터의 장착을 위한 조립과 액추에이터의 조정 또는 교체를 위한 분해 및 재조립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는 일 측에 광투과 창이 형성되고, 어느 일 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덮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및 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는 결합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결합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 돌기는 돌출되는 길이가 액추에이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부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체결 돌기의 직경은 액추에이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부의 삽입구멍과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체에는 보강 리브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체와 커버의 결합을 위하여 본체는 개방구 단부 테두리에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홈을 가지며, 상기 커버는 본체의 체결홈과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결합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배치되는 위치가 다른 요소는 동일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10)는 광학장치와 화소를 보상 또는 조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내장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결합 되며, 액추에이터(500)가 결합되는 커버(1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기존의 엔진 케이스에서와 같이 일 측에 광 투과창(220)이 형성되며, 표기되지는 않았지만 광의 진행을 위하여 광경로를 형성시키는 다수개의 개구 또는 창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2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커버(100)가 결합되는 개방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10)에는 상기 커버(100)의 결합을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 수단의 하나로 체결홈(211)을 형성하여 이하 설명되는 나사 결합을 통해 커버(100)가 상기 개방구(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수단은 나사결합에 의한 수단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커버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100)의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커버(100)는 화소 증진을 위한 액추에이터(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 장착부(120)를 구비한다.
즉, 화소 증진장치인 액추에이터(500)가 상기 커버(100)에 장착되게 되므로 인해 액추에이터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0)가 본체(200)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되므로 액추에이터의 조정 및 교체 등이 매우 유리하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100)는 결합부(110)와 액추에이터 장착부(120)를 포함하는데, 상기 결합부(110)는 본체(200)의 개방구(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결합부(110)는 상기 결합 수단의 하나로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211)과 상응하는 위치에 나사 결합을 위한 구멍(111)을 형성하여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커버(100)가 상기 개방구(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수단은 나사결합에 의한 수단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커버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0)는 판 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는 상기 결합부(110)의 일 면에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사각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110)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체(1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121)의 양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연장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2)의 단부면에서 연장부(122)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체결돌기(12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23)는 이하 설명되는 체결구(32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체결홈(1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124)은 결합을 위한 수단으로 나사산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상기 연장부(122)의 단부가 수직으로 꺾여지고, 그 꺾여진 부분의 일면에 체결돌기(123)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연장부(122)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연장부는 상기 체결돌기(123)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두께로 구성되어 체결돌기(123)가 그 단부면의 측면에 일자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합한 실시예의 하나일 뿐이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는 화소 증진 액추에이터(500)의 작동에 의하여 액추에이터 장착부(120) 자체가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 장착부(12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125)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에는 상기 리브(125)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른 보강 리브(126)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른 보강 리브(126)는 상기 측면으로 배치되는 리브(125)와 함께 액추에이터 장착부(120)의 지지력을 더 보강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의 연장부(122)에 형성되는 각 체결돌기(123)는 화소 증진을 위한 액추에이터(500)가 고정되도록 결합 되는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소 증진을 위한 액추에이터(500)의 지지 프레임(510)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결합구멍(512)이 상기 각 체결돌기(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구(320)에 의해 결합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00)의 지지 프레임(510)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결합구멍(512)이 상기 각 체결돌기(123)에 끼워진 후에는 상기 액추에이터(500)가 액추에이터 장착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구(320)가 상기 체결돌기(123)의 체결홈(124)에 끼워져 결합 된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을 설명하였으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수단은 나사결합에 의한 수단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결합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123)는 상기 연장부(12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5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23)는 그 직경(또는 넓이)가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5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결합구멍(512)과 상응하는 직경(또는 넓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체결돌기(123)의 길이와 직경(또는 넓이)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추에이터의 결합구멍(512)이 상기 체결돌기(123)와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끼워지고 액추에이터 장착부(120)의 연장부(122)의 단부면과 체결구(320)의 사이에 밀착되게 결합 되므로 액추에이터(5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버(100)는 본체(200)의 개방구(210)에 결합되는데,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가 본체(2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커버(100)의 결합부(110)가 본체(200)의 개방구(210) 테두리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이 커버(100)의 결합부(110)가 상기 본체(200)의 개방구(210)를 막게 되는 상태에서 체결구(310)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다양한 수단으로 변형되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화소 증진을 위한 액추에이터(500)는 빛이 방출되는 램프와 영상정보가 표시되는 화면 사이의 광 경로 상에 고정되며, 고정부에 제한된 일정 각도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동일한 영상 신호가 시간에 따라 화소가 이동할 수 있 도록 변위판이 형성된 가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틴들 회전을 하게 된다.
결국, 상기 화소 증진 액추에이터(5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액추에이터 장착부가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며 보면,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를 포함하는 커버(10-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10-1)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0)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을 하도록 하겠다.
상기 커버(100-1)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부(110-1)와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를 포함하는데, 상기 결합부(110-1)는 본체(200)의 개방구(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110-1)는 상기 결합 수단의 하나로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211)과 상응하는 위치에 나사 결합을 위한 구멍(111-1)을 형성하여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커버(100-1)가 상기 개방구(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수단은 나사결합에 의한 수단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커버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0-1)는 판 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는 상기 결합부(110-1)의 일 면에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사각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110-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체(121-1)가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체(121-1)의 단부면에는 상 기 지지체(121-1)의 각 단부에서 지지체(121-1)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체결돌기(123-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23-1)는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체결홈(124-1)이 형성된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상기 지지체(121-1)의 단부가 수직으로 꺾여지고, 그 꺾여진 부분의 일면에 체결돌기(123-1)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체(121-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지지체는 상기 체결돌기(123-1)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두께로 구성되어 체결돌기(123-1)가 그 단부면의 측면에 일자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합한 실시예의 하나일 뿐이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는 화소 증진 액추에이터(500)의 작동에 의하여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 자체가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126-1)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에 형성되는 각 체결돌기(123-1)는 화소 증진을 위한 액추에이터(500)가 고정되도록 결합 되는데,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소 증진을 위한 액추에이터(500)의 지지 프레임(510)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결합구멍(512)이 상기 각 체결돌기(12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구(320)에 의해 결합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00)의 지지 프레임(510)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결 합구멍(512)이 상기 각 체결돌기(123-1)에 끼워진 후에는 상기 액추에이터(500)가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구(320)가 상기 체결돌기(123-1)의 체결홈(124-1)에 끼워져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123-1)는 상기 지지체(12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5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23-1)는 그 직경(또는 넓이)가 상기 액추에이터 프레임(5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511)의 결합구멍(512)과 상응하는 직경(또는 넓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체결돌기(123-1)의 길이와 직경(또는 넓이)을 통해 액추에이터의 결합구멍(512)이 상기 체결돌기(123-1)와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끼워지고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의 단부면과 체결구(320)의 사이에 밀착되게 결합 되므로 액추에이터(5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버(100-1)는 위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200)의 개방구(210)에 결합되는데,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120-1)가 본체(2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커버(100-1)의 결합부(110-1)가 본체(200)의 개방구(210) 테두리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이 커버(100-1)의 결합부(110-1)가 상기 본체(200)의 개방구(210)를 막게 되는 상태에서 체결구(310)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다양한 수단으로 변형되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의 미설명 부호 230은 영상 생성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과정에서 화소 증진장치인 액추에이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케이스를 조립한 후에도 액추에이터의 조정 또는 교체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액추에이터의 분해, 교체 및 재조립이 매우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시간의 단축과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일 측에 광투과 창이 형성되고, 어느 일 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덮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및 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는 결합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양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장착부는 결합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돌출되는 길이가 액추에 이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부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체결 돌기의 직경은 액추에이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부의 삽입구멍과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보강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방구 단부 테두리에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홈을 가지며, 상기 커버는 본체의 체결홈과 상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본체와 커버가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7. 일 측에 광투과 창이 형성되고, 어느 일 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방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양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 및 상기 지지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로 구성되는 액추에이터가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및 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8. 일 측에 광투과 창이 형성되고, 어느 일 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방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체, 상기 각 지지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 및 상기 지지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로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및 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KR1020060034700A 2006-04-17 2006-04-17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KR20070102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700A KR20070102895A (ko) 2006-04-17 2006-04-17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700A KR20070102895A (ko) 2006-04-17 2006-04-17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895A true KR20070102895A (ko) 2007-10-22

Family

ID=3881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700A KR20070102895A (ko) 2006-04-17 2006-04-17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28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47B1 (ko) * 2009-11-05 2011-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메커니즘부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47B1 (ko) * 2009-11-05 2011-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메커니즘부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1375B2 (ja) プロジェクター天吊り装置
KR100621184B1 (ko) 광학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
EP2184638B1 (en) Rear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JP4674130B2 (ja) レンズ保持ユニット
EP1587315A2 (en) Improved adjustable convergence device for a projector and projector equipped with a convergence device
US8186637B2 (en) Media device mounting system
JP5653107B2 (ja) 調整可能なプロジェクタディスプレイ用収束機構
JPH10319501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モニタ
JP2006171676A (ja) Dlp方式プロジェクション用dmdの反射ミラーチルティングアクチュエータ
KR100481508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광학엔진
KR20070102895A (ko) 화소 증진장치의 케이스
CN111812927B (zh) 光学模块及投影机
KR20020000425A (ko) 액정 빔 프로젝터용 액정 얼라인 장치
WO2021152827A1 (ja) 画像表示装置
JP2005128370A (ja) 投影光学ユニット
US11500172B2 (en) Optical module and projector
JP5064067B2 (ja) 投写表示装置
KR0139431Y1 (ko) 자유도 미세조정장치
JP2009058591A (ja) 画像表示装置
KR0135343Y1 (ko) 프로젝터의 에이엠에이 어셈블리 장착구조
JPH0557973U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の光軸調整機構
KR20050000985A (ko) 프로젝션 tv의 화면보정구조
KR930006493Y1 (ko) 액정표시소자 프로젝터의 경사조정장치
JP2002350813A (ja) 液晶投射型表示装置
WO2016067580A1 (ja) 光学補償素子調整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